KR20180064250A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250A
KR20180064250A KR1020160164682A KR20160164682A KR20180064250A KR 20180064250 A KR20180064250 A KR 20180064250A KR 1020160164682 A KR1020160164682 A KR 1020160164682A KR 20160164682 A KR20160164682 A KR 20160164682A KR 20180064250 A KR20180064250 A KR 2018006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sma
air
inlet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202B1 (ko
Inventor
이익범
Original Assignee
이익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범 filed Critical 이익범
Priority to KR102016016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자외선 및 플라즈마 오존으로 살균함으로써 농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전기 방전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IN GREEN HOUSE USING PLASMA}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자외선 및 플라즈마 오존으로 살균함으로써 농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재배 방법은 식물의 적절한 생장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광량, 온도 및 습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근 많이 이용되는 재배 방법이다.
그런데, 비닐하우스는 기본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공기를 통한 병해충 예방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공기 전염성 병해인 잿빛곰팡이병,노균병, 탄저병 등과 토양전염성 병해인 시들음병, 역병, 균핵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유지와 공기전염성 곰팡이균에 대한 살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곰팡이균 살균 방법은 대부분 화학적, 유전공학적인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학적인 방법은 환경 오염 및 친환경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라는 문제를 가지며, 유전공학적인 방법은 유전자 조작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야기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2402호(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181호(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894호(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서와 같이 난방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난방 장치를 사용하는 기술은 발열기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살균도 겸하도록 설계된 것인데, 이는 발열기의 특성상 실내 온도를 올릴 때만 사용되므로 살균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사용 계절이 제한되며 살균을 위한 동작 시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3538호(생물학적 유체 살균장치 및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1101호(기체의 흡인여과장치)에서는 생물학적 필터나 액체 필터를 사용하여 미생물 및 미세한 미립자 고체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중인 필터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2402호 : 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181호 :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894호 :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3538호 : 생물학적 유체 살균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1101호 : 기체의 흡인여과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자외선 및 플라즈마 오존으로 살균함으로써 농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전기 방전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길이가 긴 통체로서 일측 단부에 입구가 타측 단부에 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 공기를 불어 넣도록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상기 자외선 램프는, 길이가 긴 형상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 측과 출구 측 각각에 고정된 절연체와, 길이가 긴 한 쌍의 도체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각각의 전극 양단 각각이 상기 절연체 각각에 고정된 플라즈마 전극과,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자외선 및 플라즈마 오존으로 살균함으로써 농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가 온실용 하우스에 매달리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가 온실용 하우스에 매달리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는 온실(H)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플라즈마 오존 및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배출함으로써 온실(P) 내부의 공기를 떠다니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요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살균 장치(1)는 하우징(10), 송풍수단(20), 자외선 램프(30) 및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살균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일측 단부에는 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출구가 구비되게 길이가 긴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자외선 램프(30) 및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이 수용되어 장착된다.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로 흡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입구와 출구 측에는 공기가 지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격벽(13a,13b)이 설치되어 하우징의 골격을 형성하며, 그 격벽(13a,13b)에는 하술하는 절연체(41a,41b)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출구 측에는 타공판(13c)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보호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로 절반 정도가 분할되어 하부의 본체(11)와 상부의 커버(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와 커버(12)는 측부에 구비된 경첩(14)에 의해 연결되어 커버(12)의 회전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커버(12)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살균 장치(1)를 온실(H)의 천정에 매달기 위한 와이어(W)가 연결되는 고리(15)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수단(2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공기가 입구를 통해 흡입되며, 그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된 자외선 램프(30) 및 플라즈마 발생수단(40)에 의해 살균되어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송풍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로 공기를 불어 넣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입구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입구 측에 설치된 격벽(13a)에 결합된 송풍기(21) 및 상기 송풍기(21)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송풍기 전원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21)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불어 넣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를 지나 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30)는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 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 램프(30)는 길이가 긴 형상을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도면에는 한 쌍의 자외선 램프(30)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좌우에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30)는 하술하는 절연체(41a,41b)의 양측에 구비된 램프 장착 후크(3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그 램프 장차 후크(31)를 통해 램프 전원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램프(30)에 의해 살균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상기 자외선 램프(30)은 일반적인 살균선(253.7nm)의 파장의 자외선뿐만 아니라 오존을 발생시키는 184.9nm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상기 184.9nm 파장의 자외선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산소에 흡수되어 유기물질을 산화하는 오존을 생성하게 되며, 상기 253.7nm 파장의 자외선은 미생물이나 세균과 같은 유기물에 흡수되어 오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전기 방전을 통해 플라즈마, 즉 플라즈마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은 살균과 탈취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40)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이 이루어지는 중에는 공기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오존이 생성되게 되는데, 이 오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력한 산화제로서 세균의 살균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간단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입구 측과 출구 측 각각에 고정된 절연체(41a,41b)와, 길이가 긴 한 쌍의 도체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각각의 전극 양단 각각이 상기 절연체(41a,41b) 각각에 고정된 플라즈마 전극(42a,42b)과, 상기 플라즈마 전극(42a,42b)에 전력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41a,41b)는 부도체 재질로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3a,13b)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환형의 절연체(41a,41b)에는 상기 도전성 금속 재질로 된 와이어 형상의 플라즈마 전극(42a,42b)의 양단이 고정되며, 그 플라즈마 전극(42a,42b)는 전기적으로 상기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절연체(41a,41b)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외선 램프(30)의 말단이 지지되며 전기적으로 램프 전원제어부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램프 장착 후크(31)가 고정된다.
상기 플라즈마 전극(42a,42b)는 가느다른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작은 간극을 갖게 서로 마주보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플라즈마 전극(42a,42b)에 고전압이 걸리면 전극 사이에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플라즈마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전극(42a,42b)의 간극이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진행할수록 커지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플라즈마 방전은 입구 측에서 강력하게 이루어졌다가 출구 측에서는 소멸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만이 도시되어 있고 송풍기 전원제어부 및 램프 전원제어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송풍기 전원제어부 및 램프 전원제어부는 상기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과 통합되어 하나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은 상기 플라즈마 발생수단(40)의 작동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기(31) 및 자외선 램프(3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물의 상황이나 생육 상태에 따라 오존을 이용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하우스용 살균 장치(1)의 작동시간이나 출력을 설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은 자외선 램프(30) 및 플라즈마 전원제어부(43)의 출력 및 작동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플라즈마를 이용한 하우스용 살균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H 하우스
1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10 하우징
11 본체
12 커버
13a,13b 격벽
13c 타공판
14 경첩
15 고리
20 송풍수단
21 송풍기
30 자외선 램프
31 램프 장착 후크
40 플라즈마 발생수단
41a,41b 절연체
42a,42b 플라즈마 전극
43 플라즈마 전원제어부

Claims (5)

  1.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전기 방전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가 긴 통체로서 일측 단부에 입구가 타측 단부에 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 공기를 불어 넣도록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길이가 긴 형상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 측과 출구 측 각각에 고정된 절연체와,
    길이가 긴 한 쌍의 도체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각각의 전극 양단 각각이 상기 절연체 각각에 고정된 플라즈마 전극과,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KR1020160164682A 2016-12-05 2016-12-05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KR10199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82A KR101994202B1 (ko) 2016-12-05 2016-12-05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82A KR101994202B1 (ko) 2016-12-05 2016-12-05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250A true KR20180064250A (ko) 2018-06-14
KR101994202B1 KR101994202B1 (ko) 2019-06-28

Family

ID=6262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682A KR101994202B1 (ko) 2016-12-05 2016-12-05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06B1 (ko) *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KR20200085637A (ko) * 2019-08-02 2020-07-15 주식회사 퓨어플라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20200109554A (ko) 2019-03-13 2020-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KR20200144653A (ko) * 2019-06-19 2020-12-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필름 가스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살충 장치
KR20210047582A (ko) * 2019-10-22 2021-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KR2022002321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휴대용 방역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279B1 (ko) 2022-10-25 2023-01-10 여권택 농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내부 비산 곰팡이균 살균배출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107U (ko) * 1994-08-11 1996-03-13 현영남 자외선램프 실내공기 소독장치
JPH09201402A (ja) * 1996-01-30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除菌装置
KR100241101B1 (ko) 1993-03-31 2000-02-01 겐로 모토다 기체의 흡인여과장치
KR100258894B1 (ko) 1998-02-18 2000-06-15 박경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JP2000217898A (ja) * 1999-01-28 2000-08-08 Atlas:Kk 空気清浄機
KR100473538B1 (ko) 1996-06-05 2005-05-16 이아트로스 리미티드 생물학적유체살균장치및방법
US20080063577A1 (en) * 1999-12-15 2008-03-13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In situ sterilization and decontamination system using a non-thermal plasma discharge
KR100822402B1 (ko) 2007-05-28 2008-04-16 이흥우 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KR100890797B1 (ko) * 2008-04-23 2009-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0459181Y1 (ko) 2009-09-29 2012-03-23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1386401B1 (ko) * 2013-10-08 2014-04-17 (주)구츠 자정기능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01B1 (ko) 1993-03-31 2000-02-01 겐로 모토다 기체의 흡인여과장치
KR960007107U (ko) * 1994-08-11 1996-03-13 현영남 자외선램프 실내공기 소독장치
JPH09201402A (ja) * 1996-01-30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除菌装置
KR100473538B1 (ko) 1996-06-05 2005-05-16 이아트로스 리미티드 생물학적유체살균장치및방법
KR100258894B1 (ko) 1998-02-18 2000-06-15 박경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JP2000217898A (ja) * 1999-01-28 2000-08-08 Atlas:Kk 空気清浄機
US20080063577A1 (en) * 1999-12-15 2008-03-13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In situ sterilization and decontamination system using a non-thermal plasma discharge
KR100822402B1 (ko) 2007-05-28 2008-04-16 이흥우 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KR100890797B1 (ko) * 2008-04-23 2009-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0459181Y1 (ko) 2009-09-29 2012-03-23 이중수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1386401B1 (ko) * 2013-10-08 2014-04-17 (주)구츠 자정기능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54A (ko) 2019-03-13 2020-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KR102045706B1 (ko) *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KR20200144653A (ko) * 2019-06-19 2020-12-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필름 가스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살충 장치
KR20200085637A (ko) * 2019-08-02 2020-07-15 주식회사 퓨어플라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20210047582A (ko) * 2019-10-22 2021-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충 장치
KR20220023210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휴대용 방역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02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0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KR20190067633A (ko) 플라즈마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탈취장치
WO20121120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plant seeds
KR101676817B1 (ko) 방사형 공간 살균기
CN206026743U (zh) 一种臭氧消毒器
KR102155087B1 (ko) 이동이 편리한 에어이온아이저 살균 공기청정기
US20040184949A1 (en) Air treatment system for localized and personal use
CN110721329A (zh) 一种臭氧紫外线杀菌消毒净化器
CN103623452A (zh) 一种空气循环净化装置及方法
WO2007057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gas, by measuring and controlling active oxygen content and uv-intensity
CN211214574U (zh) 一种臭氧紫外线杀菌消毒净化器
EP2954906A1 (en) Sterilisation unit to be inserted into an air duct
CN111991578A (zh) 一种带有网格转盘的紫外线消毒器
KR200459181Y1 (ko)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CN103939995A (zh) 一种改善环境和有益健康的空气调节装置及其应用方法
JP2008243824A (ja) 空気浄化機能付き照明器具
CN106235816A (zh) 一种无菌雾化花瓶
KR101789018B1 (ko)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CN207019188U (zh) 一种卫生间用除臭杀菌空气净化器
KR200439633Y1 (ko) 플라즈마 클러스터 이온을 이용한 살균장치
JP2007000101A (ja) 植物病害防除装置
KR101514138B1 (ko) 소형 열풍기
CN216592136U (zh) 一种家用暖风空气消杀机
CN212699744U (zh) 一种带有网格转盘的紫外线消毒器
CN218045920U (zh) 一种隧道式等离子消杀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