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956A -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956A
KR20220006956A KR1020200084996A KR20200084996A KR20220006956A KR 20220006956 A KR20220006956 A KR 20220006956A KR 1020200084996 A KR1020200084996 A KR 1020200084996A KR 20200084996 A KR20200084996 A KR 20200084996A KR 20220006956 A KR20220006956 A KR 20220006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stle
extract
ethanol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suri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57B1 (ko
Inventor
손호용
김종식
김나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뜨락원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뜨락원,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뜨락원
Priority to KR102020008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엉겅퀴 잎 또는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응고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를 통한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은 혈전 생성 관련 효소 및 혈액 응고 인자의 저해와 함께 혈전 생성의 개시 역할을 수행하는 혈소판의 응집 저해 효과에 의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 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 및 혈전 생성 관련 효소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엉겅퀴 잎 또는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 응고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를 통한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 작용, 체온 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 유지, 수분 일정 유지, 액성 조절 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 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체내에서의 혈액 응고 반응계와 혈전 용해 반응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절되면서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 중 혈액 응고 반응계의 기작은 혈관벽에 혈소판이 점착, 응집하여 혈소판 혈전을 형성한 후, 혈액 응고계가 활성화되어 혈소판 응집괴를 중심으로 피브린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피브린 혈전의 생성은 수많은 혈액 응고 인자들의 여러 단계 반응을 거쳐 피브린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이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린 단량체를 생성하게 하며, 피브린 단량체들은 칼슘에 의해 중합되어, 혈소판과 내피세포에 결합하게 되며 XIII 인자에 의해 교차 결합된 피브린 폴리머를 형성하면서 영구적인 혈전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트롬빈은 혈소판, V 인자, VII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혈액 응고 반응을 촉진시키는 등 혈전 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트롬빈의 활성 저해물질은 과다한 혈액 응고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매우 유용한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내인성 혈전 생성 경로에는 XII 인자, XI 인자, IX 인자, X 인자의 순차적 활성화에 이은 프로트롬빈의 활성화가 최종적으로 트롬빈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혈액 응고 인자의 특이적 저해 역시 중요한 혈전성 질환 치료제의 개발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헤파린, 쿠마린, 아스피린, 유로키네이즈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 장해 및 과민 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엉겅퀴는 초롱꽃목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서식한다. 엉겅퀴는 전체적으로 거미줄 같은 흰 털이 많으며, 잎은 어긋나며(互生), 우상(羽狀)으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결각상(缺刻狀) 톱니가 있으며, 날카로운 가시도 있다. 국내에서는 가시나물이라고도 불린다. 꽃은 6~8월에 적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 두화(頭花)가 달리며, 모두 관상화(冠狀花)다. 암술이 성장하기 전에 수술이 먼저 성장해 꽃가루를 방출한다. 열매는 여윈열매(瘦果)로 백색 깃털(冠毛)이 있으며, 바람에 의해 풍산포(風散布)한다.
엉겅퀴는 전초를 나물로 요리해 식용하고 있으며, 특히 봄에 채취하는 어린순은 반찬으로 먹기도 하며, 말려서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끓여서 차로 마시거나, 식혜를 만들거나 술로 담그기도 한다. 엉겅퀴 잎의 영양 성분 분석 결과, 건조물 100g 당, 단백질 22.4g, 지방 1.6g, 탄수화물 55.6g, 회분 11.8g을 포함하여 총 229kcal/100g의 열량을 나타내며, 칼륨(1,120mg), 칼슘(435mg), 인(290mg)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지용성 비타민인 베타카로틴 함량도 226μg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한 식품 원재료이다.
[표 1] 엉겅퀴 건조물과 숙건의 영양성분 분석
Figure pat00001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는 엉겅퀴의 뿌리를 귀계, 또는 대계로 부르며 약재로 이용하여 왔으며, 국내에서도 늦가을에 수확하는 엉겅퀴 뿌리를 대계근, 엉겅퀴 지상부를 대계초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민간에서는 암을 치료하고, 혈액 순환 개선, 어혈 제거 및 지혈 작용이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뿌리는 고혈압, 당뇨, 간염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엉겅퀴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으며, 어혈이 풀리게 하고, 코피를 흘리는 것을 멎게 하며, 옹종과 옴과 버짐을 낫게 할 뿐만 아니라 여자의 적·백대하를 낫게 하고 정(精)을 보태 주며 혈을 보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까지 엉겅퀴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약 230 여편이 알려져 있으며, 효능으로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남성 갱년기 개선효과, 항당뇨 활성, 피부 미백 효과, 간세포 암화 억제 활성, 항염증 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항균 활성 및 관절염 억제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활성 물질로는 실리마린(silymarin)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엉겅퀴(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Gaertn.)의 열매에서 추출한 플라보리그난(flavolignan) 계열 화합물들의 복합체이다. 엉겅퀴 추출물에는 실리빈(silybin)을 비롯하여 이소실리빈(isosilybin), 실리크리스틴(silychristin), 실리디아닌(silydianin) 등 다양한 플라보리그난 화합물이 존재하며, 이들을 총칭하여 실리마린(silymarin)이라 칭한다. 실리마린(Silymarin)은 간기능 회복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피부암을 예방하고 피부 염증에도 관여하는 등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엉겅퀴의 항혈전 활성과 관련한 연구로는,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이 염증인자 TNF-α 및 부착인자 ICAM 생성을 강력히 저해하여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다(강현주 외, 2013, Ferric Chloride로 유도된 렛트 경동맥 손상 및 혈전에 대한 수용성 엉겅퀴 잎 추출물의 혈행 개선 효과. Kor. J. Pharmacogn. 44, 131-137; 김상희, 2015,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석사논문 67p.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그러나, 현재까지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혈액 응고 관련 효소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를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에 대한 보고는 알려진 바 없다.
한편, 엉겅퀴와 관련된 국내 특허는 약 180 여건이 있으며,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8건),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5건), 부경대학교(4건) 및 삼진제약(4건)에서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였다. 개인으로는 정세헌(4건)씨가 다수 특허 출원하였다. 연도별로는 2016~2017년 매년 20건의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2018년에는 4건만이 출원되었다. 통상 제품화가 이루어지기 2~3년전에 특허출원 및 등록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엉겅퀴 관련 제품은 2018년, 2019년 이후에 다수의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엉겅퀴를 이용한 식품제조와 관련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로는, 제10-1961356호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0-1925386호 [엉겅퀴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 및 그의 제조 방법], 제10-1784870호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0-1466490호 [고구마와 엉겅퀴 추출액을 함유한 건강식 탕수육의 제조 방법], 제10-1736079호 [엉겅퀴가 함유된 삼양주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제10-1911746호 [엉겅퀴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제10-1568925호 [엉겅 퀴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엉겅퀴 된장], 제10-1019812호 [엉겅퀴 또는 약용 식물을 맥반석 혼합하여 덖음차 제조방법], 제10-1884294호 [민들레와 엉겅퀴 뿌리를 이용한 액상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제10-1917822호에는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 균주를 이용한 cirsimaritin이 강화된 엉겅퀴농축액의 제조방법]도 알려져 있다. 한편, 엉겅퀴의 생리 활성과 관련하여, 제10-1902932호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10-1446743호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위궤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10-2039623호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제10-1438717호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제10-1373120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제10-1989407호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제10-1969475호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0-1920859호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제10-1898262호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제10-1862568호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제10-1841959호 [Nrf-2 활성 증진 엉겅퀴 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10-1764639호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제10-1756740호 [치주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제10-1563577호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제10-1318055호 [엉겅퀴 추출물과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제10-1315888호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피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면증 개선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10-1281710호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등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엉겅퀴의 항혈전 활성과 관련한 특허로는 제10-1352591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엉겅퀴 잎 열수 추출물이 염증인자 TNF-α 및 부착인자 ICAM 생성을 강력히 저해하여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9934호에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개선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로즈벵갈 염료를 정맥주사하여 광섬유로 유도한 광화학적 뇌경색 모델에서, 엉겅퀴 추출물 투여시 뇌경색의 크기 감소 확인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혈액 응고 관련 효소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를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에 대한 특허는 알려진 바 없다.
KR 10-1352591 B KR 10-2014-0119934 A
강현주 외, 2013, Ferric Chloride로 유도된 렛트 경동맥 손상 및 혈전에 대한 수용성 엉겅퀴 잎 추출물의 혈행 개선 효과. Kor. J. Pharmacogn. 44, 131-137 김상희, 2015,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석사논문 67p.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소판제를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은 혈전 생성 관련 효소 및 혈액 응고 인자의 저해와 함께 혈전 생성의 개시 역할을 수행하는 혈소판의 응집 저해 효과에 의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 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 및 혈전 생성 관련 효소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엉겅퀴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엉겅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1: 용매 대조구(DMSO), 2: 용매 대조구(물), 3: 아스피린(0.25mg/ml), 4: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0.25mg/ml), 5: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0.25mg/ml).
도 3은 엉겅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1: 용매 대조구(DMSO), 2: 용매 대조구(물), 3: 아스피린(0.25mg/ml), 4: 엉겅퀴 뿌리의 열수 추출물(0.25mg/ml), 5: 엉겅퀴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0.25mg/ml).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엉겅퀴를 대상으로 항혈전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일정 방법으로 성숙한 엉겅퀴 지상부 잎과 지하부 뿌리를 회수하고, 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엉겅퀴 지상부 잎과 지하부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회수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민간에서 간 보호, 항염증, 항비만, 간염, 피부병 치료 등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엉겅퀴를 이용하여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엉겅퀴의 지상부 잎 및 지하부 뿌리를 회수하고 각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혈전 활성을 인간 혈장과 인간 트롬빈에 대한 트롬빈 직접 저해(Thrombin Time), 프로트롬빈 저해(Prothrombin Time) 및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여, 엉겅퀴 지상부 잎과 지하부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응고 활성과 함께 강력한 혈소판 응집 저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소판제를 제공한다.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엉겅퀴 지상부 잎 및 지하부 뿌리로부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 단계; 및 활성 물질의 안정성 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은 엉컹퀴 지상부 잎 또는 지하부 뿌리를 음건하는 단계, 음건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95%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은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유기용매로 순차 또는 각각 분획하여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추가적으로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79배, 1.18배, 1.39배 연장된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활성은 항혈전제로 알려진 아스피린(1.5mg/ml)과 유사한 활성이었다. 반면,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은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14배, 1.20배, 1.32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보다 미약하였다. 또한, 엉겅퀴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30배, 1.09배, 1.34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으며, 엉겅퀴 뿌리의 열수 추출물은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37배, 1.06배, 0.88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0.25mg/ml 농도로 조정한 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45.4%의 응집도를 나타내었으며,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116.0%의 응집도를 나타내어 혈소판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엉겅퀴 잎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매우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을 의미하며, 기존의 부작용 우려가 높은 아스피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0.25mg/ml 농도로 조정한 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45.4%의 응집도를 나타내었으며,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99.8%의 응집도를 나타내어 혈소판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엉겅퀴 뿌리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을 0.25mg/ml 농도로 조정한 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19.3%의 응집도를 나타내었으며, 엉겅퀴 뿌리의 열수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80.3%의 응집도를 나타내어 미미한 혈소판 응집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엉겅퀴 잎 및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매우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을 의미하며, 기존의 부작용 우려가 높은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혈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동맥 혈전증으로서, 급성 심근 경색증,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하지 부종, 통증 및 급성 말초 동맥 폐쇄증 등을 들 수 있고, 정맥 혈전증으로서,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및 중심 망막정맥 폐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엉겅퀴 추출물 제조 및 이들의 유용성분 분석
2018년 경북 안동의 엉겅퀴 재배농장으로부터 엉겅퀴 전초를 구입한 후, 이를 1주일간 음건한 후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1월에 수확한 엉겅퀴 전초(도 1)를 지상부 잎, 지하부 뿌리로 구분한 후 1주일간 실온에서 음건하였으며, 각각의 시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2회 반복 추출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시료 무게에 비해 2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100℃에서 1시간 추출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여과, 감압농축하여 분말로 조제하였다.
엉겅퀴 추출물의 성분 분석으로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2]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의 추출효율 및 유용성분 분석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겅퀴 지상부 잎의 열수 추출 효율은 7%인데 비해 지하부 뿌리의 경우 열수 추출 효율은 56.1%로 상당량의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반면, 엉겅퀴 지상부 잎 및 지하부 뿌리의 에탄올 추출효율은 2.8% 및 0.6%로 매우 낮았다. 엉겅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지상부 잎에서는 매우 높은 48.6~49.4mg/g의 함량을 보인 반면, 지하부 뿌리에서는 3.2~8.8mg/g의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엉겅퀴 지상부 잎 추출물에서는 33.4~42.3mg/g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반면, 총당 함량은 엉겅퀴 지하부 뿌리에서 지상부 잎 추출물보다 약 3.8~5.8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엉겅퀴 지상부 잎에서는 다양한 phytochemical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며, 지하부 뿌리에서는 상당량의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제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에서 엉겅퀴 지상부 잎이 지하부 뿌리 추출물보다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엉겅퀴 추출물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
실시예 1의 엉겅퀴 추출물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방법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Sohn et al., 2004. Kor. J. Pharmacogn 35. 52-61; Kwon et al., 2004. J. Life Science, 14. 509-513; 류 등 2010. J. Life Science, 20. 922-928),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혈장은 시판 control plasma(MD Pacific Technology Co., Ltd, Huayuan Industrial Area, China)를 사용하였으며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 측정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
37℃에서 0.5U 트롬빈(Sigma Co., USA) 50μl와 20 mM CaCl2 50μl,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μl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32.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트롬빈 저해 효과는 3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표준혈장(MD Pacific Co., China) 7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 후, 130μl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18.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혈장 10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한 후, 50μl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μl CaCl2(35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의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aPTT를 용매 대조구의 aPTT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3] 엉겅퀴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Figure pat00003
[표 4] 엉겅퀴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Figure pat00004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겅퀴 지상부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79배, 1.18배, 1.39배 연장된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활성은 항혈전제로 알려진 아스피린(1.5mg/ml)과 유사한 활성이었다. 반면, 엉겅퀴 지상부 잎의 열수 추출물은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14배, 1.20배, 1.32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보다 미약하였다. 또한, 엉겅퀴 지하부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30배, 1.09배, 1.34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으며, 엉겅퀴 지하부 뿌리의 열수 추출물은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37배, 1.06배, 0.88배 연장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엉겅퀴 지상부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엉겅퀴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실시예 1의 엉겅퀴 지상부 잎과 지하부 뿌리 추출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 표 6,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혈소판은 다양한 혈구세포와 함께 혈관을 순환하는 원반형의 작은 세포로서, 핵이 없는 대신 혈관손상보호 및 혈소판 응집과 관련된 다양한 물질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cytoplasmic granule을 가지고 있으며, 혈관내벽의 손상이 나타나는 경우 응집인자들을 분비하고,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노출된 collagen 등과 결합하여 1차 지혈 플러그(primary hemostatic plug)를 형성하여 혈전생성을 개시하는 중요한 세포이다, 따라서 혈소판 응집저해는 혈전 생성을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활성이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은 다음의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Platelet aggregation inhibition activity)
혈소판은 인간 농축혈소판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washing buffer(138mM NaCl, 2.7mM KCl, 12mM NaHCO3, 0.36mM NaH2PO4, 5.5mM Glucose, 1mM EDTA, pH 6.5)로 1회 세척하였다. 이후, suspending buffer(138mM NaCl, 2.7mM KCl, 12mM NaHCO3, 0.36mM NaH2PO4, 5.5mM Glucose, 0.49mM MgCl2, 0.25% gelatin, pH 7.4)에 재 현탁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다시 suspending buffer에 재 현탁하였으며, 이때 혈소판 수는 4x109/ml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후, 1ml 현탁액에 2.5μl collagen을 가해 5분간 반응시키고, whole-blood aggregometer(Chrono-log,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혈소판 응집을 측정하였다.
[표 5] 엉겅퀴 지상부 잎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Figure pat00005
표 5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아스피린은 0.25mg/ml 농도에서 48.8%의 응집을 나타내어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임상에서 항혈전제로 사용되는 근거를 알 수 있었다. 한편, 엉겅퀴 잎의 열수 추출물은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0.25mg/ml에서 45.4%의 응집율을 보여, 아스피린 0.25mg/ml에서의 응집도와 유사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엉겅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이 모두 우수하여 항혈전제로 실제적인 이용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표 6] 엉겅퀴 지하부 뿌리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Figure pat00006
한편, 표 6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겅퀴 뿌리의 열수 추출물은 미약한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0.25mg/ml에서 19.3%의 응집율을 보여, 아스피린 0.25mg/ml에서의 응집도보다 매우 강력한 응집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는 엉겅퀴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이 모두 우수하여 항혈전제로 실제적인 이용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4: 엉겅퀴 추출물의 혈장, 산 및 열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엉겅퀴 잎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혈전 활성에 대한 혈장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엉겅퀴 잎과 뿌리의 추출물은 100℃에서 1시간 열 처리, pH 2(0.01M HCl)에서의 1시간 처리, 혈장에서 1시간 처리시에도 혈액 응고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엉겅퀴 잎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내산성, 내열성을 가진 항혈전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4)

  1.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는 엉겅퀴의 잎 또는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항혈소판제.
KR1020200084996A 2020-07-09 2020-07-09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5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96A KR102453857B1 (ko) 2020-07-09 2020-07-09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96A KR102453857B1 (ko) 2020-07-09 2020-07-09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56A true KR20220006956A (ko) 2022-01-18
KR102453857B1 KR102453857B1 (ko) 2022-11-03

Family

ID=8005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96A KR102453857B1 (ko) 2020-07-09 2020-07-09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407A (ko) * 2012-03-22 2013-10-02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9934A (ko) 2013-03-29 2014-10-13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3095A (ko) * 2015-10-12 2017-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407A (ko) * 2012-03-22 2013-10-02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352591B1 (ko) 2012-03-22 2014-01-22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9934A (ko) 2013-03-29 2014-10-13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3095A (ko) * 2015-10-12 2017-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unjoo Kang et al., 2013,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of water-soluble thistle leaf extract on ferric chloride-induced rat carotid artery injury and thrombosis. Kor. J. Pharmacogn. 44, 131-137
Journal of herbal medicine, 2013, vol. 44, no. 2, pp. 131-137* *
Korean Journal of Herbal Medicine, 2011, vol. 26, no. 4, pp. 39-47* *
Sanghee Kim, 2015,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Sunmoon University, 67p. Sunm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57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4645A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58674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13312B1 (ko)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3181B1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53857B1 (ko)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87390B1 (ko) 쪽잎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7120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18970B1 (ko) 푸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75799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2B1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53875B1 (ko) 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22401B1 (ko) 황촉규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3B1 (ko) 백목련 성숙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28622B1 (ko) 깻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81447B1 (ko) 동백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05606B1 (ko) 헴프씨드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9434B1 (ko) 흑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95404B1 (ko) 섬바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1B1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72558B1 (ko)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7347B1 (ko) 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0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13297B1 (ko) 리치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22119B1 (ko) 볶은 우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90637B1 (ko) 생강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