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44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448A
KR20220012448A KR1020200090822A KR20200090822A KR20220012448A KR 20220012448 A KR20220012448 A KR 20220012448A KR 1020200090822 A KR1020200090822 A KR 1020200090822A KR 20200090822 A KR20200090822 A KR 20200090822A KR 20220012448 A KR20220012448 A KR 2022001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electrode
pattern
contac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재
이상덕
오선옥
육기경
이현아
한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448A/ko
Priority to CN202110811735.2A priority patent/CN113972244A/zh
Publication of KR2022001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51/0021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01Structure
    • H01L2224/0603Bonding areas having different sizes, e.g. different heights or wid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1Disposition
    • H01L2224/0612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1Disposition
    • H01L2224/0612Layout
    • H01L2224/0613Square or rectangular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1Disposition
    • H01L2224/0612Layout
    • H01L2224/0613Square or rectangular array
    • H01L2224/06131Square or rectangular array being uniform, i.e. having a uniform pitch across the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패드 컨택부 및 상기 패드 컨택부보다 제1 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인부를 포함하는 신호 라인 및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방향 일측으로 이격된 제1 비컨택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패드 컨택부 및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는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는 패드 등이 배치된다. 상기 패드에는 구동 회로 등이 장착되어 상기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 회로는 복수의 범프를 포함하고, 각 범프는 서로 분리된 패드에 본딩될 수 있다. 한편, 범프가 패드에 본딩될 때, 얼라인(Align)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본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드의 본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드 컨택부 및 상기 패드 컨택부보다 제1 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인부를 포함하는 신호 라인 및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방향 일측으로 이격된 제1 비컨택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패드 컨택부 및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중첩한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라인부는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중첩 라인부, 및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 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전극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패드 컨택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방향 타측으로 이격된 제2 비컨택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더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을 각각 지나갈 수 있다.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비컨택 패턴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2 비컨택 패턴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위치한 제3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3 패드 전극 변과 대향하는 제4 패드 전극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3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4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중 어느 하나를 지나고 다른 하나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3 도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패드 컨택부와 연결되는 메인 패드 전극부, 및 상기 메인 패드 전극부와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서브 패드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 전극은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직접 접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패드 전극과 직접 연결되는 범프, 및 상기 범프와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직접 접하는 상기 제2 패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비도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갖는 제1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1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분리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인접 배치된 제2 패드로서,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제2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2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2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일측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1 타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2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는 제2 일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 일측 패턴, 및 상기 제1 타측 패턴은 각각 상기 제1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일측 패턴은 상기 제2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일측 패턴과 상기 제2 일측 패턴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라인부, 및 상기 제2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라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타측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는 제3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3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3 패드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드와 분리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인접 배치된 제3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드 전극은 상기 제3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는 제3 일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3 일측 패턴은 제3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3 패드 컨택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 전극, 상기 제2 패드 전극, 및 상기 제3 패드 전극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딩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드 영역, 벤딩 영역, 및 표시 영역 일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라인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제(2,1) 패드 전극, 제(2,1) 신호 라인,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및 제(4,2) 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d)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e)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f)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g)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6은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제(4,1) 패드 전극, 제(4,1) 신호 라인, 제4 더미 분리 라인부,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7(d)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 영역의 상세한 레이아웃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초음파 본딩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과 구동 부재 간 초음파 본딩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초음파 본딩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제1 패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6(a)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라인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변형예이다.
도 17은 도 16(a)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a)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을 갖는 경우,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은 둥근 네개의 모서리와 2개의 장변들, 및 2개의 단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평면도에서는 가로 방향이 제1 방향(DR1)으로, 세로 방향이 제2 방향(DR2)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은 평면도상 우측 방향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평면도상 좌측 방향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평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평면도상 하측 방향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의 장변들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단변들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장변들, 단변들, 및 네 개의 모서리를 평면상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평면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DR1) 일측 장변 에 인접하여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에지부(NDA_E1),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DR1) 타측 장변에 인접하여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에지부(NDA_E2),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변에 인접하여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3 에지부(NDA_E3), 및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변에 인접하여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4 에지부(NDA_E4)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4 에지부(NDA_E4)로부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NDA_P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돌출부(NDA_PT)는 제4 에지부(NDA_E4)보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의 돌출부(NDA_PT)는 제1 에지부(NDA_E1) 및 제2 에지부(NDA_E2)와는 이격된 제4 에지부(NDA_E4)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제1 및 제2 에지부(NDA_E1, NDA_E2)와 돌출부(NDA_PT) 사이에는 'L' 컷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돌출부(NDA_PT)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벤딩 영역(BA)에서 휘어지거나, 꺾이거나, 접힐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돌출부(NDA_PT)는 패드 영역(PA1, P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영역(PA1, PA2)에는 복수의 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1, PA2)은 상대적으로 벤딩 영역(BA)에 인접 배치된 제1 패드 영역(PA1)과 상대적으로 돌출부(NDA_PT)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패드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구동 부재(D_IC) 및 인쇄 회로 보드(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D_IC)는 표시 장치(1)의 돌출부(NDA_PT)의 제1 패드 영역(PA1)에 중첩하여 배치되고, 인쇄 회로 보드(PCB)는 표시 장치(1)의 돌출부(NDA_PT)의 제2 패드 영역(PA2)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부재(D_IC)는 제1 패드 영역(PA1)에 위치한 복수의 패드들과 결합될 수 있고, 인쇄 회로 보드(PCB)는 표시 장치(1)의 돌출부(NDA_PT)의 제2 패드 영역(PA2)에 위치한 복수의 패드들과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부재(D_IC)와 결합된 제1 패드 영역(PA1)의 패드들은 신호 라인(SL)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 영역(PA1)의 패드들과 연결된 신호 라인(SL)들은 각각 표시 영역(DA)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신호 라인(SL)들은 표시 영역(DA)의 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 사이에도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드 영역, 벤딩 영역, 및 표시 영역 일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은 제1 패드 영역(PA1)의 패드들과 신호 라인(SL)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신호 라인(SL)은 화소(PX)와 연결되고 제4 에지부(NDA_E4)를 지나 제1 패드 영역(PA1)에까지 연장된 라인부 및 상기 라인부와 연결되고 상기 라인부 대비 제1 방향(DR1)으로 폭이 확장된 패드 컨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SL)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는데, 상기 절연층은 상기 패드 컨택부의 상면을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상에는 패드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패드 컨택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영역(PA1)의 패드들은 도 1의 인쇄 회로 보드(PCB)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받는 입력 패드(PAD_I)들과 도 1의 구동 부재(D_IC)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표시 영역(DA)의 화소(PX)들에 전달하는 출력 패드(PAD_O)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패드(PAD_I)들과 출력 패드(PAD_O)들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입력 패드(PAD_I)들과 출력 패드(PAD_O)들 사이의 거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출력 패드 행들 또는 입력 패드 행들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입력 패드(PAD_I)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입력 패드(PAD_I)들은 하나의 입력 패드 행을 이룰 수 있다.
출력 패드(PAD_O)들은 입력 패드(PAD_I)들이 이루는 하나의 입력 패드 행과 달리, 복수의 출력 패드 행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력 패드(PAD_O)들이 이루는 출력 패드 행들의 개수는 입력 패드 행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패드(PAD_O)들은 4개의 출력 패드 행을 이룰 수 있다. 각 출력 패드 행들은 입력 패드 행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인접한 출력 패드 행들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입력 패드(PAD_I)들이 이루는 입력 패드 행의 개수와 출력 패드(PAD_O)들이 이루는 출력 패드 행의 개수가 예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드(PAD_I)들이 이루는 입력 패드 행의 개수는 1개이고 출력 패드(PAD_O)들이 이루는 출력 패드 행의 개수는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패드(PAD_I)들이 이루는 입력 패드 행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출력 패드(PAD_O)들이 이루는 출력 패드 행의 개수는 3개 또는 4개이거나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출력 패드(PAD_O)에 대해 설명하면서 입력 패드(PAD_I)와 특별하게 구분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상 "출력 패드"를 "패드"로 약칭하기로 한다. 또한, 각 출력 패드(PAD_O)의 행열에 따른 좌표(p, q)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상 '패드(PADpq)'와 같이 패드의 도면 부호 마지막에 해당 좌표의 수치를 부가하기로 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패드들의 형상 및 배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들의 배치를 나타낸 레이아웃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 영역(PA1) 상의 패드 (PADpq)들은 행(Rm)과 열(Cn)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자연수이다.
패드(PADpq)들의 행(Rm: R1, R2, R3, R4)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다. 서로 다른 행(Rm: R1, R2, R3, R4)들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
패드(PADpq)들의 열(Cn: C1, C2, C3, C4)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다. 서로 다른 열(Cn: C1, C2, C3, C4)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패드(PADpq)는 행열에 따른 좌표별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제1 행(R1)과 제1 열(C1)에 위치한 패드(PAD11)는 이하에서 제(1,1) 패드라 지칭되고, 제1 행(R1)과 제2 열(C2)에 위치한 패드(PAD12)는 이하에서 제(1,2) 패드라 지칭되고, 제1 행(R1)과 제3 열(C3)에 위치한 패드(PAD13)는 이하에서 제(1,3) 패드라 지칭되고, 제1 행(R1)과 제4 열(C4)에 위치한 패드(PAD14)는 이하에서 제(1,4) 패드라 지칭되고, 제2 행(R2)과 제1 열(C1)에 위치한 패드(PAD21)는 이하에서 제(2,1) 패드라 지칭되고, 제2 행(R2)과 제2 열(C2)에 위치한 패드(PAD22)는 이하에서 제(2,2) 패드라 지칭되고, 제2 행(R2)과 제3 열(C3)에 위치한 패드(PAD23)는 이하에서 제(2,3) 패드라 지칭되고, 제2 행(R2)과 제4 열(C4)에 위치한 패드(PAD24)는 이하에서 제(2,4) 패드라 지칭되고, 제3 행(R3)과 제1 열(C1)에 위치한 패드(PAD31)는 이하에서 제(3,1) 패드라 지칭되고, 제3 행(R3)과 제2 열(C2)에 위치한 패드(PAD32)는 이하에서 제(3,2) 패드라 지칭되고, 제3 행(R3)과 제3 열(C3)에 위치한 패드(PAD33)는 이하에서 제(3,3) 패드라 지칭되고, 제3 행(R3)과 제4 열(C4)에 위치한 패드(PAD34)는 이하에서 제(3,4) 패드라 지칭되고, 제4 행(R4)과 제1 열(C1)에 위치한 패드(PAD41)는 이하에서 제(4,1) 패드라 지칭되고, 제4 행(R4)과 제2 열(C2)에 위치한 패드(PAD42)는 이하에서 제(4,2) 패드라 지칭되고, 제4 행(R4)과 제3 열(C3)에 위치한 패드(PAD43)는 이하에서 제(4,3) 패드라 지칭되고, 제4 행(R4)과 제4 열(C4)에 위치한 패드(PAD44)는 이하에서 제(4,4) 패드라 지칭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드들(PADpq)의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각 패드(PADpq)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패드(PADpq)의 평면 형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폭(W1)을 갖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3의 패드 배열에서, 인접한 패드(PADpq) 간 방향별 이격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패드(PADpq)들은 제1 방향(DR1)으로 제2 폭(W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패드(PADpq) 간 제1 방향(DR1) 이격 거리(제2 폭(W2))는 예시된 패드 배열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패드(PADpq)는 제2 방향(DR2)으로 제3 폭(W3)만큼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패드(PADpq) 간 제2 방향(DR2) 이격 거리(제3 폭(W3))는 예시된 패드 배열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제2 폭(W2)과 제3 폭(W3)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PADpq)들은 행(Rm)과 열(Cn)을 따라 정렬되어 배열될 수 있다. 패드(PADpq)의 평면 형상으로 직사각형이 적용된 경우, 패드(PADpq)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변(PADpq_S1),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한 제2 패드 변(PADpq_S2),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3 패드 변(PADpq_S3)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한 제4 패드 변(PADpq_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 변(PADpq_S2)은 제1 패드 변(PADpq_S1)과 대향하고, 제3 패드 변(PADpq_S3)은 제4 패드 변(PADpq_S4)과 대향할 수 있다.
동일 행(Rm)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pq)들의 제1 패드 변(PADpq_S1)들을 연결하면 하나의 제1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연장선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 행(Rm)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pq)들의 제2 패드 변(PADpq_S2)들을 연결하면 하나의 제2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선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연장선과 평행할 수 있다.
동일 열(Cn)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pq)들의 제3 패드 변(PADpq_S3)들을 연결하면 하나의 제3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3 연장선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 열(Cn)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pq)들의 제4 패드 변(PADpq_S4)들을 연결하면 하나의 제4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4 연장선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 연장선과 평행할 수 있다.
제(1,1) 패드(PAD11)는 제1 패드 변(PAD11_S1), 제2 패드 변(PAD11_S2), 제3 패드 변(PAD11_S3) 및 제4 패드 변(PAD11_S4)을 포함하고, 제(1,2) 패드(PAD12)는 제1 패드 변(PAD12_S1), 제2 패드 변(PAD12_S2), 제3 패드 변(PAD12_S3) 및 제4 패드 변(PAD12_S4)을 포함하고, 제(2,1) 패드(PAD21)는 제1 패드 변(PAD21_S1), 제2 패드 변(PAD21_S2), 제3 패드 변(PAD21_S3) 및 제4 패드 변(PAD21_S4)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 제1 행(R1)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11, PAD12)들의 제1 패드 변(PAD11_S1, PAD12_S1)들을 연결하면 상기 제1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연장선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 행(R1)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11, PAD12)들의 제2 패드 변(PAD11_S2, PAD12_S2)들을 연결하면 상기 제2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선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연장선과 평행할 수 있다.
동일 제1 열(C1)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11, PAD21)들의 제3 패드 변(PAD11_S3, PAD21_S3)들을 연결하면 상기 제3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3 연장선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 제1 열(C1)을 따라 배열된 패드(PAD11, PAD21)들의 제4 패드 변(PAD11_S4, PAD21_S4)들을 상기 제4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4 연장선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 연장선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 영역(PA1)에는 비도전 결합 부재(NCF)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인접한 패드(PADpq)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여, 인접 패드(PADpq)들간 단락(Shor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평면도상 각 패드(PADpq)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면서 각 패드(PADpq)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접착 성질을 갖는 절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라인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들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라인(SL), 및 패드 전극(PE)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되는 패드(PADpq)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명명(예컨대, "SLpq", "PEpq")된다. 패드 전극(PEpq)의 평면상 크기는 후술될 패드 컨택부(SLpqa)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패드 전극(PEpq)은 평면상 패드 컨택부(SLpqa)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PADpq)의 평면 형상은 패드 전극(PEpq)의 외측 프로파일들로 이루어지고, 앞서 설명된 패드(PADpq)의 평면 형상 및 평면상 크기는 패드 전극(PEpq)의 평면 형상 및 크기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패드(PADpq)들의 행(Rm)과 열(Cn)에서의 배열에 대한 설명은 패드 전극(PEpq)의 행(Rm)과 열(Cn)에서의 배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라인(SLpq)은 제(1,1) 패드(PAD11)에 대응되는 제(1,1) 신호 라인(SL11), 제(1,2) 패드(PAD12)에 대응되는 제(1,2) 신호 라인(SL12), 제(1,3) 패드(PAD13)에 대응되는 제(1,3) 신호 라인(SL13), 제(1,4) 패드(PAD14)에 대응되는 제(1,4) 신호 라인(SL14), 제(2,1) 패드(PAD21)에 대응되는 제(2,1) 신호 라인(SL21), 제(2,2) 패드(PAD22)에 대응되는 제(2,2) 신호 라인(SL22), 제(2,3) 패드(PAD23)에 대응되는 제(2,3) 신호 라인(SL23), 제(2,4) 패드(PAD24)에 대응되는 제(2,4) 신호 라인(SL24), 제(3,1) 패드(PAD31)에 대응되는 제(3,1) 신호 라인(SL31), 제(3,2) 패드(PAD32)에 대응되는 제(3,2) 신호 라인(SL32), 제(3,3) 패드(PAD33)에 대응되는 제(3,3) 신호 라인(SL33), 제(3,4) 패드(PAD34)에 대응되는 제(3,4) 신호 라인(SL34), 제(4,1) 패드(PAD41)에 대응되는 제(4,1) 신호 라인(SL41), 제(4,2) 패드(PAD42)에 대응되는 제(4,2) 신호 라인(SL42), 제(4,3) 패드(PAD43)에 대응되는 제(4,3) 신호 라인(SL43), 제(4,4) 패드(PAD44)에 대응되는 제(4,4) 신호 라인(SL4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전극(PEpq)은 제(1,1) 패드(PAD11)에 대응되는 제(1,1) 패드 전극(PE11), 제(1,1) 패드(PAD11)에 대응되는 제(1,1) 패드 전극(PE11), 제(1,2) 패드(PAD12)에 대응되는 제(1,2) 패드 전극(PE12), 제(1,3) 패드(PAD13)에 대응되는 제(1,3) 패드 전극(PE13), 제(1,4) 패드(PAD14)에 대응되는 제(1,4) 패드 전극(PE14), 제(2,1) 패드(PAD21)에 대응되는 제(2,1) 패드 전극(PE21), 제(2,2) 패드(PAD22)에 대응되는 제(2,2) 패드 전극(PE22), 제(2,3) 패드(PAD23)에 대응되는 제(2,3) 패드 전극(PE23), 제(2,4) 패드(PAD24)에 대응되는 제(2,4) 패드 전극(PE24), 제(3,1) 패드(PAD31)에 대응되는 제(3,1) 패드 전극(PE31), 제(3,2) 패드(PAD32)에 대응되는 제(3,2) 패드 전극(PE32), 제(3,3) 패드(PAD33)에 대응되는 제(3,3) 패드 전극(PE33), 제(3,4) 패드(PAD34)에 대응되는 제(3,4) 패드 전극(PE34), 제(4,1) 패드(PAD41)에 대응되는 제(4,1) 패드 전극(PE41), 제(4,2) 패드(PAD42)에 대응되는 제(4,2) 패드 전극(PE42), 제(4,3) 패드(PAD43)에 대응되는 제(4,3) 패드 전극(PE43), 제(4,4) 패드(PAD44)에 대응되는 제(4,4) 패드 전극(PE4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신호 라인(SL11, SL12, SL13, SL14, SL21, SL22, SL23, SL24, SL31, SL32, SL33, SL34, SL41, SL42, SL43, SL44)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패드 영역(PA1)에는 신호 라인(SLpq)과 분리된 더미 분리 라인부(RE)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분리 라인부(RE)는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 제3 더미 분리 라인부(RE3),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 제5 더미 분리 라인부(RE5),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신호 라인(SLpq)은 대응되는 패드(PADpq)와 직접 연결되는 패드 컨택부(SLpqa), 및 패드 컨택부(SLpqa)와 연결되어 표시 영역(DA) 측으로 연장되는 라인부(SLpqb)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컨택부(SLpqa)의 폭(W4)은 라인부(SLpqb)의 폭(W5)보다 클 수 있다. 라인부(SLpqb)의 폭(W5)은 더미 분리 라인부(RE)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컨택부(SLpqa)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고, 제2 길이(L2)는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각 행 방향을 따라 패드 컨택부(SLpqa), 및 라인부(SLpqb)들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행(R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2) 라인부(SL42b)와 제(3,2) 라인부(SL32b)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이격 거리(d1)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3,2) 라인부(SL32b)와 제(2,2) 라인부(SL22b)는 제1 방향(DR1)에서 제2 이격 거리(d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제(4,2) 라인부(SL42b)는 제1 방향(DR1)에서 제3 이격 거리(d3)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2) 라인부(SL22b)와 제(1,2) 패드 컨택부(SL12a)는 제1 방향(DR1)에서 제4 이격 거리(d4)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격 거리(d1), 제2 이격 거리(d2), 제3 이격 거리(d3), 및 제4 이격 거리(d4)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패드(PADpq)는 두께 방향에서 패드 컨택부(SLpqa), 및 라인부(SLpqb)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각각 표면에 철부를 가질 수 있고, 패드(PADpq)와 중첩하는 패드 컨택부(SLpqa), 및 라인부(SLpqb)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됨으로써, 패드(PADpq)의 표면의 철부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패드 전극(PEpq)은 하나의 패드 컨택부(SLpqa), 패드 컨택부(SLpqa)의 일측에 위치한 일측 패턴, 및 패드 컨택부(SLpqa)의 타측에 위치한 타측 패턴과 각각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은 도 4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을 의미하고, 상기 타측은 도 4에서 제1 방향(DR1) 타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은 각각 라인부(SLpqb) 또는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패턴, 또는 상기 타측 패턴이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라인부(SLpqb)는 패드 컨택부(SLpqa)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패턴, 또는 상기 타측 패턴이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는 패드 컨택부(SLpqa)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은 인접한 신호 라인들과 분리된 플로팅(Floating) 전극일 수 있다. 이처럼, 일측 패턴과 타측 패턴은 각각 상부의 패드 전극(PEpq)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의 상부의 패드 전극(PEpq)과의 전기적 절연은 상기 절연층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층은 일측 패턴, 타측 패턴, 및 패드 컨택부(SLpqa)와 패드 전극(PEpq)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절연층의 컨택홀을 통해 패드 컨택부(SLpqa)와 패드 전극(PEpq)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은 각각 패드 전극(PEpq)과는 절연될 수 있다.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이 각각 패드 전극(PEpq)과 절연된다는 점에서,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은 각각 제1 비컨택 패턴, 및 제2 비컨택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신호 라인(SLpa)의 더미 분지 라인부(도 6의 "RE1a" 참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더미 분지 라인부는 인접한 라인부(SLpqb)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분지 라인부는 해당하는 패드 전극(PEpq)과 중첩하는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라인부(SLpqb)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 또는 더미 분지 라인부(도 6의 RE1a 참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의 조합은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이 각각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진 제1 조합,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이 각각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진 제2 조합,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진 제3 조합,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연결된 더미 분지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진 제4 조합,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연결된 더미 분지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더미 분리 라인부로 이루어진 제5 조합, 및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이 각각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연결된 더미 분지 라인부로 이루어진 제6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의 해당 패드(PADpq)와의 위치 관점에서,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 분지 라인부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의 해당 패드(PADpq)와의 길이 대소 관계의 관점에서,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의 제2 길이(L2)보다 크고,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들 모두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모두의 길이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의 제2 길이(L2)보다 크고,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들 모두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들의 길이는 모두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의 제2 길이(L2)보다 크고,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제4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는 해당 서브 패드 영역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의 제2 길이(L2)보다 크고,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제5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는 해당 패드(PADpq)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다른 하나의 길이는 해당 패드(PADpq)의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제6 조합의 경우,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모두는 해당 서브 패드 영역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 및 제2 방향(DR2)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제(2,1) 패드 전극, 제(2,1) 신호 라인,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및 제(4,2) 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a)는 상기 일측 패턴과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진 제3 조합의 경우를 예시한다.
도 5(a)에서는 제(2,1) 패드 전극(PE21), 제(2,1) 패드 컨택부(SL21a), 및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각각의 변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전극 변(PE21_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전극 변(PE21_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전극 변(PE21_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과 대향하는 제4 패드 전극 변(PE21_S4)을 포함하고, 제(2,1) 패드 컨택부(SL21a)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컨택부 장변(SL21a_L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컨택부 장변(SL21a_L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컨택부 장변(SL21a_L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을 포함하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1_L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1_LS1)과 대향하는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1_L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과 대향하는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2,1) 신호 라인(SL21)과 대응될 수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2,1) 신호 라인(SL21)의 제(2,1) 패드 컨택부(SL21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1) 라인부(SL21b)는 제(2,1) 패드 컨택부(SL21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술된 제(1,1) 패드 전극(PE11)의 타측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제(2,1) 라인부(SL21b)의 일부는 제(2,1) 패드 전극(PE21)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4,2) 라인부(SL42b)가 배치되고,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에 있어서, 상기 일측 패턴은 제(4,2) 라인부(SL42b)일 수 있고, 상기 타측 패턴은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일 수 있다. 제(4,2) 라인부(SL42b)와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2,1) 라인부(SL21b)와 정렬될 수 있다.
제(4,2) 라인부(SL42b)와 해당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1 패드 전극 변(PE21_S1) 간의 제7 이격 거리(d7)는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1_LS2)과 해당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2 패드 전극 변(PE21_S2) 간의 제8 이격 거리(d8)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을 따라 제(2,1) 패드 전극(PE21)을 등분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타측 패턴인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와 일측 패턴인 제(4,2) 라인부(SL42b)가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기준선(CL1)은 제(2,1) 패드 전극(PE21)을 제1 방향(DR1)으로 등분하는 가상의 선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영역에서 각각 표면에 철부를 가질 수 있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에 의한 제(2,1) 패드 전극(PE21)의 철부들이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하나의 패드 전극(PE21)과 구동 부재(D_IC) 간의 본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과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되어 제3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과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되어 제4 연장선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연장선과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 간의 제5 이격 거리(d5)는 상기 제4 연장선과 제4 패드 전극 변(PE21_S4) 간의 제6 이격 거리(d6)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5(e)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5(f)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5(g)는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우선,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2,1) 패드 컨택부(SL21a)보다 제2 방향(DR2) 일측에서 돌출된다는 점에서, 도 5(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은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보다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2,1) 패드 컨택부(SL21a)보다 제2 방향(DR2) 일측에서 돌출된다는 점은 도 5(b)와 동일하지만,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더 연장되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이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과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된다는 점에서 도 5(b)와 상이하다. 평면상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의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연장선과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의 사이에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면적과 제(4,2) 라인부(SL42b)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5(b), 및 도 5(c)에 의한 본 변형예들은 평면상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의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연장선과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3 패드 전극 변(PE21_S3)의 사이에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이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대칭인 제(4,2) 라인부(SL42b)의 면적과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 본딩 신뢰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2,1) 패드 컨택부(SL21a)보다 제2 방향(DR2) 타측에서 더 돌출된다는 점에서, 도 5(b)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2)은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보다 제4 패드 전극 변(PE21_S4)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2,1) 패드 컨택부(SL21a)보다 제2 방향(DR2) 타측에서 더 돌출되어,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2)이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과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된다는 점에서 도 5(c)와 상이하다.
평면상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의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연장선과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4 패드 전극 변(PE21_S4) 사이에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면적과 제(4,2) 라인부(SL42b)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2,1) 패드 컨택부(SL21a)보다 제2 방향(DR2) 타측에서 더 돌출된다는 점은 도 5(e)와 동일하지만,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1_SS1)은 제1 방향(DR1)에서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1)에 정렬된다는 점에서, 도 5(e)에 따른 변형예와 상이하다.
즉, 도 5(d) 내지 도 5(f)에 의한 본 변형예들은 평면상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의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연장선과 제(2,1) 패드 전극(PE21)의 제4 패드 전극 변(PE21_S4) 사이에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이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대칭인 제(4,2) 라인부(SL42b)의 면적과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 본딩 신뢰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5(g)를 참조하면,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으로부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돌출된 라인 돌출부(SL21a_PT)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라인 돌출부(SL21a_PT)는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21a_SS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라인 돌출부(SL21a_PT)의 제1 방향(DR1) 폭은 제(2,1) 라인부(SL21b)의 제1 방향(DR1) 폭(W5)과 동일할 수 있다. 라인 돌출부(SL21a_PT)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2 기준선(CL2)을 기준으로 제(2,1) 라인부(SL21b)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기준선(CL2)을 제(2,1) 패드 컨택부(SL21a)를 제2 방향(DR2)에서 등분하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라인 돌출부(SL21a_PT)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2 기준선(CL2)을 기준으로, 라인 돌출부(SL21a_PT)와 제(2,1) 라인부(SL21b)가 대칭을 이룸으로써, 본딩 신뢰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도 5(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6은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라인부(SLpqb)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해당 패드 컨택부(SLpqa)와 연결된 더미 분지 라인부(RE1a)로 이루어진 제4 조합의 경우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a)의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가 제1 더미 분지 라인부(RE1a)로 대체되었다는 점에서, 도 5(a)와 상이하다. 제1 더미 분지 라인부(RE1a)는 해당 제(2,1) 패드에 중첩하는 제(2,1) 패드 컨택부(SL21a)에 연결된 제(2,1) 라인부(SL21b)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a)는 도 4의 제(4,1) 패드 전극, 제(4,1) 신호 라인, 제4 더미 분리 라인부,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7(a)는 상기 일측 패턴, 및 상기 타측 패턴들 모두가 각각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로 이루어진 제2 조합의 경우를 예시한다.
도 7(a)에는 제(4,1) 패드 전극(PE41), 제(4,1) 패드 컨택부(SL41a), 및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 각각의 변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전극 변(PE41_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전극 변(PE41_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전극 변(PE41_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3 패드 전극 변(PE41_S3),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한 제4 패드 전극 변(PE41_S4)을 포함하고, 제(4,1) 패드 컨택부(SL41a)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컨택부 장변(SL41a_L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컨택부 장변(SL41a_L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컨택부 장변(SL41a_L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1),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1)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을 포함하고,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4_LS1, RE6_LS1),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4_LS1, RE6_LS1)과 대향하는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장변(RE4_LS2, RE6_LS2),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1, RE6_SS1),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하고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1, RE6_SS1)과 대향하는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2, RE6_SS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4,1) 신호 라인(SL41)과 대응될 수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4,1) 신호 라인(SL41)의 제(4,1) 패드 컨택부(SL41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가 배치되고,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가 배치될 수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에 있어서, 상기 일측 패턴은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일 수 있고, 상기 타측 패턴은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일 수 있다.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와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와 제1 패드 전극 변(PE41_S1) 간의 제7 이격 거리(d7)는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와 제2 패드 전극 변(PE41_S2) 간의 제8 이격 거리(d8)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의 제(4,1) 패드 전극(PE41)의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타측 패턴인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와 일측 패턴인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가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영역에서 각각 표면에 철부를 가질 수 있고,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에 의한 제(4,1) 패드 전극(PE41)의 철부들이 제1 기준선(CL1)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하나의 패드 전극(PE41)과 구동 부재(D_IC) 간의 본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1), 및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1, RE6_SS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되어 제3 연장선을 이룰 수 있고,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 및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2, RE6_SS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되어 제4 연장선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연장선과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1) 간의 제5 이격 거리(d5)는 상기 제4 연장선과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 간의 제6 이격 거리(d6)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고, 도 7(d)는 도 7(a)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우선, 도 7(b)를 참조하면,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가 제(4,1) 패드 컨택부(SL41a)보다 제2 방향(DR2) 일측에서 돌출된다는 점에서, 도 7(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의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1, RE6_SS1)들은 제1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1)보다 각각 제3 패드 전극 변(PE41_S3)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1, RE6_SS1)들은 제3 패드 전극 변(PE41_S3)과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가 제(4,1) 패드 컨택부(SL41a)보다 제2 방향(DR2) 타측에서 더 돌출된다는 점에서, 도 7(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의 제2 더미 분리 라인부 단변(RE4_SS2, RE6_SS2)은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보다 제4 패드 전극 변(PE41_S4)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으로부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돌출된 라인 돌출부(SL41a_PT)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a)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라인 돌출부(SL41a_PT)는 제2 패드 컨택부 단변(SL41a_SS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라인 돌출부(SL41a_PT)의 제1 방향(DR1) 폭은 제(4,1) 라인부(SL41b)의 제1 방향(DR1) 폭(W5)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라인 돌출부(SL41a_PT)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2 기준선(CL2)을 기준으로, 면적 기준에서 더미 분리 라인부(RE4, RE6)와 제(4,1) 신호 라인(SL41)이 대칭을 이룰 수 있어, 본딩 신뢰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각 행(Rm)과 열(Cn)에 배치된 패드(PADpq), 및 해당 패드(PADpq)와 중첩 배치되는 패드 컨택부(SLpqa),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 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1,1) 신호 라인(SL11)과 대응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1,1) 신호 라인(SL11)의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1) 라인부(SL11b)는 제(1,1) 패드 컨택부(SL11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1) 라인부(SL11b)의 일부는 제(1,1) 패드 전극(PE1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4,2) 라인부(SL42b)가 배치될 수 있고, 제(1,1) 패드 컨택부(SL11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2,1) 라인부(SL2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1) 패드 컨택부(SL11a)에 있어서, 제(4,2) 라인부(SL42b)가 일측 패턴에 해당되고, 제(2,1) 라인부(SL21b)가 타측 패턴에 해당되어, 제1 조합에 해당된다. 이하에서, 각 행(Rm)과 열(Cn) 별로 배치된 패드 컨택부(SLpqa)의 일측 패턴, 및 타측 패턴의 조합이 구분되면, 해당 조합의 해당 패드(PADpq)와의 위치, 및 해당 패드(PADpq)와의 길이 대소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된 바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2,1) 패드 컨택부(SL21a)와 연결된 제(2,1) 라인부(SL21b)는 제(1,1) 패드 컨택부(SL11a)의 타측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제(3,1) 패드 전극(PE31)은 제(3,1) 신호 라인(SL31)과 대응될 수 있다. 제(3,1) 패드 전극(PE31)은 제(3,1) 신호 라인(SL31)의 제(3,1) 패드 컨택부(SL31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1) 라인부(SL31b)는 제(3,1) 패드 컨택부(SL31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1) 라인부(SL31b)의 일부는 제(3,1) 패드 전극(PE31)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1) 패드 컨택부(SL31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4,2) 라인부(SL42b)가 배치될 수 있고, 제(3,1) 패드 컨택부(SL31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1) 패드 컨택부(SL31a)에 있어서, 제(4,2) 라인부(SL42b)가 일측 패턴에 해당되고,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가 타측 패턴에 해당되어, 제3 조합에 해당된다.
제(4,2) 라인부(SL42b)와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는 인접한 신호 라인들과 분리된 플로팅(Floating) 전극일 수 있다.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와 정렬될 수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4,1) 신호 라인(SL41)과 대응될 수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4,1) 신호 라인(SL41)의 제(4,1) 패드 컨택부(SL41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4,1) 라인부(SL41b)는 제(4,1) 패드 컨택부(SL41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1) 라인부(SL41b)의 일부는 제(4,1) 패드 전극(PE41)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가 배치될 수 있고, 제(4,1) 패드 컨택부(SL41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1) 패드 컨택부(SL41a)에 있어서,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가 일측 패턴에 해당되고,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가 타측 패턴에 해당되어, 제2 조합에 해당된다.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와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 및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는 각각 인접한 신호 라인들과 분리된 플로팅(Floating) 전극일 수 있다. 제4 더미 분리 라인부(RE4)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2 더미 분리 라인부(RE2)와 정렬될 수 있고, 제6 더미 분리 라인부(RE6)는제2 방향(DR2)을 따라 제(4,2) 라인부(SL42b)와 정렬될 수 있다.
제1 열(C1)에서 설명된 패드 전극(PEpq)들, 신호 라인(SLpq)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RE)의 배치는 다른 열(C2, C3, C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열(C2, C3, C4)에서, 제1 열(C1)에서 설명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2) 패드 전극(PE32)은 제(3,2) 신호 라인(SL32)과 대응될 수 있다. 제(3,2) 패드 전극(PE32)은 제(3,2) 패드 컨택부(SL32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2) 라인부(SL32b)는 제(3,2) 패드 컨택부(SL32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2) 라인부(SL32b)의 일부는 제(3,2) 패드 전극(PE32)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4,2) 패드 전극(PE42)은 제(4,2) 신호 라인(SL42)과 대응될 수 있다. 제(4,2) 패드 전극(PE42)은 제(4,2) 신호 라인(SL42)의 제(4,2) 패드 컨택부(SL42a)와 대체로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4,2) 라인부(SL42b)는 제(4,2) 패드 컨택부(SL42a)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2) 라인부(SL42b)의 일부는 제(4,2) 패드 전극(PE42)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4,2) 라인부(SL42b)는 제3 행(R3), 제2 행(R2), 및 제1 행(R1)의 제1 열(C1)에 위치한 패드 컨택부(SL31a, SL21a, SL11a)의 일측 패턴을 이룰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드 영역의 상세한 레이아웃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패드(PADpq)로서, 제(1,1) 패드(PAD11)와 제(2,1) 패드(PAD21)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해당 패드(PAD11, PAD21)와 대응되는 패드 컨택부, 라인부들, 및 더미 분리 라인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될 제(1,1) 패드(PAD11)와 제(2,1) 패드(PAD21), 및 해당 패드(PAD11, PAD21)와 대응되는 패드 컨택부, 라인부들, 및 더미 분리 라인에 대한 설명은 다른 패드(PADpq), 및 해당 패드(PADpq)와 대응되는 패드 컨택부, 라인부들, 및 더미 분리 라인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패드 영역(PA1) 상에 구동 부재(D_IC)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PADpq)들 상에는 각각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호 중첩하는 패드(PADpq)와 범프(BUMP)는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구동 부재(D_IC)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101), 및 베이스 기판(101)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층, 복수의 절연층,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101) 상의 버퍼층(102), 버퍼층(102) 상의 제1 절연층(161), 제1 절연층(161) 상의 패드 컨택부, 라인부들과 더미 분리 라인부, 및 패드 컨택부, 라인부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 상의 제2 절연층(162), 및 제2 절연층(162) 상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 상에 제2 절연층(162)이 배치되고, 제2 절연층(162)은 제(1,1) 패드 컨택부(SL11a)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컨택홀(CNT)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패드 컨택부(SL2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 상에 제2 절연층(16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62)은 제(2,1) 패드 컨택부(SL21a)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컨택홀(CN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와 제(4,2) 라인부(SL42b)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162)은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의 표면 단차를 컨포말(Conformal)하게 반영할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제2 절연층(162)은 표면에 철부를 포함하고, 제(1,1) 패드 컨택부(SL1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와 중첩 배치되지 않는 제2 절연층(162)은 표면에 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162)은 제(2,1) 패드 컨택부(SL2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의 표면 단차를 컨포말(Conformal)하게 반영할 수 있다. 제(2,1) 패드 컨택부(SL2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제2 절연층(162)은 표면에 철부를 포함하고, 제(2,1) 패드 컨택부(SL21a), 제(4,1) 라인부(SL41b), 제(3,1) 라인부(SL31b),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및 제(4,2) 라인부(SL42b)와 중첩 배치되지 않는 제2 절연층(162)은 표면에 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2 절연층(162) 상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에서 제(2,1) 라인부(SL21b), 제(4,2) 라인부(SL42b), 및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2,1) 라인부(SL21b), 제(4,2) 라인부(SL42b), 및 제(1,1) 패드 컨택부(SL11a)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2 절연층(162) 상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에서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제(4,2) 라인부(SL42b), 및 제(2,1) 패드 컨택부(SL21a)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1 더미 분리 라인부(RE1), 제(4,2) 라인부(SL42b), 및 제(2,1) 패드 컨택부(SL21a)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2 절연층(162)의 컨택홀(CNT)에서,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직접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2 절연층(162)의 표면 단차를 컨포말하게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연층(162)의 표면의 철부가 배치된 영역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되는 제(1,1) 패드 전극(PE11)은 표면에 철부를 포함하고, 제2 절연층(162)의 표면의 요부가 배치된 영역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되는 제(1,1) 패드 전극(PE11)은 표면에 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제(1,1) 패드 전극(PE11) 상에는 범프(BUMP)가 배치된다. 상호 중첩하는 제(1,1) 패드 전극(PE11)과 범프(BUMP)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과 범프(BUMP)는 서로 직접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과 범프(BUMP)의 직접적인 결합은 초음파 본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과 제(2,1) 패드 컨택부(SL21a)와의 연결 관계, 및 제(2,1) 패드 전극(PE21)의 표면 형상은 제(1,1) 패드 전극(PE11)과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의 연결 관계, 및 제(1,1) 패드 전극(PE11)의 표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1) 패드 전극(PE11), 및 범프(BUMP)의 초음파 본딩을 통한 직접적인 결합과 제(2,1) 패드 전극(PE21), 및 범프(BUMP)의 초음파 본딩을 통한 직접적인 결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특별하게 구분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2,1) 패드 전극(PE21), 및 범프(BUMP)의 초음파 본딩을 통한 직접적인 결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초음파 본딩 과정은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초음파 본딩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과 구동 부재 간 초음파 본딩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초음파 본딩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를 패드 전극(PE11') 위에 위치시키고 초음파 본딩 장치(500)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초음파 본딩 장치(500)는 진동 생성부(510), 진동 생성부(510)와 연결된 진동부(520), 진동부(520)의 진동폭을 증폭시키는 가압부(530), 진동부(520)와 연결된 진동 전달부(540), 및 지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생성부(510)는 전기적 에너지를 진동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진동부(520)는 진동 생성부(510)에서 변환된 진동 에너지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부(520)는 일정한 진동 방향을 갖고 소정의 진폭을 가지며 진동할 수 있다. 진동부(520)는 진동부(520)와 연결된 가압부(530)를 통해 상기 진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진폭이 증폭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540)는 진동부(520)의 진동을 구동 부재(D_IC)에 전달할 수 있다. 지지부(550)는 진동부(520)의 상면과 하면을 고정하여 상기 진동으로 진동부(520) 및 진동 전달부(540)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를 제(1,1) 패드 전극(PE11') 위에 위치시키고 초음파 본딩 장치(500)를 이용하여 일정한 가압하에 초음파 처리(Ultrasonic wave)를 행하면 계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부분적으로 용융될 수 있고, 동시에 각 성분들이 서로를 향해 확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와 함께,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 간 초음파 본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은 부분적으로 제(1,1) 패드 전극(PE11')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제(1,1) 패드 전극(PE11')이 포함하는 성분들은 부분적으로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로 확산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패드 전극(PE11)은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PE11b), 및 제(1,1) 패드 전극(PE11')이 포함하는 성분들로만 이루어진 영역(PE11a)을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는 제(1,1) 패드 전극(PE11')이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BUMPb), 및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로만 이루어진 영역(BUMPa)을 가질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의 범프(BUMP')의 성분이 확산된 영역(PE11b)과 범프(BUMP)의 제(1,1) 패드 전극(PE11')의 성분이 확산된 영역(BUMPb)에서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이 상호 접하며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직접 결합된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의 계면은 용융 및 응고를 거치면서 비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상호 성분들의 확산하면서 계면 부위에는 서로 다른 이종 물질들의 합금이 형성될 수 있다.
범프(BUMP)와 제(2,1) 패드 전극(PE21) 간 직접적인 결합으로,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과 마찬가지로, 제(2,1) 패드 전극(PE21)은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PE21b)을 가지고, 동시에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는 제(2,1) 패드 전극(PE21)이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BUMPb), 및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로만 이루어진 영역(BUMPa)을 가질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PE11)은 두께 방향에서 제(2,1) 라인부(SL21b), 제(4,2) 라인부(SL42b), 및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각각 표면에 철부를 가질 수 있고, 제(1,1) 패드 전극(PE11)과 중첩하는 제(2,1) 라인부(SL21b), 제(4,2) 라인부(SL42b), 및 제(1,1) 패드 컨택부(SL11a)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됨으로써, 제(1,1) 패드 전극(PE11)의 표면에 형성된 철부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1) 패드 전극(PE11)의 표면 철부들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패드 전극(도 8의 PEpq 참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각 패드 전극(PEpq)의 표면 철부들의 배열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되고, 각 패드 전극(PEpq)과 범프(BUMP) 간 본딩 면적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 패드 영역(도 7의 PA1 참조)에서, 패드 전극(PEpq)들과 구동 부재(D_IC)의 본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초음파 본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1) 패드 전극(PE11') 상에 배치되고, 초음파 본딩이 이루어질 때,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 사이의 공간, 및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PE11')의 측면들을 통해 유동(Flow)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범프(BUMP)의 측면들, 및 패드 전극(PE11, PE21)의 측면들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나아가,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각 패드 전극(PE11, PE21)과 범프(BUMP)의 사이 공간에도 배치될 수 있다. 각 패드 전극(PE11, PE21)과 범프(BUMP)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비도전 결합 부재(NCF)는 각각 패드 전극(PE11, PE21)와 범프(BUMP)와 직접 접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1) 패드 전극(PE11'')은 제(1,1) 패드 전극부(PE11''_1), 및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제(1,1) 패드 전극부(PE11''_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제(1,1) 패드 전극부(PE11''_1)의 일단부, 및 타단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제(1,1) 패드 전극부(PE11''_1)와 직접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범프(BUM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직접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범프(BUMP)와 초음파 본딩을 통해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부(PE11''_2) 간 직접적인 결합으로,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구동 부재(도 10의 D_IC' 참조)의 범프(도 10의 BUMP' 참조)가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PE11''_2b), 및 제(1,1) 패드 전극부(PE11''_2)가 포함하는 성분들로만 이루어진 영역(PE11''_2a)을 가지고, 동시에 구동 부재(D_IC)의 범프(BUMP)는 제(1,1) 패드 전극부(PE11''_2)가 포함하는 성분들이 확산된 일부 영역(BUMPb), 및 범프(BUMP')가 포함하는 성분들로만 이루어진 영역(BUMPa)을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었지만,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도 9에서 상술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1) 패드 전극(PE11''')은 도 13에 도시된 제(1,1) 패드 전극부(PE11''_1) 대신,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분리된 패드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는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와 중첩 배치된 메인 패드 패턴부(PE11''_1M), 및 메인 패드 패턴부(PE11''_1M)와 이격된 서브 패드 패턴부(PE11''_1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패드 패턴부(PE11''_1S)들은 제(2,1) 라인부(SL21b), 및 제(4,2) 라인부(SL42b)와 각각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제(1,1) 패드 전극부(PE11'''_1)의 메인 패드 패턴부(PE11''_1M)와 서브 패드 패턴부(PE11''_1S) 사이의 이격 공간(SP)에서, 제2 절연층(162)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격 공간(SP)에서, 범프(BUMP)와 제(1,1) 패드 전극부(PE11''_2)의 이격 거리를 보다 확보할 수 있어, 비도전 결합 부재(NCF)의 유동(Flow)을 보다 원할히 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제1 패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패드 영역(PA1) 상에 도 13에서 상술된 제(1,1) 패드 전극(PE11'')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01)은 그 위에 배치되는 각 층들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101)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기판(101) 상에 버퍼층(102)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02)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02)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예시된 물질들이 이루는 단일막이나 적층막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버퍼층(102) 상에는 반도체층(105)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이룬다. 반도체층(105)은 표시 영역(DA)의 각 화소(PX)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비표시 영역(NDA) 중 제1 패드 영역(PA1)에는 반도체층(105)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1 패드 영역(PA1)에도 반도체층(105)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 상에는 제1 절연층(16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61)은 대체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포함하는 베이스 기판(101)의 전체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61)은 게이트 절연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61)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61) 상에는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10a),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110b) 및 제(1,1) 신호 라인(SL11)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은 게이트 전극(110a)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10a),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110b) 및 제(1,1) 신호 라인(SL11)은 동일한 공정 하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은 각각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110) 상에는 제2 절연층(16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62)은 컨택홀(CNT)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홀(CNT)은 제(1,1) 패드 컨택부(SL11a)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절연층(162)은 제1 게이트 도전층(110)과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절연층(162)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62) 상에는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120a)은 제2 절연층(162)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10b)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110b)과 제2 전극(120a)은 제2 절연층(162)을 유전막으로 하는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룰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 상에는 제3 절연층(163)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3)은 제2 게이트 도전층(120)과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3 절연층(163)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63) 상에는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30a), 드레인 전극(130b), 전원 전압 전극(130c) 및 제(1,1) 패드부(PAD11''_1)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30a)과 드레인 전극(130b)은 제3 절연층(163), 제2 절연층(162) 및 제1 절연층(16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각각 반도체층(105)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는 제1 패드 영역(PA1)에 배치된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는 제(1,1) 패드 컨택부(SL11a)와 중첩하고 컨택홀(CNT)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의 상부에는 제1 비아층(171) 등이 적층되는데,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의 상부의 층들은 비표시 영역(NDA)의 제1 패드 영역(PA1)에는 배치되지 않아, 제(1,1) 패드 전극부(PE11''_1)를 노출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몰리브덴(Mo)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 상에는 제1 비아층(17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아층(171)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아층(171) 상에는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은 데이터 신호선(140a), 연결 전극(140b), 전원 전압 라인(140c), 및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선(140a)은 제1 비아층(17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3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140b)은 제1 비아층(17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3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전압 라인(140c)은 제1 비아층(17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전원 전압 전극(13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패드 전극부(PE11''_2)는 제(1,1) 패드 전극부(PE11''_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몰리브덴(Mo)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 상에는 제2 비아층(172)이 배치된다. 제2 비아층(172)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아층(172) 상에는 애노드 전극(150)이 배치된다. 애노드 전극(150)은 제2 비아층(172)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연결 전극(140b)과 연결되고, 그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3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0) 상에는 화소 정의막(164)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64)은 애노드 전극(15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64)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164)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50) 상면 및 화소 정의막(164)의 개구부 내에는 유기층(EL)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기층(EL)이 화소 정의막(164) 개구부 내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기층(EL)은 화소 정의막(164)의 개구부에서 화소 정의막(164) 상면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EL)은 유기 발광층(EL1), 정공 주입/수송층(EL2), 전자 주입/수송층(EL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정공 주입/수송층(EL2), 전자 주입/수송층(EL3)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각각 주입층과 수송층의 복수층이 적층될 수도 있다. 또, 정공 주입/수송층(EL2)과 전자 주입/수송층(EL3)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화소에 걸쳐 배치된 공통층일 수 있다.
유기층(EL)과 화소 정의막(164) 상에는 캐소드 전극(160)이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160)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유기층(EL) 상에는 박막 봉지층(18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18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180)은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막일 수 있다. 예컨대, 박막 봉지층(180)은 순차 적층된 제1 무기막(181), 유기막(182), 및 제2 무기막(183)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80) 상에는 터치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부재(200)는 정전용량 타입(electrostatic capacitive type)일 수 있다. 터치 부재(200)는 박막 봉지층(180) 상에 별도의 접착층 없이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접착층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라인들, 및 더미 분리 라인부들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변형예이고, 도 17은 도 16(a)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a)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신호 라인(SLpq_1)이 폭이 상이한 패드 컨택부(SLpqa_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신호 라인(SLpq_1)이 폭이 상이한 패드 컨택부(SLpqa_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더미 분리 라인부(RE1, RE2, RE3, RE4, RE5, RE6)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4와 상이하다.
패드 컨택부(SLpqa_1)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은 행(Rm)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행(R1)에 배치된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는 제4a 폭(W4a)을 갖고, 제2 행(R2)에 배치된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는 제4b 폭(W4b)을 갖고, 제3 행(R3)에 배치된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는 제4c 폭(W4c)을 갖고, 제4 행(R4)에 배치된 제(4,1) 패드 컨택부(SL41a_1)는 제4d 폭(W4d)을 가질 수 있다.
패드 컨택부(SLpqa_1)의 폭은 제2 방향(DR2)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b 폭(W4b)은 제4a 폭(W4a)보다 크고, 제4c 폭(W4c)은 제4b 폭(W4b)보다 크고, 제4d 폭(W4d)은 제4c 폭(W4c)보다 클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행(R2)에 배치된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는 도 16(a)의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보다 제(1,3) 라인부(SL13b)를 향해 더 확장될 수 있다. 제(3,3) 라인부(SL31b)를 향해 더 확장된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6의 제(2,1) 라인부(SL21b)가 배치된 영역까지 더 커버할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의 경우, 폭을 늘리면 인접한 제(2,1) 신호 라인(SL21_1)의 제(2,1) 라인부(SL21b)와 단락될 수 있지만,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경우, 인접한 제(3,1) 신호 라인(SL31_1)과 단락되지 않는 정도까지 폭을 늘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의 경우, 인접한 제(4,1) 신호 라인(SL41_1)과 단락되지 않는 정도까지 폭을 늘릴 수 있다.
제3 행(R3)에 배치된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에서 제(2,1) 라인부(SL21b)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해당 패드 컨택부(SLpqa_1)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인접 배치된 라인부(SLpqb)와 단락되지 않을 정도까지 패드 컨택부(SLpqa_1)의 폭을 늘림으로써, 패드 컨택부(SLpqa_1)와 해당 패드 전극(PEpq) 간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드(PADpq)의 전반적인 저항을 낮출 수 있다.
한편, 패드 컨택부(SLpqa_1)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은 패드 전극(PEpq)과 라인부(SLpqb)의 중첩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6(b)은 제(2,1) 라인부(SL21b)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라인부 연장선(SL21b_EL)과 제(4,2) 라인부(SL42b)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라인부 연장선(SL42b_EL)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도 7(a)의 SL41a_LS1 참조)과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 대비 제1 방향(DR1)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1 라인부 연장선(SL21b_EL)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제(2,1) 패드 전극(PE21)은 제(1,1) 패드 전극(PE11)과 달리, 제1 방향(DR1) 타측에서 라인부와 중첩 배치되지는 않지만,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가 제1 방향(DR1) 타측으로 더 확장됨으로써, 제(2,1) 패드 전극(PE21)의 표면 철부의 면적과 제(1,1) 패드 전극(PE11)의 표면 철부의 면적을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4b 폭(W4b)은 제4a 폭(W4a)보다 클 수 있다.
제(1,1) 패드 컨택부(SL1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과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1) 패드 컨택부(SL2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방향(DR1)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과 제(4,1) 패드 컨택부(SL41a_1)의 제2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제(4,1) 패드 컨택부(SL4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3,1) 패드 컨택부(SL3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 대비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1) 패드 컨택부(SL41a_1)의 제1 패드 컨택부 장변은 제2 라인부 연장선(SL42b_EL)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4,1) 패드 전극(PE41)은 제(3,1) 패드 전극(PE31)과 달리, 제1 방향(DR1) 일측에서 라인부와 중첩 배치되지는 않지만, 제(4,1) 패드 컨택부(SL41a_1)가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더 확장됨으로써, 제(4,1) 패드 전극(PE41)의 표면 철부의 면적과 제(3,1) 패드 전극(PE31)의 표면 철부의 면적을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4d 폭(W4d)은 제4c 폭(W4c)보다 클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 부재(D_IC)가 필름 재질의 기판(SUB_1)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COF)의 형태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 부재(D_IC)가 기판(SUB_1)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COF)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칩 온 필름(COF)은 기판(SUB_1), 및 기판(SUB_1) 상에 실장된 구동 부재(D_IC)를 포함할 수 있다. 칩 온 필름(COF)은 표시 장치(3)의 비표시 영역(NDA)의 제1 패드 영역(PA1_1)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 본딩 장치
10: 초음파 본딩부
20: 레이저부

Claims (20)

  1. 패드 컨택부 및 상기 패드 컨택부보다 제1 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인부를 포함하는 신호 라인 및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방향 일측으로 이격된 제1 비컨택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패드 컨택부 및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는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중첩 라인부, 및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 라인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 일측에 위치한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과 대향하는 제2 패드 전극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과 각각 이격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컨택 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패드 컨택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방향 타측으로 이격된 제2 비컨택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더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을 각각 지나가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비컨택 패턴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2 비컨택 패턴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위치한 제3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3 패드 전극 변과 대향하는 제4 패드 전극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3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4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중 어느 하나를 지나고 다른 하나와는 이격된 표시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컨택 패턴은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및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과 각각 이격된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1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비컨택 패턴과 상기 제2 패드 전극 변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3 도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패드 컨택부와 연결되는 메인 패드 전극부, 및 상기 메인 패드 전극부와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서브 패드 전극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 전극은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직접 접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패드 전극과 직접 연결되는 범프, 및 상기 범프와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직접 접하는 상기 제2 패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비도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갖는 제1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1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1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1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분리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인접 배치된 제2 패드로서,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제2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2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2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전극은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일측 패턴과 상기 제1 패드 컨택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1 타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2 패드 전극은 상기 제2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는 제2 일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 일측 패턴, 및 상기 제1 타측 패턴은 각각 상기 제1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일측 패턴은 상기 제2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일측 패턴과 상기 제2 일측 패턴은 물리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라인부, 및 상기 제2 패드 컨택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라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인부는 상기 제1 타측 패턴을 이루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는 제3 패드 컨택부와 상기 제3 패드 컨택부를 커버하는 제3 패드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드와 분리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인접 배치된 제3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드 전극은 상기 제3 패드 컨택부와 동일층에 위치하는 제3 일측 패턴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3 일측 패턴은 제3 패드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드 컨택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라인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전극, 상기 제2 패드 전극, 및 상기 제3 패드 전극의 크기는 동일한 표시 장치.
KR1020200090822A 2020-07-22 2020-07-22 표시 장치 KR20220012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22A KR20220012448A (ko) 2020-07-22 2020-07-22 표시 장치
CN202110811735.2A CN113972244A (zh) 2020-07-22 2021-07-1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22A KR20220012448A (ko) 2020-07-22 2020-07-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48A true KR20220012448A (ko) 2022-02-04

Family

ID=7958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22A KR20220012448A (ko) 2020-07-22 2020-07-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2448A (ko)
CN (1) CN1139722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9393A1 (de) * 2022-11-10 2024-05-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lbleiteranordnung mit einem schaltbaren halbleit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72244A (zh)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979B1 (ko) 표시 장치
KR102603403B1 (ko) 표시 장치
CN110491904A (zh) 显示设备
US11906859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10111682B (zh) 覆晶薄膜及显示装置
KR20200102622A (ko) 표시 장치
US20230301150A1 (en) Display device
KR20210041150A (ko) 표시 장치
KR20200110490A (ko) 표시 장치
KR102657249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91060A (ko) 표시 장치
KR20220012448A (ko) 표시 장치
CN113517262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10027704A (ko) 표시 장치
KR20210027700A (ko) 표시 장치
CN116347942A (zh) 显示装置
US20210399077A1 (en) Display device
US11302765B2 (en) Display device
KR102150839B1 (ko) 표시 장치
KR2020013055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2389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0827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27831A (ko) 표시 장치
US20220028962A1 (en) Display device
CN221043679U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