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91B1 -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91B1
KR101352591B1 KR1020120029135A KR20120029135A KR101352591B1 KR 101352591 B1 KR101352591 B1 KR 101352591B1 KR 1020120029135 A KR1020120029135 A KR 1020120029135A KR 20120029135 A KR20120029135 A KR 20120029135A KR 101352591 B1 KR101352591 B1 KR 10135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histle
composition
red blood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407A (ko
Inventor
장선일
목지예
강현주
조정근
전인화
김현수
박지민
정승일
심재석
Original Assignee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2002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적혈구의 용혈을 억제하고 혈장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며 혈관 손상을 방지하여 혈행을 개선시킴으로써 신체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thistle extract}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적혈구의 용혈을 억제하고 혈장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며 혈관 손상을 방지하고, 혈전 형성을 방지하여 혈행을 개선시킴으로써 신체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생체에서 산화촉진제(prooxidant)와 항산화제(antioxidant)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암을 비롯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이 혈행과 관련된 심혈관계 및 퇴행성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1 -3). 그 동안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인체질환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3 ,4). 특히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화로 인한 혈행과 관련된 만성질환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생체에서 발생되는 하드록실라디칼(ㆍOH), 슈퍼록사이드 라디칼(ㆍO2 -),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반응산소류(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다고 알려졌다1 -4). ROS는 베타지중해빈혈(β-thalassemia), 겸상 적혈구 빈혈증(sickle cell anemia),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결핍 및 이상 혈색소증(hemoglobinopathy)을 가진 환자에서 적혈구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한다5 -8). 적혈구는 세포막에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세포질에 높은 농도의 산소와 헤모글로불린이 함유되어 있어 매우 민감하게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된다8 ,9). 산화적 스트레스의 결과물중 하나인 지질산화(lipid oxidation)는 세포손상과 사멸에 대한 일반적인 기전으로 알려졌는데, 지질산화의 최종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가 적혈구에 일시에 노출될 경우 세포 구성물과 반응성이 높아 적혈구에 치명적 손상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인체질환를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체에 존재하는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및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유지는 물론 비타민 C와 E, 셀레니늄을 비롯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외부 천연물질을 적당하게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1 -1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810호(2009.04.27.)
임상선외 2인, "쑥 및 엉겅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기능, 체지질 및 담즙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0(7), 페이지.797-802, 1997.
본 발명자들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현상을 예방 및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신체에 안전한 천연 물질을 찾고자 천연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엉겅퀴 추출물이 적혈구의 용혈을 억제하고 혈장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며,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혈 현상을 방지하고,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여 혈행을 개선함으로써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적혈구의 용혈 현상을 억제하며, 혈관 손상을 보호하고 혈전 형성을 방지하여 혈류 속도를 개선시킴으로써 혈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인간 적혈구에서 AAPA를 처리한 후 용혈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엉겅퀴 추출물의 AAPH 유도 적혈구 용혈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엉겅퀴 추출물의 AAPH 유도 적혈구의 지질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엉겅퀴 추출물의 혈장에서의 AAPH 유도 말론디알데히드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엉겅퀴 추출물의 적혈구에서의 AAPH 유도 GSH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FeCl3로 혈전을 유도하기 전 및 유도한 직후의 혈류 속도, 혈관 지름 및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엉겅퀴 추출물 또는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후의 혈류 속도, 혈관 지름 및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의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엉겅퀴는 학명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이며,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뿌리)를 대계라하여 약용으로 활용해왔다. 즉, 잎, 줄기, 꽃과 씨 등 지상부는 개화시기에서 씨가 여무는 5~6월에 채취하고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열수 또는 알코올 추출에 의한 약성분을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 치료에 활용해왔다. 엉겅퀴 잎과 꽃은 생리활성이 우수한 아피제닌, 루테올린, 미리세틴, 캄페롤, 펙토리나린, 5,7-디하이드록시-6,4'-디메톡시플라본, 히스피둘린-7-네오-헤스페리오시드 등의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항진균, 신경보호 및 면역 증진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엉겅퀴 추출물은 엉겅퀴에서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만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엉겅퀴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줄기, 뿌리, 꽃, 잎 등 엉겅퀴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엉겅퀴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엉겅퀴를 세절하고 건조한 후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열수 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얻은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건강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내 엉겅퀴 추출물의 함량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강식품의 형태에 따라 엉겅퀴 추출물을 조성물 1kg 당 1mg 내지 1000mg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엉겅퀴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혈구 용혈과 적혈구 및 혈장의 지질산화물질의 최종 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MDA)의 생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적혈수의 용혈을 방지하고 혈장의 손상을 보호하며, 혈관 손상을 보호하고, 혈전 형성을 방지하여 혈류 속도를 개선함으로써 혈행 개선에 효과적이며,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원인으로 하는 신체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준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참고예 1] 엉겅퀴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엉겅퀴(C. japonicum var. ussuriense)는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소재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에서 재배한 것으로 줄기와 꽃은 2011년 5월 30일에 채취하였으며,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의 김홍준 교수에게 의뢰하여 동정하였고, 표본(2011-011)은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건강관리 연구실에 보관하고 있다. 잘 말려진 각각의 시료는 200g를 분말로 제조하여 증류수(3L)로 3시간 동안 추출기로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0.45μm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기(Eyela FDU-2100,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에서 건조하여 48.9g를 회수한 후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적혈구 부유액의 제조
헤파린이 처리된 혈액은 헤파린이 처리된 채혈기를 사용하여 건강한 남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정맥에서부터 채혈함으로써 준비하였다. 적혈구(red bolld cells, RBC)는 10분간 1,500Xg로 원심시켜 분리한 후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으로 3회 원심 세척하고 인산완충액에 헤마토크릿이 5%가 유지되도록 다시 부유하였다. RBC 부유액은 여러 가지 농도(0~200μg/mL)의 CLE와 CFE을 가하여 37℃에서 30분간 전처리한 후 RBC의 자유유리기 사슬 산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50mM AAPH를 주입하고 0~6시간 동안 같은 온도에 방치하였다. 대조군은 인산완충액으로 적정된 적혈구 부유액만 같은 온도 및 시간 조건으로 방치하고 실험하였다.
[참고예 3] 시약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AAPH), 헤파린,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2-티오바르비툴산(TBA), 5,5'-디티오-비스 2-니트로벤조산(DTNB), 드랍킨 시약(drabkin's reagent), 메타-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산(EDTA), 염화나트륨(NaCl),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와 기타 시약은 Sigma-Aldrich사(M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적혈구의 유도 용혈에 대한 엉겅퀴 추출물의 효과
먼저 정상인의 적혈구를 분리하여 인산완충액에 5% 농도로 적혈구 부유액을 제조하여 37℃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적혈구 용혈을 조사한 결과 자연적인 용혈은 거의 없었다(4.1±0.2). 또한 정상인 적혈구 부유액을 대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 어느 농도(25~200 μg/mL)에서도 적혈구 용혈은 정상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다음은 적혈구의 용혈을 유도하기 위해서 AAPH(50mM)을 사용하여 0~6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용혈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시간대부터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AAPH를 처리한 군에서 적혈구가 유의하게 용혈되었고(p<0.001), 4시간에는 55.6±3.2%가 용혈되었으며, 6시간 후에는 완전히 용혈(100%)되었다. 따라서 다음 실험에서는 적혈구의 용혈율이 55.6±3.2%범위인 4시간을 기준으로 정하여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의 용혈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AAPH 유도 적혈구 용혈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L-아스코르브산)와 비교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APH를 4시간 처리하였을 때를 100%로 정하여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별 적혈구 용혈율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엉겅퀴 꽃 추출물 25μg/mL과 50μg/mL 농도에서 각각 약 37.5%(p<0.01)와 약 60%(p<0.001)로 용혈율이 현저히 억제되어 엉겅퀴 잎과 비타민 C보다 용혈 보호 효과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100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용혈억제효과가 현저하였으며, 이들의 적혈구 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는 비슷하였다.
[시험예 2]적혈구와 혈장의 지질산화에 대한 엉겅퀴 추출물의 효과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AAPH 유도 적혈구의 지질산화(MDA)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와 비교 조사하였다.
헤파린이 처리된 채혈기를 사용하여 건강한 남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정맥에서부터 채혈한 후 1,500Xg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얻었고, 적혈구와 혈장의 지질과산화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TBARS(주로 MDA)는 Hseu 등20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간단히 요약하면, 1mL 반응액은 250μL TBA(0.67%)와 100μL H3PO4(0.44M)로 1시간 동안 95℃에 방치한 다음 150μL TCA(20%)를 주입하였다. 원심 분리(12,000Xg, 10분) 후 상층액의 과산화물의 양은 MDA의 몰 흡수계수(OD535)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평균±표준오차(mean±SD)로 표시했고,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처리했으며, 유의성 한계는 p<0.05 수준으로 정하였다.적혈구의 지질산화(MDA)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고, 혈정에서의 지질산화(MDA)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APH를 4시간 처리하였을 때 1L 당 RBC의 MDA가 50±2.4μM로 높게 형성된 반면,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별 MDA 생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억제되었다.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은 사용된 모든 농도에서 비타민 C의 MDA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하였다. 특히 고 농도(100~200μg/mL)인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MDA 생성 억제 효과는 약 47~65%로 매우 우수하였다(p<0.001).
또한,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APH를 4시간 처리하였을 때 1L 당 혈장의 MDA가 50±2.1μM로 높게 형성된 반면,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별 MDA 생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억제되었다.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은 사용된 모든 농도에서 비타민 C의 MDA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하였다. 특히 50μg/mL 농도의 엉겅퀴 꽃 추출물의 경우 AAPH만 처리한 군에 비해 약 37%로 MDA 생성이 현저히 억제되었다(p<0.001). 그리고 고 농도(100~200μg/mL)인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MDA 생성 억제 효과는 61~75%로 매우 우수하였다(p<0.001).
[시험예 3] 적혈구의 글루타티온 측정
정상인의 적혈구에서 AAPH 유도 GSH 억제에 대한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의 생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타민 C와 비교 조사하였다.
제시된 시간에서 2mL의 반응액을 원심 침전시킨 후 적혈구를 용해하기 위해서 0.6mL 증류수를 가했다. 세포용해물의 글루타티온(GSH)는 Hseu 등20 )의 방법에 따라 DTNB로 적정하여 412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평균±표준오차(mean±SD)로 표시했고,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처리했으며, 유의성 한계는 p<0.05 수준으로 정하였다.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APH를 4시간 처리하였을 때 1L 당 적혈구의 GSH는 30.1±4.9μM로 나타나 정상 대조군(63.3±4.4μM)에 비해서 약 52%가 감소된 반면, 엉겅퀴 잎과 꽃의 열수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별로 GSH 생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되었다.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은 사용된 모든 농도에서 비타민 C의 GSH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하였다. 특히 200μg/mL 농도에서 엉겅퀴 잎과 꽃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GSH 생성 증가율은 정상 대조군과 유사하여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p<0.001).
[시험예 4] 혈전 개선 효과 측정
엉겅퀴 추출물의 혈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체중이 300~350g인 루이스 랫트(30마리, 시험군당 10마리)를 졸레틸(100㎕/체중 g)로 마취한 후 경동맥 부위를 절개한 다음 먼저 초음파 측정기로 혈류 속도, 혈관 지름 및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절개부위를 잘 소독한 후 혈전 유발을 위하여10분 동안 70% FeCl3로 충분히 여과지에 흡수시켜 경동맥 부위에 밀착시하고, 혈전 유발 여부를 초음파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후 FeCl3 흡수지를 제거하고 다시 70% 에탄올 솜으로 잘 소독한 후 봉합한 후, 참고예 1의 엉겅퀴 열수 추출물(100mg/kg)을 투여하였다. 이 때, 정상대조군으로는 상기 절개한 경동맥 부위에 혈전 유발 물질인 FeCl3를 처리하지 않고 생리식염수만 투여한 것을 사용하였고, 약물대조군으로는 FeCl3를 처리한 랫트에서 엉겅퀴 추출물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생리식염수는 엉겅퀴 추출물과 같이 100mg/kg을 투여하였다. 엉겅퀴 추출물 또는 생리식염수는 20일간 1일에 1회씩 투여하였다.
약물투여기간이 종료된 래트를 대상으로 경동맥 수술부위를 다시 절개하고 경동맥을 노출시킨 후 즉시 초음파 측정기로 혈류 속도, 혈관 지름 및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을 보면, FeCl3를 처리한 직후에는 혈관이 손상되고 혈전이 유발되어 혈관이 좁아지면서 혈류 속도는 증가하지만, 혈류량이 감소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 7을 보면, 혈전 유발 후 엉겅퀴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혈류 속도, 혈관 지름 및 혈류량이 모두 혈전 유발 후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현저한 개선 효과를 보여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용문헌>
1. Galli, F., Canestrari, F. and Bellomo, G. (1999) Pathophysiology of oxidative stress and its implication in uremia and dialysis. Contri . Nephrol . 127: 1-31.
2. Parthasarathy, S., Khan-Merchant, N., Penumetcha, M. and Santanam, N. (2001) Oxidative st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 J. Nucl . Cardiol . 8: 379-389.
3. Cooke, M. S., Evans, M. D., Dizdaroglu, M. and Lunec, J. (2003) Oxidative DNA damage: mechanisms, mutation, and disease. FASEB J. 17: 1195-1214.
4.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9)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 Natl . Acad . Sci . U.S.A. 90: 7915-7922.
5. Edgington, S. M. (1994) As we live and breathe: free radicals and aging. Correlative evidence from a number of fields suggests they may be key. Bio/Technology 12: 37-40.
6. Vives Corrons, J. L., Miguel-Garcia, A., Pujades, M. A., Miguel-Sosa, A., Cambiazzo, S., Linares, M., Dibarrart, M. T. and Calvo, M. A. (1995) Increased susceptibility of microcytic red blood cells to in vitro oxidative stress. Eur. J. Haematol. 55: 327-331.
7. Rice-Evans, C., Omorphos, S. C. and Baysal, E. (1986) Sickle cell membranes and oxidative damage. Biochem . J. 237: 265-269.
8. Sadrzadeh, S. M., Graf, E., Panter, S. S., Hallaway, P. E. and Eaton, J. W. (1984) Hemoglobin. A biologic fenton reagent. J. Biol . Chem . 259: 14354-14356.
9. Clemens, M. R., Ruess, M., Bursa, Z. and Waller, H. D.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composition of red blood cells and their susceptibility to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 . Res . Commun . 3: 265-267.
10. Chiu, D., Kuypers, F. and Lubin, B. (1989) Lipid peroxidation in human red cells. Semin . Hematol . 26:257-276.
11. Gey, K. F. (1998) Vitamins E plus C and interacting conutrients required for optimal health. A critical and constructive review of epidemiology and supplementation data regar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Biofactors 7: 113-174.
12. Panickar, K. S. and Anderson, R. A. (2011) Effect of polyphenols on oxidative stres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neuronal death and brain edema in cerebral ischemia. Int . J. Mol . Sci . 12: 8181-8207.
13. Manach, C., Scalbert, A., Morand, C., Remesy, C. and Jimenez, L. (2004)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m . J. Clin . Nutr . 79: 727-747.
14. Lee, S. J. (1996) Korean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Seoul p. 145-146.
15. Ishida, H., Umino, T. and Tosugee T. (1987) Studies on antihemmorhagic substance in herbs classified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ehorhagic principle in Cirisium japonicum DC. Chem . Pharm . Bull . 35: 861-864.
16. Liu, S., Luo, X., Li, D., Zhang, J., Qui, D., Liu, W., She, L. and Yang, Z. (2006)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Int . Immunopharmacol . 6: 1389-1393.
17. Lee, H. K., Kim, J. S., Kim, N. Y., Kim, M. J, Park, S. U. and Yu, C. Y.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ce Kitamura. Kor . J. Med . Crop . Sci. 11: 53-61.
18. Kim, S. J. and Kim, G. H. (2003) Identification for flavones in different parts of Cirsium japonicum. J. Food Sci . Nutr . 8: 330-335.
19. Lee, M. K., Moon, H. C., Lee, J. H., Kim, J. D., Yu, C. Y. and Lee, HY. (2002)Screening of immune enhancing activities in medicinal herbs, Compositae. Kor. J. Med . Crop . Sci . 10: 51-57.
20. Hseu, Y. C., Chang, W. C., Hseu, Y. T., Lee, C. Y., Yech, Y. J., Chen, P. C., Chen, J. Y. and Yang, H. L. (2002) Protection of oxidative damage by aqueous extract from Antrodia camphorata mycelia in normal human erythrocytes. Life Sci . 71:469-482.
21. Ko, F. N., Hsiao, G. and Kuo, Y. H. (1997) Protection of oxidative hemolysis by demethyldiisoeugenol in normal and beta-thalassemic red blood cells. Free Radical Biol . Med . 22: 215-222.
22. Mok, J. Y., Kang, H. J., Cho, J. K., Jeon, I. H., Kim, H. S., Park, J. M., Jeong, S. I, Shim, J. S. and Jang, S. I. (2011)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or . J. Herbology . 26:39-47.
23. Jaffe, E. A., Nachman, R. L., Becker, C. G. and Minick, C. R. (1973) Culture of human endothelial cells derived from umbilical veins. J. Clin . Invest . 52: 2745-2756.
24. Hseu, Y. C., Chang, W. C., Hseu, Y. T, Lee, C. Y., Yech, Y. J, Chen, P. C., Chen, J. Y. and Yang, H. L. (2002) Protection of oxidative damage by aqueous extract from Antrodia camphorata mycelia in normal human erythrocytes. Life Sci. 71: 469-482.
25. Benedetti, S., Benvenuti, F., Pagliarani, S., Francogli, S., Scoglio, S. and Canestrari, F. (2004) Antioxidant properties of a novel phycocyanin extract from the blue-green alga Aphanizomenon flos-aquae. Life Sci. 75: 2353-2362.
26. Snyder, L. M., Fortier, N. L., Trainor, J., Jacobs, J., Leb, L., Lubin, B., Chiu, D., Shohet, S. and Mohandas, N. (1985) Effect of hydrogen peroxide exposure on normal human erythrocyte deformability, morphology,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pectrin-hemoglobin crosslinking. J. Clin . Invest . 76: 1971-1977.
27. Flynn, T. P., Allen, D. W., Johnson, G. J. and White, J. G. (1983) Oxidant damage of the lipids and proteins of the erythrocyte membranes in unstable hemoglobin disease. Evidence for the role of lipid peroxidation. J. Clin . Invest . 71: 1215-1223.
28. Yamamoto, Y., Niki, E., Eguchi, J., Kamiya, Y. and Shimasaki, H. (1985) Oxidation of biological membranes and its inhibition. Free radical chain oxidation of erythrocyte ghost membranes by oxygen. Biochim . Biophys . Acta. 819: 29-36.

Claims (6)

  1.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적혈구 용혈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을 조성물 1kg 당 1mg 내지 1000mg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29135A 2012-03-22 2012-03-22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35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35A KR101352591B1 (ko) 2012-03-22 2012-03-22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35A KR101352591B1 (ko) 2012-03-22 2012-03-22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07A KR20130107407A (ko) 2013-10-02
KR101352591B1 true KR101352591B1 (ko) 2014-01-22

Family

ID=4963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135A KR101352591B1 (ko) 2012-03-22 2012-03-22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956A (ko)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뜨락원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887B1 (ko) * 2020-11-03 2023-04-07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837A (ko) * 2004-03-23 2007-01-16 라이프라인 뉴트러세티컬스 코포레이션 포유류에서 염증과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방법
JP2007051125A (ja) * 2005-11-29 2007-03-01 Kunyo Seibutsu Kagaku Kk 抽出物配合剤
KR20090040810A (ko) * 2007-10-22 2009-04-27 박희준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837A (ko) * 2004-03-23 2007-01-16 라이프라인 뉴트러세티컬스 코포레이션 포유류에서 염증과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방법
JP2007051125A (ja) * 2005-11-29 2007-03-01 Kunyo Seibutsu Kagaku Kk 抽出物配合剤
KR20090040810A (ko) * 2007-10-22 2009-04-27 박희준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상선 외 2인, 한국영양학회지, 30(7), 페이지 797-802, 199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956A (ko)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뜨락원 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407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 et al. Vitexin exerts cardioprotective effect on chronic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rats via inhibiting myocardial apoptosis and lipid peroxidation
Salimi et al.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sumac (Rhus coriaria L.) in the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ES2655562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que contienen fracciones de extractos de arándano rojo
KR101373120B1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Skalski et al. Response of blood platelets to phenolic fraction and non-polar fraction from the leaves and twigs of Elaeagnus rhamnoides (L.) A. Nelson in vitro
Rit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lected local banana peel (Musa sp.) methanol extracts cultivated in Bali
Rababa'h et al. The effect of hawthorn flower and leaf extract (Crataegus Spp.) on cardiac hemostasis and oxidative parameters in Sprague Dawley rats
KR101352591B1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696504B1 (ko) 피부 복구용 조성물 및 방법
Štajner et al. Evaluation of willow herb's (Epilobium angustofolium L.)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Kang et al. Protective effects of leaf and flower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oxidative damage in normal human erythrocytes and plasma
Adeneye et al. Evaluation of the toxicity and reversibility profile of the aqueous seed extract of Hunteria umbellata (K. Schum) Hallier F. in rodents
Khandelwal et al. Hemidesmus indicus and Hibiscus rosa-sinensis affect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isolated rat hearts
Qiu et al. Effects of Saccharides from Arctium lappa L. Root on FeCl 3-Induced Arterial Thrombosis via the ERK/NF-κB Signaling Pathway
Parthiban et al. In vitro anti inflammatory activity of stem of Zanthoxylum Rhetsa (Roxb.) DC
Tulsawani et al. Supplementation of fruit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speeds adaptation to simulated high altitude stressors in rats
US2009031749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rachelospermi caulis and pyrola japonica extrac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KR20200064384A (ko) 약쑥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9934A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개선용 조성물
Xie et al. Ameliorative effects of combinative injection of Ginko biloba leaves extract and vitamin C on ischemia/reperfusion liver damages model
El Shater et al. Physiological Studies of the Effect of Moringa olifera and Vitamin (C) on Hepa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duced by Lead Acetate in Male Albino Rats
Serafini et al. Anti-inflammatory property and redox profile of the leaves extract from Morinda citrifolia L.
Ogwutum et al.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anti-sickling and erythrocyte membrane stabilizing potentials of Elaesis guineensis Jacq Flower
Jang et 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Elbouny et al.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ight Moroccan Thymus species: a comparison with Thymus vulgar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