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889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889A
KR20200133889A KR1020190059034A KR20190059034A KR20200133889A KR 20200133889 A KR20200133889 A KR 20200133889A KR 1020190059034 A KR1020190059034 A KR 1020190059034A KR 20190059034 A KR20190059034 A KR 20190059034A KR 20200133889 A KR20200133889 A KR 2020013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case
air
fil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9005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3889A/ko
Publication of KR2020013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부가 본체의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 본체의 지지프레임에 가려지는 부위가 변동되도록 필터부가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둘레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의 흡입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필터부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부가 본체의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 본체의 지지프레임에 가려지는 부위가 변동되도록 필터부가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본체의 흡입구 부분에 설치된 흡입부, 본체의 공기 배출구 부분에 설치된 배출부,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송풍부 및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면 실내공기가 흡입부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부를 통과하는 동안 먼지와 악취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송풍부에 의해 본체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필터부가 흡입부 측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필터부를 흡입부에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용 부품들을 일일이 해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 후에는 필터 고정용 부품들을 다시 조립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필터부는 흡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여과하도록 사용됨에 따라 흡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필터부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국 필터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082호(2003.12.15. 등록, 명칭: 필터교환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필터부가 본체의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 본체의 지지프레임에 가려지는 부위가 변동되도록 필터부가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둘레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의 흡입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필터부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의 둘레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필터부가 본체의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 본체의 지지프레임에 가려지는 부위가 변동되도록 필터부가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를 여과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 효율이 증가되어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가 회전구동부를 통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브러쉬에 의해 둘레면에 쌓인 이물질들이 제거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필터부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필터부의 겉면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터부가 회전시 살균램프의 자외선을 필터부의 둘레면에 조사함으로써, 필터부에 침투된 세균, 박테리아의 유해성 미생물 등에 의해 부패 및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의 수명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필터부(20) 및 회전구동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둘레 전면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필터부(2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필터부(20) 및 회전구동부(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10)는 베이스부(11), 송풍부(12), 지지프레임부(13) 및 케이스부(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는 회전구동부(30)를 작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베이스부(11)는 지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캐스터(11a)를 구비할 수 있다.
송풍부(12)는 베이스부(11)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송풍부(12)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팬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송풍부(12)의 상측에는 필터부(2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a)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구(12a)는 편의상 송풍부(12)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풍부(12)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부(13)는 송풍부(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1)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필터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0a)를 형성한다.
이때, 지지프레임부(13) 중 어느 하나에는 필터부(20)의 회전시 필터부(20)의 둘레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40)는 바디부(12)에 구비되는 몸체부(41) 및 몸체부(41)에 구비되어 필터부(20)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빗살부(42)를 포함한다.
즉, 필터부(20)가 회전구동부(30)를 통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필터부(20)의 둘레면에 쌓인 이물질들이 브러쉬(40)의 빗살부(42)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필터부(20)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필터부(20)의 겉면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부(13) 중 다른 하나에는 필터부(20)의 회전시 필터부(20)의 둘레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살균램프(50)는 필터부(20)의 회전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다.
이로써, 필터부(20)에 걸러진 이물질에서 세균, 박테리아의 유해성 미생물 등이 살균램프(50)에 의해 멸균됨으로써, 필터부(20)는 부패되거나 변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 수명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부(14)는 지지프레임부(13)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부(10a)로 유입 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10a)를 커버한다. 이러한 케이스부(14)의 둘레면 전체에는 유입구(15)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송풍부(12)의 작동시 사방에서 외부의 공기를 수용공간부(10a)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스부(14)는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를 포함하며,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 중 어느 하나는 지지프레임(13)에 고정 설치되고,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 중 다른 하나는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 중 다른 하나는 제1케이스(14a)와 제2케이스(14b)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용공간부(12a)를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필터부(20)의 교체 및 바디부(12)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는 본체(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본체(10)에 수용된다. 이러한 필터부(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고, 케이스부(14)로 유입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도록 공기 중에 혼합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회전구동부(30)는 본체(10)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시 필터부(20)의 둘레 전면이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필터부(20)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구동부(30)는 구동모터(31), 동력전달부(32) 및 회전지지부재(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31)는 본체(10)의 베이스부(11)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32)는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회전지지부재(33)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동력전달부(32)는 구동모터(3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지지부재(33)에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33)는 동력전달부(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필터부(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본체(10)의 베이스부(1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부(20)를 안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로써, 필터부(20)는 회전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면 지지프레임(13)에 가려지는 부위도 케이스부(14)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베이스부
12: 송풍부 13: 지지프레임부
14: 케이스부 15: 유입구
20: 필터부 30: 회전구동부
31: 구동모터 32: 동력전달부
33: 회전지지부재 40: 브러쉬
41: 몸체부 42: 빗살부
50: 살균램프

Claims (5)

  1. 외부의 공기가 둘레 전면으로 유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둘레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의 흡입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모든 둘레면이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필터부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의 둘레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90059034A 2019-05-20 2019-05-20 공기청정기 KR20200133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34A KR20200133889A (ko) 2019-05-20 2019-05-20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34A KR20200133889A (ko) 2019-05-20 2019-05-20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889A true KR20200133889A (ko) 2020-12-01

Family

ID=7379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034A KR20200133889A (ko) 2019-05-20 2019-05-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38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736A (zh) * 2020-12-29 2021-04-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杀菌自适应控制方法和空调器
WO2022220540A1 (ko) * 2021-04-14 2022-10-2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2-10-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30059008A (ko) * 2021-10-25 2023-05-0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30061668A (ko) * 2021-10-28 2023-05-09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광촉매 공기청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736A (zh) * 2020-12-29 2021-04-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杀菌自适应控制方法和空调器
CN112696736B (zh) * 2020-12-29 2022-03-2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杀菌自适应控制方法和空调器
WO2022220540A1 (ko) * 2021-04-14 2022-10-2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20142230A (ko) 2021-04-14 2022-10-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30059008A (ko) * 2021-10-25 2023-05-0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30061668A (ko) * 2021-10-28 2023-05-09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광촉매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3889A (ko) 공기청정기
KR102299621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0508312B1 (ko) 공기정화기
JP5864344B2 (ja) 空気清浄装置
EP3945256A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180020663A (ko) 공기청정기
KR102076931B1 (ko)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110090266A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TW202229787A (zh) 空氣淨化器
KR102299620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JPH10241455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20110012627A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CN216845019U (zh) 一种可通风循环的洁净室
CN114797313B (zh) 一种具备抗菌除臭功能的复合材料空气滤网装置
KR101307842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KR20220096596A (ko)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KR20130022264A (ko) 가습공기청정기
CN220229472U (zh) 一种实时杀菌消毒的妇科空气净化装置
CN109589699B (zh) 一种传染性病房空气消毒装置
CN111878917A (zh) 一种等离子体杀菌净化装置
KR102536165B1 (ko) 광촉매 공기청정기
JP3480512B2 (ja) 小形空気清浄機
KR100685766B1 (ko) 공기청정기 겸 공기조화기의 살균장치 설치구조
KR20030011452A (ko) 공기 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