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03A - 활선공구용 집게 - Google Patents

활선공구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03A
KR20200107203A KR1020190025953A KR20190025953A KR20200107203A KR 20200107203 A KR20200107203 A KR 20200107203A KR 1020190025953 A KR1020190025953 A KR 1020190025953A KR 20190025953 A KR20190025953 A KR 20190025953A KR 20200107203 A KR20200107203 A KR 2020010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ripping
grip part
gripping part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상
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203A/ko
Publication of KR2020010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활선공구용 집게는 제1 그립부, 제2 그립부,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서로 대향하고, 제2 그립부는 제1 그립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그립부와 함께 대상물을 그립한다. 제1 파지부는 제1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되고, 제2 파지부는 제2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된다.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결합부는 제1 파지부를 제2 파지부에 연결시키고, 결합부는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시킨다.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또한,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 간의 접점을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1 가상축은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사이를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2 가상축과 교차한다.

Description

활선공구용 집게{TWEEZERS FOR LIVE-LINE TOOL}
본 발명은 활선공구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선공구에 의해 조작되어 방호구와 같은 자재를 그립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활선공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직접적 활선 작업에 따르면, 작업차에 탑승한 작업자가 절연고무장갑 및 고무소매 등을 착용하고, 전력설비 충전부에 방호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집게를 파지하여 방호장치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직접적 활선 작업에 따르면, 작업자들이 절연고무장갑 및 고무소매의 탄성과 두께 때문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개인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는 사례가 있어,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실제로 개인안전장구 미착용 및 방호장치 생략에 따른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작업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보다는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 하기 위하여 직접적 활선 작업을 대체하는 간접적 활선 작업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실제로 간접활선공구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간접 활선 공법이 직접 활선 공법을 대체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활선공구용 집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선공구용 집게는 제1 그립부, 제2 그립부,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서로 대향한다.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1 그립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그립부와 함께 대상물을 그립한다.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2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파지부를 상기 제2 파지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시킨다.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 간의 접점을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1 가상축은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의 사이를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2 가상축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서로 맞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1 파지부로 이루어진 구조는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제2 파지부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대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가 상기 제1 그립부로부터 절곡된 정도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2 그립부로부터 절곡된 정도는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1 파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들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벽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 측이 개구되어 상기 다수의 돌출부들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부분은 일 측방을 향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의 각각은 측하방 또는 측상방을 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의 각각은 아치(arch)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활선공구를 사용하여 활선공구용 집게를 파지한 후에 작업자의 상방에 위치한 작업개소에 대해 용이하게 소정의 활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활선공구용 집게의 파지부들 각각에서 활선공구가 파지되는 부분에는 다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집게가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과정에서, 집게와 활선공구 간의 슬립 현상이 방지되어 활선공구로부터 집게가 탈락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충전부를 방호구로 커버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다.
도 1c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핸드 스틱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용 집게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가 핸드스틱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충전부를 방호구로 커버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들이고, 도 1c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핸드 스틱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작업자 절연고무장갑과 같은 보호 장비를 착용한 후에 작업차에 탑승하여 작업개소에 근접한다. 작업자는 스틱형의 활선공구들을 파지하고, 작업자는 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작업개소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전주(10)에 설치되어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를 방호구(20)로 커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부에 방호구(20)로 커버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후크(30)와 핸드스틱(35)일 수 있다. 후크(30)는 절연스틱과 이의 선단에 체결된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스틱(35)은 절연스틱(37), 절연스틱(37)의 선단에 체결된 그립공구(36) 및 절연스틱(37)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된 핸들(38)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핸들(38)을 그립한 상태에서 핸들(38)을 움켜쥐는 경우에, 집게 형상의 그립공구(36)가 작동하여 그립공구(36)에 의해 방호구(20)와 같은 대상물이 그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후크(30)와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전주(10)에 설치된 활선상태의 충전부를 방호구(20)로 커버하는 작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한손으로 후크(30)를 파지하고, 후크(30)의 후크부를 방호구(20)의 고리에 삽입하여 방호구(20)를 핸들링하며, 방호구(20)로 충전부를 커버한다. 또한, 작업자는 다른손으로 핸드스틱(35)을 파지하고, 핸드스틱(35)의 핸들(38)을 움켜쥐어 그립공구(36)에 의해 활선공구용 집게(100)가 파지되는 동시에 집게(100)가 열리고, 작업자가 움켜쥔 핸들(38)을 놓는 경우에 그립공구(36)에 의해 파지된 집게(100)가 닫혀 집게(100)가 방호구(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집게(100)를 방호구(2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집게(100)를 방호구(2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충전부로부터 대략적으로 핸드스틱(35)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집게(100)와 핸드스틱(35)을 이용한 간접활선공법은 작업자가 작업차에 승탑한 상태에서 진행되어, 대부분 작업자는 방호하고자 하는 충전부의 일측 하방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우선 작업자가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집게(100)를 파지한 후에 핸드스틱(35)을 들어올려 간접활선공법이 진행되게 되므로, 방호구(20)를 기준으로 측하방에 위치한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집게(100)를 방호구(20)에 보다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집게(100)를 이용하여 방호구(20)를 고정시키는 간접활선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선공구용 집게(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선공구용 집게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활선공구용 집게가 핸드스틱(35)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활선공구용 집게(이하 '집게', 100)는 제1 그립부(110), 제1 파지부(120), 제2 그립부(160), 제2 파지부(170) 및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집게(100)에서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는 대상물을 그립하는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의 각각은 아치(arch)의 형상을 갖고,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 각각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 각각은 반고리형의 형상 또는 막대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파지부(120)는 제1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제2 파지부(170)는 제2 그립부(160)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파지부(120)와 제1 그립부(110)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파지부(170)와 제2 그립부(160)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12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드스틱(35)을 조작하여 핸드스틱(35)에 구비된 그립공구(36)에 의해 제1 파지부(120)가 파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파지부(120)는 측벽부(121)와 다수의 돌출부들(122)을 포함한다.
측벽부(121)는 다수의 돌출부들(12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측벽부(121)의 적어도 일 측은 개구되며, 측벽부(121)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다수의 돌출부들(122)이 외부에 노출된다. 측벽부(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핸드스틱(35)의 그립공구(36)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공구(36)가 제1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립공구(36)는 측벽부(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측벽부(121)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에 따라 측벽부(121)에 의해 그립공구(36)가 제1 파지부(12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부들(122)은 그립공구(36)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다수의 돌출부들(122)의 각각은 제1 파지부(120)의 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다수의 돌출부들(122)의 구조에 의해, 핸드스틱(35)의 그립공구(36)가 제1 파지부(120)에 파지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돌출부들(122)에 의해 정의되는 요철 구조에 의해 그립공구(36)와 제1 파지부(120) 간의 슬립(slip)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집게(100)를 벌리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핸드스틱(35)의 조작에 의해 집게(100)의 입구(180)가 벌어진 상태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파지부(120)에서 측벽부(121)와 다수의 돌출부들(122)은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파지부(120)에서 측벽부(12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돌출부들(122)은 플라스틱보다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제1 파지부(120)와 마찬가지로, 제2 파지부(17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된다. 또한, 제1 파지부(120)의 구조와 유사하게, 제2 파지부(170)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제2 파지부(170)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 측은 개구되어 제2 파지부(170)의 측벽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제2 파지부(170)의 다수의 돌출부들이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2 파지부(170)의 측벽부의 구조에 의해 그립공구(36)가 제2 파지부(17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제2 파지부(170)의 다수의 돌출부들에 의해 정의되는 요철 구조에 의해 그립공구(36)와 제2 파지부(170) 간의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부(150)는 제1 파지부(120)를 제2 파지부(170)에 연결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5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결합부(150)의 토션 스프링에 연결된 제1 지지축과 제2 지지축은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의 각각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스틱(35)의 핸들(도 1c의 38)을 움켜쥐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가 서로 맞닿도록 이동되며, 그 결과 제1 파지부(120)에 연결된 제1 그립부(110)와 제2 파지부(170)에 연결된 제2 그립부(160) 사이가 벌어져 집게(100)의 입구(180)가 개방된다.
또한, 핸드 스틱(35)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 결합부(150)의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서로 접촉되게 되어 집게(100)의 입구(180)가 닫힌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5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나, 본 발명이 결합부(150)의 세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50)는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에 연결된 코어 형태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의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 간의 접점을 결합부(150)에 연결하는 제1 가상축(X1)이 정의되고,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의 사이를 결합부(150)에 연결하는 제2 가상축(X2)이 정의될 때, 제1 가상축(X1)은 제2 가상축(X2)에 교차한다.
이에 따라,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그립부(110)와 제1 파지부(120)로 이루어진 구조는 제2 그립부(160)와 제2 파지부(170)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대칭이다. 즉, 도 2a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제1 파지부(120)가 제1 그립부(110)로부터 절곡된 정도는 제2 파지부(170)가 제2 그립부(160)로부터 절곡된 정도와 상이하여,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 간의 제1 각도(A1)가 작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파지부들(120,170)을 파지하는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파지부(120)가 제1 그립부(110)로부터 절곡된 정도가 제2 파지부(170)가 제2 그립부(160)로부터 절곡된 정도가 동일하여 대략적으로 제1 가상축(X1)에 대해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 간의 각도는 제1 각도(A1)보다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파지부들(120,170)을 파지하는 동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서로 맞닿은 부분은 좌 측방을 향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의 각각은 우측 하방을 향한다.
집게(100)가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 상방에 위치한 작업개소에 대해 작업자가 핸드스틱(35)을 이용하여 집게(100)를 조작할 때, 작업개소를 기준으로 측하방에 위치한 작업자는 핸드스틱(35)에 의해 파지된 집게(100)를 측상방에 위치한 작업개소에 보다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파지부(120)와 제2 파지부(170)가 제1 그립부(110)와 제2 그립부(160)가 향하는 측방에 정 반대되는 측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일반적인 절연스틱을 활용한 간접활선공법에서 작업자는 작업해야할 작업개소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핸드스틱(35)을 리프팅하여 집게(100)를 작업개소 측으로 근접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집게(100)의 제1 및 제2 그립부들(110,160)이 측방을 향하고, 제1 및 제2 파지부들(120,170)이 측하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핸드스틱(35)에 집게(100)를 우선 파지시킨 후에, 핸드스틱(35)을 리프팅하여 측상방에 위치한 작업개소에 집게(100)를 근접시키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활선공구용 집게 110: 제1 그립부
120: 제1 파지부 160: 제2 그립부
170: 제2 파지부 150: 결합부
121: 측벽부 122: 다수의 돌출부들
20: 방호구 X1: 제1 가상축
X2: 제2 가상축

Claims (9)

  1. 제1 그립부;
    상기 제1 그립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그립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그립부와 함께 대상물을 그립하는 제2 그립부;
    상기 제1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제1 파지부; 상기 제2 그립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향하는 제2 파지부; 및
    상기 제1 파지부를 상기 제2 파지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 간의 접점을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1 가상축은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의 사이를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는 제2 가상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1 파지부로 이루어진 구조는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제2 파지부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가 상기 제1 그립부로부터 절곡된 정도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2 그립부로부터 절곡된 정도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1 파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그립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된 다수의 돌출부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들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 측이 개구되어 상기 다수의 돌출부들이 외부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부분은 일 측방을 향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의 각각은 측하방 또는 측상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의 각각은 아치(arch)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공구용 집게.
KR1020190025953A 2019-03-06 2019-03-06 활선공구용 집게 KR20200107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53A KR20200107203A (ko) 2019-03-06 2019-03-06 활선공구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53A KR20200107203A (ko) 2019-03-06 2019-03-06 활선공구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03A true KR20200107203A (ko) 2020-09-16

Family

ID=7266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53A KR20200107203A (ko) 2019-03-06 2019-03-06 활선공구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2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77723B2 (en) Wire gripper
AU2016277722B2 (en) Wire gripper
US3902206A (en) Insulation-removing pliers
US8882285B2 (en) Illuminating safety glove
CN107718034A (zh) 一种防滑的搬运机械手
KR20200107203A (ko) 활선공구용 집게
WO2022124563A1 (ko)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JP6325301B2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CN116533221A (zh) 用于工业流水线的穿戴式机械臂
KR20200133473A (ko) 건축용 방호관
KR102597938B1 (ko) 활선 작업용 시트클립
KR20160043805A (ko) 전선 이동용 방호관
CN211418458U (zh) 一种手持式加气砖搬运工具
KR20200136694A (ko)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KR102431946B1 (ko) 활선 고무절연장갑용 골무
KR200270225Y1 (ko) 개선된 손잡이 구조를 갖는 플라이어
KR102671171B1 (ko) 간접활선용 멀티스틱
CN219052869U (zh) 一种防护装置
KR102552643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장기
KR101371665B1 (ko)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KR200433048Y1 (ko) 제강 샘플 연마용 지그
CN108023308A (zh) 一种多功能的电线剥线钳
US20190097442A1 (en) Charging terminal system
JP2010067403A (ja) 防護カバー
JP2006121781A (ja) 絶縁端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