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688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688A
KR20160088688A KR1020150008086A KR20150008086A KR20160088688A KR 20160088688 A KR20160088688 A KR 20160088688A KR 1020150008086 A KR1020150008086 A KR 1020150008086A KR 20150008086 A KR20150008086 A KR 20150008086A KR 20160088688 A KR20160088688 A KR 2016008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leaner
hole
suction fan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환
Original Assignee
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688A/ko
Publication of KR2016008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6Radiation, e.g. ultraviolet or microwaves
    • A61L12/063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킨 후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고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면의 유입공과 상면의 배출공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몸체의 통로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유입공으로 강제 유입시키킨 후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 및 사용이 간편하고, 먼지를 포함하는 미세한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와 음이온이 배출될 수 있고, 또한, 공기 청정기 내부의 상부통로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상부통로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됨으로써, 유입공으로 강제 유입된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이동 및 운반, 보관 등이 간편하고,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와 음이온이 배출되도록 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미세 분진, 각종 유해가스, 잡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 매개체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능과 함께 생활냄새 제거, 진드기,꽃가루, 애완동물 털 등 작은 입자 제거, 공기 감염으로 인한 질병예방 등 다양한 기능이 갖추어지게 된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건식은 전기집진식과 필터여과식 두 가지로 나누어지게 된다.
전기집진식은 필터가 없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면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먼지제거 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여과식은 필터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서 각종 미립자를 필터에서 걸러주기 때문에 정화능력이 뛰어나 황사대비용으로 적절하지만,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교체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습식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나, 물때가 발생되지 않도록 새로운 물로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과, 공기 청정기를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습식 공기 청정기는, 여과용 물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소형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건식 공기 청정기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981호(2012.05.02)에는 공기 청정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26466호(공개일 : 2008.03.25)에는 공기 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구조가 복잡하였고, 주로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세균 등의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981호(등록일 : 2012.05.0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26466호(공개일 : 2008.03.25)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 및 사용이 간편하고,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세균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와 음이온이 배출되도록 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킨 후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고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면의 유입공과 상면의 배출공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몸체의 통로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유입공으로 강제 유입시키킨 후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유입공은,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 구조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바닥판 사이에는, 상기 몸체와 바닥판을 연결하고, 외부 공기를 사이 유입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연결부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이물질과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여과하기 위한 헤파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여과부재와 흡입팬이 설치되는 하부통로; 및 상기 하부통로에 비하여 좁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가 가운데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자외선 램프의 주변을 따라 통과할 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 살균 구간을 갖는 상부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팬과 상부통로 사이에는 음이온 발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공간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통로의 바닥과 상기 흡입팬 사이에는 상기 여과부재가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여과부재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상광하협의 역 원뿔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하부통로와 상부통로 및 상기 여과부재, 흡입팬 및 자외선 램프가 개방되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들이 다수개 형성되며, 하부에는 잠금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측면 상부영역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자외선이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의 외부 조사를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판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자외선 차단판은, 상기 배출공와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통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 상부영역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흡입팬이 작동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으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 및 사용이 간편하고, 먼지를 포함하는 미세한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와 음이온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 내부의 상부통로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상부통로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됨으로써, 유입공으로 강제 유입된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이 자외선 차단판에 의해 외부로 조사되지 않으므로 어린이나 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여과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여과부재의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엘이디 표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엘이디 표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높이가 50cm 미만의 소형으로 제작되어 실내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킨 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통로를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고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20)과, 바닥판(20)에서 상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면의 유입공(32)과 상면의 배출공(34)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36)가 형성된 몸체(31)와, 통로(36)를 개폐하도록 몸체(31)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33)로 이루어진 하우징(30)과, 몸체(31)의 통로(36)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40)와, 여과부재(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통로(36)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공(32)으로 강제 유입시키킨 후 배출공(34)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50)과, 흡입팬(50)에 의해 여과부재(40)를 통과하여 배출공(34)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청정기(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30)을 구성하는 몸체(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20)과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37)는 수직으로 형성되므로, 흡입팬(50)의 작동시 전면의 수직면이 외부 공기를 유입공(32)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31)의 높이는 대략 35 - 40cm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크기는 책상이나 협탁 등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로(3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40)와 흡입팬(50) 및 음이온 발생기(70)가 설치되고 유입공(32)과 연결되는 하부통로((36B)와 자외선 램프(60)가 설치되고 배출공(34)와 연결되는 상부통로(36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통로(36A)는, 하부통로에 비하여 좁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자외선 램프(60)가 가운데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배출공(34)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자외선 램프(60)의 주변을 따라 통과할 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 살균 구간(36A-1)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상부통로(36A)는, 좁은 중공형 관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가운데에 자외선 램프(60)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부통로(36B)가 좁은 중공형 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배출공(34)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좁게 형성된 상부통로(36A)의 자외선 살균 구간(36A-1)을 느리게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가 자외선에 오래 노출될 수 있어서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유입공(32)은,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 구조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몸체(31) 하부의 넓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원뿔형 구조를 갖는다. 이때, 몸체(31)의 하부에서 유입공(3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몸체(31)와 바닥판(20)을 연결하는 연결부(37)의 전면에 형성된 수직면에 유도되어 유입공(32)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다시 설명하면, 유입공(32)과 바닥판(2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흡입팬(50)이 작동하더라도 외부 공기가 유입공(32)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31)와 바닥판(20) 사이에 수직면을 갖는 연결부(37)가 위치함으로써, 몸체(31) 하부의 외부공기가 연결부(37)에 안내되어 유입공(32)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입공(32)의 내부에는 작동 표시등(90)이 마련된다. 이 작동 표시등(90)은 유입공(32)의 내부에 엘이디 소자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작동할 때(또는 흡입팬이 작동할 때) 점등되어 유입공(32)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외부에서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야간에 무드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배출공(34)은,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상광하협의 역 원뿔형 구조로 형성된다. 즉, 배출공(34)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갖는 것이다.
흡입팬(50)과 상부통로(36A) 사이에는 음이온 발생공간(S1)이 형성되고, 음이온 발생공간(S1)에는 음이온 발생기(70)가 설치된다. 음이온 발생기(70)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상부통로(36A)를 통하여 배출공(34)으로 배출된다.
하부통로(36B)의 바닥과 흡입팬(50) 사이에는, 여과부재(40)가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여과부재 설치공간(S2)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통로(36B)의 바닥에 해당하는 몸체(31)에는 여과부재(40)의 교체시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여과부재(40)를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손가락 회피홈(39)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과부재(40)는, 황사, 미세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헤파필터로 이루어지며,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원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연질의 스폰지가 부착됨으로써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되고 소음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때, 몸체(31)에는 여과부재(40)의 교체시기를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여과부재(40) 청소 알림 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청소 알림 램프는 버튼에 구비되고, 알림 램프가 점등되어 여과부재(40)의 청소가 완료된 후 버튼을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알림 램프는 1주일 단위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여과부재(40)의 교체시기를 감지하지 않고 타이머에의해 일정한 시간 후에 알림 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흡입팬(50)은,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소음 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램프(6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통로(36A)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단부에 마련된 전극이 상부통로(36A)와 하부통로(36B)에 마련된 접속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외선 램프(60)는, 210 - 320nm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자외선 살균작용은 210 - 320nm 사이에서 강하게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250 - 260nm 자외선이 가장 살균작용이 강하기 때문이며, 바람직하게는 253.7nm의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방사하도록 만드는 살균램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3)는, 몸체(31)의 배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몸체(3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하부통로(36B)와 상부통로(36A) 및 여과부재(40), 흡입팬(50) 및 자외선 램프(60)가 개방되도록 몸체(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몸체(31)의 배면 길이방향 양쪽에는 다수개의 걸림턱(31A)이 형성되고, 커버(33)의 내측면 양쪽, 즉, 각 걸림턱(31A)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걸림턱(31A)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33A)들이 다수개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정각도로의 회전에 의해 몸체(31)에 마련된 걸림홈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된 잠금부재(33B)가 마련된다. 따라서, 커버(33)가 몸체(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잠금부재(33B)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잠금부재(33B)의 일단이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잠금이 해제되므로 커버(33)를 몸체(31)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33)의 내측면 상부영역에는, 자외선 램프(60)의 자외선이 배출공(34)을 통하여 외부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의 외부 조사를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판(33C)이 돌출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3)의 내측면 상부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외선 차단판(33C)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자외선 차단판(33C)은, 배출공(34)와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통로(36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부통로(36A)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60)의 자외선이 배출공(34)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판(33C)은, 별도로 제작되어 커버(33)의 내측면 상부영역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의 전면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팬(50)이 작동하고 자외선 램프(60)의 점등으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부(80)가 마련된다. 이러한 엘이디 표시부(80)는 녹색, 노란색, 적색으로 구성되어 여과부재(40)의 교체시기를 표시하거나, 공기중의 오염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 접속선을 바닥판(20)의 저면에 마련된 접속단자에 연결한 후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흡입팬(40)이 작동하여 외부공기를 유입공(32)으로 강제 유입시켜 배출공(34)으로 이동시켜 배출킨다. 이와 동시에 음이온 발생기(70)가 작동하여 음이온이 발생되며, 발생된 음이온은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배출공(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자외선 램프(60)가 점등되어 자외선이 조사된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흡입팬(50)에 의해 강제로 유입공(32)으로 유입되고, 하부통로(36B)와 상부통로(36A)를 거쳐 배출공(34)으로 배출되는데, 유입공(32)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여과부재(40)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여과부재(4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는 흡입팬(50)에 의해 강제로 관 형태로 좁게 형성된 상부통로(36A)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부통로(36A)의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자외선 램프(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는 자외선 램프(60)와 상부통로(36A)의 내벽 사이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면서 자외선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부통로(36A)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기가 좁고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 자외선 램프(60)가 설치된 상부통로(36A)를 통과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어서 살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통로(36A)를 통과한 여과되고 살균된 공기는 음이온과 함께 배출공(34)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되어 배출된다.
이때, 커버(33)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판(33C)이 자외선 램프(60)의 자외선이 직접 배출공(34)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로 배출공(34)을 쳐다볼 때 눈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청정기(10)의 높이를 50cm 미만, 특히 35 - 40cm 높이의 소형이면서 수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정이나 회사에서 탁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세균 등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받침판
30 : 하우징 31 : 몸체
31A : 걸림턱 32 : 유입공
33 : 커버 33A : 걸림돌기
33B : 잠금부재 33C : 자외선 차단판
34 : 배출공 36 : 통로 36A : 상부통로 36B :하부통로
40 : 여과부재 50 : 흡입팬
60 : 자외선 램프 70 : 음이온 발생기
80 : 엘이디 표시부 90 : 작동 표시등

Claims (10)

  1. 실내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킨 후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고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면의 유입공과 상면의 배출공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몸체의 통로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유입공으로 강제 유입시키킨 후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은,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하광상협 구조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바닥판 사이에는,
    상기 몸체와 바닥판을 연결하고, 외부 공기를 사이 유입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연결부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이물질과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여과하기 위한 헤파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여과부재와 흡입팬이 설치되는 하부통로; 및
    상기 하부통로에 비하여 좁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가 가운데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자외선 램프의 주변을 따라 통과할 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 살균 구간을 갖는 상부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과 상부통로 사이에는 음이온 발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공간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로의 바닥과 상기 흡입팬 사이에는, 상기 여과부재가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여과부재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상광하협의 역 원뿔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하부통로와 상부통로 및 상기 여과부재, 흡입팬 및 자외선 램프가 개방되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들이 다수개 형성되며, 하부에는, 잠금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 상부영역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자외선이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자외선의 외부 조사를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판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자외선 차단판은, 상기 배출공와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통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 상부영역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흡입팬이 작동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으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50008086A 2015-01-16 2015-01-16 공기 청정기 KR20160088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86A KR20160088688A (ko) 2015-01-16 2015-01-16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86A KR20160088688A (ko) 2015-01-16 2015-01-16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688A true KR20160088688A (ko) 2016-07-26

Family

ID=5668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086A KR20160088688A (ko) 2015-01-16 2015-01-16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68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432A (ko) 2017-09-26 2019-04-03 김도경 공기청정기
KR20200001331U (ko) * 2018-12-12 2020-06-22 김말석 자외선 살균기
KR102197534B1 (ko) * 2020-07-15 2021-01-04 (주)블루테크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KR102353373B1 (ko) * 2021-07-28 2022-01-20 (주)이온코리아 음이온 발생기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2-10-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40033890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플라즈메이스 공기와류식 플라즈마 살균부를 갖는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466A (ko) 2006-09-20 2008-03-25 차은진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466A (ko) 2006-09-20 2008-03-25 차은진 공기청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432A (ko) 2017-09-26 2019-04-03 김도경 공기청정기
KR20200001331U (ko) * 2018-12-12 2020-06-22 김말석 자외선 살균기
KR102197534B1 (ko) * 2020-07-15 2021-01-04 (주)블루테크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2-10-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53373B1 (ko) * 2021-07-28 2022-01-20 (주)이온코리아 음이온 발생기
KR20240033890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플라즈메이스 공기와류식 플라즈마 살균부를 갖는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688A (ko) 공기 청정기
KR101773371B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US8177966B2 (en)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KR2016009781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0734987B1 (ko) 공기 청정기
US20070137489A1 (en) Ai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KR101872669B1 (ko)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2096044B1 (ko) 공기청정기
KR101386187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10049465A (ko) 다기능 화면노출 웰빙형 공기 청정살균기
KR20150142971A (ko) 이동식 공기청정기
KR200241168Y1 (ko) 공기청정기
WO2011035632A1 (zh) 空气清净机
KR20110077804A (ko) 공기 정화 및 살균장치
KR101830095B1 (ko) 소형 공기청정기
KR102004433B1 (ko) 고체산소를 갖는 탁상용 공기청정기
KR101781119B1 (ko) 소형 공기청정기
KR102148131B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20240017195A1 (en) Air purifier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KR102224620B1 (ko) 습식 공기 정화기
KR101595321B1 (ko)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0851590B1 (ko) 탈착식 분리 구조를 갖는 산업용 탈취 시스템
KR102073640B1 (ko) 이온 살균 및 집진 유도형 공기 소독기
KR101880051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