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132A -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132A
KR20220004132A KR1020217038619A KR20217038619A KR20220004132A KR 20220004132 A KR20220004132 A KR 20220004132A KR 1020217038619 A KR1020217038619 A KR 1020217038619A KR 20217038619 A KR20217038619 A KR 20217038619A KR 20220004132 A KR20220004132 A KR 2022000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glass powder
ionomer cement
toothpast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595B1 (ko
Inventor
쿠미코 요코누마
토시야 스즈키
다이자부로 모리
료스케 요시미츠
야스유키 나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22000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과용 키트에 있어서,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와,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본 발명은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분야에 있어서 불소는 우식(dental caries)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가 수복(restoration)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하는 유리 분말(이하에서,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이라 함)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표2008-519749호 국제공개공보 제2017/168836호
이 때,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를 사용하여 치아를 수복하면, 치아 수복부로부터 구강 내부로 아연 이온이 용출되기 때문에, 치아질의 탈회(脫灰)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그러나 치아를 수복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아 수복부에서의 아연 이온 함유량이 감소하여, 그 결과, 치아 수복부로부터 아연 이온이 용출되는 양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과용 키트에 있어서,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와,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을 이용하여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에 의해 수복되는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 내부를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치과용 키트]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키트는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라 함)와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의 세정 용품"이라 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키트는 우식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키트를 사용하여 우식을 치료할 때에는,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를 사용하여 치아를 수복한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키트를 사용하여 우식을 예방할 때에는,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에 의해 수복되는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 내부를 세정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치아를 수복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아 수복부에서의 아연 이온 함유량이 감소하여, 그 결과, 아연 이온이 용출되는 양이 감소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을 사용하면, 구강 세정 용품으로부터 구강 내부로 용출된 아연 이온이 치아 수복부로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치아 수복부에서의 아연 이온 함유량의 감소가 억제되어, 그 결과,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이 억제된다.
아울러, 구강 내부를 세정하는 타이밍은,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불소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칼슘, 인, 스트론튬, 란탄, 나트륨, 칼륨, 알루미늄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아연의 함유량은, 산화아연(ZnO)으로 환산한 양으로 1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규소의 함유량은, 산화규소(SiO2)로 환산한 양으로 1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4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불소(F)의 함유량은 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칼슘의 함유량은, 산화칼슘(CaO)으로 환산한 양으로 0~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인의 함유량은, 산화인(V)(P2O5)으로 환산한 양으로 0~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스트론튬의 함유량은 산화스트론튬(SrO)으로 환산한 양으로 0~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란탄의 함유량은 산화란탄(La2O3)으로 환산한 양으로 0~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나트륨의 함유량은 산화나트륨(Na2O)으로 환산한 양으로 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칼륨의 함유량은 산화칼륨(K2O)으로 환산한 양으로 0~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 중 알루미늄의 함유량은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환산한 양으로 0~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은 0.01~3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2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0.01μm 이상이면,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의 조작성이 향상되며, 30μm 이하이면,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 경화체의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수복 재료]
본 실시형태의 수복 재료(조성물)로서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복합 레진(composite resin), 가봉(假縫)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치아 수복부로부터 구강 내부로 아연 이온이 용출되기 쉽다는 점에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는,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제1제와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는 제2제를 포함하는 2제형(2劑型)인 조성물이지만, 유리 분말과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를 연화(練和)시킬 때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수용액에 대한 유리 분말의 질량비는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수용액에 대한 유리 분말의 질량비가 1 이상이면,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강도가 향상되며, 5 이하이면,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케어다인 리스토어(GC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α, β-불포화카르본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클로로아크릴산, 3-클로로아크릴산, 아코니트산, 메사콘산,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글루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이타콘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과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염류, 염화비닐, 염화알릴,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에 대한 α, β-불포화카르본산의 질량비는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는 적어도 일부가 분말이어도 좋다.
[구강 세정 용품]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에 포함되는 아연염으로서는, 구강 내부를 세정할 때 구강 내부로 아연 이온이 용출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염화아연, 글루콘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미리스틴산아연, 라우르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약, 구강 청정제 등의 구강 세정용 조성물, 칫솔, 치간 브러시, 치실 등의 치아 세정 기구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치아 수복부에 아연 이온이 흡수되기 쉽다는 점에서, 치약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세정용 조성물 중의 아연염의 함유량은, 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8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0.1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강 세정용 조성물 중의 아연염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이면,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고, 1질량% 이하이면, 구강 세정용 조성물의 향미가 향상된다.
치아 세정 기구는, 치아를 닦을 때 치아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치실이 아연염을 포함한다.
브러시와 치실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아연염을 이겨넣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강 세정 용품을 사용하여 구강 내부를 세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약 및/또는 치아 세정 기구를 사용하여 치아를 닦는 방법,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여 구강 내부를 세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치약 및 치아 세정 기구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치약 및/또는 치아 세정 기구가 아연염을 포함한다.
[치약]
치약은, 유효 성분, 습윤제, 점도 조정제, 가용제, 안정제, pH 조정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질산칼륨, 불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염산클로르헥시딘,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염화세틸피리디늄, 글리틸리틴산디칼륨, 염화벤제토늄, 폴리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습윤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점도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규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잔탄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라기난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가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나트륨, 이산화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민트, 멘톨, 박하유,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8, 비교예 1, 2]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제1제)
산화아연(ZnO), 불화칼슘(CaF2), 산화알루미늄(Al2O3), 무수규산(SiO2), 산화칼슘(CaO), 산화인(P2O5), 불화스트론튬(SrF2), 산화란탄(La2O3) 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후 사발에서 충분히 혼합,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백금 도가니에 넣은 후 전기로에 내에 가만히 두었다. 전기로를 1300℃까지 승온하여 원료 조성물을 용융시켜 충분히 균질화한 후, 물에 흘려 보내서 유리 덩어리로 했다. 얻어진 유리 덩어리를, 알루미나 볼 밀을 이용하여 20시간 동안 분쇄한 후, 120메쉬의 체에 통과시켜서 유리 분말 1, 2를 얻었다.
이 때, 유리 분말 1, 2는 각각 아연 불소 유리 분말,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분말이다.
다음으로, 형광 X선 분석장치 ZSX Primus II(Rigaku사 제조)를 사용하여 유리 분말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표 1에, 유리 분말 1, 2의 조성[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50(HORIBA사 제조)을 사용하여 유리 분말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더니, 유리 분말 1, 2 모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6~9μm였다.
[표 1]
Figure pct00001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제2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수용액으로서, 폴리아크릴산 50질량%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치약)
표 2에 나타낸 배합[질량%]에서, 유효 성분, 습윤제, 점도 조정제, 가용제, 안정제, pH 조정제, 아연염, 향료를 혼합하여, pH가 약 7.0인 페이스트상(겔(gel)상) 치약을 얻었다.
다음으로,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를 평가했다.
아울러, 치약을 이용하여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에 의해 수복되고 있는 치아를 닦기 전후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를 직접 평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대체 지표로서,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를 이용하였다.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 제작)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를 구성하는 유리 분말 1 또는 유리 분말 2와, 폴리아크릴산 50질량% 수용액을 분액비(粉液比) 2.3으로 혼합한 후, 플라스틱제 주걱을 사용하여 20초간 연화시켰다. 다음으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연화물을 직경이 10mm, 깊이가 1mm인 아크릴 디스크 케이스에 넣은 후, 37℃ 100%RH 조건에서 유리판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압축하여,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를 얻었다.
(탈회액 제작)
증류수 1L, 염화칼슘2수화물 0.22g, 인산이수소칼륨 0.12g, 아자이드화나트륨(방부제) 0.2g, 아세트산 3g을 혼합하여 탈회액을 얻었다.
(치약 희석액 제작)
치약을 증류수로 2배로 희석시켜서 치약 희석액을 얻었다.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를 37℃에서 8시간 동안 탈회액에 침지시켜서 아연 이온을 용출시켰다.
다음으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를 37℃에서 26시간 동안 증류수 10mL에 침지시켜서 아연 이온을 용출시킨 후, ICP 발광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용출액 중의 아연 이온 농도 C1[ppm] 를 측정하였다.
(치약으로 처리한 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
다음으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제 표면에, 치약 희석액 0.2mL를 떨어트린 후, 오연 마모 시험기 K834(도쿄기켄사 제조)를 이용하여 칫솔의 프라티카(GC사 제조)를 200g의 하중으로 20회 왕복 칫솔질을 하였다. 이어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를 치약 희석액 10mL에 실온에서 3분간 침지시킨 후, 10초간 물로 세정하였다.
다음으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를 37℃에서 26시간 동안 증류수 10mL에 침지시켜서 아연 이온을 용출시킨 후, ICP 발광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용출액 중의 아연 이온 농도 C2[ppm] 를 측정하였다.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
식 C2 - C1
에 의해 △C를 구함으로써,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표 2 에,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실시예 1~8의 치과용 키트는, 치약으로 처리하기 전후의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탈회액에 침지됨으로써 아연 이온이 용출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에 치약에 포함된 아연 이온이 도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실시예 1~8의 치과용 키트를 사용하면,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의 치과용 키트는 치약이 아연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치약으로 닦기 전후에 있어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교예 1의 치과용 키트를 사용해도, 치아 수복부로부터의 아연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2의 치과용 키트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가 아연 불소 유리 분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치약으로 닦기 전후에 있어서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 경화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의 변화가 작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9년 5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09871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하여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5)

  1.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와,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복 재료는 글래스 이오노머 시멘트인 치과용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정 용품은 치약인 치과용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우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것인 치과용 키트.
  5. 아연염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용품을 이용하여, 유리 분말을 포함하는 수복 재료에 의해 수복되는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 내부를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분말은 아연, 규소 및 불소를 포함하는 것인 우식 예방 방법.
KR1020217038619A 2019-05-27 2020-03-09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KR102674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98712 2019-05-27
JP2019098712 2019-05-27
PCT/JP2020/010035 WO2020240980A1 (ja) 2019-05-27 2020-03-09 歯科用キット及びう蝕の予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132A true KR20220004132A (ko) 2022-01-11
KR102674595B1 KR102674595B1 (ko) 2024-06-11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749A (ja) 2004-11-12 2008-06-12 デンツプライ デトレイ 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ガラス組成物
WO2017168836A1 (ja)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ガラス粉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749A (ja) 2004-11-12 2008-06-12 デンツプライ デトレイ 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ガラス組成物
WO2017168836A1 (ja)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ガラス粉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0980A1 (ja) 2020-12-03
JP7352626B2 (ja) 2023-09-28
JPWO2020240980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549B2 (ja) 生体活性ガラスを用いたフッ化物取り込みを良く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TWI558418B (zh) 口腔保健組成物
JP2017510618A (ja) エナメル質の保護及び修復方法
JP2008533183A (ja) フッ化物源およびシリカ歯研磨剤を含む、アルキル硫酸塩およびオルトリン酸塩無配合の歯磨剤組成物
JPWO2007069429A1 (ja) 歯磨組成物
JP2013163656A (ja) 歯磨剤
JP2012504113A (ja) 新規組成物
JP2024016033A (ja) カルボン酸又はそのアルカリ金属塩及び遊離フッ化物イオンの供給源を含む歯磨剤
JP2008201732A (ja) 歯の美白方法
JP2004123684A (ja) 歯磨組成物
KR20220004132A (ko)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KR102674595B1 (ko) 치과용 키트 및 우식 예방 방법
JP2006104101A (ja) 口腔用組成物
JP3623086B2 (ja) 生体活性ガラス含有口腔用組成物
JP5627190B2 (ja) 歯磨組成物
RU2816006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содержащая карбоновую кислоту или её соль щелочного металла и источник свободных фторид-ионов
JP3820402B2 (ja) 口腔用組成物及びガム
CN110573131B (zh) 口腔护理组合物
WO2002015857A1 (fr) Composition orale
Basheer Comparative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Microleakage,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Ability of Various Glass Ionomer Based Restorative Materials: An in Vitro Study
JPH069355A (ja) 口腔用組成物
JPS63246316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