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404A - 건조 벌크용 버킷 - Google Patents

건조 벌크용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404A
KR20220011404A KR1020200090268A KR20200090268A KR20220011404A KR 20220011404 A KR20220011404 A KR 20220011404A KR 1020200090268 A KR1020200090268 A KR 1020200090268A KR 20200090268 A KR20200090268 A KR 20200090268A KR 20220011404 A KR20220011404 A KR 20220011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dry bulk
main body
spread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
Priority to KR102020009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404A/ko
Publication of KR2022001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86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rotating or wound around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벌크(dry bulk)의 운반에 이용되는 버킷(Bucket)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의 대향된 측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힌지 회동 가능한 한쌍의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단을 본체에 고정하여 힌지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 주연에 결합되어, 외부 크레인에 의한 리프팅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레더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벌크용 버킷은 작업 효율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비산먼지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벌크용 버킷{DRY BULK BUCKET}
본 발명은 건조 벌크(dry bulk)의 운반에 이용되는 버킷(Bucke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갈, 석탄, 곡물, 금속 분말 등의 분상(粉狀) 또는 입상(粒狀)의 건조 벌크(dry bulk) 또는 벌크 화물(bulk cargo)을 항만에서 선적 또는 하역하거나 물류지 간 운반하는 작업에는 건조 벌크를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해 박스형 버킷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건조 벌크용 버킷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의 경우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해 물품 내부로 건조 벌크를 배출하는 동작이 지면에서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작업 상황에 따라 항만 선적, 하역 또는 물류지 간 운반 작업에 수반하여 육상의 집하장 또는 야적장 지면에서 건조 벌크에 대한 별도의 적재 작업을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비산 먼지 발생량이 많아 주변 환경에 대한 심각한 오염원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버킷의 경우 크레인을 이용한 권상/권하 작업시 와이어 또는 샤클을 이용해 버킷을 크레인에 연결 및 분리하는 작업을 매번 반복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고 크레인과 버킷 간 불완전한 연결 상태로 인해 권상/권하 작업시 작업 안전성 또한 심각하게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효율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작업 과정에서 비산 먼지 발생량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는 건조 벌크용 버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요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의 대향된 측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힌지 회동 가능한 한쌍의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단을 본체에 고정하여 힌지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2) 상기 본체의 하부가 그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의 건조 벌크용 버킷.
(3) 상기 도어는 잠금수단은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건조 벌크용 버킷.
(4)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적재물이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의 건조 벌크용 버킷.
(5) 상기 슬라이더는 종단면 삼각 구조이고, 슬라이더의 경사면이 상기 도어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건조 벌크용 버킷.
(6) 상기 본체의 상단 주연에 결합되어, 외부 크레인에 의한 리프팅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레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의 건조 벌크용 버킷.
(7) 상기 본체와 상기 스프레더 간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 캐스팅 조립체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잠금과 해제가 전환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건조 벌크용 버킷.
(8) 상기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 사이에서 인접한 키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인접한 키 쌍의 스위칭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칭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9) 상기 스프레더는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 내부로 건조 벌크를 적재할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건조 벌크용 버킷.
(10) 상기 스프레더의 주연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레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레그 돌기는 상기 스프레더와 상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므로써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과 상기 스프레더의 보관시 지지대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건조 벌크용 버킷.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벌크에 대한 항만 선적 및 하역이나 물류지 간 운반 과정에서 중간에 야적장 또는 집하장에서의 별도의 적재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건조 벌크를 적재한 상태의 버킷을 직접적인 작업 대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적, 하역 및 운반 작업과 관련된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고 비산 먼지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버킷의 본체 하부 및 내부 구조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한 개선을 통해 건조 벌크를 배출하는 동작이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고도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비산 먼지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더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건조 벌크를 적재 및 배출하는 작업과 크레인을 이용해 권상 및 권하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스프레더와 버킷 간 탈장착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 및 작업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벌크용 버킷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버킷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 1의 버킷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버킷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버킷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벌크용 버킷의 사시도.
도 7은 스프레더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 6의 버킷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캐스팅 조립체의 동작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의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벌크용 버킷(10)(이하, '버킷(10)'으로 약칭함)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버킷(10)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 1의 버킷(10)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버킷(10)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버킷(10)의 동작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버킷(10)은 박스형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대향된 측부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에 대한 잠금수단(3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본체 프레임(110)에 본체 플레이트(120)가 용접된 구조이며, 이러한 본체(100) 구조에 의해 버킷(10)은 경량이면서도 내부에 적재된 건조 벌크(20)의 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갖고 견디기에 적합하다. 본체(100)의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며, 건조 벌크(2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적재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는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 하부의 경사진 구조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수단(300)의 해제에 따라 오픈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어(200)는 자중 또는 내부 적재된 건조 벌크(20)의 하중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힌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 코너에는 크레인(도면 미도시)에 의한 권상/권하 작업시 이용되는 홀더(610)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610)는 본체 프레임(110)에 용접된 형태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10)의 4군데 코너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610)는 버킷(10)을 크레인에 연결시 와이어, 샤클 등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지점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프레더(500)를 본체(100)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의 일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도 8 참고).
상기 홀더(6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부홀(614)은 와이어 또는 샤클 등이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코너 개스팅 조립체를 구성하는 키(620)의 동작 모습을 육안으로 점검할 때 활용될 수 있다. 홀더(610)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홀(612)은 장공 형태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를 구성하는 키(620)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본체(100) 내부에 적재된 건조 벌크(20)의 배출을 위한 개폐 수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본체(100)와 유사하게 도어 프레임(210)에 도어 플레이트(220)가 용접된 구조로서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강성은 갖게 된다.
상기 도어(200)는 본체(100)의 대향된 측부에 한 쌍으로 제공되며, 도어(200) 상단이 본체(100) 측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매달려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다. 이 경우 도어(200)가 본체(100)의 대향된 측부에 대칭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버킷(10)이 크레인에 의해 리프팅되어 매달려진 상태에서도 건조 벌크(20)는 본체(100) 내부로부터 오픈된 양쪽 도어(200)를 통해 외부로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고 수평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아 안전하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도어(200) 쌍이 대칭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서로 대칭된 설치 구조의 복수의 도어(200) 쌍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100) 측면 각각에 도어(200)가 구비됨으로써 개폐 수단이 2개의 도어(200) 쌍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도어(200)의 하단을 본체(100)에 고정하여 힌지 회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잠금수단(300)은 본체(100) 측부의 하단 모서리에 in/out 방식의 실린더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300)은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수동 장치 또는 리모콘(도면 미도시)으로 조정하여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벌크(20)를 버킷(10)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현장 작업자가 도어(200)를 본체(100)의 하부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지지한 상태에서 잠금수단(300)을 동작시켜 도어(200)를 잠그며, 건조 벌크(20)를 버킷(10)으로부터 배출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리프팅된 상태에서 리모콘 등을 이용해 실린던 형태의 잠금수단(300)을 동작시켜 도어(200)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잠금 해제시, 도어(200)는 자체 하중 및/또는 내부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힌지 회동함으로써 개방된다.
이 경우 본체(100)의 하부는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이고 도어(200)는 잠금 상태에서 경사져 있다가 잠금 해제에 따라 자중 또는 내부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힌지 회동하는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도어(200)의 힌지 회동 각도가 본체(100)로부터 바깥쪽으로 과도하게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대체로 중력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0)의 작은 각도 범위에서의 힌지 회동에 의해, 미세 먼지의 외부 비산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상태에서 건조 벌크(20)가 하방으로 부드럽게 유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0) 하부의 경사진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어(200)가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범위에서 힌지 회동하여 오픈되더라도 본체(100) 측면에는 내부 적재물이 적체되거나 또는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기에 충분한 배출구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킷(10)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적재물의 용이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400)는 판상 플레이트가 종단면 삼각 구조를 갖도록 절곡됨으로써 양쪽으로 대칭된 경사면을 갖는다. 슬라이더(400)는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경사면이 도어(200) 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고정된다. 도어(200)가 오픈되면, 본체(100) 내부의 건조 벌크(20)는 적체나 막힘 없이 슬라이더(400)의 경사면을 따라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경사면의 각도는 건조 벌크(20)의 종류를 고려하여 용이한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본체(100) 내부의 적재 공간을 과도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벌크용 버킷(10)의 사시도, 도 7은 스프레더(5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 6의 버킷(10)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의 동작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00)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킷(10)은 크레인에 의한 권상/권하 작업시 이를 보조하기 위한 스프레더(5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 코너에는 크레인에 의한 권상/권하 작업시 이용되는 홀더(610)가 구비될 수 있지만, 이 경우 홀더(610)를 매개로 하여 현장 작업자가 매번 와이어 또는 샤클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또한 불완전한 연결 작업에 따른 위험도가 상존할 수 있지만, 스프레더(500)를 매개로 하여 크레인에 의한 권상/권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레더(500)는 결합될 본체(100)의 상부 평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프레더(500)는 바람직하게는 트러스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0)에 스트레더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건조 벌크(20)를 버킷(10)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레더(500)는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경자진 하부에서 도어(200)의 오픈 동작에 따라 적재물 배출이 자연스럽게 유도되기 때문에, 스프레더(500)가 장착되어어 크레인에 매달여 있는 상태에서도 건조 벌크(20)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레더(500)의 상면 코너 각각에는 크레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연결 후크가 결려질 수 있 걸림부(520)가 구비되어 있고, 버킷(10)에 대한 권상/권하 작업시 스프레더(500)의 걸림부(520)는 크레인의 연결 후크에 상시 연결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트레일러 등을 이용해 적재물이 비워지거나 채워진 버킷(10)이 크레인의 작업 영역으로 운반되면, 권상/권하 작업에 수반해 크레인의 연결 후크에 미리 연결되어 있는 스프레더(500)를 버킷(10)의 본체(100)에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킷(10)에 대한 와이어 또는 샤클의 번거로운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더(500)와 버킷(10) 간 연결은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를 이용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는 홀더(610); 및 키(620);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0) 상면의 4개의 코너에 용접된 형태로 제공되며 크레인에 연결시 와이어 또는 샤클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지점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레더(500)를 포함한 버킷(10)에서는 본체(100)와의 연결을 위한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의 일부를 구성하는 홀더(610)의 경우, 그 상면에 구비되는 장공 형태의 상부홀(612)은 키(620)가 삽입 및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용된다.
상기 코너 캐시팅 조립체의 다른 요소인 키(620)는 본체 프레임(110) 상면 코너에 제공되는 각각의 홀더(610)에 대응될 수 있도록 스프레더(500) 하면의 4개의 코너 각각에 용접된 형태로 제공된다. 각각의 키(620)는 하우징(621);과 스위칭 레버(622);로 구성된다. 하우징(621)은 측부 일부가 개방된 구조이고, 스위칭 레버(622)는 그 일단이 하우징(621) 내부에서 피봇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스위칭 레버(622)의 일단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621)의 개방된 측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하우징(621) 내부에서 피봇 지지되는 스위칭 레버(622)의 타단에는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스위칭 레버(622)의 피봇축 연장 방향으로 쐐기부(6221)가 일체 형성되어 하우징(62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쐐기부(6221)는 홀더(610)에 마련된 장공 형태의 상부홀(612)에 특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부홀(6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위칭 레버(622)를 회전시키면 상호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홀더(610)와 키(620)가 상호 연결 고정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현장 작업자는 스위칭 레버(622)의 전환 동작에 따라 피봇 회전하는 쐐기부(6221)의 정렬방향을 홀더(610)의 측부홀(614)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를 구성하는 홀더(610)와 키(620)를 이용하게 되면, 크레인에 미리 연결된 스프레더(500)를 본체(100) 상부로 운반하고 키(620)와 홀더(610)가 상호 정렬되도록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에서 키(620)의 스위칭 레버(622)를 피봇 전환하는 한번의 단순 동작만으로 스프레더(500)와 본체(100) 간 연결 및 분리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을 이용한 버킷(10)에 대한 권상/권하 작업 관련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또한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를 매개로 한 스프레더(500)와 본체(100) 간 연결 구조가 무게 균형을 갖고 견고하기 때문에 권상/권하 작업시 안전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더(500)의 하면 주연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레그 돌기(510)가 구비될 수 있다. 레그 돌기(510)는 스프레더(500)와 본체(100)가 간 결합시 본체(100)의 테두리를 감싸므로써 이탈을 억제하고 정렬을 보조하는 역할과 함께 스프레더(500)의 보관시 지지대 역할을 겸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600) 사이에서 인접한 키(620)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인접한 키(620) 쌍의 스위칭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칭 연결바(630)를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연결바(630)의 양 단부는 인접한 키(620) 쌍 각각의 스위칭 레버(622)에 피복 연결되고, 작업자가 스위칭 연결바(630)을 좌우로 움직임이는 한 번의 동작에 연동하여 인접한 키(620) 쌍의 스위칭 레버(622)가 동시에 잠금 및 해제 간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스프레더(500)와 본체(100) 간 착탈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10)을 이용해한 건조 벌크(20)의 선적 작업의 경우, 먼저 공 버킷(10)을 T/C 트레일러에 상차한 상태에서 적재 창고에서 건조 벌크(20)를 적재하고 권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크레인에 미리 연결되어 있는 스프레더(500)를 T/C 트레일러에 상차된 버킷(10)에 연결하여 리프팅 하여 모선 HOLD내 입고시킨다. 다음으로, 버킷(10)이 크레인에 매달려 모선 HOLD의 바닥 근방에 놓여진 상태에에서 버킷(10)의 잠금수단(300)을 작동시켜 도어(200)를 오픈하여 건조 벌크(20)를 버킷(10)으로부터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어(200)가 잠금수단(300)에 의해 클로즈된 공 버킷(10)을 크레인으로 리프팅하여 T/C 트레일러에 상차한 후 건조 벌크(20)의 적재를 위해 적재 창고로 이동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한편 건조 벌크(20)의 양하 작업은 이와 반대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공 버킷(10)을 T/C 트레일러에 상차하여 권하로 이동하면 크레인에 연결된 스프레더(500)를 T/C 트레일러에 상차된 버킷(10)에 연결하여 모선 HOLD 내로 리프팅하여 바닥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스프레더(5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건조 벌크(20)를 적재하고 적재된 버킷(10)을 리프팅하여 T/C 트레일러에 상차하면 건조 벌크(20)의 보관을 위해 적재창고로 이동한다. 창고 내에서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배출시키고 공 버킷(10)을 상차하여 권하로 이동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벌크(20)에 대한 항만 선적 및 하역이나 물류지 간 운반 과정에서 중간에 야적장 또는 집하장에서의 별도의 적재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건조 벌크(20)를 적재한 상태의 버킷(10)을 직접적인 작업 대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적, 하역 및 운반 작업과 관련된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고 비산 먼지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버킷(10)의 본체(100) 하부 및 내부 구조와, 도어(2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개선을 통해 건조 벌크(20)를 배출하는 동작이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저고도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비산 먼지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더(5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건조 벌크(20)를 적재 및 배출하는 작업과 크레인을 이용해 권상 및 권하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스프레더(500)와 버킷(10) 간 탈장착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 및 작업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버킷
100: 본체
110: 본체 프레임
120: 본체 플레이트
200: 도어
210: 도어 프레임
220: 도어 플레이트
300: 잠금수단
400: 슬라이더
500: 스프레더
510: 레그 돌기
520: 걸림부
600: 코너 캐스팅 조립체
610: 홀더
612: 상부홀
614: 측부홀
620: 키
621: 하우징
622: 스위칭 레버
6221: 쐐기부
630: 스위칭 연결바
20: 건조 벌크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의 대향된 측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힌지 회동 가능한 복수의 도어 쌍; 및
    상기 도어의 하단을 본체에 고정하여 힌지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가 그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적재물이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종단면 삼각 구조이고, 슬라이더의 경사면이 상기 도어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주연에 결합되어, 외부 크레인에 의한 리프팅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레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스프레더 간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 캐스팅 조립체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잠금과 해제가 전환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 캐스팅 조립체 사이에서 인접한 키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인접한 키 쌍의 스위칭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칭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 내부로 건조 벌크를 적재할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의 주연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레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레그 돌기는 상기 스프레더와 상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므로써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과 상기 스프레더의 보관시 지지대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벌크용 버킷.
KR1020200090268A 2020-07-21 2020-07-21 건조 벌크용 버킷 KR20220011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68A KR20220011404A (ko) 2020-07-21 2020-07-21 건조 벌크용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68A KR20220011404A (ko) 2020-07-21 2020-07-21 건조 벌크용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404A true KR20220011404A (ko) 2022-01-28

Family

ID=8005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68A KR20220011404A (ko) 2020-07-21 2020-07-21 건조 벌크용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4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865B2 (en) Cargo basket
WO2011111925A2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US6920963B2 (en) Apparatus having vertically movable personnel cages for a spreader
CN103764538A (zh) 改进的吊具及其用途
US202102141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ulk materials
US9132994B2 (en) Method for loading oversized merchandise onto a container ship
KR20220011404A (ko) 건조 벌크용 버킷
US2823061A (en) Self-dumping bucket
JP2001253682A (ja) バラ荷の荷役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バラ荷の荷役方法
US7278546B2 (en) Removable cover assembly with pivoting covers and hoisting pins
JP2014097673A (ja) ダンプトラックへの箱型コンテナの着脱機構
AU2022235542A1 (en) Freight container
CN110254973A (zh) 一种集装箱
WO2001023280A1 (fr) Contenant a fond ouvrant
CN1535906A (zh) 货物集装箱
KR200485150Y1 (ko) 하역 용기 장치
CN215754261U (zh) 自卸式料斗
GB2574858A (en) Palletised goods transportation apparatus
RU2059554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CN212559131U (zh) 一种集装箱空中翻转卸料专用吊具
EP3305709B1 (en) A system for transporting and unloading containers for goods, in particular for bulk material, a container and a container spreader
SU1087452A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02883U (ko)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JP3638916B2 (ja) コンテナ式塵芥車用コンテナ
JPH03408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