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245A - 해조류용 포대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용 포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245A
KR20220005245A KR1020200082839A KR20200082839A KR20220005245A KR 20220005245 A KR20220005245 A KR 20220005245A KR 1020200082839 A KR1020200082839 A KR 1020200082839A KR 20200082839 A KR20200082839 A KR 20200082839A KR 20220005245 A KR20220005245 A KR 2022000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eaweed
inlet
guid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496B1 (ko
Inventor
황두진
최성오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최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최성오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6Gates or closures operating by deformation of flexi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용 포대장치(10)이다. 포대장치(10)는 포대몸체(12)의 내부에 해조류가 담겨지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포대몸체(12)는 몸체상부(16)와 몸체하부(18)로 나누어지고, 상기 몸체하부(18)는 상기 몸체상부(16)보다 중력 방향 하부에 있다. 상기 몸체하부(18)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몸체상부(16) 상단에 있는 입구(20)를 통해서 해조류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고, 상기 몸체하부(18)의 하단에 있는 출구(22)를 통해 해조류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가이드(24)가 있어서 그 내부와 외부로 상부로프(28)가 위치되고,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가이드(24')가 있어서 그 내부와 외부로 하부로프(28')가 위치된다.

Description

해조류용 포대장치{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본 발명은 해조류용 포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에서 생산되는 조류 등을 담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에서는 다양한 조류를 양식하거나 채취할 수 있다. 조류에는 미역, 파래, 매생이, 김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해양에서 양식된 김은 바닷물에 젖은 상태인데, 이를 물김이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물김은 양식장에서 생산하고 이를 건져올려서 바지선 상에 있는 물김포대에 담아서 육지로 이동하게 된다. 바지선이 육지에 와서 물김포대를 하역할 때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물김포대를 들어올려서 이송한다.
물김의 채취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2347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자동화 처리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였고,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82851호로 물김처리장치를 출원하였는데, 여기서 물김포대를 사용하여 물김을 담아서 바지선에서 육상으로 이송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의 문헌들에서 사용되는 물김포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되지 않아서, 일반적인 마대자루와 같은 것을 사용했는데, 물김포대에 물김이 가득 담아졌을 때 물김포대의 중간 하부부분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물김포대가 놓여지는 프레임에서 물김포대가 잘 빠지지 않거나, 프레임에 걸려 물김포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물김포대는 입구와 출구가 동일하여 물김포대 내부에 있는 물김을 꺼내기 위해서는 물김포대를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34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조류를 담아 선상에서 육상으로 이송할 수 있는 해조류용 포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조류를 담아 크레인으로 이송하여 포대장치의 외부로 해조류를 쉽게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의 물품과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조류용 포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대장치는 포대몸체의 입구와 출구를 로프를 사용하여 개폐하고,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는 상하가이드를 통해 포대몸체의 상부로 안내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함께 이송장치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부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해조류를 넣고 하부의 출구를 통해 해조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해조류의 이송이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포대몸체의 몸체하부가 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에 해조류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포대몸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상부에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몸체하부에 출구가 위치되는 포대몸체와,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와, 상기 하부로프를 상기 포대몸체의 상단 쪽으로 안내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지는 상부샤클과, 상기 하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지는 하부샤클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상부로프가 연장되고, 상기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하부로프가 연장된다.
상기 상부로프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로프는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포대몸체는 해조류가 빠져나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의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하부로프 가이드, 상하가이드는 로프와의 마찰력을 견딜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입구는 다각형상으로 되어 인접한 포대장치의 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입구는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하부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크기로 만들어진 포대장치의 내부공간에 해조류를 소정량 씩 담아서 크레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포대장치의 입구와 출구를 조아서 폐쇄할 수 있는 상부로프와 하부로프에 크레인에 걸어지는 샤클을 두어서 크레임을 사용하여 이송할 때, 포대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부로프가 입구를 하부로프가 출구를 보다 확실하게 조아줘서 해조류가 외부로 나오는 것 없이 잘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대몸체의 상부에 입구를 두고 하부에 출구를 두어서, 포대몸체의 내부공간으로는 입구를 통해 해조류를 투입하고 포대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해조류를 전달할 때는 하부에 있는 출구를 개방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크레인과 같은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선상에서 육상으로 해조류를 보다 쉽게 이송하여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포대몸체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하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출구측을 향해 횡단면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몸체하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해조류가 가득 담겨지더라도 몸체상부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대몸체를 선상에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주변의 물체와 간섭되지 않아 포대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포대장치에서 포대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크기를 현장의 필요에 맞게 다양하게 설정하면, 포대장치를 통해 한 번에 이송되는 해조류의 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를 보다 잘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새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영역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포대장치를 크레인에 걸어 들어올린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해조류용 포대장치(10)는 포대몸체(12)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포대몸체(12)는 해조류가 빠져나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의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진 천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해조류가 머금고 있는 물은 포대몸체(12)를 통과하면서 해조류는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이라면 상기 포대몸체(12)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대몸체(12)의 내부에는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아래에서 설명된 상부로프(28)와 하부로프(28')에 의해 입구(20)와 출구(22)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포대몸체(12)은 크게 몸체상부(16)와 몸체하부(1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상부(16)는 상기 몸체하부(18)에 비해 그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하부(18)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14)의 횡단면적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상부(16)의 내부공간(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몸체상부(16)의 내부공간(14)의 횡단면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포대장치(10)가 선상에 놓여져 지지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따른 것이다.
상기 몸체상부(16)의 상단에는 입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0)를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4)으로 해조류가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입구(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다수개의 포대장치(10)가 다수개의 행과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을 때, 인접하는 포대장치(10)의 입구(20)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20)의 형상은 인접하는 포대장치(10)의 입구(20) 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평행사변형, 5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입구(20)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하부(18)의 하단에는 출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22)를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4)에서 외부로 해조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출구(22)의 형상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구(20)의 개폐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있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상기 포대몸체(12)의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로프통과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통과공간(26)에는 상부로프(28)가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사각형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각 변에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상기 사각형의 입구 가장자리를 전체를 둘러 하나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입구(20)를 개폐할 때 조아지거나 펼쳐지는 것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상기 포대몸체(12)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상부로프(28)와의 마찰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마찰에 강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의 로프통과공간(26)으로 상부로프(28)가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는 동일하거나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는 로프통과공간(26) 내에 있는 상부로프(28)의 길이에 따라 입구(2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포대몸체(12)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 내부에 있는 상부로프(28)가 당겨지면 상기 입구(20)의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조아져서 입구(20)가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부로프(28)가 로프통과공간(26)으로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가 다르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부로프(28)를 적어도 2개 이상 사용해야 한다.
한편, 상기 출구(22)에는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위치된다. 이 구성은 상부로프 가이드(24)의 그 것과 유사하므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있고,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의 내부에 있는 로프통과공간(26')에 하부로프(28')가 위치된다. 상기 하부로프(28')도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로 되어 있고, 상기 로프통과공간(26')으로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가 같거나 인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도 상부로프 가이드(24)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로프(28)의 양단은 하나의 상부샤클(3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샤클(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장치(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c), 예를 들면 크레인에 걸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샤클(30)이 이송장치(c)에 걸어지고 이송장치(c)가 동작하면, 상기 상부로프(28)가 당겨지면서 상기 입구(20)가 닫혀진다. 물론 상기 상부로프(28)의 길이에 따라, 상기 입구(20)가 닫혀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상기 입구(20)는 반드시 완전히 폐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로프(28')의 양단도 역시 하나의 하부샤클(3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샤클(30')도 이송장치(c)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샤클(30')이 이송장치(c)에 걸어진 상태에서 이송장치(c)가 동작되면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지면서 상기 출구(22)를 폐쇄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하부로프(28')가 하부로프가이드(24')의 로프통과공간(26') 내에 위치되는 길이가 짧아지면서 상기 출구(22)를 조으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로프(28')도 하나가 사용되는데, 상부로프(28)와 마찬가지로 2개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하부로프(28')의 양단이 상기 하부샤클(30')에 연결되는데, 상기 하부샤클(30')과 상기 출구(22) 사이에서 상기 하부로프(28')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포대몸체(12)에 상하가이드(32)가 있다. 상기 상하가이드(32)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나 하부로프 가이드(24')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가이드(32)는 상기 하부로프(28')를 상기 출구(22)에서 시작해서 포대몸체(12)의 상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가이드(32)에 의해 포대몸체(12)의 입구 쪽으로 상기 하부로프(28')가 안내된다.
상기 상하가이드(3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갯수나 길이 등은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하가이드(32)를 길게 만들고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로프(28)와 하부로프(28')의 길이는 포대장치(10)가 이송장치(c)에 의해 들어 올려졌을 때, 이송장치(c)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상부샤클(30)과 하부샤클(30')이 걸어지면, 상기 몸대몸체(12)가 상하방향으로 바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져서 출구(22)를 조여서 폐쇄시키고, 상부로프(28)도 당겨져서 입구(20)를 적어도 일부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대장치(10)는 해조류를 채취하는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다수개가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인접한 포대장치(10)의 입구(20) 사이에는 틈새가 없도록 하여 기계적으로 채취되는 해조류가 포대장치(10)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모두가 각각의 포대장치(10)로 입구(20)를 통해 내부공간(14)에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포대장치(10)의 내부공간(14)에 해조류가 다 채워지게 되면, 선박을 이동시켜 육상으로 전달한다. 육상에서 이송장치(c)를 사용하여 상기 포대장치(10)를 하나 씩 이송한다.
상기 포대장치(10)에서 해조류가 상기 출구(22)를 통해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로프(30')의 하부샤클(30')을 당겨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 내에 있는 하부로프(30')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해야 한다. 즉, 상기 하부로프(30')가 상기 로프통과공간(26')에 최소 길이가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로프가이드(24)가 죄어져서 상기 출구(22)가 닫혀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부샤클(30')을 이송장치(c)에 걸어서 당기거나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하부샤클(30')을 당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구(22)가 닫혀지면 내부공간(14)의 해조류가 출구(22)를 통해 나올 수 없다.
상기 포대쟝치(10)의 몸체하부(18)는 출구(22) 쪽으로 갈수록 내부의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대몸체(12)에서 하부에 해당되는 몸체하부(18)에는 내부공간(14)에 해조류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그 압력에 의해 배루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포대몸체(12)의 몸체상부(16)의 외면보다 몸체하부(18)의 외면이 더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포대장치(10)를 선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빼낼 때, 포대몸체(12)가 주변에 걸려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포대장치(10)를 선상에서 육상으로 옮기고, 내부공간(14)에 있는 해조류를 다른 용기에 담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장치(c)를 사용한다. 상기 이송장치(c)에 상기 상부샤클(30)과 하부샤클(30')을 걸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20)와 출구(22)가 조여져서 폐쇄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입구(20)는 반드시 완전히 조여질 필요는 없다. 이는 상기 입구(20)는 중력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포대장치(10)가 뒤집어지거나 많이 기울어지지 않는 이상 입구(20)를 통해서는 해조류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포대장치(10)가 들어올려지면 내부공간(14)의 해조류의 무게에 의해 상기 입구(20)와 출구(22), 특히 출구(22)는 조여지면서 닫혀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육상으로 포대장치(10)가 옮겨지면, 이후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해조류를 다른 용기나 수송차량에 옮겨 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하부샤클(30')을 이송장치(c)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부로프(28')가 더 이상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지지 않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14)에 있는 해조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출구(22)가 개방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하부로프(28')가 상기 하부로프가이드(24')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조여있던 상태에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구(22)가 개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해조류가 빠져나와 다른 용기 또는 수송차량으로 옮겨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포대장치 12: 포대몸체
14: 내부공간 16: 몸체상부
18: 몸체하부 20: 입구
22: 출구 24: 상부로프 가이드
24': 하부로프 가이드 26: 로프통과공간
26': 로프통과공간 28: 상부로프
28': 하부로프 30: 상부사클
30': 하부샤클 32: 상하 가이드

Claims (7)

  1. 내부에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상부에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몸체하부에 출구가 위치되는 포대몸체와,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와,
    상기 하부로프를 상기 포대몸체의 상단 쪽으로 안내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지는 상부샤클과,
    상기 하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지는 하부샤클을 포함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상부로프가 연장되고, 상기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하부로프가 연장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프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로프는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몸체는 해조류가 빠져나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의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하부로프 가이드, 상하가이드는 로프와의 마찰력을 견딜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다각형상으로 되어 인접한 포대장치의 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사각형상으로 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부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KR1020200082839A 2020-07-06 2020-07-06 해조류용 포대장치 KR10235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ko) 2020-07-06 2020-07-06 해조류용 포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ko) 2020-07-06 2020-07-06 해조류용 포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45A true KR20220005245A (ko) 2022-01-13
KR102354496B1 KR102354496B1 (ko) 2022-01-24

Family

ID=7934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ko) 2020-07-06 2020-07-06 해조류용 포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488A (ja) * 1997-12-19 1999-07-06 Koizumi Seima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010052245A (ko) * 1999-04-22 2001-06-25 와카야마 세이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서블 콘테이너
JP3085876U (ja)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ク
JP2002225977A (ja) * 2001-01-26 2002-08-14 Inter Action Corp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2005335807A (ja) * 2004-05-26 2005-12-08 Morishita Kk 遠隔操作で開封可能な安全性の高いコンテナバッグ
JP5188750B2 (ja) * 2007-06-08 2013-04-24 代田 眞理子 コンテナーバック
JP2017190175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吊搬具及び運搬方法
KR20190023479A (ko) 2017-08-29 2019-03-08 김석칠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20200017997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다기능 섬유 돌망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76B2 (ja) 1995-04-25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ワーク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488A (ja) * 1997-12-19 1999-07-06 Koizumi Seima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010052245A (ko) * 1999-04-22 2001-06-25 와카야마 세이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서블 콘테이너
JP2002225977A (ja) * 2001-01-26 2002-08-14 Inter Action Corp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3085876U (ja)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ク
JP2005335807A (ja) * 2004-05-26 2005-12-08 Morishita Kk 遠隔操作で開封可能な安全性の高いコンテナバッグ
JP5188750B2 (ja) * 2007-06-08 2013-04-24 代田 眞理子 コンテナーバック
JP2017190175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吊搬具及び運搬方法
KR20190023479A (ko) 2017-08-29 2019-03-08 김석칠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20200017997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다기능 섬유 돌망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96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03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лова водных животных
US7533486B2 (en) Foldable fish-trap
US20110271584A1 (en) Preconfigurable underwater crustacean trap
CA1309990C (en) Receptacle having improved hopper
NL7905270A (nl) Container.
KR200444477Y1 (ko) 해수유입이 가능한 전면 개폐형 활어운반선
US3440758A (en) Crab trap
KR102354496B1 (ko) 해조류용 포대장치
US4986021A (en) Fish net and method of capturing fish
US2721411A (en) Collecting device for live fish
US1780322A (en) Apparatus for enabling hatch loading in the rain for ships or the like
KR102118968B1 (ko)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 결합장치
KR200480316Y1 (ko) 하역 보자기
EP1852361B1 (en) Flexible waterproof flood protection container
US3427742A (en) Foldable frame construction for crab pots and the like
WO2018156028A1 (en) Device for catching or keeping marine organisms
EP0720945B1 (en) Liferaft
US1485338A (en) Floating trawling fish seine
KR100446475B1 (ko) 근채용플렉시블컨테이너
US1146605A (en) Adjustable non-detachable top for bags, baskets, and barrels.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US1463857A (en) Wire spiller and lifting net
US953009A (en) Fruit-gathering vessel.
US664719A (en) Minnow-bucket.
CN207322424U (zh) 一种胡蜂笼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