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230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230A
KR20220142230A KR1020210048701A KR20210048701A KR20220142230A KR 20220142230 A KR20220142230 A KR 20220142230A KR 1020210048701 A KR1020210048701 A KR 1020210048701A KR 20210048701 A KR20210048701 A KR 20210048701A KR 20220142230 A KR20220142230 A KR 2022014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air purifier
sensor memb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배준형
김기수
남유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230A/ko
Publication of KR2022014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부와, 커버부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단일 수단으로 필터부 안착과 커버부 장착을 함께 감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부와, 커버부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단일 수단으로 필터부 안착과 커버부 장착을 함께 감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외부공기를 강제로 내부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여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부 및 공기 중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필터부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지의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집진 여과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재순환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고속으로 회전하는 송풍부나 높은 에너지의 자외선으로 필터를 살균하는 살균부 등 사용자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의 제어에는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주식회사 위니아딤채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133889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필터부(20)의 둘레면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50)를 구비함으로써, 필터부(20)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에 잔존하는 세균 및 박테리아를 멸균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 0133889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단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멸균하는 것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자외선 조사와 관련된 별도의 안전장치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만약 케이스부(14) 및 필터부(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살균램프(50)가 작동될 경우, 자외선이 공기청정기의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인접한 사용자의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메디슨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8688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자외선이 여과공기의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의 내측면 상부영역에 상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판을 포함하는 구조에 대하여 일부 개시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 경우, 단순히 자외선 차단판이라는 판재를 통해 공간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고 있을 뿐,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되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감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커버를 하우징에 결합시키지 않거나, 임의로 커버를 분리한 채로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킬 경우,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는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13388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8688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부와, 커버부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단일 수단으로 필터부 안착과 커버부 장착을 함께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가 하우징 내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고, 커버부에 의해 개방면이 폐쇄되어 안전한 사용환경이 조성된 경우에만 제어부가 센서부재로부터 안전모드 신호를 전달받아 살균부 및 송풍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가 중공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살균부가 상기 중공을 통해 필터부재에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살균 효과를 제고하고, 사용자 안전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살균부가 필터부재 측으로 액상 살균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살균부가 필터부재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살균부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센서부재 및 제2 센서부재로서 리드 스위치 및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제1 센서부재와 제2 센서부재가 서로 인접하되 비접촉되는 경우에도 제어부를 위한 신호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몸체가 제1 위치에서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필터부에 의한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스위치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 및 복귀를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위치 이동 및 복귀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스위치부가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제공 수단 없이도 스위치부의 위치 복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돌출부재가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스위치부의 효과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시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부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이며, 일측에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커버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될 때,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는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부에 안전모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가 전달될 때, 상기 살균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중공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에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액상 살균 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조사부이고,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제2 센서부재는 각각,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돌출부재에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필터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돌출부재와 이격될 때, 상기 스위치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면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센서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가 전달될 때,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부와, 커버부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단일 수단으로 필터부 안착과 커버부 장착을 함께 감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가 하우징 내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고, 커버부에 의해 개방면이 폐쇄되어 안전한 사용환경이 조성된 경우에만 제어부가 센서부재로부터 안전모드 신호를 전달받아 살균부 및 송풍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가 중공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살균부가 상기 중공을 통해 필터부재에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살균 효과를 제고하고, 사용자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살균부가 필터부재 측으로 액상 살균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살균부가 필터부재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살균부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센서부재 및 제2 센서부재로서 리드 스위치 및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제1 센서부재와 제2 센서부재가 서로 인접하되 비접촉되는 경우에도 제어부를 위한 신호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몸체가 제1 위치에서 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필터부에 의한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스위치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 및 복귀를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위치 이동 및 복귀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스위치부가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제공 수단 없이도 스위치부의 위치 복귀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돌출부재가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스위치부의 효과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시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부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개방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살균부에 의한 필터부 살균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공기청정기 중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필터부가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공기청정기 중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중에서 스위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바라본 확대사시도.
도 6은 스위치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7은 필터부가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평면도.
도 9는 살균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개방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살균부에 의한 필터부 살균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공기청정기 중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필터부가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공기청정기 중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송풍부(50) 및 필터부재(32)를 구비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특유의 스위치부(60)와 커버부(20)에 설치된 제1 센서부재(22)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하우징(10) 내부에 필터가 안착되고 커버부에 의해 하우징이 폐쇄된 경우에만 살균부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그 중에서도 스위치부(60) 및 제1 센서부재(2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커버부(20), 필터부재(32)를 포함하는 필터부(30),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하는 살균부(40), 살균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및 스위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은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각 구성을 배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우징(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하우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 중 필터부(30)와 인접한 측면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일측부에는 필터부(30)를 경유한 여과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례로서, 토출구(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토출구(14)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판부재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토출구(14)의 형성 위치 및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구(14)는 필터부(30) 및 송풍부(50)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일측에 하우징(10)의 내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면(11)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개방면(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면(11)은 예를 들어 필터부(3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필터부(30)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개방면(11)은 공기청정기(100)의 구동 시,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부재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부(20)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부(20)는 개방면(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하우징(10)에 일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힌지축을 기준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10)과 완전히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후 필요한 경우 하우징(10)의 결합부(미도시)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20)는 개방면(11)을 폐쇄한 상태에서, 필터부(30) 측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커버부(20)를 관통하는 복수의 흡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는 일측에 후술될 스위치부(60)와 상호작용하는 제1 센서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스위치부(6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필터지지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2)는 후술될 필터부(3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필터부(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필터부(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필터부(30)의 일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터지지부(12)는 별도의 조작부 또는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승 또는 상기 상승된 상태로부터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지지부(12) 상에 배치된 필터부(30)도 함께 상승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하우징(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공간구획부(16)에 상기 필터부(30)가 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필터부(30)와 공간구획부(16) 사이에는 실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필터부(30)가 상승될 경우, 후술될 스위치부(60)도 적어도 일부가 필터부(30)와 접촉됨으로써 기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 필터지지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이 불가한 형태의 필터지지부(12)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필터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프레임(34)과 상기 필터프레임(34)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필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프레임(34)은 필터부재(32)를 하우징(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내측에 필터부재(3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프레임(34)을 통해 필터부재(32)를 하우징(10)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더라도 하우징(10)에 필터부재(32)를 안착시킬 수 있어, 다소 강성이 취약한 소재로 형성되는 필터부재(32)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례로서, 필터프레임(3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32)의 외면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필터부재(32)의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필터프레임(34)은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필터부재(32)는 직접 하우징(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필터부재(32)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공기에 포함된 0.1~0.3㎛의 초미세먼지 또는 0.3㎛ 이상의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여과하는 ULPA(Ultra-Low Penetration Air) 필터,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미디윰 필터, 프리필터와 같은 집진필터 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걸러내는 항균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재(32)는 소정 부피를 가지는 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재(32)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통형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32)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필터부재(32)의 중심부에는 필터부재(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G)을 통해 후술될 살균부(40)로부터 공급되는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이 필터부재(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G)을 통해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의 진행경로를 필터부재(32)의 내측으로 한정할 수 있어,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대상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내부공간 필터부(30)와 인접한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필터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풍부(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팬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회전축에 연결된 별도의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일 방향으로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팬은 필터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공기청정기 측으로 유입된 후,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중에서, 필터부재(32)와 인접한 위치에는 필터부재(32)를 살균하기 위하여 필터부재(32) 측으로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을 공급하는 살균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살균부(40)는 예시적인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32)의 상측에 배치되어 필터부재(32)의 중공(G)을 통해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을 조사하여 필터부재(32)의 내측 영역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을 조사 또는 분사하는 부재가 직접 상기 중공(G)을 따라 진입하여 중공(G)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대하여 최대한 접근한 후,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살균부(40)의 위치 및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의 조사 영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살균부(40)는 필터부재(32)와 인접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살균부(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살균부(40)는 일 위치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필터부재(32)의 외측 영역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살균부(40)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살균부(40)는 필터부재(32) 측으로 액상 살균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살균부(40)는 액상 살균 물질(M2)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액상 살균 물질(M2)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상 살균 물질(M2)은, 필터부재(32)에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거나 영향이 미미한 천연 살균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부(40)가 액상 살균 물질(M2)을 분사할 경우, 필터부재(32)에 직접적으로 액상 물질이 도포됨으로써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살균부(40)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를 포함하는 자외선조사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외선조사부가 조사하는 자외선은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의 DNA를 파괴하기 적합한 UV-C 대역의 파장(약 100~280nm)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조사부가 조사하는 파장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V-C 외에도 UV-B 또는 UV-A 파장 등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파장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조사부는 후술될 제어부(70)에 의해 특정 대역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조사를 통해 필터부재(32)를 살균할 경우, 액상 살균 물질(M2) 대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살균 물질(M2)의 교체 또는 추가 공급 등이 불필요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살균부(40) 및 송풍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는 공기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후술될 제1 센서부재(22) 또는 스위치부(60)의 제2 센서부재(62)로부터 안전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살균부(40) 및 송풍부(50)는 바로 작동되거나 또는 필요시 작동이 가능하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경우, 살균부(40)에 의한 인체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부(40)는 임의 구동이 불가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스위치부(6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위치부(60) 및 이와 상호작용하는 제1 센서부재(2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중에서 스위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스위치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필터부가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살균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필터부(30)가 하우징(10) 내부에 안착되었는지 여부 및 커버부(20)가 개방면(11)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스위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필터부(30)가 하우징(10) 내에 부재하거나, 또는 하우징의 개방면(11)이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살균부(40)가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을 공급할 경우, 상기 광(M1) 또는 살균 물질(M2)은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되어 인접한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터부(30)의 안착 여부 및 개방면(11)의 폐쇄 여부를 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부(60)는 몸체(61) 및 제2 센서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61)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일측에 배치되어 필터부(30)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될 경우, 적어도 일부가 필터부(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몸체(61)는 필터부(3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 때에는 제1 위치에 있다가, 만약 필터부(3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필터부(30)의 필터프레임(34) 또는 필터부재(32)와 접촉됨으로써 필터부(3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몸체(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와 인접한 위치에서 필터부(3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에 필터부(30)가 장착되는 경우, 필터부(30)가 돌출부재(64)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돌출부재(64)를 가압함으로써 돌출부재(64)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재(6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의 상측에서 지면 방향(필터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면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재(64)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필터부(30)와의 접촉 시 효과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일부가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구획부(1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구획부(16)를 관통하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와 같이 몸체(61)가 돌출부재(64)를 포함하거나, 공간구획부(1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터부(30)가 하우징(10)에 안착되었을 때 필터부(30)와 접촉 가능한 구조라면 상술한 예 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몸체(61)가 적용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공간구획부(16)에 의해 지지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스위치부(60)가 필터부(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부(60)는 하우징(10)의 내측 중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부(60)는 제2 센서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부재(62)는 몸체(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몸체(61)가 필터부(30)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와 함께 제2 위치로 이동되어 후술될 제1 센서부재(2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센서부재(62)는 제1 센서부재(22)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2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호작용한다는 것의 의미는,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작동되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호작용의 일례로서, 제1 센서부재(22)가 자석이고 제2 센서부재(62)는 자기장에 의해 제어되는 리드 스위치일 경우, 제1 센서부재(22)가 제2 센서부재(62)와 인접하면 제2 센서부재(62)는 제1 센서부재(22)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센서부재(22)가 리드 스위치이고, 제2 센서부재(62)가 자석인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는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의 각 구성이 자석 및 리드 스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온도센서, 광센서 또는 압력센서 등 공지의 센서와, 상기 공지의 센서에 근접할 경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호작용 부재가 각각 제1 센서부재(22) 및 제2 센서부재(62)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는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호작용하거나, 전술한 예와 같이 비접촉되는 경우에도 상호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센서부재(22)는 도 7과 같이 상기 스위치부(60)가 필터부(30)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커버부(20)가 개방면(11)을 폐쇄했을 때를 기준으로 상술한 커버부(20)의 내측면(24) 중에서, 제2 센서부재(62)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30)가 하우징(10)에 장착되고, 커버부(20)가 개방면(11)을 폐쇄하였을 경우에만(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가 서로 인접 위치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필터부(30)가 하우징(10)에 장착되지 않아 스위치부(60)가 그대로 제1 위치에 있거나, 또는 커버부(20)가 개방면(11)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는(상술한 두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호작용을 할 수 없다.
이처럼 제1 센서부재(22)와 제2 센서부재(62)가 인접함으로써 상호작용하게 되면, 제1 센서부재(22) 및 제2 센서부재(62) 중 어느 하나는 제어부(70) 측으로 안전모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드 신호란, 필터부(30)가 하우징 내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고, 커버부(20)에 의해 개방면(11)이 안전하게 폐쇄되었음을 제어부(70) 측에 알리는 신호로서, 이를 통해 제어부(70)는 공기청정기(100)를 가동시키기에 안전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에 따라 공기청정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어부(70)는 수신된 안전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를 바로 가동시키거나, 사용자의 가동신호가 입력되면 바로 가동이 가능한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센서부재(22,62)로부터 안전모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사용자에 의해 가동신호가 임의로 입력되더라도 상기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가 임의로 가동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최초 입력된 안전모드 신호에 따라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가 구동 중인 상태라 하더라도, 일례로, 커버부(20)가 개방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센서부재(22, 62)로부터 안전모드 신호의 수신이 단절되는 경우,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의 구동을 긴급하게 중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가 안전모드 신호에 따라 살균부(40) 또는 송풍부(5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제어부(70)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필터부(30)가 장착되지 않거나 개방면(11)이 개방된 경우와 같이 위험한 상황에서 살균부(40) 및 송풍부(5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또는 살균 물질에 의한 노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 안착 여부와 커버부 폐쇄 여부를 모두 스위치부라는 단일한 수단에 의해 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 설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60)는 힌지부재(66), 탄성부재(67) 및 완충부재(68)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힌지부재(6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몸체(61)의 일부(예를 들면 돌출부재(64))가 필터부(30)와 접촉할 때, 몸체(61)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필터부(30)가 배치된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스위치부의 위치 이동 및 복귀를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위치 이동 및 복귀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61)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은, 몸체(61)의 위치 이동과 관련된 일례에 불과하며, 몸체(61)는 상술한 회전이동 대신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재(67)는 스위치부(6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필터부(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필터부(30)와 이격되는 경우, 스위치부(60)를 원래의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탄성부재(6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재(66)에 연결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별도의 동력제공 수단 없이도 스위치부의 위치 복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67)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부(60)가 제2 위치로 이동될 경우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부재라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부재(68)는 스위치부(6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스위치부(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 스펀지 등과 같은 공지의 완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완충부재(68)는 충격에 민감한 제2 센서부재(6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2 센서부재를 외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위치 이동에도 불구하고 스위치부(60)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커버부
22: 제1 센서부재 30: 필터부
40: 살균부 50: 송풍부
60: 스위치부 61: 몸체
62: 제2 센서부재 70: 제어부
100: 공기청정기

Claims (12)

  1.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이며,
    일측에 개방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커버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스위치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센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부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제2 센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될 때,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방면을 폐쇄했을 때,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는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가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상기 제2 센서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부에 안전모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가 전달될 때, 상기 살균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중공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에 광 또는 살균 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액상 살균 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조사부이고,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재 및 제2 센서부재는 각각,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돌출부재에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필터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돌출부재와 이격될 때, 상기 스위치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면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센서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위치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모드 신호가 전달될 때,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48701A 2021-04-14 2021-04-14 공기청정기 KR20220142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01A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1-04-1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01A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1-04-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30A true KR20220142230A (ko) 2022-10-21

Family

ID=8380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01A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1-04-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2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688A (ko) 2015-01-16 2016-07-26 메디슨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00133889A (ko)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688A (ko) 2015-01-16 2016-07-26 메디슨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00133889A (ko)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2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US20060057020A1 (en) Cleaning of air
KR2016009781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2366301B1 (ko) 자연대류를 이용한 공기청정살균기
GB2515842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CN115297901A (zh) 空气净化和灭菌单元
KR101961214B1 (ko)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KR20170090209A (ko) 공기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114383251A (zh) 使用uv-c led的室内空气灭菌和净化装置
KR20180078832A (ko) 먼지 및 미생물 검출용 공기 정화 처리 시스템
KR20220142230A (ko) 공기청정기
KR101565951B1 (ko) 필터오염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에어샤워 장치
KR100535940B1 (ko) 공기정화기
KR102654527B1 (ko)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678411B1 (ko) 이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 감균 시스템
KR20230023849A (ko) 자율 살균 로봇
KR20210123071A (ko) 자외선 공기 살균장치
KR102582108B1 (ko) 공기 청정기
KR102573027B1 (ko) Led 조명을 활용한 실내 공기 살균기
KR102600644B1 (ko)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319481B1 (ko) 복합 살균기
KR102591419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살균정화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JP3236755U (ja) 空間除菌装置
KR20240035072A (ko) 공기조화기용 건식 멸균장치
KR20220147226A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공기 살균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