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03A -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03A
KR20220003403A KR1020200081176A KR20200081176A KR20220003403A KR 20220003403 A KR20220003403 A KR 20220003403A KR 1020200081176 A KR1020200081176 A KR 1020200081176A KR 20200081176 A KR20200081176 A KR 20200081176A KR 20220003403 A KR20220003403 A KR 2022000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irradiation unit
heat dissipation
surface modificat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298B1 (ko
Inventor
심기봉
오윤상
김정일
윤재민
심상우
김정수
길근형
김찬호
조성환
성현수
김지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20008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인입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광조사유닛과, 상기 광조사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오존발생을 억제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for surface modification of dental fixtures}
본 발명은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다수 개의 픽스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시키기 위한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를 삽입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임플란트 재료가 사람의 턱 뼈와 잘 붙는 현상을 이용하여, 충치나 잇몸병으로 없어진 치아나 사고 또는 종양 등으로 인하여 뼈와 잇몸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 미용 뿐 만 아니라 기능까지 회복시키는 치료를 의미한다.
이때 임플란트는 치골에 삽입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어 치아 역할을 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인공치아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는 Fixture(고정체-인공치근), Abutment(지대주), Crown(보철, 인공치아) 3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Fixture 재질은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의 고정 역할을 하게 되는 픽스쳐(Fixture)는 치골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치골과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픽스쳐(Fixture)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자외선을 픽스쳐(Fixture)에 조사함으로써 표면개질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표면 개질을 통해 친수성으로 된 픽스쳐(Fixture)는 치골에 식립된 후 뼈를 형성하는 세포가 픽스쳐(Fixture) 표면에 잘 부착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86967호는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방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성이 용이하고 임플란트 용기를 쉽게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자외선을 잘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코팅하여 자외선이 임플란트 표면에 고루 조사되도록 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램프가 상부면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후면과 측면에는 자외선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외선이 반사되어 조사되더라도 직접 조사되는 부위와 표면 품질이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869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동시에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픽스쳐의 외면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되면서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픽스쳐의 개질된 부위가 일정한 품질을 가지도록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오존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인입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광조사유닛과, 상기 광조사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오존발생을 억제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는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광조사유닛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 오존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오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광조사유닛의 외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광조사유닛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광조사유닛은 중공으로 된 엑시머 램프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엑시머 램프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 전부위를 동시에 표면 개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광조사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되면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자외선에 의한 오존 발생을 감소시키고 개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광조사유닛은 내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엑시머 램프가 형성되고 외부는 상기 엑시머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광조사유닛은 양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엑시머 램프와, 상기 엑시머 램프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상기 엑시머 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엑시머 램프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상기 엑시머 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2방열케이스와, 상기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제2방열케이스의 개구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기밀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제2방열케이스는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를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광조사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대 및 제2이송대와, 상기 제1이송대와 제2이송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지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로 방면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를 상기 광조사유닛을 향해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의하면, 다수 개의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동시에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의하면, 임플란트 픽스쳐의 외면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되면서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픽스쳐의 개질된 부위가 일정한 품질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의하면, 자외선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오존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광조사유닛을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공기 순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이송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이송유닛이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다수 개의 픽스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시키기 위한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인입된 임플란트 픽스쳐(1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광조사유닛(100)과, 광조사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임플란트 픽스쳐(10)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00)과, 이송유닛(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광조사유닛(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오존발생을 억제하는 진공펌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조사유닛(100)은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되면 내부가 밀폐되고 진공펌프(300)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자외선에 의한 오존 발생을 감소시키고 개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조사유닛(100)은 임플란트 픽스쳐(10)의 외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이 친수성을 가지도록 개질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광조사유닛(100)의 일측과 타측에서 인플란트 픽스쳐가 각각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이송유닛(200)은 임플란트 픽스쳐(10)를 광조사유닛(100)의 내부로 인입시켜 표면 개질을 시키거나 개질이 완료된 임플란트 픽스쳐(10)를 광조사유닛(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송유닛(200)은 광조사유닛(100)의 양측에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1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되면 양측에 위치된 임플란트 픽스쳐(10)를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진공펌프(300)는 광조사유닛(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임플란트 픽스쳐(10)의 표면을 개질할 때 광조사유닛(1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광조사유닛(100)에서 자외선이 조사될 때 주위의 산소와 반응하게 되면 오존이 발생하게 되는데, 진공펌프(300)를 이용하여 자외선이 조사되기 전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오존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임플란트 픽스쳐(10)가 광조사유닛(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개구된 양측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소한 틈새를 통해 공기가 광조사유닛(100)에 유입되더라도 진공펌프(300)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진공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공펌프(300)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환경은 오존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임플란트 픽스쳐(10)의 재질에 따라 표면개질이 용이한 자외선 파장으로 변경하여 조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개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진공펌프(300)와 연결되어 광조사유닛(10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 오존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오존필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존필터(400)는 광조사유닛(100)에서 자외선이 조사될 때 내부에 산소가 잔존하거나 광조사유닛(100)의 개구된 부위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자외선에 의해 오존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오존필터(400)는 카본성분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진공펌프(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카본 성분과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게 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오존을 제거하기 위해 오존필터(400)에는 촉매재가 내장되거나 필터에 코팅되어 있어 화학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오존필터(400)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오존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또한 진공펌프(300)는 광조사유닛(100)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광조사유닛(100)의 외면으로 분사하여 광조사유닛(100)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펌프(300)를 통해 광조사유닛(100)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오존필터(400)를 거쳐 오존이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공기를 광조사유닛(100) 외면으로 분사함으로써 광조사유닛(100)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광조사유닛(100)에서 임플란트 픽스쳐(10)의 표면을 개질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초 내외이기 때문에 진공펌프(300)가 가동되는 초기에는 광조사유닛(1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량만 광조사유닛(100) 외면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후 표면개질이 완료되면 이송유닛(200)에 의해 임플란트 픽스쳐(10)가 광조사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면서 밀폐된 양측이 개방되게 되고, 진공펌프(30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내부로 빠르게 흡입된 후 광조사유닛(100) 외면에 분사되게 된다.
즉, 진공펌프(300)는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외부로 배출되어 광조사유닛(100)의 양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를 1차 냉각시키게 되고, 이후 오존필터(400)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가 광조사유닛(100) 외부에 배출되면서 2차 냉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광조사유닛(100)은 동작 종료 후에 공기의 강제 유동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게 되고, 냉각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임플란트 픽스쳐(10)를 연속적으로 표면 개질 시켜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조사유닛(100) 상부에 형성되며 각종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500)를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임플란트 픽스쳐(10)의 개질시간, 개질상태, 조건 등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500)는 광조사유닛(100), 이송유닛(200), 진공펌프(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임플란트 픽스쳐(10)의 재질에 따른 자외선 파장의 선택, 개질 시간, 냉각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500)를 통해 현재 표면 개질 중인 임플란트 픽스쳐(10)의 처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생산량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각 유닛의 동작상태나 발열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형상은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광조사유닛(100), 이송유닛(200), 진공펌프(300), 오존유닛, 디스플레이(500)를 내부에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는 하우징이나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광조사유닛(100)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공기 순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광조사유닛(100)은 양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엑시머 램프(110)와, 엑시머 램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엑시머 램프(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엑시머 램프(1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엑시머 램프(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2방열케이스(130)와,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개구된 면에 형성되며 임플란트 픽스쳐(10)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기밀부재(15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는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히트싱크(140)와, 히트싱크(1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진공펌프(30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히트싱크(140)를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커버(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조사유닛(100)은 중공으로 된 엑시머 램프(110)가 내장되어 있어 임플란트 픽스쳐(10)가 내부로 인입되면 엑시머 램프(11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어 임플란트 픽스쳐(10) 전부위를 동시에 표면 개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조사유닛(100)은 내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엑시머 램프(110)가 형성되고 외부는 엑시머 램프(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엑시머 램프(110)는 자외선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형성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엑시머 램프(110)는 중공관 형태로 중심점이 일측에서 타측 방면으로 관통되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송유닛(200)에 의해 임플란트 픽스쳐(1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자외선이 발생되는 엑시머 램프(110) 내부에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되기 때문에 표면 개질이 진행될 때 자외선이 임플란트 픽스쳐(10)의 전 방향에서 골고루 분사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사되는 위치에 균일한 에너지 및 파장을 가진 자외선이 조사되어 표면 개질 후 품질이 전반적으로 일정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엑시머 램프(110) 양측에서 임플란트 픽스쳐(10)가 동시에 삽입되어 표면 개질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생산량이 증가되며 자외선이 균일하게 조사되기 때문에 동시에 삽입된 두 개의 임플란트 픽스쳐(10)의 표면 개질 품질도 동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방열케이스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로 이루어지며, 엑시머 램프(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엑시머 램프(110)의 위치를 지지하고 엑시머 램프(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켜 엑시머 램프(110)가 과열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먼저 제1방열케이스(120)의 일면과 제2방열케이스(130)의 일면은 서로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엑시머 램프(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타면은 엑시머 램프(110)로 삽입되는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기밀부재(150)는 진공펌프(300)에 의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가 결합되는 일면과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삽입되는 타면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일면에 형성되는 기밀부재(150)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밀착되었을 때 압축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타면에 형성되는 기밀부재(150)는 이송유닛(200)이 임플란트 픽스쳐(10)를 엑시머 램프(110) 내부로 삽입했을 때 이송유닛(200)과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밀부재(15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엑시머 램프(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열하여 외부로 방열 시키는 냉각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방열케이스의 상부에는 히트싱크(140)가 형성되어 있다.
히트싱크(140)는 열전달 면적을 향상시켜 열을 공기 중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얇은 판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 판의 면에는 돌기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가공되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41)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n자 형태로 히트싱크(140)를 감싼 후 커버(141) 내부로 흐르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히트싱크(140)에서 방열되는 열이 공기로 전달시키게 된다.
이때 제1방열케이스(120)에 형성되는 커버(141)는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막혀져 있게 되는데, 타면에는 인입구(122)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14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방열케이스(130)에 형성되는 커버(141)는 일면과 타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어 공기가 히트싱크(140)를 따라 일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되며,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가 서로 결합되면 인입구(122)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제2방열케이스(130)의 타면을 향해 배출되면서 히트싱크(140)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방열케이스(120)는 엑시머 램프(110)가 위치된 제1방열케이스(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121)에는 니플이 형성된 후 진공펌프(300)와 호스 또는 관으로 연결되게 되어 제1방열케이스(120) 및 제2방열케이스(130)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진공펌프(300)는 오존필터(400)와 호스 또는 관으로 연결되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 내부 공기를 오존필터(400)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며, 오존필터(400)는 제1방열케이스(120)에 형성된 인입구(122)와 호스 또는 관으로 연결되어 진공펌프(300)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커버(14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호스 또는 관으로 연결되는 부위는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니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구(122)를 통해 커버(141)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를 따라 이동되면서 히트싱크(140)와 접촉하게 되며, 열전달에 의해 히트싱크(140)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엑시머 램프(110) 내부로 삽입되었을 경우 기밀부재(150)에 의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는 밀폐되어 진공펌프(300)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이 경우 초기에는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흡입구(121)로 배출된 후 진공펌프(300) 및 오존필터(400)를 거쳐 커버(141)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10초 내외의 표면 개질 처리가 끝나게 된 후 이송유닛(200)이 광조사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타면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게 되고, 공기는 진공펌프(300)에 의해 흡입구(121)로 유입된 후 진공펌프(300) 및 오존필터(400)를 거쳐 인입구(122)를 통해 커버(141)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히트싱크(140)가 형성된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의 외면에도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이중으로 냉각되어 빠르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방열케이스(120)와 제2방열케이스(13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히트싱크(140) 및 커버(141)가 일체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의 특성상 열 전달 속도가 빨라 빠르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이송유닛(200)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이송유닛(200)이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의 이송유닛(200)은 광조사유닛(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대(210) 및 제2이송대(220)와,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임플란트 픽스쳐(10)를 지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30)와,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로 방면으로 형성되는 레일(240)과, 레일(240)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를 광조사유닛(100)을 향해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축(250)과, 구동축(250)의 일단에 형성되어 구동축(250)을 회전시켜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대는 일단에 임플란트 픽스쳐(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에 장착되어 임플란트 픽스쳐(10)가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삽입될 때 위치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고정대는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에 각각 장착되며, 표면 개질 처리가 완료되면 고정대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가 임플란트 픽스쳐(10)를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정대는 지름이 중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일단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어 일단에 장착된 임플란트 픽스쳐(10)가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삽입되면, 중단이 광조사유닛(100)에 형성된 도 3의 기밀부재(150)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는 하부는 레일(2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LM블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임플란트 픽스쳐(10)가 결합된 고정구(230)를 고정하기 위한 ㄴ자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26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은 레일(240)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구동축(250)이 회전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수평 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가 동시에 광조사유닛(10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축(250)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250)이 회전되면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동시에 중앙을 향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축(250)은 나사산을 그대로 유지하고 제1이송대(210) 또는 제2이송대(220) 중 어느 하나의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구동축(2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대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축(25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260)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축(250)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임플란트 픽스쳐(10)를 광조사유닛(100)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이송대(210)와 제2이송대(220)는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10)가 장착된 고정구(230)가 장착되기 때문에 2개의 임플란트 픽스쳐(10)를 동시에 광조사유닛(100)으로 이송시켜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의하면, 다수 개의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동시에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고, 임플란트 픽스쳐의 외면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되면서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픽스쳐의 개질된 부위가 일정한 품질을 가지도록 하며, 자외선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오존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임플란트 픽스쳐 100 : 광조사유닛
110 : 엑시머 램프 120 : 제1방열케이스
121 : 흡입구 122 : 인입구
130 : 제2방열케이스 140 : 히트싱크
141 : 커버 150 : 기밀부재
200 : 이송유닛 210 : 제1이송대
220 : 제2이송대 230 : 고정구
240 : 레일 250 : 구동축
260 : 구동모터 300 : 진공펌프
400 : 오존필터 500 : 디스플레이

Claims (9)

  1. 중공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각각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인입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광조사유닛과;
    상기 광조사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오존발생을 억제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광조사유닛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 오존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오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광조사유닛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광조사유닛의 외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광조사유닛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은
    중공으로 된 엑시머 램프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엑시머 램프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 전부위를 동시에 표면 개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되면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자외선에 의한 오존 발생을 감소시키고 개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은
    내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엑시머 램프가 형성되고 외부는 상기 엑시머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은
    양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엑시머 램프와;
    상기 엑시머 램프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상기 엑시머 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엑시머 램프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면은 상기 엑시머 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제2방열케이스와;
    상기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제2방열케이스의 개구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기밀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케이스와 상기 제2방열케이스는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를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광조사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대 및 제2이송대와;
    상기 제1이송대와 제2이송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를 지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평방면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로 방면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를 상기 광조사유닛을 향해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대와 상기 제2이송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200081176A 2020-07-01 2020-07-01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KR10242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76A KR102420298B1 (ko) 2020-07-01 2020-07-01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76A KR102420298B1 (ko) 2020-07-01 2020-07-01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03A true KR20220003403A (ko) 2022-01-10
KR102420298B1 KR102420298B1 (ko) 2022-07-13

Family

ID=7934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176A KR102420298B1 (ko) 2020-07-01 2020-07-01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2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054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エキシマランプを利用した表面処理装置
KR20180086967A (ko) 2017-01-24 2018-08-01 (주)포인트닉스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90088762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103290B1 (ko) * 2019-03-08 2020-04-22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CN210811653U (zh) * 2019-09-03 2020-06-23 恒泰医疗科技(天津)有限公司 种植体智能活化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054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エキシマランプを利用した表面処理装置
KR20180086967A (ko) 2017-01-24 2018-08-01 (주)포인트닉스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90088762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103290B1 (ko) * 2019-03-08 2020-04-22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CN210811653U (zh) * 2019-09-03 2020-06-23 恒泰医疗科技(天津)有限公司 种植体智能活化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298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23585A (ja) 電子デバイスのカプセル化のための装置および技術
US5554855A (en) Photopolymerization reactor and small-sized light irradiator for dental use
JP6410419B2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リソンの外側の殺菌のための装置
KR102371733B1 (ko) 전기 소독기
CN105493235A (zh) 光照射装置
KR20230039512A (ko) 번들 빔 uv led 자외 광 스위핑 방법 및 그 장치
JP5317852B2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420298B1 (ko) 치과용 픽스쳐의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
JP2005516978A5 (ko)
KR102103290B1 (ko)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JP2002043268A (ja) 基板処理装置
KR102090208B1 (ko)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JP2018102635A (ja) 殺菌方法及び殺菌装置
US6843967B2 (en) Curing unit
KR102336122B1 (ko) 전기 소독기
JP2009207700A (ja) 脱細胞化処理装置
JP2571437B2 (ja) 容器殺菌装置
CN211244709U (zh) 一种便于携带的临床妇产科用消毒箱
JP2002057133A (ja) 基板処理装置
KR102076051B1 (ko)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JPH0992230A (ja) 無電極紫外線ランプとその使用法
RU20717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CN210285908U (zh) 一种新型uv固化机
JPH0864655A (ja) 基板交換装置及び基板交換方法
JP2002037222A (ja) 容器の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