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756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756A
KR20220008756A KR1020210079467A KR20210079467A KR20220008756A KR 20220008756 A KR20220008756 A KR 20220008756A KR 1020210079467 A KR1020210079467 A KR 1020210079467A KR 20210079467 A KR20210079467 A KR 20210079467A KR 20220008756 A KR20220008756 A KR 2022000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toy
shaft
trunk
respec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요헤이 반도
다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2000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Abstract

플레이어가 변형하는 타이밍을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전략성이 우수한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
몸통부는, 몸통 본체와, 몸통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몸통 본체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를 소정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위치에 걸림 고정함과 함께 걸림 고정을 해제하여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부재에 제2 위치를 취하게 하는 걸림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축측 부품으로서, 몸통부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상대 회전하는 도중에 걸림 고정 기구에 의한 가동 부재의 걸림 고정을 해제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의 형성 위치가 다른 복수의 축측 부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P TOY}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 완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팽이 완구는, 완구 본체 내부에 내장시킨 돌출 가동부의 보유 지지 기구가 충격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당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보유 지지 기구가 해방되면, 완구 본체에 부여된 회전력에 의한 원심력이나 탄성 부재의 탄성 작용에 의해 돌출 가동부를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982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팽이 완구에서는, 변형하는 타이밍을 플레이어가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전략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플레이어가 변형하는 타이밍을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전략성이 우수한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수단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 위치와 제2 회전 위치 사이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축측 부품을 구비한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중에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에 저항하는 외부력이 상기 몸통부에 작용하였을 때, 상기 축측 부품이 상기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전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측 부품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통부는, 몸통 본체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통 본체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소정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위치에 걸림 고정함과 함께 걸림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에 상기 제2 위치를 취하게 하는 걸림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측 부품으로서, 상기 축측 부품이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상대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걸림 고정 기구에 의한 상기 가동 부재의 걸림 고정을 해제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서로 상기 돌기부의 형성 위치가 다른 복수의 축측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팽이 완구에 의하면, 플레이어에 의한 커스터마이즈, 즉, 축측 부품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교환에 의해, 팽이 특성의 변화의 타이밍을 어느 정도 컨트롤할 수 있으므로, 전략성이 우수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팽이 완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팽이 완구에 있어서의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축부의 절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라이휠의 상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라이휠의 하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라이휠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플라이휠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몸통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몸통부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상방으로부터 본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방으로부터 본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방으로부터 본 몸통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부 몸통부의 하면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몸통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몸통 본체의 상면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걸림 고정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8은 걸림 고정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발명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환체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환체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발명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팽이 완구(1)의 정면도, 도 2는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소위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이 팽이 완구(1)는, 예를 들어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분해시키는 배틀 게임에 사용된다.
이 팽이 완구(1)는, 크게 구별하면, 축부(10), 플라이휠(53) 및 몸통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부(10)를 포함하고, 당해 축부(10)와 일체로 회전하는 부품(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와 일체로 회전하는 플라이휠(53))도 포함하여 축측 부품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축부(10))
도 3은 팽이 완구(1)에 있어서의 축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축부(10)는, 접지하는 회전축(11a)을 갖고 있다. 회전축(11a) 상에는 원주체(11b)가 부설되어 있다. 원주체(11b)의 둘레면 상단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클로(11c, 11c)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1a) 및 원주체(11b)는 축 하부(11)를 구성하고, 이 축 하부(11)에는 돌출부(11d, 1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원통체(12)를 갖고 있다. 이 원통체(12)의 외주 하단에는 플랜지(12a)가 형성됨과 함께, 원통체(12)의 주위벽으로부터 플랜지(12a)에 걸쳐 사각 구멍(12b, 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12)의 주위벽에는 돌출부(12c, 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환체(13)를 갖고 있다. 이 환체(13)의 하단 외주에는 후크 형상의 다리(13a, 13a)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환체(13)의 천장벽 중앙에 구멍(13b)이 형성되고, 그 구멍(13b)의 에지의 일부에 노치(13c, 1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벽 상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13d, 1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축부(10)의 절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축부(10)는, 축 하부(11)의 원주체(11b)에 코일 스프링(14)을 권회시키고, 그 위로부터, 클로(11c, 11c)와 노치(13c, 13c)를 합치시키도록 하여 환체(13)를 원주체(11b)에 끼워 맞추고, 또한 다리(13a, 13a)와 사각 구멍(12b, 12b)을 합치시키도록 하여 원통체(12)를 씌우고, 돌출부(11d, 11d)를 통과시킨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돌출부(12c, 12c)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부(10)에서는, 환체(13)가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다리(13a, 13a)가 사각 구멍(12b, 12b)의 상부 모서리에 맞닿음으로써 환체(13)의 상방 이동이 규제된다.
(플라이휠(53))
도 5는 플라이휠(53)의 상면측 사시도, 도 6은 플라이휠(53)의 하면측 사시도이다.
플라이휠(53)은 축부(10)에 상방으로부터 씌워져 사용된다. 플라이휠(53)의 평면으로 보아 중앙부는, 주변부에 대하여 융기되어 있고, 융기부(53a)의 천장벽에는, 축부(10)의 원통체(12)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구멍(53b)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이휠(53)의 융기부(53a)의 천장벽에는, 축부(10)의 상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팽출부(53c, 53c)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53c)의 아래에는 플라이휠(53)의 하방 및 내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53d, 5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3d, 53d)에는, 축부(10)의 돌출부(12c, 12c)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융기부(53a)의 천장벽 하면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a)의 상면이 맞닿아진다.
또한, 플라이휠(53)의 팽출부(53c, 53c) 상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편(53e, 53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53c, 53c)는, 후술하는 호상 구멍(21d, 21d)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플라이휠(53)의 평면으로 보아 주변부(53f)의 상면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돌기(53g, 53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53g, 53g)는 후술하는 기믹을 발동시키는 것이다.
도 8은 다른 플라이휠(53A)의 평면도이다. 이 다른 플라이휠(53A)은, 도 7 등에 도시한 플라이휠(53)과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다른 플라이휠(53A)이 도 7 등에 도시한 플라이휠(53)과 다른 점은, 돌기(53g, 53g)의 형성 위치이다. 이 돌기(53g, 53g)의 형성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후술하는 기믹의 발동 타이밍을 변화시킬 수 있다.
(몸통부(20))
도 9는 몸통부(20)의 평면도, 도 10은 몸통부(20)의 하면도, 도 11은 상면측으로부터 본 몸통부(20)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하면측으로부터 본 몸통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몸통부(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본체(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통 본체(21)에는, 팁(22), 상부 환체(23), 중부 환체(24) 및 하부 환체(25)가 조립되어 있다.
몸통 본체(2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 본체(2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통부(21a)와 하부 몸통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상부 몸통부(21a)에는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의 부분에 걸쳐진 브리지(21c)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몸통부(21a)에 있어서, 브리지(21c)의 양옆에는 호상 구멍(21d, 21d)이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구멍(21d)에는 플라이휠(53)의 팽출부(53c)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브리지(21c)의 중앙에는 구멍(21e)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1e)의 에지 아래에는, 도 14(상부 몸통부(21a)의 하면측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저항 부재(21f, 21f)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저항 부재(21f)의 하단에는 치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치부(21g, 21g)는, 축부(10)의 돌조(13d, 13d)에 상방으로부터 맞닿아진다.
또한, 브리지(21c)의 각 부채상 단부에는 보스 구멍(21h, 21h)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보스 구멍(21h)에는, 상부 환체(23)의 나사 구멍 구비 보스(23a)가 1개씩 끼워 맞춰진다. 또한, 브리지(21c)의 각 부채상 단부의 하면에는, 보스 구멍(21h, 21h)의 사이의 부분에 보스(21i)가 마련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 보스(21i)는 하부 몸통부(21b)의 보스 구멍(21m)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상부 몸통부(21a)의 각 부채상 단부의 양옆에는, 도 15(몸통부(20)의 상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보스 구멍(21j, 21j)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보스 구멍(21j)에는 상부 환체(23)의 보스(23b)가 끼워 맞춰진다.
하부 몸통부(21b)의 내주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21c)의 각 부채상 단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부채상 돌출부(21k)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부채상 돌출부(21k)에는, 상기 나사 구멍 구비 보스(23a, 23a)에 대응하는 개소에 보스 구멍(21l, 21l)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부채상 돌출부(21k)에는, 상기 각 보스(21i)에 대응하는 개소에 보스 구멍(21m)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21i)를 상방으로부터 보스 구멍(21m)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하부 몸통부(21b)의 하방으로부터 보스 구멍(21l, 21l)을 통과시킨 수나사를 상부 환체(23)의 나사 구멍 구비 보스(23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몸통부(21b)는 상부 몸통부(21a)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몸통 본체(21)에는 걸림 고정 부재(26)와, 압박 부재(27)와, 걸림 고정 기구(28)가 조립되어 있다(도 13 및 도 15 참조).
이 중 걸림 고정 부재(26)는, 횡방향으로 긴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 고정 부재(26)는, 브리지(21c) 각 부채상 단부에 형성된 구멍(21n)의 내부에 설치된다. 각 걸림 고정 부재(26)의 내면에는 긴 쪽 방향 중앙에 클로(26a)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26a)의 양단부는 탄성을 갖고 있다. 각 클로(26a)에는, 팁(22)의 긴 쪽 방향 각 단부의 클로(22a)가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해, 팁(22)은 몸통 본체(21)에 조립된다. 또한, 각 걸림 고정 부재(26)의 외면에는 긴 쪽 방향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26b)이 형성되고, 걸림 고정 부재(26)의 몸통 본체(21)에 대한 조립 시에, 돌출편(26b)은 상부 몸통부(21a)의 슬릿(21o)에 삽입된다.
압박 부재(27)는, 후술하는 하부 환체(25)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것이며, 몸통 본체(21)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환체(25)의 내향 팽출부(25a)의 상면에 맞닿는 압박부(27a)와, 압박부(27a)를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7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 기구(28)는, 클로(28d)를 갖는 걸림 고정 부재(28a)와, 걸림 고정 부재(28a)를 상부 몸통부(21a)의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8b)과, 하부 몸통부(21b)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8e)를 갖는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걸림 고정 기구(28)의 클로(28d)는, 평상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28b)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몸통부(21a)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상승한 하부 환체(25)의 팽출부(25a) 아래의 오목부(25b)에 끼워 넣어져, 하부 환체(25)를 상승 위치(제1 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또한, 각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c)의 돌출부(28e)는, 그 하측에서 동작하는 플라이휠(53)의 평면으로 보아 주변부(53f)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각 돌출부(28e)가 플라이휠(53)의 돌기(53g)에 닿았을 때 각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c)가 상방 이동되고, 걸림 고정 부재(28a)가 각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c)에 미끄럼 접촉하여 당해 걸림 고정 부재(28a)가 코일 스프링(28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부 몸통부(21a)의 내측을 향하여 동작되어, 각 클로(28d)가 상부 몸통부(21a)의 외주로부터 함몰된다.
이에 의해, 걸림 고정 부재(28a, 28a)의 클로(28d, 28d)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있던 하부 환체(25)가 그 구속으로부터 해방되고, 압박 부재(27)의 코일 스프링(27b)의 가압력에 의해 강하시켜진다(제2 위치). 또한, 중부 환체(24)는 중력에 의해 강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팁(22)은, 몸통 본체(21)의 브리지(21c)의 상면을 피복하는 것이다.
팁(22)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클로 부재(22d, 22d)가 형성되어 있다. 각 클로 부재(22d) 하단에는 외향의 클로(22a)가 형성되어 있다. 각 클로(22a)는 상부 몸통부(21a)에 조립된 걸림 고정 부재(26)의 내면의 클로(26a)에 걸림 고정된다.
또한, 팁(22)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른 클로 부재(22b, 22b)가 형성되어 있다. 각 클로 부재(22b)의 하단에는 내향의 클로(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로 부재(22b)는, 상부 몸통부(21a)의 브리지(21c)의 구멍(21e)에 삽입되고, 삽입 상태에서는, 클로(22c)와 치부(21g)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다.
상부 환체(23)는, 몸통 본체(21)의 외주 상부를 피복하여 장식하는 것이다. 이 상부 환체(23)의 상면 및 외주에는 몇 개의 기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환체(23)의 하면에는, 상기 나사 구멍 구비 보스(23a, 23a)와, 상기 보스(23b, 23b)가 형성되어 있다.
중부 환체(24)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외주에는 기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부 환체(24)는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몸통 본체(21)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환체(25)는, 두껍게 형성되고, 외주에는 기복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환체(25)의 상단부 외주에는, 중부 환체(24)의 외주의 볼록부(24a)가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2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환체(25)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하부 환체(25)의 오목부(25d)가 중부 환체(24)의 외주의 볼록부(24a)와 걸림 결합하여, 중부 환체(24)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하부 환체(25)의 내주에는, 상기 팽출부(25a)와 상기 오목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환체(25)의 상승 시에는, 팽출부(25a)의 상면에 압박 부재(27)의 압박부(27a)가 맞닿아짐과 함께, 오목부(25b)에는 클로(28d)가 걸림 결합된다. 또한, 하부 환체(25)의 강하 시에는, 팽출부(25a)의 하면이 하부 몸통부(21b)의 힌지(21p)에 맞닿아, 그 이상의 강하가 저지된다.
(팽이 완구(1)의 조립)
팽이 완구(1)의 축부(10)와 몸통부(20)는, 이하와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축부(10)의 돌출부(12c)를 하방으로부터 플라이휠(53)의 오목부(53d)에 합치시키도록 하여, 플라이휠(53)을 축부(10)에 씌운다. 그리고, 축측 부품을 몸통부(20)에 맞댄다. 이 상태는, 축부(10)의 클로(11c, 11c)와 몸통부(20)의 클로(22c, 22c)가 상하 방향에서 겹쳐져 있지 않은 상태, 즉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다시 축부(10)를 몸통부(20)측으로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몸통부(20)의 클로(22c, 22c)에 의해 환체(13)가 눌려 코일 스프링(14)이 휘고, 축부(10)의 클로(11c, 11c)가 몸통부(20)의 클로(22c, 22c)보다도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축측 부품을 몸통부(20)에 대하여 일 방향(팽이의 회전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축부(10)의 클로(11c, 11c)와 몸통부(20)의 클로(22c, 22c)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제1 회전 위치). 이 상태에서 축측 부품으로부터 손을 떼면,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축부(10)의 클로(11c, 11c)의 하면과 몸통부(20)의 클로(22c, 22c)의 상면이 맞닿게 된다. 이 상태, 즉 축부(10)의 클로(11c, 11c)의 하면과 몸통부(20)의 클로(22c, 22c)의 상면이 맞닿게 된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에 의해, 축부(10)와 몸통부(2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이 팽이 완구(1)의 조립 상태에서는, 축부(10)의 돌조(13d, 13d)와 몸통부(20)의 치부(21g, 21g)가 맞닿는다.
(놀이 방법)
계속해서, 팽이 완구(1)끼리의 배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호상 구멍(21d, 21d)에 위로부터 삽입된 포크를 회전시킴으로써 팽이 완구(1)가 회전 가압되어, 소정의 필드에 놓아진다. 그리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몸통부(20)에는, 축부(1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 몸통부(20)가 축부(1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된다.
이때, 축부(10)와 몸통부(20)는, 축부(10)의 돌조(13d, 13d)와 몸통부(20)의 치부(21g, 21g)가 맞닿고,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한 마찰 저항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몸통부(20)에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몸통부(20)에 대하여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맞물림 위치를 변경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20)와 축부(10)의 상대 회전에 의해,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의 돌출부(28e, 28e)가 플라이휠(53)의 돌기(53g)에 닿으면, 돌출부(28e, 28e)가 상방 이동하게 되어, 걸림 고정 해제 부재(28c)와 걸림 고정 부재(28a)가 미끄럼 접촉하여 당해 걸림 고정 부재(28a)가 상부 몸통부(21a)의 내측을 향하여 동작시켜진다. 이에 의해, 걸림 고정 부재(28a, 28a)의 클로(28d, 28d)가 몸통 본체(21)의 외주로부터 함몰되어, 클로(28d, 28d)에 의한 하부 환체(25)의 지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클로(28d, 28d)에 의한 하부 환체(25)의 지지가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27b)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압박 부재(27)의 압박부(27a)에 의해 하부 환체(25)가 소정 위치까지 강하시켜져, 회전 프리가 된다. 또한, 하부 환체(25)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던 중부 환체(24)도 하부 환체(25)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프리가 된다. 회전 프리가 됨으로써,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팽이 완구의 공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중부 환체(24) 및 하부 환체(25)가 회전 프리가 된 후도, 충격력이 작용하는 각도 등에 의해 몸통부(20)와 축부(10)의 상대 회전이 진행된다. 그리고, 결합 해제 위치(제2 회전 위치), 즉, 축부(10)와 일체적으로 회동되는 플라이휠(53)의 돌출편(53e, 53e)이 호상 구멍(21d, 21d)의 단부에 도달하면, 몸통부(20)의 클로(22c, 22c)가 축부(10)의 클로(11c, 11c)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몸통부(20)가 축부(10)로부터 이격되어 분해된다. 또한, 플라이휠(53)도 축부(10)로부터 이탈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부 환체(24) 및 하부 환체(25)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부터 회전 프리의 상태로 하는 기믹을 구비한다. 그리고, 플라이휠(53)을 교환하면 기믹의 발동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플레이어에 의한 커스터마이즈, 즉, 플라이휠(53)의 교환에 의해, 팽이 특성의 변화의 타이밍을 어느 정도 컨트롤할 수 있으므로, 전략성이 우수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부 환체(24) 및 하부 환체(25)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부터 회전 프리의 상태로 하는 기믹으로 하였지만,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휠(53)의 몸통부(20)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중부 환체(24) 및 하부 환체(25)와 같은 환체(60)를 팽이 완구(1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다른 기믹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다른 기믹을 상기 기믹과 조합해도 된다.
이 경우의 팽이 완구(1A)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체(6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몸통 본체(21)와 환체(60) 사이에 코일 스프링(61)이 걸려 있다. 또한, 걸림 고정 기구를 구성하는 걸림 고정 부재(62)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고, 제1 위치에서, 코일 스프링(6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 고정 부재(62)의 클로(62a)가 환체(60)의 오목부(6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이휠(53)이 소정 각도만큼 몸통부(2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걸림 고정 부재(62)가 밀어올려져, 걸림 고정 부재(62)의 클로(62a)가 환체(60)의 오목부(63)로부터 빠져, 코일 스프링(61)의 가압력으로 환체(60)가 제2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플라이휠(53)의 몸통부(20)에 대한 상대 회전에 의해 팽이 완구(1)의 외주의 일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플라이휠(53)에 대하여 돌기부(53g)를 이동 가능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플라이휠(53)에 대한 돌기부(53g)의 위치를 플레이어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플라이휠(53)이 몸통부(20)에 내장되는 팽이 완구인 경우에는, 축부(10) 자체에 돌기부(53g)를 마련해도 된다. 돌기부(53g)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몸통부(20)와 축측 부품이 결합된 상태에서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와 같이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팽이 완구로서는, 몸통부(20)와 축측 부품이 배틀에 의해 분해 가능한 팽이 완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 1A: 팽이 완구
10: 축부
20: 몸통부
21: 몸통 본체
21a: 상부 몸통부
21b: 하부 몸통부
22: 팁
23: 상부 환체
24: 중부 환체(가동 부재)
25: 하부 환체(가동 부재)
26: 걸림 고정 부재
27: 압박 부재
27a: 압박부
27b: 코일 스프링
28: 걸림 고정 기구
28a: 걸림 고정 부재
28b: 코일 스프링
28c: 걸림 고정 해제 부재
28d, 28d: 클로
28e: 돌출부
53: 플라이휠
53g: 돌기
60: 환체
61: 코일 스프링
62: 걸림 고정 부재
62a: 클로
63: 오목부

Claims (4)

  1.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 위치와 제2 회전 위치 사이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축측 부품을 구비한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중에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에 저항하는 외부력이 상기 몸통부에 작용하였을 때, 상기 축측 부품이 상기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전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측 부품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통부는, 몸통 본체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몸통 본체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소정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위치에 걸림 고정함과 함께 걸림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에 상기 제2 위치를 취하게 하는 걸림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측 부품으로서, 상기 축측 부품이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상대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걸림 고정 기구에 의한 상기 가동 부재의 걸림 고정을 해제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서로 상기 돌기부의 형성 위치가 다른 복수의 축측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1 환체이며, 상기 제1 환체는 상기 제1 위치로서 상승 위치를 취하고 또한 상기 제2 위치로서 강하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체는, 상기 상승 위치에서 상기 몸통 본체에 대한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강하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체 상에, 상기 몸통부의 외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심축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2 환체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환체는, 상기 제1 환체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환체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몸통 본체에 대한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제1 환체가 상기 강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210079467A 2020-07-14 2021-06-18 팽이 완구 KR20220008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20676 2020-07-14
JP2020120676A JP6845455B1 (ja) 2020-07-14 2020-07-14 コマ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56A true KR20220008756A (ko) 2022-01-21

Family

ID=7486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467A KR20220008756A (ko) 2020-07-14 2021-06-18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04251B2 (ko)
JP (1) JP6845455B1 (ko)
KR (1) KR20220008756A (ko)
CN (1) CN2155383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78622S (ko) * 2020-07-09 2021-02-08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829A (ja) 2002-10-10 2004-04-30 Sakamoto Co Ltd 回転走行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857U (ja) * 1999-08-24 2000-03-07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3079300U (ja) * 2001-01-30 2001-08-10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CN200995064Y (zh) * 2006-12-01 2007-12-26 蔡东青 一种具格斗型的带飞轮玩具陀螺
CN201120144Y (zh) * 2007-08-09 2008-09-24 浙江中南集团卡通影视有限公司 一种玩具陀螺的触发攻击装置
JP3142474U (ja) * 2008-04-04 2008-06-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60657U (ja) * 2010-04-20 2010-07-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N104174167B (zh) * 2014-08-16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陀螺环可两面组装的玩具陀螺
CN205516445U (zh) * 2016-01-19 2016-08-31 株式会社多美 陀螺玩具
JP6232112B1 (ja) * 2016-10-18 2017-1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46976B1 (ja) * 2017-05-23 2018-06-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77217B1 (ja) * 2017-07-07 2018-08-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618970B2 (ja) * 2017-10-17 2019-12-1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431628B1 (ja) * 2018-02-22 2018-11-28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431629B1 (ja) * 2018-02-26 2018-11-28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N209254108U (zh) * 2018-09-07 2019-08-16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调节的玩具陀螺
JP6570019B1 (ja) * 2018-10-15 2019-09-0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632088B1 (ja) * 2018-10-30 2020-0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829A (ja) 2002-10-10 2004-04-30 Sakamoto Co Ltd 回転走行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5455B1 (ja) 2021-03-17
JP2022017866A (ja) 2022-01-26
US20220016536A1 (en) 2022-01-20
CN215538389U (zh) 2022-01-18
US11904251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3631B1 (ja) コマ玩具
JP6232112B1 (ja) コマ玩具
JP6250202B1 (ja) コマ玩具
EP3195911B1 (en) Toy top
JP6431629B1 (ja) コマ玩具
KR20220008756A (ko) 팽이 완구
CN210057374U (zh) 陀螺玩具
US20180104602A1 (en) Toy top
JP2017169776A (ja) コマ玩具
JP5897654B2 (ja) 精密遠心制動システム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JP5364047B2 (ja) ヒンジ装置
KR102030937B1 (ko) 변신완구
JP6618970B2 (ja) コマ玩具
EP3378546A1 (en) Detachable toy
EP3424574A1 (en) Spinning top toy
JP2016185318A (ja) コマ玩具
JP3199933U (ja) コマ玩具遊戯台
JP5959711B1 (ja) コマ玩具
JP6236177B1 (ja) コマ玩具
EP3366360A1 (en) Spinning top toy
US2661572A (en) Changeable feature doll
JP6644338B1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JP3194179U (ja) ゲーム玩具
US5703305A (en) Music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