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804A -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경옥생원 - Google Patents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경옥생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804A
KR20220007804A KR1020200085304A KR20200085304A KR20220007804A KR 20220007804 A KR20220007804 A KR 20220007804A KR 1020200085304 A KR1020200085304 A KR 1020200085304A KR 20200085304 A KR20200085304 A KR 20200085304A KR 20220007804 A KR20220007804 A KR 2022000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kyung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251B1 (ko
Inventor
곽동희
곽민정
Original Assignee
곽동희
곽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희, 곽민정 filed Critical 곽동희
Priority to KR102020008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2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옥고 성분과 백하수오, 구기자, 마, 백출, 당귀, 두충, 감초, 및 꿀을 혼합하여 체질에 관계없이 누구나 복용할 수 있으며, 소화장애 없이 복용할 수 있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및 그의 경옥생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경옥생원{Method for manufacturing Kyung-ok-saeng-one composition containing Kyung-ok-go component and Kyung-ok-saeng-one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경옥생원에 관한 것이다.
경옥고는 동의보감과 방약합편에 보혈강장 및 허약체질 개선제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인삼, 꿀, 백복령, 생지황즙으로 구성된다. 경옥고에서 '고(膏)'란 약재를 넣고 끓여 고아서 사용하는 한약재의 제형을 말하며 약재를 달인 물을 졸여 분량을 적게 하고 오래 두고 먹거나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든 약을 총칭하는 것으로 고형의 제제이다.
경옥고의 전통적인 제조 방법은 인삼, 꿀, 백복령, 생지황즙을 혼합하고 전통 옹기에 담아 중탕으로 달이고 하루를 찬물에 식힌 후에 다시 만 하루를 꼬박 중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3~5일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구성되며, 조제과정이 끝나게 되면 4가지 약재는 끈적끈적한 고 형태의 경옥고가 완성되는데 이를 숟가락으로 떠먹는 형태로 섭취해 왔다.
경옥고는 여러 약리활성이 알려져 있는데, 동의보감과 방약합편에는 백발이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날 정도로 여러 가지 병과 체력약화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문헌적 자료 외에도 현대에 이르러서는 경옥고 수침엑스가 항염증, 위궤양억제, 진통효과 및 정상체온유지에 효과가 있으며, 혈당강하, 혈청중의 총 콜레스테롤 및 총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의 감소, 혈압강하효과, 지구력 및 체중감소에 있어서도 용량 의존적으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경옥고는 기호도에 큰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젊은 층에서는 섭취를 기피한다. 또한, 체질에 따라 복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특히 소화장애에 문제가 알려져 있다. 즉, 경옥고에 포함된 생지황즙에 포함된 난 소화성 당류가 소화장애의 가장 큰 원인이며 심할 경우 복통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므로, 성약이라 불리는 '경옥고'를 모든 사람이 손쉽고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7509호
본 발명은 종래의 경옥고를 개선하여 약효를 증가시키고, 체질에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게 하며,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한 경옥생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옥생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100 내지 140 중량부의 생지황을 착즙하는 단계;
b) 21 내지 27 중량부의 백복령 분말, 10 내지 14 중량부의 홍삼 분말, 및 70 내지 80 중량부의 꿀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지황즙에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중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중탕물을 5 내지 -15℃에서 2 내지 48 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d) c)단계의 숙성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용기에 담고, 백하수오 분말 2 내지 4 중량부, 청주로 버무린 구기자 분말 2 내지 4 중량부, 마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당귀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백출을 쌀뜨물에 불려 제조한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두충 분말 0.7 내지 3 중량부, 및 감초 분말 0.3 내지 0.6 중량부를 상기 용기에 넣고 섞어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e) 상기 반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옥생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옥생원은 종래의 경옥고와 비교하여 약효가 우수하며, 체질에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며,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옥생원의 제조방법은 경옥생원이 상기와 같은 약효를 갖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100 내지 140 중량부의 생지황을 착즙하는 단계;
b) 21 내지 27 중량부의 백복령 분말, 10 내지 14 중량부의 홍삼 분말, 및 70 내지 80 중량부의 꿀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지황즙에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중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중탕물을 5 내지 -15℃에서 2 내지 48 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d) c)단계의 숙성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용기에 담고, 백하수오 분말 2 내지 4 중량부, 청주로 버무린 구기자 분말 2 내지 4 중량부, 마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당귀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백출을 쌀뜨물에 불려 제조한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두충 분말 0.7 내지 3 중량부, 및 감초 분말 0.3 내지 0.6 중량부를 상기 용기에 넣고 섞어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e) 상기 반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약이라 불리는 '경옥고'는 체질에 따라 복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특히 소화장애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생지황즙에 포함된 난소화성 당류가 소화장애의 가장 큰 원인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할 경우 복통을 야기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질에 관계 없이 복용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성분을 혼합하고 소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당귀 분말은 당귀에 술을 뿌리면서 말려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술을 뿌리면서 말려서 제조된 당귀 분말은 설사 등 소화와 관련한 부작용이 경감될 수 있다.
청주로 버무린 구기자 분말은 구기자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주를 30 내지 70 중량부로 혼합하여 버무린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청주를 혼합한 경우, 구기자의 알카로이드 성분으로 인한 소화장애나 알러지 반응이 경감될 수 있다.
상기 백하수오 분말은 쌀뜨물에 불린 후 말려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쌀뜨물에 불리는 경우 백하수오의 부작용인 간독성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d) 단계의 반죽은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나토(annatto) 색소 에탄올 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나토 색소는 중남미 원산의 베니노키류 베니노키 종자로부터 추출하여 얻는 것이다. 이 색소는 황색·주황색을 나타내며 용해성에 따라 수용성 타입과 지용성, 수분산성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안나토 색소의 에탄올 추출물은 각종 식중독균 등의 세균류들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며, 소화를 돕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에탄올은 에탄올의 농도가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d) 단계의 반죽은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 열수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는 사막 식물로서 지중해 연변 모래사장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소화불량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변씨레네의 꽃, 줄기, 잎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반죽은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나토(annatto) 색소 에탄올 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 및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 열수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안나토(annatto) 색소 에탄올 추출물 및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이 각각의 추출물보다 매우 현저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상기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및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은 0.5~1 : 0.5~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생지황은 찬 성질로 습열을 제거하고,골증(骨蒸)과 번로(煩勞)를 제거하며, 어혈을 삭이는 효능을 갖는다.
상기 백복령은 눈, 코, 귀 등 9개의 구멍을 잘 통하게 하여 이수삼습(利水渗濕) 작용으로 담연(痰涎)을 삭히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홍삼은 인삼을 찌고 말려 새로운 성분이 만들어지므로, 기의 순환을 돕는 작용을 한다.
상기 꿀은 탄소동위원소 비율이 22.5% 이하인 잡화꿀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수오는 간(肝)과 신(腎)을 보호하여 머리를 검게 하고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
상기 구기자는 간(肝)과 신(腎)을 보하고 풍아(風雅)를 몰아내며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상기 마는 위장을 잘 다스리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상기 출은 설사를 멈추게 하고 습사와 담기를 없애 비위를 보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상기 귀는 혈을 생성시키고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상기 충은 간(肝)과 신(腎)을 보익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상기 초는 모든 약을 조화시켜주는 작용을 하며 뛰어난 해독 작용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제조예 1: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의 제조
세절한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 잎 1 kg을 물 3 리터가 들어있는 추출용기에 넣고, 전체부피가 2 리터가 될 때까지 가열하면서 물을 증발시켰다. 다음으로 추출액을 분리한 후, 다시 부피가 1/2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안나토(annatto) 색소 분말 1 kg을 에탄올(40%) 3 리터가 들어있는 추출용기에 넣고, 전체부피가 2 리터가 될 때까지 78℃로 가열하면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다음으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분리한 후, 다시 부피가 1/2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재료 준비
생지황 1200g을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말린다.
백복령 240g을 곱게 갈아서 체에 걸러 겉껍질 및 여분을 분류시킨다.
홍삼 120g을 곱게 가루를 낸다.
백하수오 150g을 유기농 쌀뜨물에 1일간 담가서 불순물을 빼내고 잘 씻어 말려 구중구포한 다음 다시 잘 말려서 곱게 간다.
구기자 98g을 잘 볶은 다음 분쇄기로 곱게 갈아서 청주에 66g에 버무린다.
마 95g을 잘 볶아서 곱게 가루를 낸다.
백출 95g을 유기농 쌀뜨물에 1일간 담갔다가 씻은 다음 잘 말려서 볶은 후에 가루를 낸다.
당귀 95g을 분무기로 술을 뿌리면서 말려서 잘 볶은 다음 가루를 낸다.
두충 72g을 잘 볶아서 가루를 낸다.
감초 26g을 잘 볶아서 가루를 낸다.
실시예 1: 경옥생원 제조
a. 상기 생지황 1200g을 착즙기로 즙을 짜 놓았다.
b. 상기 가루를 낸 백복령 분말 240g과 홍삼 120g을 꿀 750g과 함께 생지황즙에 넣고 골고루 섞이도록 저은 다음 세라믹 도자기 그릇에 담고 6시간 동안 압력 중탕기에 넣고 증탕하였다.
c. 그 다음에 냉장고에 하루 동안 넣고 숙성시켜 경옥고를 만들었다.
d. 완성된 경옥고 1670g 중, 300g을 덜어서 유리그릇에 담고 미리 법제하여 준비한 백하수오 분말 28.7g, 구기자(술포함) 30g, 마 분말 17.2g, 당귀 분말 17.2g, 백출 분말 17.2g, 두충 분말 13g, 감초 분말 4.8g을 골고루 섞어서 경옥고와 혼합하여 적당한 반죽을 만들었다.
e. 1회용으로 8g씩을 동그랗게 환을 만들었다.
f. 경옥고를 동결건조 시킬 수 있는 상황이라면 경옥고를 분말을 만들어 미리 분말로 만든 기타의 약재와 혼합하여 1회분 스틱포장이 가능하다.
실시예 2: 경옥생원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죽을 만들고, 상기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3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1회용으로 8g씩을 동그랗게 환을 만들었다
실시예 3: 경옥생원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죽을 만들고, 상기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3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1회용으로 8g씩을 동그랗게 환을 만들었다
실시예 4: 경옥생원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죽을 만들고, 상기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1.5 중량부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1회용으로 8g씩을 동그랗게 환을 만들었다
비교예 1: 경옥고 제조
상기 생지황 1200g을 착즙기로 즙을 짜 놓았다. 가루를 낸 백복령 분말 240g과 홍삼 120g을 꿀 750g과 함께 상기 생지황즙에 넣고 골고루 섞이도록 저은 다음 세라믹 도자기 그릇에 담고 6시간 동안 압력 중탕기에 넣고 증탕하여 경옥고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경옥생원 효능 평가
태양인 남녀 각 10명, 태음인 남녀 각 10명, 소양인 남녀 각 10명, 소음인 남녀 각 10명으로 구성된 총 80명을 대상으로 피험자를 구성하고, 각 체질의 남녀 각 4명씩(총 16명)에게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중의 어느 하나의 경옥생원 및 경옥고를 4주간 간 복용시키면서 효능 및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3: 약효 우수, 2: 보통, 1: 약효 부족
효능 (점수 평균) 부작용 발생 피험자 수
실시예 1 2.625 0
실시예 2 2.75 0
실시예 3 2.875 0
실시예 4 2.875 0
비교예 1 2.0 소화불량 3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옥생원은 약효가 비교예 1(경옥생)과 비교하여 우수하며, 복용시 부작용도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2 내지 4의 경옥생원은 특히 효능이 우수했으며,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항균활성 측정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시료 1);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시료 2); 및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및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1:1(w/w) 혼합물(시료 3)의 항균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식중독균(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ampylobacter jejuni,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hypimurium,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을 사용하였다.
상기 세균류를 멸균된 TSB 배지 10㎖에 배양물 50㎕를 접종하여 30℃에서 24±1 시간 계대배양하였다. 이 배양물의 농도는 microplate reader 흡수파장 655㎚에서 Abs 0.6±0.1이 유지되었다. 계대배양 한 실험균을 멸균증류수로 10-3배로 희석하여 원판확산법을 실시하였다. 즉, 희석균주를 멸균면봉에 묻혀 4㎜ 두께의 평판배지에 확산 도말하고 멸균된 8㎜(두께 1㎜) 여지를 올려 상기 시료 1 내지 3 50㎕를 주입하였다. 20분 정도 충분히 흡입시킨 후 30℃에서 24±1 시간 배양하고 생육환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료 1 내지 3의 항균활성은 여지를 포함한 투명대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균주번호a 항균활성(㎜)b
시료 1
제조예 1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시료 2
제조예 2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1:1 w/w)
세균류 Bacillus cereus KCTC 1012 11 13 15
Bacillus subtilis KCCM 1021 12 12 16
Campylobacter jejuni KCCM 41772 10 12 17
Escherichia coli ATCC 25922 13 11 15
Escherichia coli O-157 ATCC 43888 12 12 16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13 13 17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750 12 14 17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10 11 14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1862 11 13 16
Salmonella thypimurium ATCC 13076 14 12 17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12 10 15
Yersinia enterocolitica ATCC 23715 13 14 17
a: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KCTC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CM (사)한국종균협회
b: 투명대의 크기(직경㎜)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에서 준비한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및 제조예 2에서 준비한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은 모두 전체 세균류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해변씨레네 열수추출물 및 안나토 색소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은 각각의 추출물보다 훨씬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Claims (7)

  1. a) 100 내지 140 중량부의 생지황을 착즙하는 단계;
    b) 21 내지 27 중량부의 백복령 분말, 10 내지 14 중량부의 홍삼 분말, 및 70 내지 80 중량부의 꿀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지황즙에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중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중탕물을 5 내지 -15℃에서 2 내지 48 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d) c)단계의 숙성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용기에 담고, 백하수오 분말 2 내지 4 중량부, 청주로 버무린 구기자 분말 2 내지 4 중량부, 마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당귀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백출을 쌀뜨물에 불려 제조한 분말 1.4 내지 2 중량부, 두충 분말 0.7 내지 3 중량부, 및 감초 분말 0.3 내지 0.6 중량부를 상기 용기에 넣고 섞어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e) 상기 반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분말은 당귀에 술을 뿌리면서 말려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청주로 버무린 구기자 분말은 구기자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주를 30 내지 70 중량부로 혼합하여 버무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하수오 분말은 쌀뜨물에 불린 후 말려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나토(annatto) 색소 에탄올 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반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해변씨레네(Silene villosa) 열수추출물 0.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옥생원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옥생원.
KR1020200085304A 2020-07-10 2020-07-10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8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04A KR102388251B1 (ko) 2020-07-10 2020-07-10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04A KR102388251B1 (ko) 2020-07-10 2020-07-10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804A true KR20220007804A (ko) 2022-01-19
KR102388251B1 KR102388251B1 (ko) 2022-04-19

Family

ID=8005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304A KR102388251B1 (ko) 2020-07-10 2020-07-10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2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68A (ko) * 2004-05-31 2005-12-05 박명환 경옥고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신규 제형
KR20060107232A (ko) * 2005-04-08 2006-10-13 김기준 신선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7509B1 (ko) 2005-06-28 2007-03-20 (주)함소아 식감과 기호성이 향상된 경옥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경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68A (ko) * 2004-05-31 2005-12-05 박명환 경옥고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신규 제형
KR20060107232A (ko) * 2005-04-08 2006-10-13 김기준 신선고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7509B1 (ko) 2005-06-28 2007-03-20 (주)함소아 식감과 기호성이 향상된 경옥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경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251B1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035B1 (ko) 눈의 피로 완화 및 시력개선용 한약조성물 및 한약 환제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4186871A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0678869B1 (ko) 지구자나무를 포함한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제조방법
KR101868823B1 (ko) 경옥고에 꽃송이버섯이 포함된 꽃송이홍삼수옥고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068150A (zh) 一种浓青味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102388251B1 (ko) 경옥고 성분을 포함하는 경옥생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EP1968401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441020A (zh) 种植牙术后保养液及种植牙术后保养方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73478B2 (ja) 保健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100370964B1 (ko) 기능성 식품을 함유한 물엿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068180A (zh) 一种化痰止咳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11821388A (zh) 一种红参组合物及其用途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22934A (zh) 一种应急救灾人员专用红松仁复合抗疲劳固体饮料的配方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491631B1 (ko)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163766A (ko) 기능성 곡물 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