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881A -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881A
KR20220003881A KR1020200081666A KR20200081666A KR20220003881A KR 20220003881 A KR20220003881 A KR 20220003881A KR 1020200081666 A KR1020200081666 A KR 1020200081666A KR 20200081666 A KR20200081666 A KR 20200081666A KR 20220003881 A KR20220003881 A KR 2022000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ventilation
clea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남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윤 filed Critical 남기윤
Priority to KR102020008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881A/ko
Publication of KR2022000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기재의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실내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복수의 급배기 장치;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장치; 및 화재 발생 시, 사용자들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을 감지하고,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급배기 장치가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나머지 급배기 장치는 공기를 급기하도록 복수의 급배기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Ventilation and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의 공기를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주차장 공기 오염의 주 원인은 자동차 배기 가스이다. 배기가스의 유해 성분에는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알데 히드류, 흑연, 납화학물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배출량을 고려하여 주차장의 환경지표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하주차장의 주 환경오염 요인인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를 목표치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환기가 필요하다.
한편,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들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유해가스를 맡고 질식하면서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76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주차장 내부의 공기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사용자들에게 유해가스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실내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복수의 급배기 장치;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장치; 및 화재 발생 시, 사용자들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을 감지하고,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급배기 장치가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나머지 급배기 장치는 공기를 급기하도록 복수의 급배기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복수의 급배기 장치, 사용자 감지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평상시에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사용자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중인 사용자가 유해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화재시에 동작되는 상태들을 다양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외부 공기를 실내로 바로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외부 공기를 필터링한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서 미세먼지를 필터로 필터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복수의 급배기 장치, 사용자 감지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급배기 장치는 실내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복수의 급배기 장치는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급배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 급배기 장치와 하나 이상의 제2 급배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배기 장치는 실내 공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급배기 장치는 실내 공간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장치는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재 발생 시, 사용자들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을 감지하고,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급배기 장치가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나머지 급배기 장치는 공기를 급기하도록 복수의 급배기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평상시에 제1 급배기 장치로 급기를 실시하고, 제2 급배기 장치로 배기를 실시하여 외부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급배기 장치가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나머지 급배기 장치는 공기를 급기하도록 복수의 급배기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위치한 단위 공간에는 양압이 발생되고,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는 음압이 발생되어 실내 공간의 유해가스가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으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화재가 아닌 다른 상황에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제1 급배기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는 제1 급배기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외부 공기는 필터를 우회하여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가 다량의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미세먼지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이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급배기 장치와 제2 급배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외부와 실내에서 공기의 이동을 전부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가 필터를 지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필터에 의해 모두 필터링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복수의 급배기 장치, 사용자 감지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평상시에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은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사용자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중인 사용자가 유해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Claims (1)

  1. 실내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복수의 급배기 장치;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장치; 및
    화재 발생 시, 사용자들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을 감지하고, 사용자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급배기 장치가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나머지 급배기 장치는 공기를 급기하도록 복수의 급배기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0200081666A 2020-07-02 2020-07-02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KR20220003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66A KR20220003881A (ko) 2020-07-02 2020-07-02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66A KR20220003881A (ko) 2020-07-02 2020-07-02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81A true KR20220003881A (ko) 2022-01-11

Family

ID=7935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666A KR20220003881A (ko) 2020-07-02 2020-07-02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8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326B1 (ko) 2022-05-24 2022-12-15 유지홍 역회전 기능을 갖는 급기팬을 이용한 지하주차장의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102497376B1 (ko) 2022-09-22 2023-02-07 유지홍 흡배기를 겸하는 백 드라프트 댐퍼를 갖는 환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71A (ko) 2012-03-23 2013-10-02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71A (ko) 2012-03-23 2013-10-02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326B1 (ko) 2022-05-24 2022-12-15 유지홍 역회전 기능을 갖는 급기팬을 이용한 지하주차장의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102497376B1 (ko) 2022-09-22 2023-02-07 유지홍 흡배기를 겸하는 백 드라프트 댐퍼를 갖는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959B1 (ko)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03881A (ko)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CN103978003B (zh) Cit具有防温防烟灭火功能的通风柜
US7331854B2 (en) Common filtration unit for building makeup air and emergency exhaust
KR101674032B1 (ko) Voc 처리 및 재활용 설비
JP2008302348A (ja) 排ガス処理監視装置、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監視方法
KR101123042B1 (ko) 화생방 집단 보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78492B1 (ko) 기중기용 공기정화 시스템
JP2007032909A (ja) 汚染除去および炭酸ガス除去機能を備えた空調システム
JPH1085533A (ja) 空気清浄装置
CN103790605A (zh) 一种隧道救援车用大风量过滤通风系统
US607647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mission of dioxins in incineration facility
JPH04135647A (ja) クリーンルーム
JP4840552B2 (ja) オゾンガス監視装置
JP4971206B2 (ja) 汚染土無害化システム
JP7489278B2 (ja) 換気システム
KR20160132573A (ko) 선박 엔진룸에서 VOCs를 흡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1968B1 (ko) 내부에 정화필터가 적용된 가스 캐비넷
KR20190047892A (ko) 면상발열체를 지닌 케이스 형태 VOCs 저감장치
KR2018013637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1521960B1 (ko) 대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흡착성 자원의 연료화 처리장치
JP2003144853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6936756B2 (ja) 収容装置及び収容装置の排気方法
EP4119215A1 (en) Fume treatment plant equipped with a mercury emissions abating system with a fixed bed of chemi-adsorbents and a method for abating mercury emissions in a fume treatment plant
KR200280649Y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