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50Y1 - 하역 용기 장치 - Google Patents

하역 용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150Y1
KR200485150Y1 KR2020170003732U KR20170003732U KR200485150Y1 KR 200485150 Y1 KR200485150 Y1 KR 200485150Y1 KR 2020170003732 U KR2020170003732 U KR 2020170003732U KR 20170003732 U KR20170003732 U KR 20170003732U KR 200485150 Y1 KR200485150 Y1 KR 20048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losing
outle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선일터미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터미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터미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30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from one utilisation sit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09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618Skips, hoppers or simila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역 용가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하역 용기 장치는, 바닥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화물(W)을 담는 용기로서, 좌우방향 양측의 측면 벽(101, 101)과 중앙의 바닥 벽(103) 사이에 좌우의 출구 벽(102, 102)을 가지며, 상기 좌우의 출구 벽(102, 102)에 각각 출구(104, 104)가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출구(104, 104) 위쪽의 출구 벽(102, 102) 부분에 상단이 힌지 기구(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되어, 상기 출구(104, 104)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 110); 상기 개폐 도어(110, 110)를 회동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 101)에 장착되는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 하역 크레인의 인상 줄(160)을 걸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상 고리(140);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키며, 착지 면으로부터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회동 궤적까지의 여유 높이(H)를 확보할 수 있는 연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둘레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는 안착용 지주(150);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용기 본체(100)에 탑재되는,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역 용기 장치{BUCKET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본 고안은 크레인에 매달아 사용하는 하역 용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탄이나 곡물과 같은 입자나 분말 상태의 화물의 하역 작업을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분진을 최소화하며, 하역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석탄, 자갈, 모래, 곡물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입자 상태 그대로 선박에 실린 화물을 육상이 하역장으로 옮길 때에는, 선박이나 항만에 설비된 크레인에 하역 망 또는 천, 버킷, 그랩, 컨테이너 등과 같은 운반도구를 매달고, 그 운반도구에 화물을 담아 선박으로부터 하역장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는, 운반도구로서 질긴 천을 사용해 보자기 형태로 만든 하역 망을 사용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하역 망의 모서리에 인양 고리를 부착하고, 인양 고리에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를 연결한 것으로, 하역 망에 화물을 담아 와이어 로프를 들어올려 하역 망의 모서리를 당기는 것에 의해 주머니 모양을 만들어 화물을 감싸 안는 형태이다.
이러한 하역 망 형태의 운반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말이나 입자 상태의 화물이 유실되거나 분진(예; 석탄가루)이 날려 화물 손실과 함께 작업환경을 악화시키고 주변 하역장을 오염시킨다.
또한, 하역 망을 옮기는 과정에서 화물이 낙하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설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또한, 하역 망을 사용할 때에는, 하역장에 설치된 대형 호퍼에 하역 망에 담긴 화물을 쏟고, 대형 호퍼의 슈트 아래에 운송 차량을 진입시켜 적재한다. 따라서, 대형 호퍼 시설을 추가로 이용하여야 하고, 선박으로부터 운반차량에 적재하기까지 호퍼에 담는 중간 단계의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하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6에는, 그랩(grab) 형 운반도구에 대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랩 형 운반도구는, 두 개의 버킷을 마주보게 연결한 그랩을 와이어 로프에 의해 크레인에 매달고, 별도의 조작 와이어를 통해 그랩을 집게 형태로 작동시켜 분말이나 입자형 또는 철 스크랩 등을 긁어 담는 것이다.
이러한 그랩 형 운반도구는, 두 개의 마주보는 버킷을 오므리면서 화물을 긁어 모으는 형태의 운반도구이므로, 특허문헌 1 및 2와 마찬가지로, 많은 양의 화물을 잡지 못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그랩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화물의 분진(예; 석탄가루)이 날리거나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그랩 형 운반도구는, 두 개의 마주보는 버킷을 오므려서 화물을 긁어 모을때, 두 버킷의 맞닿는 면에 화물이 끼어 틈새가 벌어지거나,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바닥 부분 중앙의 맞닿는 날 끝 부분이 마모되어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분진(예; 석탄 가루)이 날리고 화물의 유실이 심하고, 그랩을 옮기는 과정에서 화물이 낙하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설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또한, 화물을 담은 그랩은 바닥에 내려놓고 열 수가 없어, 그랩을 일정 높이로 매단 상태에서 그랩을 열어 쏟아 내야 하기 때문에, 운반차량에 직접 상차(上車) 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허문헌 1 및 2에서처럼 대형 호퍼를 이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선박으로부터 운반차량에 적재하기까지 호퍼에 담는 중간 단계의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며, 이에 따라 하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7에는, 용기 형태의 바스켓을 운반도구로 활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바스켓은, 용기의 바닥 부분을 양쪽으로 분할하여 서로 마주보며 개폐되는 버킷 형태의 분할 개폐식 바닥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바스켓은, 마주보는 두 분할 개폐식 바닥부의 버킷을 오므리는 과정에서, 특허문헌 3 내지 6의 그랩과 마찬가지로, 두 버킷의 맞닿는 면에 화물이 끼어 틈새가 벌어지거나,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바닥 부분 중앙의 맞닿는 날 끝 부분이 마모되어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분진(예; 석탄 가루)이 날리고 화물의 유실이 심하며, 바스켓을 옮기는 과정에서 화물이 낙하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설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또한, 화물을 담은 바스켓은 바닥에 내려놓고 열 수가 없어, 바스켓을 일정 높이로 매단 상태에서 열어 화물을 쏟아 내야 하기 때문에, 운반 차량에 직접 상차 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특허문헌 3 내지 6의 그랩처럼 대형 호퍼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선박으로부터 운반차량에 적재하기까지 호퍼에 담는 중간 간계의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하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바스켓의 분할 개폐식 바닥부는, 양쪽의 버킷 사이의 중앙 부분에 회동 힌지점을 마련하고, 양쪽 버킷의 바깥쪽에 조작 와이어를 연결한 형태로서, 복잡한 조작 와이어 구조물을 구비하여야만 하며, 크레인 운전자는 레버를 복잡하게 움직여야 하므로 숙련된 운전자에게도 조작이 어렵다.
또한, 조작 와이어를 바스켓에 항상 연결한 상태로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 하나에 하나의 바스켓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고, 바스켓에 화물을 담는 작업과 바스켓을 이동시켜 화물을 쏟는 작업을 병행하여 진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바스켓에 화물을 담는 동안, 먼저 화물을 담아 둔 바스켓을 운반하여 하역할 수 없기 때문에, 하역 작업에 시간이 많이 들고 하역 능률이 떨어진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241호 공보 일본 특허 제5529460호 공보 공개실용신안 실1999-006142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51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267275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30176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6899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38585호 공보
따라서, 본 고안은 전체 하역 과정에서 분진 발생이나 화물의 유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선박으로부터 운반차량에 직접 상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하역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역 용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는, 바닥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화물(W)을 담는 용기로서, 좌우방향 양측의 측면 벽(101, 101)과 중앙의 바닥 벽(103) 사이에 좌우의 출구 벽(102, 102)을 가지며, 상기 좌우의 출구 벽(102, 102)에 각각 출구(104, 104)가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출구(104, 104) 위쪽의 출구 벽(102, 102) 부분에 상단이 힌지 기구(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되어, 상기 출구(104, 104)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 110); 상기 개폐 도어(110, 110)를 회동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 101)에 장착되는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 하역 크레인의 인상 줄(160)을 걸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상 고리(140);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키며, 착지 면으로부터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회동 궤적까지의 여유 높이(H)를 확보할 수 있는 연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둘레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는 안착용 지주(150);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용기 본체(100)에 탑재되는,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 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서, 상기 출구 벽(102)은 상기 측면 벽(101)으로부터 상기 바닥 벽(10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서, 상기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기 용기 본체(100)의 좌우방향 중앙 부분인 상기 바닥 벽(103)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서,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과 개폐 도어(110)에 양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131a)와 피스톤(131b)으로 이루어지는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서, 상기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함체(202) 내부에,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의 유압 실린더(131a)에 유압을 제공하는 파워 팩(204); 전력 공급용 배터리 모듈(206);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파워 팩(204)을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작동시키도록 제어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 을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131a)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에 장착된 피벗 지지대(132)에 피벗 축(13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131b)은 상기 개폐 도어(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피벗 연장부(134)에 연결축(1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에 의하면, 하역 용기 장치의 운반 과정에서, 화물은 용기 본체 내에 담겨 있다. 또한, 개폐 도어가 출구 둘레의 출구 벽에 면 대 면으로 맞닿아 닫는 형태이므로, 종래의 그랩 형 운반 기구와 달리, 개폐 도어와 출구 벽 사이에 화물이 끼일 염려가 없고, 마모에 의해 틈새가 발생할 염려가 없어 밀폐가 우수하다. 따라서, 운반 도중에 화물의 유실이나 분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는, 그것의 한쪽 단부가 힌지 기구에 의해 출구 벽에 힌지 고정되어, 힌지 기구를 중심으로 단순한 궤적을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개폐 동작이 단순하고 확실하다.
또한, 하역 용기 장치가 복수의 안착용 지주를 구비하므로, 하역 용기 장치를 인상 줄에 매달지 않더라도, 그 자신이 안정적인 자세로 선박이나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안착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대형 호퍼를 사용하지 않고 운반차량에 직상차 할 수 있으므로 하역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하역 용기 장치를 바닥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개폐 도어를 열기 때문에, 화물이 매우 낮은 높이에서 적재함 바닥에 쏟아지는 한편, 그것에 연속하여 하역 용기 장치를 서서히 끌어올리면서 나머지 화물이 천천히 쏟아지므로, 화물(W)을 부리는 과정에서 분진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와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이 용기 본체에 탑재되어 하역 용기 장치 자체에서 개폐 도어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외부에서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가 전혀 필요가 없고 상시 연결해 둘 필요도 없는 한편, 인상 줄을 풀더라도 안착용 지주를 통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인상 줄을 풀어 크레인에 매달지 않은 상태에서도 무선 제어를 통해 개폐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복수의 하역 용기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에 화물을 담는 동안, 이미 화물을 담은 다른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를 인상 줄에 걸어 운반 차량에 하역하는 병행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연속 하역이 가능해지고 하역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출구 벽이 측면 벽으로부터 바닥 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므로, 출구가 아래쪽과 바깥쪽을 함께 마주하는 형태가 되므로, 화물이 직하방으로 곧장 쏟아져 내리지 않고 외측 하방으로 쏟아져 내림으로써, 초기에 화물을 부릴 공간적 여유가 생기는 한편, 개폐 도어의 회동 궤적을 짧게 구성하여도 출구의 완전 개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좌우 양쪽의 개폐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의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의 하역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지시한 방향을 하나의 예시로서 가정한 것이지, 이것이 실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2)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좌우 양쪽의 개폐 도어(110)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2)는, 용기 본체(100), 개폐 도어(110), 힌지 기구(120),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인상 고리(140), 안착용 지주(150), 그리고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100)는, 바닥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화물(W)을 담는 용기이다. 즉, 측변 둘레와 바닥은 막혀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서, 위로부터 화물(W)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 본체(100)는, 좌우방향 양측의 측면 벽(101, 101)과 중앙의 바닥 벽(103) 사이에 좌우의 출구 벽(102, 102)을 가진다. 좌우의 출구 벽(102, 102)에는 각각 출구(104, 104)가 형성되어, 내부에 담긴 화물(W)을 좌우 양쪽의 출구(104, 104)로부터 아래로 쏟아낼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본체(100)는, 정육면체 형태, 직육면체 형태, 원통 형태, 육각통 형태 등,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 형태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개폐 도어(110, 110)는 각 출구(104, 104)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도어(110, 110)는, 위쪽의 출구 벽(102, 102) 부분에 상단이 힌지 기구(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되어 있다. 즉, 힌지 기구(120)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동하면 출구(104)를 막게 되고, 외측으로 회동하면 출구(104)를 열게 된다.
출구(104)는 출구 벽(10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출구 벽(10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 벽(102)은, 측면 벽(101)으로부터 바닥 벽(10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 벽(102)이 측면 벽(101)으로부터 바닥 벽(103)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면, 출구(104)가 아래쪽과 바깥쪽을 함께 마주하는 형태가 되므로, 화물(W)이 직하방으로 곧장 쏟아져 내리지 않고 외측 하방으로 쏟아져 내림으로써, 초기에 화물(W)을 부릴 공간적 여유가 생기는 한편, 개폐 도어(110)의 회동 궤적을 짧게 구성하여도 출구(104)의 완전 개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폐 도어(110)는, 그것의 한쪽 단부가 힌지 기구(120)에 의해 출구 벽(102)에 힌지 고정되어, 힌지 기구(120)를 중심으로 단순한 궤적을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개폐 동작이 단순하고 확실하다.
또한, 개폐 도어(110)는 출구(104) 둘레의 출구 벽(102)에 면 대 면으로 맞닿아 닫는 형태이므로, 종래의 그랩 형 운반 기구와 달리, 개폐 도어(110)와 출구 벽(102) 사이에 화물(W)이 끼일 염려가 없고, 마모에 의해 틈새가 발생할 염려도 없어 밀페가 우수하다. 따라서, 화물(W)의 유실이나 분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힌지 기구(120)는, 출구 벽(102)에 고정되는 힌지 브래킷(121), 개폐 도어(110)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용 연장부(122), 힌지용 연장부(122)를 힌지 브래킷(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축(123)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는, 개폐 도어(110)를 회동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기구이다.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는,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에 장착되어 개폐 도어(110)를 회동 작동시킨다.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에서, '실장(實裝)'은, 개폐 도어(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기구를 용기 본체(100)에 직접 장착해 두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어떤 기구(예; 제어 케이블)에 의해 동작을 받아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도움 없이 독립된 하역 용기 장치(2) 내에서 용기 본체(100)에 부착된 그대로 작동하여 개폐 도어(110)를 개폐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폐 도어(110)를 작동시키는 기구의 구성과 조작이 단순해진다.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는, 유압 실린더(131a)와 피스톤(131b)으로 이루어져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 기구(131)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실린더 기구(131)는,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과 개폐 도어(110)에 양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압은, 후술하는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로부터 공급받는다.
유압 실린더 기구(131)의 유압 실린더(131a)는,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에 장착된 피벗 지지대(132)에 피벗 축(13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되고, 피스톤(131b)은 개폐 도어(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피벗 연장부(134)에 연결축(1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 기구(131)와 개폐 도어(110)의 원활한 작동 및 행정 길이를 짧게 구성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 기구(131)는, 측면 벽(101)의 전후방향 중간 부분에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오목 영역(105)을 형성하고, 이 오목 영역(105)에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상 고리(140)는, 하역 크레인의 인상 줄(160)을 걸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100)의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장착된다. 인상 고리(140)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인상 고리(140)는, 인상 줄(160)을 걸기 위한 걸림 구멍(141)을 구비한다.
안착용 지주(150)는, 용기 본체(100)의 둘레의 복수 지점에서 용기 본체(100)의 아래로 연장된 길이를 갖고 설치된다. 안착용 지주(150)는, 용기 본체(100)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착용 지주(150)는, 착지 면으로부터 개폐 도어(110)의 회동 궤적까지의 여유 높이(H)(도 3 참조)를 확보할 수 있는 연장 길이를 가진다. 안착용 지주(150)는 용기 본체(10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용 지주(150)에 의해, 용기 본체(100)를 선박의 화물창이나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8을 포함하는 종래의 운반 수단은, 인상 줄에 매달지 않고서는 그 자체로 바닥에 착지시킬 수 없디. 즉, 착지시키면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며, 어떤 경우에는 버킷이나 개폐 부분이 바닥에 착지하여 열기가 불가능하거나 어렵다.
또한, 안착용 지주(15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개폐 도어(110)의 궤적까지 여유 높이(H)가 확보되므로, 개폐 도어(110)의 개폐 동작에 어떤 방해도 없이 자연스럽게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용기 본체(100)를 안착용 지주(150)를 통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와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이 독립적으로 용기 본체(100)에 탑재되는 형태여서 종래와 같은 조작 와이어를 상시 설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수의 하역 용기 장치(2)를 선박의 화물창에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두고,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2)에 화물(W)을 담는 동안, 이미 화물(W)을 담은 다른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2)를 인상 줄에 걸어 운반 차량에 하역할 수 있으므로, 병행 작업이 가능하여 하역 시간을 절약하고 연속 작업이 가능해져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무선 제어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그 제어 명령에 따라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용기 본체(100)에 직접 탑재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100)에 직접 탑재되어 작업자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명령을 하달받으면서, 외부와 어떤 기구적인 연결 없이 독립적으로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를 작동시킨다.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도 3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용기 본체(100)의 좌우방향 중앙 부분인 바닥 벽(103)에 탑재된다. 그러면,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의 출구 벽(102, 102)에 출구(104, 104)가 형성된다.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좌우의 출구(104, 104)로 화물(W)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함체(202) 내부에,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의 유압 실린더(131a)에 유압을 제공하는 파워 팩(204)과, 전력 공급용 배터리 모듈(206)과,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및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파워 팩(204)을 통해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작동시키도록 제어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을 내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파워 팩(204)은,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의 출력을 적절하게 감속하는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며, 배터리 모듈(206)은 유압 펌프와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처럼, 파워 팩(204), 배터리 모듈(206) 및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이 하나의 함체(202)에 내장된 하나의 모듈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하역 용기 장치(2)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2)를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 하역장의 운반차량에 화물(W)을 옮겨 싣는 바람직한 작업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하역 용기 장치(2)의 하역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병행 참조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하역 용기 장치(2)에서, 좌우의 개폐 도어(110)를 모두 닫은 상태(도 3에서 우측의 개폐 도어(110)와 같은 상태)에서, 하역 용기 장치(2)를 선박의 화물창에 내려놓고 용기 본체(100) 안에 화물을 담는다. 용기 본체(100)는, 인상 줄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차제 그대로 안착용 지주(150)에 의해 화물차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하게 된다.
용기 본체(100)에 화물(W)을 담은 후에는, 인상 고리(140)에 크레인의 인상 줄(160)(예; 인살 줄의 훅)을 걸고 하역장에 대기하는 운반차량으로 운반한다. 그동안, 다른 추가적인 하역 용기 장치(2)에 화물(W)을 담는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가 있다.
하역 용기 장치(2)의 운반 과정에서, 화물(W)은 용기 본체(100) 내에 담겨 있는 한편, 개폐 도어(110)에 의해 밀폐되므로, 운반 도중에 분진이 날리거나 화물(W)이 떨어지는 일이 없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하역 용기 장치(2)를 안착시킨다. 하역 용기 장치(2)는 복수의 안착용 지주(150)를 구비하므로, 이 안착용 지주(150)가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안착 된다.
이어서, 작업자(예; 크레인 운전자 또는 하역장에 있는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크레인 장비에 설치된 무선 제어기를 통해, 개폐 도어(110)의 개폐 명령을 하달한다.
이에,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의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은 작업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파워 팩(204)을 작동시켜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의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그러면, 유압 실린더 기구(131)에 의해 개폐 도어(110)가 상향 회동하여 개방됨으로써, 용기 본체(100)에 담긴 화물(W)은 좌우 양측의 출구(104, 104)를 통해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쏟아진다.
이어서, 크레인의 인상 줄(160)을 서서히 위로 당겨, 하역 용기 장치(2)를 들어올리면, 나머지의 화물(W)이 서서히 쏟아지기 시작하며, 하역 용기 장치(2)가 소정의 높이에 이를 때까지 연속하여 모두 쏟아져 내린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하역 용기 장치(2)를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대형 호퍼를 사용하지 않고 운반차량에 직상차 할 수 있으므로, 하역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하역 용기 장치(2)를 바닥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개폐 도어(110)를 열기 때문에, 화물(W)이 매우 낮은 높이에서 적재함 바닥에 쏟아지는 한편, 그것에 연속하여 하역 용기 장치(2)를 서서히 끌어올리면서 나머지 화물(W)이 천천히 쏟아지므로, 화물(W)을 부리는 과정에서 분진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이 하여, 운반차량에 상차를 완료한 다음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역 용기 장치(2)를 다시 선박의 화물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화물창으로 이동한 하역 용기 장치(2)를 다시 화물창 바닥에 내려놓고, 인상 고리(140)로부터 인상 줄(160)을 풀고(예; 인상 줄(160)의 훅을 인상 고리(140)의 걸림 구멍(141)으로부터 해제한다), 이번의 하역 용기 장치(2)를 운반차량에 하역하는 동안, 병행 작업을 통해 화물(W)을 담아 둔 다른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2)의 인상 고리(140)에 인상 줄(160)을 걸어,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레인을 통해 운반차량으로 이동시켜 화물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와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이 용기 본체(100)에 탑재되어 하역 용기 장치(2) 자체에서 개폐 도어(11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외부에서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가 전혀 필요가 없고 상시 연결해 둘 필요도 없는 한편, 인상 줄(160)을 풀더라도 안착용 지주(150)를 통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크레인에 매달지 않은 상태, 즉 바닥에 착지해 두고 인상 줄(160)을 푼 상태에서도 무선 제어를 통해 개폐 도어(1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복수의 하역 용기 장치(2)를 이용하여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2)에 화물(W)을 담는 동안, 이미 화물(W)을 담은 다른 하나의 하역 용기 장치(2)를 인상 줄에 걸어 운반 차량에 하역하는 병행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연속 하역이 가능해지고 하역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2: 하역 용기 장치
100: 용기 본체
101: 측면 벽
102: 출구 벽
103; 바닥 벽
104: 출구
105: 오목 영역
110: 출구 도어
120; 힌지 기구
121: 힌지 브래킷
122: 힌지용 연장부
123: 힌지 축
130: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
131: 유압 실린더 기구
131a: 유압 실린더
131b: 피스톤
132: 피벗 지지대
133: 피벗 축
134: 피벗 연장부
135: 연결축
140: 인상 고리
141: 걸림 구멍
150: 안착용 다리
160: 인상 줄
200: 파워 및 컨트롤 컨테이너
202: 함체
204: 파워 팩
206: 배터리 모듈
208: 제어 및 무선 수신기 모듈
W: 화물

Claims (6)

  1. 바닥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화물(W)을 담는 용기로서, 좌우방향 양측의 측면 벽(101, 101)과 중앙의 바닥 벽(103) 사이에 좌우의 출구 벽(102, 102)을 가지며, 상기 좌우의 출구 벽(102, 102)에 각각 출구(104, 104)가 형성된 용기 본체(100);
    상기 출구(104, 104) 위쪽의 출구 벽(102, 102) 부분에 상단이 힌지 기구(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되어, 상기 출구(104, 104)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110, 110);
    상기 개폐 도어(110, 110)를 회동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 101)에 장착되는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
    하역 크레인의 인상 줄(160)을 걸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상 고리(140);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착지시키며, 착지 면으로부터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회동 궤적까지의 여유 높이(H)를 확보할 수 있는 연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둘레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는 안착용 지주(150); 및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 130)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용기 본체(100)의 좌우방향 중앙 부분인 상기 바닥 벽(103)에 탑재되는,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 을 포함하는, 하역 용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출구 벽(102)은 상기 측면 벽(101)으로부터 상기 바닥 벽(10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하역 용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과 개폐 도어(110)에 양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131a)와 피스톤(131b)으로 이루어지는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포함하는 하역 용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용기 실장형 파워 및 컨트롤 모듈(200)은, 함체(202) 내부에,
    상기 용기 실장형 개폐 기구(130)의 유압 실린더(131a)에 유압을 제공하는 파워 팩(204);
    전력 공급용 배터리 모듈(206);
    상기 개폐 도어(110, 110)의 개폐에 대한 작업자의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파워 팩(204)을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131)를 작동시키도록 제어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및 무선 수신 모듈(208); 을 내장하여 구성한 하역 용기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131a)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측면 벽(101)에 장착된 피벗 지지대(132)에 피벗 축(13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131b)은 상기 개폐 도어(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피벗 연장부(134)에 연결축(1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 연결되는, 하역 용기 장치.
KR2020170003732U 2017-07-18 2017-07-18 하역 용기 장치 KR20048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32U KR200485150Y1 (ko) 2017-07-18 2017-07-18 하역 용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32U KR200485150Y1 (ko) 2017-07-18 2017-07-18 하역 용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50Y1 true KR200485150Y1 (ko) 2017-12-04

Family

ID=6125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32U KR200485150Y1 (ko) 2017-07-18 2017-07-18 하역 용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8350A (zh) * 2020-12-16 2021-04-20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深基坑开挖施工中渣土转移用全自动吊斗及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9460A (en) 1978-08-18 1980-03-01 Toyo Shokuhin Kikai Kk Liquid filled valve
JP2538585B2 (ja) 1987-03-12 1996-09-25 株式会社東芝 高周波加熱装置の扉構造
JP2568995B2 (ja) 1985-02-20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電導素子
JPH11171291A (ja) * 1997-12-12 1999-06-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鉱滓運搬装置
KR200191051Y1 (ko) 2000-02-17 2000-08-16 주식회사동해기계 유압식 그래브 버킷
KR20040030176A (ko) 2000-06-27 2004-04-0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다이-절단 성능을 갖는 접착제
KR20160000241U (ko) 2014-07-11 2016-01-21 서정욱 하역 보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9460A (en) 1978-08-18 1980-03-01 Toyo Shokuhin Kikai Kk Liquid filled valve
JP2568995B2 (ja) 1985-02-20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電導素子
JP2538585B2 (ja) 1987-03-12 1996-09-25 株式会社東芝 高周波加熱装置の扉構造
JPH11171291A (ja) * 1997-12-12 1999-06-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鉱滓運搬装置
KR200191051Y1 (ko) 2000-02-17 2000-08-16 주식회사동해기계 유압식 그래브 버킷
KR20040030176A (ko) 2000-06-27 2004-04-0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다이-절단 성능을 갖는 접착제
KR20160000241U (ko) 2014-07-11 2016-01-21 서정욱 하역 보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8350A (zh) * 2020-12-16 2021-04-20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深基坑开挖施工中渣土转移用全自动吊斗及使用方法
CN112678350B (zh) * 2020-12-16 2022-12-09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深基坑开挖施工中渣土转移用全自动吊斗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70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and set comprising said device
CN203889909U (zh) 一种用于散货装驳作业的开底式货斗吊具
CN103764538A (zh) 改进的吊具及其用途
JP6216094B2 (ja) 荷役方法
KR200485150Y1 (ko) 하역 용기 장치
US202102141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ulk materials
JP2011213461A (ja) 起重機
WO2016139698A1 (ja) 貨物コンテナ
JP2018047866A (ja) 飛行荷役運搬装置
KR100440350B1 (ko) 바닥 개방식 컨테이너
JP2001253682A (ja) バラ荷の荷役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バラ荷の荷役方法
US2366574A (en) Bridge crane
CN212893430U (zh) 一种带有动力系统的集装箱翻转吊具
JP2020040784A (ja) コンテナの吊支装置
CN111994772A (zh) 一种集装箱翻转吊具系统及其应用方法
CN208916624U (zh) 一种盾构施工卸渣系统
CN212402205U (zh) 散料运输车及散料运输系统
CN211107101U (zh) 一种用于自动化物流系统的多轴重载搬运装置
CN212532023U (zh) 一种可自动开启、闭合的废料箱
CN113165819B (zh) 货物集装箱的装卸装置及转移散装物料的方法
WO2016139697A1 (ja) 荷役装置
JPH0527428Y2 (ko)
WO2021090428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WO2023092172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ulk materials
CN108706447A (zh) 一种盾构施工卸渣系统及卸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