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859A -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 Google Patents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859A
KR20220003859A KR1020200081622A KR20200081622A KR20220003859A KR 20220003859 A KR20220003859 A KR 20220003859A KR 1020200081622 A KR1020200081622 A KR 1020200081622A KR 20200081622 A KR20200081622 A KR 20200081622A KR 20220003859 A KR20220003859 A KR 2022000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mble
live wire
gloves
wearing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946B1 (ko
Inventor
반윤호
강동헌
박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9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41D19/0086Nail-lik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된 손톱부를 포함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직접활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활선 고무절연장갑 및 보호용 가죽장갑을 착용시에도 작은 볼트, 너트, 와셔, 소형 코타핀 및 절연테이프 등을 원활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THIMBLE FOR A RUBBER-INSULATED GLOVE}
본 발명은 활선 작업을 위한 고무절연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고무절연장갑의 용이한 사용을 위한 골무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배전 작업은 활선작업을 주로 진행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활선 고무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는 간접활선 공법이 차츰 확대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활선 고무장갑 및 기타 보호장구를 착용한 채 작업을 시행하는 '직접활선 공법'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직접활선 작업을 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도 1a와 같은 두꺼운 활선 고무장갑(10)과 소재 특성상 훼손되기 쉬운 활선고무장갑(10)을 보호하기 위한 도 1b의 가죽장갑(20)을 함께 착용하고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활선 고무장갑과 보호용 가죽장갑은 절연내력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특히 끝이 둥근 모서리를 가진 형태이다.
이로 인해 활선 고무장갑(10)과 보호용 가죽장갑(20)을 착용한 상태로 와셔(평, 스프링)와 같은 작은 부품을 잡는다거나, 작은 볼트를 체결하는 등의 세밀한 동작은 거의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배전 전주 상에는 소형 볼트, 너트 및 와셔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만약 전주 위에서 활선 근접상태로 작업을 진행 중인 작업자가 작은 부품을 취급하여야 하는 상황에 놓였을 때, 작업자가 활선 고무장갑을 벗어야 하는 상황이 야기되어 자칫 감전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떨어뜨리게 되는 상황 발생시 무의식 중에 자세를 변경하여 낙상의 위험도 따르게 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89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직접활선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활선 고무절연장갑 및 보호용 가죽장갑을 착용시에도 작은 볼트, 너트, 와셔, 소형 코타핀 및 절연테이프 등을 원활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된 손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착용부를 향해 상기 손톱부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톱부의 상단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손톱부의 후단부 또는 상기 착용부 전단부의 내측에 내장된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된 손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에는 상기 착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의 절개 라인을 따라 장착된 라인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착용부를 향해 상기 손톱부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톱부의 상단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에 의하면, 활선 고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소형의 기자재를 보다 원활하게 집고, 취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활선 작업자가 기존과 같이 정밀한 작업을 하기 위해 절연장갑을 벗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전 활선작업에서 활선고무장갑의 지속적인 착용을 유도할 수 있어, 안전성 향상을 통한 안전사고 재해율 최소화 및 작업자의 근로의욕 고취가 가능하다.
또한, 보호장갑 탈부착 과정 생략에 따른 작업 편의성(효율)이 증대되고, 와셔 등 소형부품 시공누락 방지를 통한 시공품질 확보가 가능해진다.
도 1a은 활선 작업용 고무절연장갑이며, 도 1b는 보호용 가죽장갑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는 기존의 활선 작업을 위한 활선 고무절연장갑과 보호용 가죽장갑 착용시 와셔 등 소형 부품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던 것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는 활선 고무 절연장갑 또는 가죽장갑 상에 착용하여 소형 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100)는 착용부(110), 손톱부(120), 자석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110)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손가락 또는 장갑을 끼운 손가락을 일 단부를 통해 삽입하여 착용하고, 고무 등의 재질에 의해 삽입 후 늘어나서 손가락에 접하여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골무는 와셔 등 소형 부품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착용부의 타 단부에 손톱부(120)가 형성된다.
손톱부(120)는 착용부(110)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착용부(110) 전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어 소위 손톱 모양을 가진다.
손톱 형상을 가지기 위해 손톱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착용부(110)를 향해 다시 굴곡진 형상을 가지되, 손톱부(120)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손톱부(120)는 상단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태를 가지며, 전단으로부터 양 측방으로도 갈수록 굴곡진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도 3과 같이 소형부품을 손톱부(120)에 의해 집어 들 수가 있게 하고, 이러한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톱부(120)는 착용부(110)에 비해 경질의 소재일 수 있으며, 또는 착용부(110)와 동일한 고무 소재에 내측에 경질 부재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손톱부(120) 후단부 또는 착용부(110) 전단부의 내측에는 자석 부재(130)가 내장될 수 있다.
이는 소형부품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부품이 대부분 전도성을 띄기 때문에 자석 부재(130)를 갖다 대는 경우에 도 4와 같이 자석 부재(130)에 소형 부품이 달라 붙게 되어 파지가 보다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특고압 작업시에 보다 정밀하고 견고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를 설명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200)는 착용부(210)와 손톱부(220)에 의해 소형부품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되,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착용부(1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절개부(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부(210)가 절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착용자가 골무(200)를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는 장갑을 낀 상태로 골무를 추가 착용하게 되므로, 골무의 입구를 벌려서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200)를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절개부(230)의 절개 라인을 따라서 라인 자석 부재(240)가 장착된다.
그래서, 마주보는 라인 자석 부재(240)가 부착됨에 의해 착용부(210)를 벌려서 착용 후 골무가 장갑 상에 밀착 결합되게 한다.
나아가, 라인 자석 부재(240)를 이용하여 금속 재질의 소형 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앞선 실시예의 자석 부재(130)를 대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활선 작업시 두껍고 뭉퉁한 장갑 상에 끼워서 착용함으로써 소형 부품을 보다 쉽게 취급이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110, 210 : 착용부
120, 220 : 손톱부
130 : 자석 부재
230 : 절개부
240 : 라인 자석 부재

Claims (10)

  1.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된 손톱부를 포함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착용부를 향해 상기 손톱부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의 상단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의 후단부 또는 상기 착용부 전단부의 내측에 내장된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6.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 단부가 개방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된 손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에는 상기 착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절개 라인을 따라 장착된 라인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착용부를 향해 상기 손톱부의 상면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의 상단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톱부는 끝단으로부터 측방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KR1020200081622A 2020-07-02 2020-07-02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KR10243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22A KR102431946B1 (ko) 2020-07-02 2020-07-02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22A KR102431946B1 (ko) 2020-07-02 2020-07-02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59A true KR20220003859A (ko) 2022-01-11
KR102431946B1 KR102431946B1 (ko) 2022-08-16

Family

ID=7935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622A KR102431946B1 (ko) 2020-07-02 2020-07-02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94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2828U (ko) * 1974-06-03 1975-12-18
JPS5914948B2 (ja) * 1976-01-21 198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方式
JP2000136410A (ja) * 1998-10-28 2000-05-16 Dainichi Kasei Kogyo Kk 手 袋
KR20090083018A (ko) * 2008-01-29 2009-08-03 이영태 작업용 장갑
KR20100007276A (ko) * 2008-07-12 2010-01-22 박찬문 장갑에 장착되는 자성손톱
KR20120073447A (ko) * 2010-12-27 2012-07-05 이영태 미세파지용 장갑
JP3196577U (ja) * 2015-01-08 2015-03-19 野口 裕之 物品吸着具
KR101818988B1 (ko)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US20180249774A1 (en) * 2017-03-02 2018-09-06 Ara Ohanian Digging glove
CN108634453A (zh) * 2018-06-09 2018-10-12 徐文婷 一种便捷工具手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577B2 (ja) 1995-06-05 2001-08-06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pH緩衝性吸湿性アクリ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5914948B1 (ja) 2015-03-27 2016-05-11 テクサジャパン株式会社 落下防止具及び落下防止具を備えた手袋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2828U (ko) * 1974-06-03 1975-12-18
JPS5914948B2 (ja) * 1976-01-21 198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方式
JP2000136410A (ja) * 1998-10-28 2000-05-16 Dainichi Kasei Kogyo Kk 手 袋
KR20090083018A (ko) * 2008-01-29 2009-08-03 이영태 작업용 장갑
KR20100007276A (ko) * 2008-07-12 2010-01-22 박찬문 장갑에 장착되는 자성손톱
KR20120073447A (ko) * 2010-12-27 2012-07-05 이영태 미세파지용 장갑
JP3196577U (ja) * 2015-01-08 2015-03-19 野口 裕之 物品吸着具
KR101818988B1 (ko)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US20180249774A1 (en) * 2017-03-02 2018-09-06 Ara Ohanian Digging glove
CN108634453A (zh) * 2018-06-09 2018-10-12 徐文婷 一种便捷工具手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946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013B2 (en) Manual hydraulic multi-functional extra-high-voltage insulating gear gripper pliers stick for live-wire work and indirect live-wi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liers stick
US9160149B2 (en) Wire grip
JP4546949B2 (ja) 碍子取付方法および碍子取外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割ピン取付具
US9085073B2 (en) Combination staple holder and removal tool
KR102431946B1 (ko)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CN103474901A (zh) 一种耐张线夹绝缘遮蔽罩
CN205752618U (zh) 可控式防脱型高压电力线路个人保安线
US20180226775A1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JP2019022340A (ja) 碍子カバー及び碍子回収方法
US2462247A (en) Electrical snap-on wire connector
KR200458548Y1 (ko) 활선용 전선 피박기
JP5897684B1 (ja)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JP2010004657A (ja) 間接活線先端工具
KR102485158B1 (ko) 전기 작업용 절연 장갑의 구조
CN203326130U (zh) 电缆检修接地钎
JP4370174B2 (ja) Laコネクタ用着脱工具
KR102671171B1 (ko) 간접활선용 멀티스틱
CN205429387U (zh) 多功能网线钳
CN107834433B (zh) 一种绝缘杆操作工具
JP2015177690A (ja) 間接活線作業用バインド
JP2018098067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CN205798465U (zh) 扳手防护外壳及设有该外壳的扳手组件
CN209831544U (zh) 一种单臂拔钉器
CN214351827U (zh) 一种电工用多功能维修钳
KR20200107203A (ko) 활선공구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