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696A - 종이합지장치 - Google Patents

종이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696A
KR20220013696A KR1020200092947A KR20200092947A KR20220013696A KR 20220013696 A KR20220013696 A KR 20220013696A KR 1020200092947 A KR1020200092947 A KR 1020200092947A KR 20200092947 A KR20200092947 A KR 20200092947A KR 20220013696 A KR20220013696 A KR 2022001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base paper
hea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표
신세환
Original Assignee
(주)우리패키지
신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패키지, 신세환 filed Critical (주)우리패키지
Priority to KR102020009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696A/ko
Publication of KR2022001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7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by assembling, e.g. by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3Gathering; Associating; Assembling
    • B65H2301/438Finishing
    • B65H2301/4382Binding or attaching processes
    • B65H2301/43822Binding or attaching processes involving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4Binding processes involving hea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원지공급부; 상기 좌우 양측의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의 겹쳐지는 면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가 겹쳐지는 원지합지부; 상기 원지합지부를 거치며 냉각된 합지를 안내하여 롤링시키는 합지롤링안내부; 로 이루어져,
얇은 원지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두께를 갖는 합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이 용기나 종이 스푼 또는 종이 포크 등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람들의 식생활 도구로 활용되는 종이 제품 등에 무해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종이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합지장치{A device that makes multi-layered paper into a single piece of paper}
본 발명은 종이 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이 스푼이나 종이 포크 등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품군에 적용되는 종이재질을 다겹으로 합지하기 위한 종이 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스푼, 일회용 포크 등을 포함하여 일회용 용기 등은 통상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합성수지재 제품군을 폐기할 때 소각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 발생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땅에 매립되는 경우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주범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제품들이 오염원으로 작용되는 부분을 절감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예컨데 펄프로 만들어지며 재생 가능하거나 또는 생분해성 용기에 의해 기존의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펄프 성형가공품 이외에 펄프로 주로 구성되는 성형 가공품의 제조에는, 펄프로 구성되는 판지 형태의 원단시트가 가열 조건에서 프레스 성형 가공하게 되는데, 이 프레스 성형가공 방법은 일회의 프레스 작동에 의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갖는다.
주로 종이재질의 용기 또는 전술한 종이 스푼, 종이 포크 등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이재질의 원단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 제품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8-0003940 호의 경우, 용지 케이스에서 자동으로 상향되어 용지를 롤러를 통해 이동 롤러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용지 케이스와 원형 롤러를 구성한 용지공급장치, 용지를 안정적으로 접착롤러로 공급하게 5개의 원형롤러로 구성한 이동형 롤러, 롤러와 롤러를 연결하여 하나의 롤러가 움직이면 다른 롤러를 움직이도록 롤러의 겉면에 연결해주는 구조의 롤러 벨트, 접착제로 도포된 롤러를 용지가 지나가면서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원형으로 2열 가운데에 하나의 롤러로 구성한 접착부 롤러, 2장의 소형 용지를 접착되도록 힘을 가하도록 2개의 원형으로 구성한 압축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는 물론, 이미 공지되거나 또는 공연하게 실시되는 기술들의 경우에도 통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나 도포장치가 포함되는 예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접착제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어,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나,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재질의 수저, 포크 등에 사용되어질 때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에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 각종 질병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게 되는 경우 그에 적합한 두께를 갖는 원지를 새로이 생산하여야 하므로, 생산된 원지의 두께가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제품군의 두께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이를 이용하여 얻게 된 제품의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8-0003940 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종이 스푼이나 종이 포크 또는 종이 재질의 용기 등을 얻기 위한 종이 원단을 일정 두께를 이룰 수 있는 종이 원단을 얻기 위한 종이 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원단지를 다겹으로 합지할 때 종전과 같이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종이 원단지 표면층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을 녹여 합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등이 사용됨에 따라 종이 용기, 종이 스푼, 종이 포크 등의 사용시 접착제가 인체내로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질환 위험요소를 방지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원지공급부;
상기 좌우 양측의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의 겹쳐지는 면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가 겹쳐지는 원지합지부;
상기 원지합지부를 거치며 냉각된 합지를 안내하여 롤링시키는 합지롤링안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 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원지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두께를 갖는 합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이 용기나 종이 스푼 또는 종이 포크 등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람들의 식생활 도구로 활용되는 종이 제품 등에 무해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합지장치의 개괄적인 도면을 도시한 개괄도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원지들이 합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주요부에 해당되는 가열부 및 원지합지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가열부 및 원지합지부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종이합지장치의 실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종이합지장치에서 도 3의 주요부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1원지합지부와 상기 제1원지합지부의 하방 중앙에 위치되는 제1가열부를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2원지합지부와 상기 제2원지합지부의 하방 양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 조의 제2가열부를 촬영한 사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 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원지를 공급하는 원지공급부(100)와 공급되는 원지를 가열하는 가열부(200) 및 상기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된 원지를 합지하는 원지합지부(300)와, 최종적으로 합지되는 합지를 롤링하기 위한 합지롤링안내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지공급부(100)는 종이소재를 롤링 형태로 감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 중앙측으로 원지(1)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원지(1)는 일면 또는 양면이 코팅된 종이소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원지(1)를 본 발명의 좌우 양끝단부에 보빈에 권선되도록 한 후 중앙측에 마련되는 가열부(200) 및 원지합지부(300)측으로 유도되며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원지(1)를 활용하여 일정 두께를 갖는 최종합지(20)를 얻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 양끝단부에서 각각 원지(1)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본 발명의 장치 중앙에 위치되는 가열부(200) 및 원지합지부(300)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도 각각 원지(1)가 공급되기 위한 원지공급부(100)를 구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1 에서 보듯이 중앙에 위치되는 가열부(200) 및 원지합지부(300)를 기점으로일측에 각각 제1,2원지공급부(110,120)가 이격되는 위치에서 보빈에 의해 권선되어 위치되고, 이와 대향되는 타측으로 각각 제3,4원지공급부(130,140)가 이격되는 위치에서 보빈에 의해 권선되어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원지공급부(110,120)에서 원지(1)가 각각 공급되며 중앙의 가열부(200) 및 원지합지부(300)측으로 유도 이송되고, 타측에서도 제3,4원지공급부(130,140)에서 원지(1)가 각각 공급되며 중앙의 가열부(200) 및 원지합지부(300)측으로 유도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가열부(200)는 제1가열부(210)와 제2가열부(220)로 수직상 이격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원지공급부(110)와 상기 제3원지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각 원지(1)의 일면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와, 상기 제2원지공급부(120)와 상기 제4원지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각 원지(1)의 일면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220)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원지공급부(100)인 제1원지공급부(110)와 제2원지공급부(120) 및 이와 대향 되는 위치에 이격 설치되는 제3원지공급부(130)와 제4원지공급부(140)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원지(1)의 일면을 가열하여 합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가열부(200)는 도 1 에서 보듯이 제1가열부(210)와 제2가열부(220)로 구분되어 상하로 각각 이격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가열부(210)를 거쳐 가열되는 원지(1)는 제1원지공급부(110) 및 이와 대향되는 위치의 제3원지공급부(130)에서 각각 공급되는 원지(1)를 의미하게 된다.
제1원지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원지(1)와, 상기 제1원지공급부(110)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원지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원지(1)는 본 발명의 장치인 중앙측으로 공급되고,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한 가열부(200)측에서 일면이 가열된 후 상방측으로 위치되어 있는 원지합지부(300)를 통하여 합지됨과 동시에 냉각되는 흐름을 갖게 된다.
먼저,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며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제1원지공급부(110)의 위치와 제3원지공급부(130)의 위치는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본 발명 장치의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각각 대향되는 위치상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제2원지공급부(120)의 위치와 제4원지공급부(140)의 위치도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본 발명 장치의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각각 대향되는 위치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원지공급부(100)에서 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원지공급부를 제1원지공급부(110)라 하고 상기 제1원지공급부(110)에서 중앙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원지공급부를 제2원지공급부(120)라 칭한다.
아울러, 이와 대항되는 위치에서 본 발명 장치의 중앙을 기준으로 도면상 보았을 때 오른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원지공급부를 제3원지공급부(130)라 칭하고 상기 제3원지공급부(130)에서 중앙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원지공급부를 제4원지공급부(140)라 칭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원지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지와 제3원지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원지가 가열부(200)에 의해 각 원지(1)의 일면이 가열되면서 합지(이하 제1합지라 하고 도면 부호는 10으로 표기한다)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동시에 제2원지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지와 제4원지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원지가 가열부(200)에 의해 각 원지(1) 일면이 가열된 후, 상기 제1합지(10)의 양면과 접합되며 합지(이하 최종합지라 하고 도면 부호는 20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제1,3원지공급부(110,130)에 의해 합지되는 제1합지(10)와, 제2,4원지공급부(120,140)에 의해 원지들이 상기 제1합지(10)의 양면과 접합되며 완성되는 형태의 최종합지(20)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가열부(200)는 공급되는 가스의 점화에 의해 원지(1)의 일면이 가열되도록 하였다.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가스라인(211,221)을 통하여 공급되며 상기 가스라인(211,221)에 구비되는 노즐(212,222)을 통하여 점화된 가스열이 외부로 발현되어 가열부(200)를 통과하는 원지(1)의 일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되는 원지(1)는 원지합지부(300)를 통과하며 합지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열부(210)와 제2가열부(220)로 상하로 이격 구분되어지되 상기 제1가열부(210)측으로는 제1원지공급부(110)와 제3원지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원지(1)의 일면이 가열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가열부(220)측으로는 제2원지공급부(120)와 제4원지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원지(1)의 일면이 가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원지합지부(300)는 상기 제1가열부(210)의 직상방측과 상기 제2가열부(220)의 직상방측으로는 각각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열부(210)의 직상방측에 구비되는 원지합지부를 제1원지합지부(310)라 칭하고, 상기 제2가열부(220)의 직상방측에 구비되는 원지합지부를 제2원지합지부(320)라 칭한다.
한편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원지합지부(310)의 하방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가열부(220)는 제2원지합지부(320)의 하방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상태에서 한 조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원지합지부(300)는 도면에서 보듯이 2개를 한 조로 구성하는 로울러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원지공급부(110)와 제3원지공급부(1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지는 제1가열부(210)에서 각각 일면이 가스화기에 의해 가열된 후 제1원지합지부(310)를 통과하며 롤링되어 제1합지(10)를 얻게 되고, 제2원지공급부(120)와 제4원지공급부(1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지는 제2원지합지부(320) 하방 중앙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구성되는 제2가열부(220)에 의해 원지의 일면이 가열되며 제2원지합지부(320)측의 롤링에 의해 이미 그 직하방에서 합지된 제1합지(10)의 양면과 합지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제1원지합지부(310)에서 제1원지공급부(110)의 원지와 제3원지공급부(130)의 원지가 1차 합지되는 제1합지(10)를 얻게 되고, 이어서 제2원지합지부(320)에서 제2원지공급부(120)와 제4원지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되는 각 원지는 각각 제2가열부(220)에 의해 일면이 가열된 후 상기 제1합지(10)의 양면에 각각 합지되어 최종적인 최종합지(20)를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원지합지부(310)를 거쳐 합지되는 제1합지(10)는 도면에서 보듯이 제2원지합지부(320)에서 상기 제1합지(10)의 양면과 다시 합지되어 최종합지(20)를 얻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1원지합지부(310) 및 제2원지합지부(320)를 거치며 합지되는 동안 제1가열부(210)와 제2가열부(220)에서 가열된 원지는 롤링 과정에서 자연냉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원지합지부(300)를 거쳐 제1합지(10)와 제2원지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원지와 제4원지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원지가 제2가열부(220)에 의해 가열된 후 제2원지합지부(320)에서 최종합지(20)를 얻게 되면, 그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합지롤링안내부(400)를 거쳐, 어느 일측방에 형성되는 합지롤링부(500)에 구비되는 보빈에 의해 최종합지(20)를 롤링하게 된다.
상기 최종합지(20)가 합지롤링부(500)에 의해 보빈상에 권선되면, 본 발명인 종이합지장치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호이스트(600)에 의해 상기 합지롤링부(500)의 보빈(510)을 픽업하여 소망하는 장소로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어서 새로운 보빈(510)을 합지롤링부(500)에 거치하여, 최종합지(20)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합지(10)를 합지시키는 제1원지합지부(310)와, 상기 제1합지(10)와 제2,4원지공급부(120,140)에서 공급된 원지(1)가 합지되어 최종합지(20)를 얻게 되는 제2원지합지부(320)를 이루는 원지합지부(300)는 도면에서 보듯이 한 조의 로울러 형태를 이루며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원지합지부(310,320; 300)의 하단측으로는 각각 하방 중앙 또는 하방 양측방으로 이격되는 각 위치에 제1가열부(210)와 제2가열부(220)가 구성되어 합지되는 원지(1)의 일면을 가스 등 화기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열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1,2원지합지부(310,320; 300)를 구성하는 로울러의 표면은 고온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고온 상태를 유지하며 운전되는 경우 합지되지 않은 일면에 코팅 처리된 코팅면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원지합지부(310)와 제2원지합지부(320)를 구성하는 로울러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급배수라인(70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원지 10; 제1합지
20; 최종합지 100; 원지공급부
110; 제1원지공급부 120; 제2원지공급부
130; 제3원지공급부 140; 제4원지공급부
200; 가열부 210; 제1가열부
211, 221; 가스라인 212,222; 노즐
220; 제2가열부 300; 원지합지부
310; 제1원지합지부 320; 제2원지합지부
400; 합지롤링안내부 500; 합지롤링부
510; 보빈 600; 호이스트
700; 냉각급배수라인

Claims (11)

  1.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원지공급부;
    상기 좌우 양측의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의 겹쳐지는 면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가 겹쳐지는 원지합지부;
    상기 원지합지부를 거치며 냉각된 합지를 안내하여 롤링시키는 합지롤링안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공급부는 상기 종이합지장치의 중앙을 이루는 가열부 및 원지합지부를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한 조로 이격 구분되며 상호 대향 설치되어 원지가 각각 공급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후 상기 원지합지부에서 합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공급부는 일측에 이격 설치되어 원지를 각각 공급하는 제1,2원지공급부;
    상기 제1,2원지공급부와 대향되는 타측의 위치에 이격 설치되어 원지를 각각 공급하는 제3,4원지공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하로 각각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로 구분되며 이격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공급부는 일측에 이격 설치되어 원지를 각각 공급하는 제1,2원지공급부;
    상기 제1,2원지공급부와 대향되는 타측 위치에 이격 설치되어 원지를 각각 공급하는 제3,4원지공급부;
    상기 가열부는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로 수직상 이격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원지공급부와 상기 제3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각 원지의 일면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2원지공급부와 상기 제4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각 원지의 일면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
    를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라인;
    상기 가스라인에 다수개 이격 구비되는 노즐;
    상기 노즐을 통하여 점화되는 가스열이 상기 원지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원지의 일면을 가열하여 상기 원지합지부에서 합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하로 각각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로 구분되며 이격 구성되고,
    좌우로 배치되는 한 조의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 일면을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부;
    좌우로 배치되는 다른 한 조의 원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지 일면을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일면이 가열되는 원지를 합지하는 제1원지합지부;
    상기 제1원지합지부에 의해 합지되는 제1합지와, 상기 제2가열부에 의해 일면이 가열되는 원지를 합지하게 되는 제2원지합지부;
    를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제1원지합지부의 하방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가열부는 제2원지합지부의 하방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상태에서 한 조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롤링안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합지를 착탈되는 보빈에 권선시키는 합지롤링부;
    를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롤링부의 상방측에서 상기 보빈을 착탈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지합지부와 제2원지합지부를 구성하는 로울러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급배수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종이합지장치.
KR1020200092947A 2020-07-27 2020-07-27 종이합지장치 KR20220013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47A KR20220013696A (ko) 2020-07-27 2020-07-27 종이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47A KR20220013696A (ko) 2020-07-27 2020-07-27 종이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696A true KR20220013696A (ko) 2022-02-04

Family

ID=8026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947A KR20220013696A (ko) 2020-07-27 2020-07-27 종이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6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940A (ko) 2016-07-01 2018-01-10 김석환 소형 종이 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940A (ko) 2016-07-01 2018-01-10 김석환 소형 종이 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7144A (en) Method of embossing limp plastic sheet material
EP1713635B1 (en) Embossing and laminatin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ulti-ply web products and relative product
KR910014212A (ko) 박(箔)을 단일 신장된 박은 물론 신장된 박과 미 신장된 박의 다층박으로된 다층박에 적층하는 방법 및 장치
US34960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mbossed laminated foam
CN101954739A (zh) 一种压纹机及其压纹方法
CN110700012B (zh) 涂覆法多功能pvc地板生产装备及方法
KR20220013696A (ko) 종이합지장치
KR20200137571A (ko) 양면 엠보싱타입 롤 화장지 제조장치 및 이에 제조된 양면 엠보싱타입 롤 화장지
US20140251530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per web material
KR20040095471A (ko) 수지인쇄에 의한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의 제조장치
US3159516A (en) Calendering method and products made thereby
JP2010017886A (ja) 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
JPH07214705A (ja) 紙製平皿成形品の製造方法
CN211079766U (zh) 涂覆法多功能pvc地板生产装备
JP5531706B2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エンボス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5269993B2 (ja) 2つ以上のペーパーウェブ又は層を接着によって結合する装置及び方法
CN205498263U (zh) 新型复膜机
KR101631882B1 (ko) 내부에 망상패턴층이 형성된 합지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41519A1 (en) Method of producing vacuum packaging film having air channel and method of producing vacuum packaging bag using the film
KR102533761B1 (ko) 코팅 공정을 포함한 원스톱 친환경 종이빨대 제조방법
GB897313A (en) Embossing thermoplastic film
TWI714458B (zh) 雙層印刷刮刮貼紙之製程、其系統及其貼紙
KR200219279Y1 (ko) 3중 접합구조를 갖는 고인장 종이와 그 종이의 접합장치
KR100426725B1 (ko) 장식지의 광반사성 장식무늬 성형방법
JP3141760U (ja) ライナ紙裁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