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980A -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980A
KR20220010980A KR1020200089803A KR20200089803A KR20220010980A KR 20220010980 A KR20220010980 A KR 20220010980A KR 1020200089803 A KR1020200089803 A KR 1020200089803A KR 20200089803 A KR20200089803 A KR 20200089803A KR 20220010980 A KR20220010980 A KR 2022001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extract
antiviral
composition
he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406B1 (ko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to KR102020008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406B1/ko
Priority to US17/375,715 priority patent/US20220016193A1/en
Publication of KR2022001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고, 내성화를 일으키지 않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A ANTIBACTERIAL AND ANTIVIRU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NNABIS SATIVA L.}
본 발명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고, 내성화를 일으키지 않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 3,200여 종 중에 480여 종이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식용가능한 식물은 넓은 의미에서 산채라고 하는데, 실제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식물 중 기호성이 좋고, 식품적 가치가 높은 식물을 산채로 이용하고 있다. 산채는 예로부터 구황식물로서 우리 조상들이 식량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주로 이용하여 왔으며, 비타민, 미네랄, 엽록소를 비롯한 영양소 및 식물 섬유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특히 산채 고유의 향과 맛으로 식용으로 가치가 높다. 현재 100여 종의 산채가 알려져 있고, 산채에는 각종 알칼로이드, 탄닌, 사포닌, 배당체, 플라보노이드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한 생리학적 기능을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생하는 식용식물의 식품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식품, 한약 및 민간약 등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탐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영양 불균형에서 오는 만성 퇴행성 질환 등을 예방하고, 항비만 효과, 중금속 해독효과, 항돌연변이능, 항암 및 항산화 효과, 항균효과 및 유전독성억제능이 높은 것으로 밝혀져 다양한 산채류의 생리적 기능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하절기에 많이 발생되는 질병 중 하나인 식중독은 주로 주요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살모넬라, 대장균, 리스테리아 등의 세균에 의하여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여 발생하는데, 식중독균에 감염될 경우 경미한 경우라면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도 있으나, 증세가 심한 경우 항생제 처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중증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항생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항생제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vancomycin)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장기간 사용 시 내성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1996년 반코마이신에 강한 내성을 보이는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이 발견되었고, 이외에도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CRAB) 등 다제내성균이 상당수 발견되면서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합성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슈퍼박테리아 출현의 문제점은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시간보다 세균들이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는 내성을 획득하는 시간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는 점이다.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 전반에 빠르게 전파되어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하여 잠재적으로 내성균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다제내성균의 출현과 항생제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입수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내성 등의 부작용이 적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바이러스(virus)는 라틴어로 독성물질을 의미하며, 세균여과지(0.22㎛)를 통과하는 일군의 감염형 병원성 입자이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박테리오파지, 식물 바이러스, 동물 바이러스로 분류하기도 하며, 핵산의 종류에 따라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신종 플루, AI 및 구제역 등 다양한 바이러스 질병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에 따라 바이러스 질병의 효과적인 대책에 대한 고민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접종이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경우, 대체로 많은 바이러스 혈청형(아형) 생성 등에 따른 백신의 효율성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백신의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바이러스 예방용 억제제의 개발 및 보급은 중요한 사항이며, 이를 위해 특히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방어시스템인 생체 내 선천적 면역시스템을 자극하여 개체 동물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예방제제의 발굴 및 개발은 중요한 제제 개발 방법이 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는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이 있으나, 이들 두 가지 항바이러스 제제들은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만 효과적이며, M2 단백질이 없는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사용 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M2 단백질의 이온채널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이 매우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16종의 모든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 자나미비르(zanamivir)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자나미비르는 흡입 및 정맥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오셀타미비르는 경구투여가 가능하나 최근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 보고와 경구투여 시 구토와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수포성구내염바이러스(Vesicular stomatitis virus)의 주된 통제 방법은 질병의 완전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제역과 마찬가지로 예방 및 차단 방역과 발생 지역 내 감수성 가축의 박멸이 최선의 방법이다.
또한, 뉴캐슬병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크게 생독 백신과 사독 백신으로 구분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어온 대표적인 뉴캐슬병 생독 백신주인 B1주와 La Sota주(Clone주 포함)는 백신 접종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뉴캐슬병 사독 백신인 다가 혼합 사독 오일 백신은 1회 백신 접종으로 3종 이상의 질병이 동시에 예방될 수 있으나, 산란계 농장의 경우 면역력 저하로 인한 뉴캐슬병 발생 피해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RNA 바이러스 가운데에서도 비교적 크기가 작은 바이러스들이 있다. 이들은 작다는 뜻의 'pico'라는 말과 'RNA'를 합쳐 피코나바이러스라고 부르며, 여기에 속한 바이러스들을 통틀어 피코나바이러스과 (Picona viridae)라고 부른다. 피코나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엔테로바이러스는 무균성 수막염, 수족구병, 포진성 구협염, 확장성 심근염, 급성 출혈성 결막염 등의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는 약 70가지 혈청형을 포함하고 있으며,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콕사키바이러스(Cossackie virus) 및 에코바이러스(Echo virus)와 기타 엔테로바이러스로 분류된다. 엔테로바이러스의 직경이 20~30nm 정도이며, 단일 가닥의 RNA를 유전자로 가지고 있다. 대부분이 등뼈동물의 소화기관을 비롯하여 호흡기관 및 중추신경계까지 감염되지만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 virus, CXV)는 피코나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인간 엔테로바이러스(human enterovirus)로서, 크게 A형과 B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 세계 곳곳에서 고 위험성 엔테로바이러스 및 변종 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71형(EV-71), 콕사키바이러스 A24 변이주)가 새롭게 발견되어 유행되고 있어 이를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국가 간 공동감시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콕사키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엔테로바이러스는 척추동물의 소화기관을 비롯하여 호흡기관 및 중추신경계까지 감염되어 다양한 임상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으나 바이러스의 종류와 혈청형이 매우 다양하여 효과적인 상용화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최근 해외 및 국내에서 기존의 항바이러스 제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국내에서는 생약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기존의 항바이러스 제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이 우수한 항균 효과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471710 B1
본 발명의 목적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복용 또는 투여에 의해 부작용의 발생이 없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대마(Cannabis sativa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대마(Cannabis sativa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대마(Cannabis sativa L.)는 삼과(Cannabaceae) 대마속의 한해살이 식물로, 그 아종으로는 C. sativa subsp. sativa, C. sativa subsp. indica, C. sativa subsp. ruderalis 등 총 3가지로 분류된다. 과거 법적인 규제가 적용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약 12,000년 동안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걸쳐 널리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6,000년경에는 중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4,000년경에는 대마로부터 섬유를 얻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중국 본초서적에서는 기원전 2,727년 처음 대마를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문헌이 있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 대마는 환각작용 등 부작용으로 인해 국내뿐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재배 및 취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점차 대마의 뛰어난 약리작용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대마의 치료적 목적의 사용을 허용하자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마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여 대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특히 의료용 대마에 대한 효능 검정 및 독성에 대한 문제 등 역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
대마는 부위에 따라 과거에는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삼잎인 대마초 혹은 마엽은 회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마엽을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길게 자라고 윤택해진다고 한다. 또한 천식이나 오래된 기침, 회충, 진통작용, 마취, 이뇨제로 사용되었다. 대마의 뿌리는 마근으로 난산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고, 어혈을 풀고 석림이 나오게 한다고 하였으며 복용 방법으로는 달여서 물을 마신다고 하였다. 대마의 껍질인 마피는 타박상 및 열림창통을 치료하고, 대마의 꽃인 마화는 마비증상, 가려움증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대마의 꽃이삭은 마분이라고 하여 난산, 변비, 통풍, 진광, 불면 등에 활용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대마에서 약 400여 개의 화합물이 발견되었고 그 중 대부분이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와 테르펜(terpene), 그리고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이다. 그 중에서도 칸나비노이드는 대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까지 약 90여 가지의 칸나비노이드가 밝혀졌으며, 대마에서만 발견되는 성분도 다수 알려져 있다. 1899년 대마로부터 칸나비놀(cannabinol, CBN)을 분리하였으나 후에 단일화합물이 아니었다고 알려졌고, 1930년대에 대마로부터 정제된 순수한 화합물인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과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이 분리되면서 대마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
이처럼 대마의 특정 성분을 이용해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중 의료용 대마의 주요 화합물인 THC와 CBD가 치료목적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 CBD의 경우 향정신작용이 없으며, 통증을 경감시키고 간질발작을 조절하는 데 유효한 결과는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대마의 향과 맛을 내는 역할을 하는 테르펜(terpene) 계열의 화합물 역시 대마에서 100여 개 이상 밝혀졌고, 다양한 모노테르페노이드(monoterpenoids)와 세스키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s)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테르펜은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약리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아직까지 대마에서 추출된 테르펜 화합물들의 연구는 THC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테르펜(terpene)는 CBD와 THC와 같은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와 함께 작용할 때,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의 흡수를 향상시키고 세균 방어 매커니즘을 극복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이다.
사람의 몸 안팎에는 정상 세균(normal flora)이 있어서 오히려 신체 신진대사를 촉진하기도 한다. 우리 몸은 많은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어, 세균이 침입해도 위장과 소장에서 살균되고 핏속의 면역 세포가 감염을 막아준다. 그래서 세균이 바로 병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 정도의 세균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에이즈 환자나 암 환자처럼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세균이 치명적일 수 있다. 또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나 노약자, 항생제 과다 복용자에게 세균이 침입할 경우 바로 발병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정상인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종으로, 에나멜 손상의 초기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충치의 주요 원인균이다. 당을 분해하여, 불용성인 Dextran을 합성하며, Dextran은 Mutans를 비롯한 구강세균을 응집하여,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의 대사물질(산)에 의해 에나멜질 탈회, 충치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이며 구균으로, 병원에서 기회적 감염균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 MRSA, VRSA으로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로 지명되고 있다. 다양한 독소와 다양한 감염부 위로 염증, 괴사를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페니실린에 민감한 그람양성균인데도 불구하고 내성을 갖는다. 성인의 20~30%에서 코나 피부에서 확인이 되지만 대부분 경우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피부의 손상이나 부상을 통해 방어벽이 무너지게 되면서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농가진, 봉소염, 열상피부증후군, 유방염, 균혈증, 포도상구균성 패혈증, 포도상구균성 폐염, 심내막증 등과 관련이 있으며, 포도상구균군으로 오는 식중독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탈수를 일으키는 장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구강 및 위장관에서 흔히 관찰되는 대표적인 진균으로, 정상인의 구강에서 50%, 분변에서 90% 발견된다. C. albicans는 대부분의 경우, 임상적으로 의의가 없는 비특이적 병변을 유발하나,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C. albicans는 위장관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인후, 식도에서 가장 흔히 병변을 일으키며, 대부분 무증상이다. 드물게 위, 십이지장에도 진균감염을 유발하나, 대부분 양성 혹은 악성 궤양에 이차적으로 전이 증식을 일으킨 병변으로, 임상적 의의가 적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흔히 '고초균'이라고도 하며 주로 토양 속에서 서식하고,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으로서 그람 양성(Gram positive)균이다. 호기성이며, 막대기 모양 또는 원통형 세균으로 그 크기와 길이는 다양하고 양 끝의 모양도 일정하지 않으며 편모나 포자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균체의 한끝에 1∼3개, 또는 균체의 주위에 다수의 편모가 있어 운동할 수 있는 것도 있고, 균체의 한 끝 또는 중앙부에 포자를 가지고 있는 간균도 있다. 세균의 포자는 세균 균체가 휴식상태에 있는 부분으로 생활현상은 영위하지 않지만, 외부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강하다. 따라서 나쁜 생활조건 아래서도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적당한 환경에서는 발아해서 고유의 세균 균체로 된다. 즉, 세균의 포자는 세균의 종자와 같은 것이다. 또한 한국인에게는 청국장의 발효 미생물로서 관계가 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미생물 제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결막염, 홍채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는 사람이나 포유류의 창자 속에 상주하는 세균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장내세균과(腸內細菌科) 에셰리키아속(屬)에 속하는 세균을 말하며, 넓은 뜻으로는 시트로박터·클레브시엘라·엔테로박터 등을 포함한 3가지 대장균군(大腸菌群)을 말한다. 좁은 뜻의 대장균은 나비 0.5∼0.7μm, 길이 2∼3μm의 그람 음성인 간균(桿菌)으로 주모성(周毛性)이지만,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편모(鞭毛)가 없는 것도 있다. 보통의 배양기(培養基)에서 잘 발육하며, 평활형(平滑型)이고 불투명하며 백색의 군락(群落)을 형성한다. 대장균은 포도당, 젖당, 만니톨을 분해하며(때로는 설탕과 살리신도 분해한다), 산과 가스를 발생한다.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 주로 乳幼兒의 설사병의 원인이되는 일종의 균)으로서는 O-55, O-111, O-124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균은 포유동물의 장관(腸管) 내의 상재균(常在菌)으로서, 숙주(宿主)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존재가치를 지니고 있다. 즉 전술한 대장균의 분해력은 장관 내에서 발휘되며, 비타민의 생성 등과도 관련된다. 또한 대장균군은 분변(糞便) 오염의 척도로서 음료수나 식품, 나아가서는 해수욕장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위생검사에 흔히 기준이 된다. 이것은 분변오염이 있으면 소화기계(消化器系)의 전염병균인 적리균(赤痢菌)이라든지 장티푸스균 외에도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과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의 존재, 또는 그러한 의심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장균군 자체는 유해균은 아니며, 장관내 이외의 자연계에서는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셔리키아 콜라이는 요도계감염, 방광염, 신장감염, 요도감염, 위장관염, 복막염, 맹장염, 폐렴, 수막염, 뼈나 관절에 감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호흡기 감염 외에도 균혈증, 골수염, 수막염 등의 감염을 일으키며, 가장 흔한 감염증은 피부 감염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여드름 발생 시 여드름의 약화에 영향을 주는 피부 상재균으로, 대표적인 피부 염증 질환의 하나인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의 치료는 국소 제제 도포 요법 및 경구 약물 복용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이 있다. 국소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살리실산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나, 이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관련 법규제 등으로 제품화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경구약물 복용요법은 피지선의 기능 억제와 모낭벽 파괴의 억제 목적으로 레티노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들 경구제제의 과량 복용시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피부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고, 내성화를 일으키지 않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것이다.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정식명칭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H1N1의 아형(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으로, 사람에게 발병하는 인플루엔자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사람 이외에도 돼지나 새에도 감염, 발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로는 A/PR/8(H1N1), A/WSN/33(H1N1), A/Bervig-Mission/1/18(rvH1N1), A/Singapore/6/86(H1N1) 등이 있다.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는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2009 flu pandemic)을 일으킨 바이러스로서 A/California/O4/09, A/California/7/2009 등이 있으며, 상기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
종래 인플루엔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오셀타미비르(상품명: 타미플루), 자나미비르(상품명: 릴렌자), 페라미비르(en:Peramivir), 아만타딘(en:Amantadine) 등이 있다. 타미플루로 불려지는 오셀타미비르가 현재 H1N1 인플루엔자 A형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타미플루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독점 생산하는 조류 인플루엔자(AI) 치료제이다. 바이러스를 증식시키는 효소 기능을 막아 치료효과를 내는 항바이러스제이며, 증상이 발생한 뒤 48시간 안에 복용해야 효과가 크다. 주요 치료 효과는 독감 증세의 악화 감소,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2차 합병증 발생 감소, 독감 잠복 기간의 감소 등이다. 인플루엔자 A와 B의 치료제로도 쓰인다. 자나미비르는 자나미비어(Zanamivir)로도 불리며 상품명은 릴렌자(Relenza)이다. 이는 뉴라미니다아제 저해제로 작용하여 인플루엔자 A 및 B형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셀타미르는 심각한 구토증세가 나타나는 부작용이 있으며, 자나미비르는 항바이러스 효과는 높지만 생체이용율이 낮고 신장에서의 배출이 빠르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인플루엔자 치료제들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본 발명은 대마 추출물을 이용하여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와 부작용 없이, 인플루엔자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선등갈퀴(Vicia heptajuga Nakai) 추출물, 칼루나(Calluna vulgaris) 추출물 및 흑종초(Nigella sativ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Nakai)는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어긋나기하고 4~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깃모양겹잎이며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으며 밑은 둔하고 끝은 길게 뽀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2~4cm의 화경이 나와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칼루나(Calluna vulgaris)는 진달래과의 단형 속인 칼루나속의 유일한 종으로 여러해살이 관목이며, 양지바른 곳이나 약간 그늘진 곳의 산성 토양에서 잘 자란다. 원산지는 시베리아부터 터키와 유럽을 거쳐 북아프리카와 마카로네시아에 이르는 지역이다. 60cm 정도의 상록성 소관목으로 내한성이 강하다. 가지는 옆으로 벌어지면서 밀생한다. 잎은 인편상으로 2~3mm 정도이며, 가지에 밀집하여 붙고 마주난다. 꽃은 6~9월에 작은 종모양으로 가지 중간 정도부터 Ÿm부분에 빽빽이 붙으며 흰색, 분홍색을 기본으로 해서 다양한 색상의 원예품종이 있다.
흑종초(Nigella sativa)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50~80cm 정도 자라는 1년초로, 잎은 3~4회 우상으로 갈라져 코스모스 잎모양으로 광택이 있다. 꽃은 6~7월에 연보라 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린다. 과실은 통통하고 공모양이며, 종자는 작고 검어 8~9월에 익는다. 씨앗이 검다고 하여 흑종초라고 하며, 남유럽이 원산지이다. 딸기향이 나는 흑종초 씨앗은 인도, 이집트, 그리스, 터키 등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매운 육두구 맛을 가진다. 생것을 구워서 말린 씨앗은 카레, 야채, 콩요리에 맛을 더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을 복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등갈퀴 추출물, 칼루나 추출물 및 흑종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대마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을 중화시켜, 기호성이 우수한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선등갈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칼루나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흑종초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대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증강용 건강 식품,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소화 촉진을 위한 차, 음료와 같은 건강 식품, 감기와 같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 식품, 목욕용품, 화장품, 세정제, 또는 헤어용품과 같은 미용 제품 및 대장균, 포도상구균, 바실러스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아시네토박터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CRAB)에 대한 항균 약제,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약제, 식중독이나 감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능성 식품"은 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품에 대한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투여량 또한 치료되는 대상의 종류, 투여경로, 체중, 성별, 나이, 질환의 정도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의하면,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고, 내성화를 일으키지 않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A549 세포(대조군), 상기 세포에 감염 전(Pre treatment), 감염 후(Post treatment), 감염 전-후(Pre-Post treatment)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추출물의 제조]
1. 대마 추출물의 제조
잎과 꽃을 포함하는 대마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대마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 시료를 추출 용매인 50% 에탄올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대마 추출물(CE)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 제조
상기 대마 추출물(CE)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선등칼퀴 추출물(VE), 칼루나 추출물(RE) 및 흑종초 추출물(NE)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대마 추출물(CE), 선등칼퀴 추출물(VE), 칼루나 추출물(RE) 및 흑종초 추출물(NE)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로 하였다.
AM1 AM2 AM3 AM4 AM5 AM6
CE 100 100 100 100 100 100
VE - 10 20 30 40 50
RE - 10 20 30 40 50
NE - 10 50 30 4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세포 독성실험]
대마 추출물(CE,AM1) 및 복합 추출물(AM2 내지 AM6)의 독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랫트 반복투여 독성실험에서 복합 추출물 투여 시 독성 및 부작용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SD 개통의 6주령의 암수 랫트를 군당 10 마리(암수 각 5마리)씩으로 나누어 복합 추출물 AM1 내지 AM6을 투여하였으며, 각각의 약물을 0.5% MC 용액에 용해한 후 매일 동일한 오전 시간대에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을 13주 동안 반복하였다.
1회 투여량은 3.75 mg/kg 내지 5mg/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이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및 물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기간 내에 사망개체는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결과에 비추어, 복합 추출물 AM1 내지 AM6은 독성에 문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균 효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 AM1 내지 AM6dml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종이 디스크를 사용한 평판배지 확산법(Piddock, L.J.V,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r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p.307, 1990)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항균 검색을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으로부터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KCTC703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1021)),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7270)),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306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KCTC1621))를 분양받아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은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칸디아 알비칸스: 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30℃,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37℃,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37℃, 에셔리키아 콜라이: 37℃).
상기 준비한 균주를 각 균주 당 1 백금이씩을 취하여 5ml의 식염수에 각각 접종하였고, 이 활성액 1ml를 두께가 4~5mm인 배지(칸디아 알비칸스- YM Agar(271210. BD),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utrient Agar(213000 BD),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Brain Heart(241830 BD),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Tryptic Soy Agar(236950 BD), 에셔리키아 콜라이- Nutrient Agar(213000 BD). 배양기: Eyela, multi Thermo incubator. MTI-202)에 주입한 후, 구부린 유리막대로 균일하게 펼치고 멸균된 6.0mm filter paper disc(Whatman AA Discs)를 배지 위에 놓고, 복합 추출물 AM1 내지 AM6과 95% Ethanol, 증류수를 각각 1:5:4(v/v/v)로 조제한 시료액을 500㎍/ml, 1000㎍/ml, 1500㎍/ml, 2000㎍/ml, 2500㎍/ml의 농도로 주입시켰다.
주입된 추출액의 용매를 휘발시키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종이 디스크(paper disc)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현재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부틸 히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BHA), SIGMA)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저해환(mm)
Con(mg/ml) AM1,CH AM2 AM3 AM4 AM5 AM6 BHA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2.5 7.6 8.2 10.4 20.6 24.8
19.3 16.6
에셔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2.5 7.0 10.0 17.6 36.0 38.6 23.4 18.4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2.5 3.0 3.0 5.0 7.6 8.2 7.0 16.0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2.5 3.0 4.0 4.0 6.8 6.2 5.0 16.0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2.5 2.0 3.0 5.0 8.4 15.4 6.8 3.5
(단위: mm)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BNA는 어느 정도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S. mut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AM1 내지 AM6은 전반적으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 albicans 및 S. aureus 균에 대한 효과는 적었지만, AM4 내지 AM5의 경우, B. subtillis, E. coli의 균에 대하여 매우 뛰어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바이러스 효과]
1. 세포 배양
MDCK 세포주
MDCK 세포(Madin-Darby canine kidney, no: 10034)는 코카스파니엘 종의 신장에서 수립한 상피 유사세포로 10% FBS(Fetal Bovine Serum),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로 37℃, 5% CO2조건의 세포 배양 챔버에서 배양하였다.
A549 세포주
A549 세포(Human lung adenocarcinoma epithelial cell line, ATCC, no. CCL-185)는 인간의 폐암 세포에서 수립한 상피 세포로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비-필수 아미노산이 포함된 RPMI 1640(Rosewell Park Memerial Institute 1640)로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 챔버에서 배양하였다.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양
리포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제작
미국 UCLA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H1N1/WSN) 제작에 필요한 플라스미드 DNA 세트를 분양받아 293T 세포와 MDCK 세포에 녹색 형광 단백질(GFP)를 발현하는 리포터 플라스미드와 함께 트란스펙션을 통하여 녹색 형광을 발현하는 리포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배양하였다. 제작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MDCK 세포에 감염시켜 발현되는 GFP 발현으로 바이러스 감염성을 확인하였다.
유정란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 배양
SPF 유정란(무균 청정란)을 37℃에서 10일 동안 키운 후 요낭(allantoic cavity)에 앞서 제작된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희석액을 주사하고 2일간 37℃에서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후 요막액(바이러스 함유)을 수거하였다.
3. 세포 생존 테스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항바이러스제를 처리할 경우, 세포독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기 전(Pre treatment), 감염시킨 후 (Post treatment), 감염시키기 전과 후(Pre-Post treatment)(MOI=0.5) A549 세포에 AM1 내지 AM6을 처리한 다음 3일 후 MTT 검사를 통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러스 단독 투여한 세포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AM1 내지 AM6을 처리 시 세포의 세포 독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기호성 테스트]
1. 관능성 평가 시험
복합 추출물 AM3 내지 AM6을 희석하여 차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차음료는 10 인의 시음자가 시음하여 맛과 향을 1내지 10의 지수로 표현하였고, 그 평균값(0.5 반올림 적용)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AM1 AM2 AM3 AM4 AM5 AM6
6.0 6.0 6.5 7.0 7.5 6.0
6.0 6.5 6.5 7.0 7.5 7.0
종합기호도(평균) 6.0 6.0 7.0 7.0 7.5 6.5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AM1의 경우 대마 추출물(CH)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특유의 맛과 향이 기호도를 저하시켰고, AM2 내지 AM6의 혼합에 의하는 경우 대마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이 다른 천연 추출물에 의해 중화되면서 기호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AM3 내지 AM5에 의하는 경우 향이 높게 평가되면서 기호도가 크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AM3 내지 AM5에 의하는 경우, 보다 기호도가 높은 향미와 맛으로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대마(Cannabis sativa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H1N1/WS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것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KR1020200089803A 2020-07-20 2020-07-20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46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03A KR102468406B1 (ko) 2020-07-20 2020-07-20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US17/375,715 US20220016193A1 (en) 2020-07-20 2021-07-14 ANTIBACTERIAL AND ANTIVIRU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NNABIS SATIVA 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803A KR102468406B1 (ko) 2020-07-20 2020-07-20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980A true KR20220010980A (ko) 2022-01-27
KR102468406B1 KR102468406B1 (ko) 2022-11-18

Family

ID=7929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803A KR102468406B1 (ko) 2020-07-20 2020-07-20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16193A1 (ko)
KR (1) KR102468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2130A1 (en) * 2021-09-07 2023-03-16 Demetrix, Inc. Use of cannabinoid compounds to treat or prevent fungal growth of c. albica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710B1 (ko) 2011-01-12 2014-12-11 김윤영 천연식물 유래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8508A1 (en) * 2013-09-26 2015-04-02 Sekura Ronald D Topical treatments incorporating cannabis sp. derived botanical drug product
WO2019049142A1 (en) * 2017-09-08 2019-03-14 Scicann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CANNABINOID AND SPILANTH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710B1 (ko) 2011-01-12 2014-12-11 김윤영 천연식물 유래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 J Pharm Sci Rev Res, 2017, 44, 94-100* *
Molecules, 2016, 21(9), 113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406B1 (ko) 2022-11-18
US20220016193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04299B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20130020095A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468406B1 (ko)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200121707A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93474A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505151A (ja) 竹葉フラボンの前立腺疾病の予防・治療薬物及び保健食品における応用
KR102551499B1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1248837B (zh) 一种植物抗菌抗禽流感功能性饲料添加剂
KR101765988B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CN109646546B (zh) 一种用于防治牲畜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Masev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Clerodendron glabrum var glabrum (Verbenaceae) used traditionally to treat candidiasis in Venda, South Africa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1310033B1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69352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약학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ara et al. Ethno-medicinal Potentials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Aloe vera: A Review
KR20130013965A (ko) 어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및 항균 겸용 조성물
KR101908078B1 (ko) 초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074824A (zh) 增强免疫力和预防治疗流感的组合物、制备工艺及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