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424A -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3424A KR20220013424A KR1020220005936A KR20220005936A KR20220013424A KR 20220013424 A KR20220013424 A KR 20220013424A KR 1020220005936 A KR1020220005936 A KR 1020220005936A KR 20220005936 A KR20220005936 A KR 20220005936A KR 20220013424 A KR20220013424 A KR 202200134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pection
- tool
- inspection tool
- storage box
- sphe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고, 검사대의 전후방에 각각 다른 종류의 검사구를 장착시켜 동시 검사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제작할 시에는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포함하는 바디와,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각각 제작한 이후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각 구성품들이 정확히 조립되어야만 완성된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서, 제작된 구성품에 대한 검사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차량의 형상을 이루고 지지하게 되는 바디는 철판을 부분별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프레임들은 성형 후 치수대로 정확하게 성형되었는지 검사가 필요하며, 검사를 통과한 구성품들만이 후공정으로 전달되어 조립 과정에 투입될 수 있다.
부품 검사를 위해 사용하는 장비가 검사구이다. 검사구는 각종 부품들을 안착 고정시킨 후, 안착된 부품이 설계된 것에 맞추어 형상이나 각종 홀 등이 형성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지그이다.
도1은 종래의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검사장치는 부품이 안착 고정되는 검사구(2)와, 검사구(2)를 지지하는 소정 높이의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이다. 따라서 일체형의 검사장치(1,2)를 검사를 위한 장소로 이동시켜 놓은 후 검사구(2)에 부품을 안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검사장치(1,2)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의 검사장치(1,2)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장치(1,2)를 보관하기 위해 상당한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검사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04576호(2017.02.02. '차량 도어프레임 검사용 지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및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대는, 상기 검사구의 저면을 받쳐주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검사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정위치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검사구를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구의 이동 위치에 따라 누름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대의 검사구고정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서 상기 검사구가 진입하는 입구 방향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차단봉; 및 상기 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검사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정위치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차단봉을 작동시켜 상기 검사구가 고정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구의 후방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검사구의 돌출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측면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다.
또,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검사구가 보관되는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보관공간의 양측으로 상기 검사구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관함에는 고리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보관함의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구가 이동할 시, 상기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함의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검사구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와 4대의 검사구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의 수직프레임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에 하나의 검사구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를 언제든지 검사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검사구를 보관하는 보관함에는 보관공간의 양측으로 안착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검사구를 보관함에 보관할 시, 검사구에서 돌출부가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보관공간을 찾을 필요 없이, 비어 있는 보관공간을 모두 활용하여 검사구를 보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구 저면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마련되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동시에 검사대에는 전방바퀴와 후방바퀴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버튼과 제2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구가 검사대의 정위치까지 완전하게 진입하면 검사구의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검사대의 제1버튼 및 제2버튼을 모두 누르게 되어, 제어수단에서 검사구의 정위치 진입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차단봉이 상승하면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검사구가 검사대에 완전하게 고정됨으로써 즉시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보관함이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의 보관, 장착, 고정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함이 없거나 검사대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을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를 보관함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를 검사대에 위치시키고, 자동으로 차단봉이 상승하여 검사구가 고정되는 과정까지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6 및 도7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함에 보관된 검사구를 인출하여 검사대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8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체결수단의 작동으로 검사대와 보관함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6 및 도7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함에 보관된 검사구를 인출하여 검사대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8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체결수단의 작동으로 검사대와 보관함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대(100), 보관함(200) 및 검사구(300)를 포함한다.
검사대(100)는 검사구(3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검사대(100)는 여러 종류의 검사구(300)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이러한 검사대(100)는 수평프레임(110), 수직프레임(120), 다리부(130) 및 검사구고정수단(140)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수평하게 놓여 있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검사구(300)의 저면에서 검사구(300)를 받쳐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10)의 아래에는 수평프레임(11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130)가 마련되어 있고, 다리부(130)의 하단에는 이동바퀴(13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대(100)를 보관함(200)을 향하여, 또는 검사 작업 위치로 밀거나 끌어당길 경우 다리부(130) 하단의 이동바퀴(131)가 지면을 구르면서 상당한 무게의 검사대(100)가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이동바퀴(131)에는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대(100)의 이동이 필요치 않을 시 바퀴고정수단을 작동시켜 의도치 않게 이동바퀴(131)가 굴러가 검사대(1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수평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검사구(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검사구(3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수평프레임(1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측면레일(121)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레일(121)에는 검사구(300)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33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수평프레임(110)에서 보관함(200)과 마주하게 되는 일측 방향은 평평하게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어 검사구(300)가 진출입하는 입구 역할을 하게 되고, 그 반대 방향에는 검사구(3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수직프레임(120)과 평행하게 검사대바닥레일(112)이 마련되어 있다. 검사대바닥레일(112)은 검사구(300)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바퀴(340,35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Λ' 형태의 검사대바닥레일(112)이 수평프레임(110)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검사구(300)의 바퀴(340,350)에 형성된 바퀴홈(341)에 검사대바닥레일(112)이 진입한 상태에서 바퀴(340,350)가 직선 방향으로만 안정되게 구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수평프레임(110)의 상부면에서 보관함(200)을 향하는 일측 지점과, 그 반대쪽인 걸림턱(111) 인근 지점에는 각각 제1버튼(113)과 제2버튼(114)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113,114)들은 검사대바닥레일(112)과 인접한 위치에서 수평프레임(110)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이며, 검사대바닥레일(112)에 안착된 검사구(300)의 바퀴(340,350)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 또한 버튼(113,114)들은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과 연동되어 버튼(113,114)의 누름 여부에 따라 검사구고정수단(140)의 유압실린더(141)가 작동하여 차단봉(142)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검사구고정수단(140)은 수평프레임(110)에 검사구(300)가 완전하게 진입하였을 시 검사구(300)가 다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검사구고정수단(140)은 유압실린더(141) 및 차단봉(142)을 포함한다.
유압실린더(141)는 버튼(113,114)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제어수단(미도시)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유압을 이용하여 차단봉(1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차단봉(142)은 수평프레임(110)에서 검사구(300)가 출입하게 되는 입구 방향, 즉 걸림턱(111)의 반대편 끝에 설치되되, 평상시에는 차단봉(142)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의 수평프레임(110) 안쪽으로 완전하게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유압실린더(141)에 의해 차단봉(142)이 상승하여 검사구(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검사구(300)가 다시 입구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수평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걸림턱(111), 검사대바닥레일(112), 제1버튼(113), 제2버튼(114) 및 검사구고정수단(140)은 수직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대칭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상에서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방 방향에 마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 것이다.
보관함(200)은 검사대(100)에 설치되는 검사구(300)를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보관함(200)은 보관함본체(210) 및 보관함바닥레일(222)을 포함한다.
보관함본체(210)는 격벽(220)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보관공간(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관공간(230)의 일측 방향(검사대(100)와 마주하게 되는 방향)은 개방되어 있고, 보관공간(230)의 내측 바닥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보관함바닥레일(2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관함(200)에서 지면으로부터 보관공간(230)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검사대(100)의 수평프레임(110) 상부면까지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보관공간(230)의 바닥에 설치되는 보관함바닥레일(222)은 검사대(100)의 수평프레임(110)에 설치된 검사대바닥레일(112)과 동일하게 단면이 'Λ' 형태인 레일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220)의 양측에는 검사구(300)의 돌출부(330)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안착레일(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관공간(230)을 기준으로 보면 보관공간(230)의 바닥면에는 보관함바닥레일(222)이 마련되어 있고, 보관공간(230)의 양측으로는 안착레일(221)이 마련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한 보관함(200)에서 보관함본체(210)의 하단에 이동바퀴(미도시)를 설치한다면, 필요시 보관함(200)을 필요한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보관함(200)에 검사대(100)를 밀착시켰을 시 검사대(100)의 수평프레임(110) 상부면 높이와 보관함(200)의 보관공간(230) 바닥면 높이가 맞지 않으면,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바르게 장착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사대(100) 또는 보관함(200)에는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되어 미세한 높이 조절을 통해 양쪽 구성의 높이를 맞춰줄 수 있다.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대(1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검사구(300)는 검사구본체(310), 손잡이(320) 및 바퀴(340,350)를 포함한다.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은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즉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에는 검사 대상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검사 대상 부품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외곽 치수나 관통홀 치수 등을 검사하기 위한 기준자 등이 표시되어 있다.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따라 검사구본체(310)의 전방 형태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만큼 미리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검사구본체(310)의 후방에는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에 형성된 측면레일(121)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검사구본체(310)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330)는 검사대(100)의 측면레일(121) 또는 보관함(200)의 안착레일(221)에 안착되어 측면레일(121) 또는 안착레일(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돌출부(330)가 측면레일(121) 또는 안착레일(221)에 끼워짐으로써 검사구(300)가 수직프레임(120) 또는 격벽(220)에 지지되어 쓰러지지 않게 된다.
검사구본체(310)의 측면에는 작업자가 검사대(100)를 이동시킬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검사구본체(310)의 저면에는 검사구(300)가 검사대(100) 또는 보관함(200) 사이를 이동할 시 수평프레임(110)의 상부면이나 보관공간(230)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40,3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퀴(340,350)는 검사구본체(310)의 저면에서 손잡이(320)가 형성된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바퀴(340)와 그 반대쪽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바퀴(350)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바퀴(340) 및 후방바퀴(350)에는 둘레를 따라 바퀴홈(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검사대바닥레일(112) 또는 보관함바닥레일(222)의 돌출된 부분이 바퀴홈(3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주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6 및 도7을 통해 도1 내지 도5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보관함(200)의 보관공간(230)에는 서로 다른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검사구(300)가 각각 보관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후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기 위해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보관함(200)에 밀착시킨다. 검사대(100)의 다리부(130) 하단에는 이동바퀴(131)가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검사대(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검사대(100)에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시킬 수 있는데, 도6에서는 보관함(200)에 보관된 4개의 검사구(300) 중에서, 우측에서 두 번째 보관공간(230)에 보관되어 있는 검사구(300)를 수직프레임(120)의 전방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토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수직프레임(120)의 전방 부분이 해당 검사구(300)가 보관된 보관공간(230)에 매칭되도록 위치시킨다. 검사대(100)를 정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검사대바닥레일(112)과 보관함바닥레일(222)이 일직선이 되도록 하거나, 측면레일(121)과 안착레일(221)이 일직선이 되도록 하면 된다. 필요시 작업자는 검사대(100)의 다리부(130)에 마련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조절하여 검사대(100)의 높이를 맞춰줄 수 있다. 또한 검사대(100)의 정렬이 완료되면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이동바퀴(131)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도6의 (a)와 같이 검사대(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정렬하는 과정을 마치면, 작업자는 해당 검사구(300)의 손잡이(320)를 잡아 당겨 도6의 (b)와 같이 검사구(300)를 검사대(100)로 이동시킨다.
보관함(200)에 보관된 검사구(300)가 이동할 때에는 검사구본체(310)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330)가 보관함(200)의 안착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탈한 후 검사대(100)의 측면레일(121)로 진입하게 된다. 더불어 검사구(30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340,350)는 보관함바닥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탈한 후 검사대바닥레일(112)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검사구고정수단(140)의 차단봉(142)은 평상시에는 하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수평프레임(110)의 상부면에 마련된 제1버튼(113)과 제2버튼(114)이 동시에 눌러진 상태가 되면 유압실린더(141)가 작동하여 차단봉(142)이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검사구(300)가 아직 이동중인 상태라면 검사구(30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바퀴(340)가 검사대(100)의 입구쪽에 설치된 제1버튼(113)을 먼저 누르고 지나가게 되지만,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의 걸림턱(111)쪽에 설치된 제2버튼(114)은 아직 누르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41)는 아직 작동하지 않게 된다.
만약 검사구(300)를 추가로 이동시키면 검사구(300)는 보관함(200)에서 완전하게 이탈한 후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의 수평프레임(110) 위로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검사구(300)의 전방바퀴(340)가 검사대바닥레일(112)을 따라 끝까지 이동한 이후에는 걸림턱(111)에 걸려 추가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검사구(300)가 끝까지 이동하고 나면 검사구(300)의 전방바퀴(340)는 검사대(100)의 제2버튼(114)을 누른 상태가 되고, 후방바퀴(350)는 제1버튼(113)을 누른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1버튼(113)과 제2버튼(114)이 동시에 눌러진 상태가 되면 제어수단(미도시)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유압실린더(141)가 차단봉(142)을 밀어 올린다. 따라서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42)이 상승하면 검사구(300)의 입구 방향이 폐쇄된다. 즉 검사구(300)는 걸림턱(111)과 차단봉(142) 사이에 갇히게 되어 어느 방향으로도 추가 이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검사구(300)의 후방은 돌출부(330)가 측면레일(12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검사구(300)가 수직프레임(12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앞으로 쓰러지거나 뒤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 즉 도7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이며, 이렇게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의 검사대(100)를 작업 공간으로 다시 이동시킨 후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구(300)에 장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6 및 도7에서는 검사대(100)에서 수직프레임(120)의 전방 부분에만 검사구(300)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지만, 같은 방식으로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후방에도 다른 검사구(300)를 장착시켜, 하나의 검사대(100)에서 두 개의 검사구(300)를 장착한 후 동시에 검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7의 (b)와 같이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검사 작업을 완료한 검사구(300)를 제거하고 다른 종류의 검사구(300)를 장착시켜 검사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다시 이동시켜 보관함(200)의 비어 있는 보관공간(230)과 마주보게 한다. 이후 별도의 해제버튼(미도시)을 눌르면 유압실린더(141)가 작동하여 차단봉(142)이 하강하게 되고, 이후 검사구(300)를 밀어 검사대(100)에 장착된 검사구(300)를 다시 보관함(200)의 보관공간(23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보관공간(230)에서는 양측에 모두 안착레일(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대(100)에 장착된 검사구(300)를 보관함(200)으로 이동시킬 때, 검사구본체(310)에서 어느 방향에 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는지 고려하여 보관공간(230)을 찾아야 할 필요가 없다. 즉 검사구본체(310)에서 어느 방향에 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보관함(200)의 모든 보관공간(230)에는 양측 모두에 안착레일(221)이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구(300)의 돌출부(330) 형성 방향에 제약 받지 않고 모든 검사구(300)를 보관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검사장치는 검사대(100), 보관함(200) 및 검사구(300)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구성은 도1 내지 도7을 통해 설명한 검사장치와 동일하다. 다만 도8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는 검사구(3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검사대(100)와 보관함(200)이 정렬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116)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체결수단(116)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8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100)의 입구 방향(차단봉(142)이 설치된 방향)에는 수평프레임(110)이 확장된 형태로 확장부(115)가 마련되어 있고, 확장부(115)에 체결수단(116)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수단(116)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레버(320)와 걸림고리(116b)를 갖는 버클 형태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보관함(200)에서는 검사대(100)의 체결수단(1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고리(116b)가 끼워지는 고리걸림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검사대(100)가 보관함(200)에 밀착되는 위치는 수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고리걸림부(240) 역시 보관함(200)의 복수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도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보관함(200)에 밀착시키고 체결수단(116)의 걸림고리(116b)가 보관함(200)의 고리걸림부(240)에 진입되도록 한 후, 도9의 (b)와 같이 체결레버(320)를 내려 걸림고리(116b) 전방이 고리걸림부(240)에 걸리도록 하면, 걸림고리(116b)가 고리걸림부(240)에 걸려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에 따라 검사구(300)를 이동시킬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검사대(100)와 보관함(200)은 체결수단(116)과 고리걸림부(24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체결수단(116)과 고리걸림부(240)는 검사대(100)의 측면레일(121)과 보관함(200)의 안착레일(221)이 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상태, 또는 검사대바닥레일(112)과 보관함바닥레일(222)이 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적정한 위치에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검사구(3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100)와 4대의 검사구(300)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100)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100)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에 하나의 검사구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300)를 언제든지 검사대(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검사구(300)를 보관하는 보관함(200)에는 보관공간(230)의 양측으로 안착레일(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검사구(300)를 보관함(200)에 보관할 시, 검사구(300)에서 돌출부(330)가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보관공간(230)을 찾을 필요 없이, 비어 있는 보관공간(230)을 모두 활용하여 검사구(300)를 보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구(300) 저면에 전방바퀴(340)와 후방바퀴(350)가 마련되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동시에 검사대(100)에는 전방바퀴(340)와 후방바퀴(350)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버튼(113)과 제2버튼(11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의 정위치까지 완전하게 진입하면 검사구(300)의 전방바퀴(340)와 후방바퀴(350)가 검사대(100)의 제1버튼(113) 및 제2버튼(114)을 모두 누르게 되어, 제어수단(미도시)에서 검사구(300)의 정위치 진입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유압실린더(141)를 작동시켜 차단봉(142)이 상승하면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완전하게 고정됨으로써 즉시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보관함(200)이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보관, 장착, 고정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함(200)이 없거나 검사대(100)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300)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100)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에서 검사구(300)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230)이 형성된 보관함(200)을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100)를 보관함(200)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3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300)를 검사대(100)에 위치시키고, 자동으로 차단봉이 상승하여 검사구(300)가 고정되는 과정까지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300)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검사대
110 : 수평프레임
111 : 걸림턱
112 : 검사대바닥레일
113 : 제1버튼
114 : 제2버튼
115 : 확장부
116 : 체결수단
116a : 체결레버
116b : 걸림고리
120 : 수직프레임
121 : 측면레일
130 : 다리부
131 : 이동바퀴
140 : 검사구고정수단
141 : 유압실린더
142 : 차단봉
200 : 보관함
210 : 보관함본체
220 : 격벽
221 : 안착레일
222 : 보관함바닥레일
230 : 보관공간
240 : 고리걸림부
300 : 검사구
310 : 검사구본체
320 : 손잡이
330 : 돌출부
340 : 전방바퀴
341 : 바퀴홈
350 : 후방바퀴
110 : 수평프레임
111 : 걸림턱
112 : 검사대바닥레일
113 : 제1버튼
114 : 제2버튼
115 : 확장부
116 : 체결수단
116a : 체결레버
116b : 걸림고리
120 : 수직프레임
121 : 측면레일
130 : 다리부
131 : 이동바퀴
140 : 검사구고정수단
141 : 유압실린더
142 : 차단봉
200 : 보관함
210 : 보관함본체
220 : 격벽
221 : 안착레일
222 : 보관함바닥레일
230 : 보관공간
240 : 고리걸림부
300 : 검사구
310 : 검사구본체
320 : 손잡이
330 : 돌출부
340 : 전방바퀴
341 : 바퀴홈
350 : 후방바퀴
Claims (1)
-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 및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검사구가 보관되는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보관공간의 양측으로 상기 검사구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보관함;을 포함하되,
상기 검사대는,
상기 검사구의 저면을 받쳐주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검사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정위치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검사구를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구의 후방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검사구의 돌출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측면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936A KR102372622B1 (ko) | 2020-07-08 | 2022-01-14 |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093A KR102355220B1 (ko) | 2020-07-08 | 2020-07-08 |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KR1020220005936A KR102372622B1 (ko) | 2020-07-08 | 2022-01-14 |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093A Division KR102355220B1 (ko) | 2020-07-08 | 2020-07-08 |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3424A true KR20220013424A (ko) | 2022-02-04 |
KR102372622B1 KR102372622B1 (ko) | 2022-03-10 |
Family
ID=800511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093A KR102355220B1 (ko) | 2020-07-08 | 2020-07-08 |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KR1020220005932A KR102372623B1 (ko) | 2020-07-08 | 2022-01-14 | 차단봉을 구비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KR1020220005936A KR102372622B1 (ko) | 2020-07-08 | 2022-01-14 |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KR1020220005944A KR102372620B1 (ko) | 2020-07-08 | 2022-01-14 | 정렬상태 유지 기능을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093A KR102355220B1 (ko) | 2020-07-08 | 2020-07-08 |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KR1020220005932A KR102372623B1 (ko) | 2020-07-08 | 2022-01-14 | 차단봉을 구비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5944A KR102372620B1 (ko) | 2020-07-08 | 2022-01-14 | 정렬상태 유지 기능을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35522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6923A (ko) * | 2010-08-17 | 2012-02-27 | 한솔테크닉스(주) | Lcm 에이징 검사기의 대차 분리 시스템 |
KR20120020292A (ko) * | 2010-08-30 | 2012-03-08 | 세미텍 주식회사 | 리드프레임 검사용 지그 |
JP2016527089A (ja) * | 2013-04-15 | 2016-09-08 |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 試験管グリッパー、試験管ラベリ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試験管準備装置 |
KR101770602B1 (ko) * | 2016-08-30 | 2017-08-23 | 두성산업주식회사 |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
KR101783587B1 (ko) * | 2017-06-15 | 2017-10-23 | 이문배 | 비전 검사 장치 제조방법 |
-
2020
- 2020-07-08 KR KR1020200084093A patent/KR102355220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01-14 KR KR1020220005932A patent/KR102372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1-14 KR KR1020220005936A patent/KR1023726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1-14 KR KR1020220005944A patent/KR1023726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6923A (ko) * | 2010-08-17 | 2012-02-27 | 한솔테크닉스(주) | Lcm 에이징 검사기의 대차 분리 시스템 |
KR20120020292A (ko) * | 2010-08-30 | 2012-03-08 | 세미텍 주식회사 | 리드프레임 검사용 지그 |
JP2016527089A (ja) * | 2013-04-15 | 2016-09-08 |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 試験管グリッパー、試験管ラベリ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試験管準備装置 |
KR101770602B1 (ko) * | 2016-08-30 | 2017-08-23 | 두성산업주식회사 |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
KR101783587B1 (ko) * | 2017-06-15 | 2017-10-23 | 이문배 | 비전 검사 장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5220B1 (ko) | 2022-01-26 |
KR20220013423A (ko) | 2022-02-04 |
KR102372620B1 (ko) | 2022-03-10 |
KR20220006302A (ko) | 2022-01-17 |
KR20220013425A (ko) | 2022-02-04 |
KR102372623B1 (ko) | 2022-03-10 |
KR102372622B1 (ko)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3063B1 (ko) |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 |
KR102372622B1 (ko) | 복수의 보관공간을 가지며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
US10371187B2 (en) | Locking device for telescopable furniture column | |
CN108061502B (zh) | 一种滑移检测机构及前风窗开口尺寸检测工装 | |
US11389854B2 (en) | Tool magazine for a bending machine | |
KR102372619B1 (ko) | 검사대에 고정이 가능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
KR101916035B1 (ko) |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 |
CN109079088A (zh) | 一种设有防止同时推送定位的链条装配设备 | |
KR20140004140U (ko) | 화물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
KR100932287B1 (ko) | 작업대차 장치 | |
DE602006000844T2 (de) | Ladevor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oder eine Arbeitsanlage und Arbeitsanlage mit einer solchen Ladevorrichtung | |
CN211308483U (zh) | 一种齿条式高调器结构 | |
WO2012163345A2 (de) | Werkzeugbehälter | |
DE10038443A1 (de) | Waage | |
DE19929357A1 (de) |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wenigstens einer Gasflasche und Wohnfahrzeug | |
US9085117B1 (en) | Hydraulic press with slidable platens | |
EP3201065B1 (de) | Plattformwagen | |
US3265230A (en) | Stand and automatic unloading material handling box | |
CN109202833B (zh) | 一种测试用工作台 | |
CN217373077U (zh) | 一种顶针加工治具 | |
CN209919239U (zh) | 支撑装置及具有其的操作台 | |
DE29609845U1 (de) | Vorrichtung für eine hochliegende Anordnung einer Liege oder eines Bettes in Fahrzeugen | |
DE1683860A1 (de) | Schalung zur serienmaessigen Fertigung von Betonbaukoerpern grossen Formats | |
KR20130000124U (ko) | 선박엔진 시험실용 가변형 보조작업대 | |
CN112666622A (zh) | 辐射扫描检查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