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14B1 -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 Google Patents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14B1
KR101961214B1 KR1020170033050A KR20170033050A KR101961214B1 KR 101961214 B1 KR101961214 B1 KR 101961214B1 KR 1020170033050 A KR1020170033050 A KR 1020170033050A KR 20170033050 A KR20170033050 A KR 20170033050A KR 101961214 B1 KR101961214 B1 KR 10196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lamp
housing
reflector
steriliz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844A (ko
Inventor
정창헌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1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Abstract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부재,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며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유로공간에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살균 램프, 및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MOVABLE WALL FOR STERILIZATION OF AIRBORNE PATHOGENS}
본 발명은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급실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에 취약한 공간에서 병상간 공기전파감염원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는 소독을 위해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내장 등과 같은 안질환의 부작용을 갖고 있는 자외선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 때문에 대부분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들은 높은 살균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직접 조사 하는 것이 아니라 메트리스, 의류, 용품에 간접적으로 살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아닌 이상 이러한 방법은 지속력이 없으므로 살균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며, 인플루엔자 및 바이러스는 공기전파를 통해 확산 되는데 이에 대해 인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병원내 세균 감염, 비말 감염 및 최근의 신종 플루 감염과 관련하여 병원이 바이러스 및 세균의 온상지역이 되어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지만, 별다른 병원 내 살균 및 전염방지에 대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 응급실과 같이 오픈 스페이스로 계획된 대형 병실은 병상간 비말 및 공기전파를 통한 감염에 매우 취약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결핵이나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에 대한 살균 및 전염 방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살균 및 전염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그 제작이 용이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5111호(2013.07.29 공개, 자외선 공기 살균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응급실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에 취약한 공간에서 병상간 공기전파감염원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부재,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며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유로공간에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살균 램프, 및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격벽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의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되도록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격벽의 표면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볼륨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격벽은 서로 마주보는 상변과 하변은 평행한 반면 서로 마주보는 좌변과 우변은 비평형한 구조일 수 있다.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제1 살균 램프와 제2 살균 램프의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팬을 지지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개방된 하단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살균 램프의 빛은 개방된 상단을 통해 실내의 상단을 비출 수 있다.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제2 살균 램프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배치되는 반사갓, 사람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 및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살균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갓은 제2 살균 램프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며,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반사갓을 이동시켜 제2 살균 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살균 램프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을 가지며, 반사갓은 제2 살균 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원호의 형상을 가지며, 반사갓은 양단이 하우징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제2 살균 램프를 중심으로 원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널부재,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며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유로공간에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및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며, 격벽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의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되도록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공기전파감염원을 살균하기 위한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에 있어서,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는 유로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유로공간에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살균 램프, 및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공기전파감염원을 살균하기 위한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에 있어서,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는 유로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유로공간에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및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며, 격벽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의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되도록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응급실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에 취약한 공간에서 병상간 공기전파감염원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반사갓이 제2 살균 램프의 조사범위를 조정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사갓과 제2 살균 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반사갓이 제2 살균 램프의 조사범위를 조정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사갓과 제2 살균 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패널부재(100), 하우징(200), 격벽(300), 제1 살균 램프(400) 및 흡기팬(600)을 포함하며, 제2 살균 램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는 예를 들어 응급실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에 취약한 공간에서 인접한 병상 간에 배치되어 병상간 공기전파감염원의 이동을 막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패널부재(100)는 양면이 모두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존 병실의 벽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병상과 병상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 벽체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재(100)가 칸막이 벽체의 일부로 구성되는 경우, 패널부재(100)의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수단으로는 볼 캐스터와 같은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패널부재(100)는 입자가 5um 이상으로 환자 주변 1.5~2m 내외에 낙하하는 비말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패널부재(100)가 병상과 병상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비말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재(100)의 표면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비말과 유해물질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광촉매(TiO2) 물질로 이루어진 광촉매 코팅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광촉매 코팅층은 후술할 제2 살균 램프(500)에 의해 자외선에 직접 노출될 수 있도록 패널부재(100)의 상부 측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말은 패널부재(100)의 광촉매 코팅층에서 제2 살균 램프(500)의 자외선에 의해 화학 반응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살균 처리될 수 있어, 사람이 비말에 접촉하여 2차 감염되는 경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패널부재(100)의 측부(즉, 양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유로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0)과 패널부재(10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그 사이에 외부와 분리되는 독립적인 공간, 즉 유로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공간(210)이 외부와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도록, 유로공간(210)의 상단과 하단, 즉 하우징(200)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상하방향으로 유로공간(210)이 연장 형성되도록 중공의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일면은 패널부재(100)의 측부와 결합되므로 일면과 상하단이 개구된 구조 또는 상하단을 제외한 모든 면이 밀폐된 구조 모두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유로공간(210)의 볼륨이 커질 수 있도록 박스의 볼륨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00)의 볼륨이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공간(210)의 볼륨이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기가 유로공간(210) 내에서 대류와 같은 기류변화를 통해 보다 오래 동안 머물면서 제1 살균 램프(400)에 의해 살균 처리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격벽(300)도 하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하우징(200)에 맞추어 형상이 커질 수 있다.
격벽(300)은 유로공간(210)에 배치되어 유로공간(210)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에서 격벽(300)은 서로 마주보는 상변과 하변은 평행한 반면 서로 마주보는 좌변과 우변은 비평형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격벽(300)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수많은 공기전파감염원이 보다 용이하게 격벽(300)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약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와 전류의 공급을 컨크롤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벽(300)의 표면 또는 구조가 공기전파감염원의 부착을 촉진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격벽(300)의 표면에는 수많은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돌기는 제1 살균 램프(4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최대한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피라미드(각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기 중에 포함된 결핵이나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공기전파감염원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시 유로공간(21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격벽(300)의 표면에 장시간 부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공기전파감염원이 유로공간(210) 내에 보다 오래 동안 머물면서 제1 살균 램프(400)에 의해 확실하게 살균 처리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1 살균 램프(400)는 유로공간(2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살균 램프(400)는 격벽(210)에 의해 복수개의 유로로 나누어지는 유로공간(210)의 개별 유로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살균 램프(400)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살균 램프(400)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유로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로에 제1 살균 램프(400)가 평행하여 배치됨으로써, 공기전파감염원이 유로를 경유할 때 제1 살균 램프(400)의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보다 늘릴 수 있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흡기팬(600)은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살균 램프(400)와 후술할 제2 살균 램프(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흡기팬(600)은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기팬(600)을 지지하는 구조, 즉 가림판(610)이 제1 살균 램프(400)와 제2 살균 램프(500) 사이의 유로공간(21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림판(610)은 제1 살균 램프(400)에서 조사되는 인체에 유해한 빛(자외선)이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러한 빛을 가려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어 해를 입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림판(610)에는 장치 내부로 유입된 기류가 격벽(300) 또는 제1, 제2 살균 램프(400, 50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기류유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류유도장치는 가림판(61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흐름을 유도하는 핀부재(미도시)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핀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와류 현상을 유도할 수 있어 살균 램프의 자외선이 공기전파감염원을 보다 오랫동안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는 하나 이상의 필터(700)를 추가로 포함하며, 필터(700)는 하우징(200)의 개방된 하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0)는 유로공간(210)의 유로를 경유한 공기 중에 멸균되지 않고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소량의 공기전파감염원을 추가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필터(700)가 하우징(200)의 개방된 하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살균 램프(400)에서 조사되는 인체에 유해한 빛이 하우징(20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러한 빛을 가려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어 해를 입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터(700)는 그 상면(즉,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될 가능성이 높은 면)이 제1 살균 램프(400)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필터(700)를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는 제1 살균 램프(400)와 더불어 제2 살균 램프(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살균 램프(500)는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살균 램프(500)에서 조사되는 빛은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실내의 상단을 비출 수 있다. 즉, 제2 살균 램프(500)의 빛이 사람의 눈을 직접 조사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살균 램프(500)가 실내의 상단을 비추는 과정을 통해, 하우징(200) 내부뿐만 아니라 하우징(200) 외부의 공기 중의 공기전파감염원에 대한 살균처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실과 같은 오픈 스페이스에서 응급환자의 비말이나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주변 사람에게 단시간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는 반사갓(510)과 센서(810) 및 제어부(820)를 더 포함하며, 반사갓(5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5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사갓(510)은 빛을 집광시켜 실내의 상단으로 조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반사갓(510)은 제2 살균 램프(500)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사갓(5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살균 램프(500)의 주변을 따라 원회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살균 램프(500)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반사갓(510)은 제2 살균 램프(5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갓(510)은 양단이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원형관 형태의 제2 살균 램프(500)를 중심으로 원회전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사갓(510)이 제2 살균 램프(500)의 일부를 커버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갓(510)을 이동시켜 제2 살균 램프(500)에서 조사되는 유해한 빛의 조사범위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에 사람이 인접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반사갓(51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살균 램프(500)의 빛이 사람에게 노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제2 살균 램프(500)에서 조사되는 빛이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실내의 상단을 비출 수 있도록, 반사갓(51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센서(810)는 사람의 접근을 센싱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패널부재(100)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센서(8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살균 램프(500)의 작동(예를 들어 on/off)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820)는 반사갓(510)의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 즉 구동부(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5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520)는 예를 들어 랙기어(521)와 피니언기어(522) 및 모터(5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기어(521)는 반사갓(510)의 양단에 띠 형상의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니언기어(522)는 이러한 랙기어(521)에 치합되도록 원형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533)는 피니언기어(522)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참고로, 반사갓(510)의 양단은 그 중간 부분과 달리 중공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랙기어(521)가 반사갓(510)의 양단의 외주연에 원형의 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갓(510)과 하우징(20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반사갓(510)의 양단과 하우징(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원형의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갓(510)의 양단은 각각이 이러한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에 대한 반사갓(510)의 상대적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가 볼 캐스터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예시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벽체는 기존 벽체 또는 병상 간에 설치되는 칸막이 벽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임시 간이벽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의 간이벽체에서는 패널부재(100)가 생략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은 패널부재(100)를 대신하여 일체화된 중공의 박스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의 상단과 하단은 외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구된 구조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패널부재
200: 하우징
210: 유로공간
300: 격벽
400: 제1 살균 램프
500: 제2 살균 램프
510: 반사갓
520: 구동부
521: 랙기어
522: 피니언기어
523: 모터
600: 흡기팬
610: 가림판
700: 필터
810: 센서
820: 제어부

Claims (14)

  1.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며,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내부에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유로공간의 복수개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상기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되되, 단면이 원형 봉 형상의 제2 살균 램프;
    상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
    상기 원형 봉 형상의 제2 살균 램프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빛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원호의 형상을 갖는 반사갓;
    상기 반사갓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살균 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범위를 조정하는 구동부;
    사람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정보에 의해 사람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반사갓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자외선이 사람에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갓의 양단은 중공의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에 지지되어 원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격벽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의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되도록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빛은 상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실내의 상단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표면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볼륨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서로 마주보는 상변과 하변은 평행한 반면 서로 마주보는 좌변과 우변은 비평형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 램프와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팬을 지지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하단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결합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공기전파감염원을 살균하기 위한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에 있어서,
    상기 기존 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과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는 유로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유로공간을 복수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유로공간의 복수개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살균 램프;
    상기 개방된 상단의 내부에 배치되되, 단면이 원형 봉 형상의 제2 살균 램프; 및
    상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
    상기 원형 봉 형상의 제2 살균 램프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빛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원호의 형상을 갖는 반사갓;
    상기 반사갓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살균 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범위를 조정하는 구동부;
    사람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정보에 의해 사람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반사갓을 회전시켜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자외선이 사람에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갓의 양단은 중공의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에 지지되어 원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격벽의 표면에는 입자 형태의 공기전파감염원이 부착되도록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2 살균 램프의 빛은 상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실내의 상단을 비추며,
    상기 격벽의 표면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14. 삭제
KR1020170033050A 2017-03-16 2017-03-16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KR10196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50A KR101961214B1 (ko) 2017-03-16 2017-03-16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50A KR101961214B1 (ko) 2017-03-16 2017-03-16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844A KR20180105844A (ko) 2018-10-01
KR101961214B1 true KR101961214B1 (ko) 2019-03-22

Family

ID=6387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050A KR101961214B1 (ko) 2017-03-16 2017-03-16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385A (zh) * 2020-04-13 2021-10-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杀菌范围控制方法及晾衣设备
KR102366657B1 (ko) * 2021-09-23 2022-02-23 주식회사 어드밴스솔루션 자외선 살균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610393B1 (ko) * 2022-04-15 2023-12-06 아이투엠 주식회사 비말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72Y1 (ko) *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 한룩스 조명등기구
WO2009104411A1 (ja) * 2008-02-20 2009-08-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
JP2013103032A (ja) * 2011-11-15 2013-05-30 Eneforest Kk パネル型殺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804A (ko) * 2009-12-30 2011-07-07 다이노나(주) 공기 정화 및 살균장치
KR20110083389A (ko) * 2010-01-14 2011-07-20 조미숙 실내 살균효율을 높인 공기청정기
KR101356268B1 (ko) 2012-01-19 2014-01-28 배성순 자외선 공기 살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72Y1 (ko) *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 한룩스 조명등기구
WO2009104411A1 (ja) * 2008-02-20 2009-08-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
JP2013103032A (ja) * 2011-11-15 2013-05-30 Eneforest Kk パネル型殺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844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772B2 (en) Pre-doffing disinf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921156B (zh) 具有选择性地在设备的内部和外部进行不同消毒模式的配置的杀菌设备
KR102365350B1 (ko) 하나 이상의 반사기를 갖는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및 살균기기의 동작 파라미터와 소독 스케줄을 결정하는 시스템
JP6607623B1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242187B1 (ko) 실내 표면 및 공기 살균 정화 장치
KR101961214B1 (ko) 공기전파감염원 살균용 간이벽체
CN114377165A (zh) 使用对人体无害的紫外线光源的杀菌装置
KR101895299B1 (ko) 자외선 굴곡형 살균기
TWI663993B (zh) 脫臭裝置
US20220125967A1 (en) Indoor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uv-c led
JP2018130535A (ja) 室内殺菌装置
JP2021177809A (ja) 殺菌装置
US20210310637A1 (en) Ultra violet device
KR20230065990A (ko) Uv 조사를 사용하는 공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6878663B1 (ja) 室内清浄装置および方法
KR102447990B1 (ko) 공간살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06333A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627944B1 (ko) 상부형 자외선 살균 및 탈취장치
JP6903838B1 (ja) 紫外線殺菌装置
JP3236755U (ja) 空間除菌装置
JP6947458B1 (ja) 室内除菌装置
JP2022127420A (ja) 床面殺菌装置
KR20210158456A (ko)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 공기정화장치
CN113587332A (zh) 室内紫外光催化冠状病毒空气消毒机
JP2022029379A (ja) 空気清浄、殺菌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