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069U - 트렁크 내장 삼각대 - Google Patents

트렁크 내장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069U
KR20220003069U KR2020210001986U KR20210001986U KR20220003069U KR 20220003069 U KR20220003069 U KR 20220003069U KR 2020210001986 U KR2020210001986 U KR 2020210001986U KR 20210001986 U KR20210001986 U KR 20210001986U KR 20220003069 U KR20220003069 U KR 202200030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trunk
unit
mo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KR202021000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069U/ko
Publication of KR20220003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 트렁크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대가 내장되어, 전자동으로 버튼 신호에 따라 열린 트렁크에 삼각대가 설치되도록 구현한 트렁크 내장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차 트렁크 커버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는 모터부; 일측이 상기 모터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펼쳐지거나 권취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 표면에 설치되어,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렁크 내장 삼각대{Trunk built-in tripod}
본 고안의 기술 분야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 트렁크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대가 내장되어, 전자동으로 버튼 신호에 따라 열린 트렁크에 삼각대가 설치되도록 구현한 트렁크 내장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삼각대의 경우에는, 고장자동차 표지, 삼각대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우는데, 도로교통법 제66조, 67조에 따라 고속도로 등을 운행하는 자동차 운전자는 고장자동차 표지를 항상 휴대하여 사고나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시 설치하여 이차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차량에서 내려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삼각대 설치에 생소한 일반인에게 어려울 수 있으며, 차량이 달리는 도로에서 삼각대를 설치함으로 매우 위험하다.
트렁크 내장 삼각대는, 차 트렁크에 삼각대를 내장한 것으로, 사고시 트렁크를 열어 내장된 삼각대가 삼각대의 역할을 함으로 삼각대 설치의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개선한 고안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1828호(2006.01.18. 등록)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고정 설치된 점멸식 비상 삼각대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고정 설치된 점멸식 비상 삼각대 구조로서, 세 변 각각이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중공 형태의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의 한 변의 외측 중앙으로부터 상기 한 변과 연통되게 이어진 삼각대 연결부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후방 패널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삼각대 연결부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삼각대의 각 변의 중공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전구와, 상기 삼각대의 각 변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힌지부까지 이어진 삼각대 내부전선과, 상기 힌지부에서 상기 삼각대 내부 전선에 접속되며, 상기 트렁크 리드의 내측면을 거쳐서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내의 비상 램프의 전선과 병렬로 연결되는 연결 전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점멸식 비상 삼각대를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고정 설치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비상램프와 동기화되어 점멸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상 삼각대를 별도로 구매하여 차량 내에 비치할 필요가 없게 되며, 차량의 후방으로 100m 이상 걸어가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전기 조명에 의한 점멸식이므로 우수안 시인성이 확보되어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사고의 위험을 저감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8105호(2015.09.30. 등록)는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비상 삼각대의 상부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비상 삼각대의 하부는 트렁크 리드에 형성된 록킹부재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비상상황에 의해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를 누르거나 차량의 전,후방측에 위치하는 충격감지센서의 충격 감지량에 따라 트렁크 리드의 최대 열림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록킹부재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비상 삼각대가 힌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비상 삼각대를 후방 차량 운전자 시야에 최대한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운전석의 트렁크 열림용 레버에 의해 1차 열림되는 트렁크 리드의 내면에 상부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삼각대 본체; 상기 트렁크 리드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삼각대 본체를 상기 트렁크 리드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삼각대 본체의 하부를 록킹시키며, 차량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신호 출력 또는 차량 충격감지센서의 충격 감지량에 따라 상기 삼각대 본체가 전개되도록 록킹 해제되는 록킹부재; 및,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신호 출력 또는 차량 충격감지센서의 충격 감지량에 따라 1차 열림된 상기 트렁크 리드를 최대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한편,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 의해 트렁크 리드의 최대 열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때 길이 가변이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충격감지센서는 전방충격감지센서와 후방충격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충격감지센서는 에어백 전개를 위한 충격감지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후방충격감지센서는 후방 추돌시 차체 후방프레임의 손상 이전에 트렁크 리드의 열림 및 록킹부재의 록킹해제가 가능하도록 차체 후방프레임 손상 충격강도 이하에서 충격이 감지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트렁크 내장 삼각대는, 삼각대의 크기가 한정적이므로, 멀리서 경고신호를 식별하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낮이나 우천시에 밝기가 약하고 크기가 한정적임으로 경고신호 식별에 어려움이 있었고, 크고 식별력이 뛰어난 삼각대를 전자동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18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58105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점이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 트렁크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대가 내장되어, 전자동으로 버튼 신호에 따라 열린 트렁크에 삼각대가 설치되도록 구현한 트렁크 내장 삼각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 트렁크 커버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는 모터부; 일측이 상기 모터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펼쳐지거나 권취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 표면에 설치되어,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표시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토크를 걸어주어 회전시키는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에 연결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스크린부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를 펼치거나 권취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린부는,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삼각표시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섬유 엘이디나 플렉시블 엘이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 삼각대는, 차 트렁크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을 가지는 자성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 삼각대는, 상기 모터부와 상기 삼각표시부, 상기 자성고정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에 별도로 설치된 후방 경고 알림 버튼을 홀수번 누르면 상기 모터부와 상기 삼각표시부, 상기 자성고정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버튼을 짝수번 누르면 상기 모터부와 상기 삼각표시부, 상기 자성고정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 삼각대는, 차 트렁크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크린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보조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효과로는, 차 트렁크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대가 내장되어, 전자동으로 버튼 신호에 따라 열린 트렁크에 삼각대가 설치되도록 구현한 트렁크 내장 삼각대을 제공함으로써, 열린 트렁크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의 삼각대이므로 멀리서라도 경고신호를 식별할 수 있으며, 낮이나 우천시에도 식별력이 뛰어나 후방에 차량들이 경고신호를 식별할 수 있으며, 차 내부에서 전자동으로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내장 삼각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크린부와 자성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내장 삼각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내장 삼각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크린부와 자성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트렁크 내장 삼각대(10)는, 차 트렁크에 내장된 삼각대로써, 회전바(100), 모터부(200), 스크린부(300),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 제어부(600), 보조발광부(700)를 포함한다.
회전바(100)는, 차 트렁크 커버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모터부(200)(즉, 회전축)를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내부를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바(100)는, 차 트렁크 커머 내부에 볼트 체결이나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어 케이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바(100)는, 일측에 모터부(200)가 내부로 관통하는 수평관통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하측으로 스크린부(300)가 관통하는 스크린관통홀(100a)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부(200)는, 회전바(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크린부(300)의 일측이(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차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여 스크린부(300)를 펼치거나 권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200)는, 모터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 회전축(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재는, 회전바(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이 연결 형성되어, 차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에 토크를 걸어주어 회전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재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회전축의 지름에 따라 스크린부(300)의 길이에 맞춰 회전수를 제한하도록 설정하여, 모터부재가 제한된 회전수만큼 회전할 경우, 스크린부(300)가 열린 차 트렁크 후방을 덮을만큼 펼쳐지거나 전부 권취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은, 모터부재에 연결 형성되어 수평관통홀을 관통하며 외면에 스크린부(300)가 고정 설치되어, 모터부재의 회전에 따라 스크린부(300)를 귄취하거나 펼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은, 차의 중심에 맞춰 좌우대칭 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에 설치된 스크린부(300)가 차 트렁크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300)는, 일측이 모터부(200)(즉,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모터부(200)(즉, 모터부재)가 정회전하면 모터부(200)(즉, 회전축)에서 스크린부(300)가 펼쳐지며 트렁크 하측으로 이동하고, 역회전화면 모터부(200)(즉, 회전축)에 권취되며, 스크린부(300)가 트렁크 상측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크린부(300)는,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자성을 가져 자성고정부(500)에 자성의 인력으로 붙어 스크린부(300)를 고정시키는 자성부재(310)를 포함하여, 차 트렁크를 열고 모터부(200)를 회전시켜 스크린(300)을 내려 트렁크 하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부재(310)는, 스크린부(300)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크린부(300)는, 광투과성 매트릭스 고분자로 형성되는 광확산 필름으로 형성되어, 빛을 투과하며 확산하여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게 식별력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삼각표시부(400)는, 스크린부(300)의 표면에 설치되어,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낸다.
일 실시 예에서, 삼각표시부(400)는 정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운전자가 경고를 인식하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삼각표시부(400)는, 차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섬유 엘이디나 플렉시블 엘이디로 형성되어, 스크린부(300)가 모터부(200)에 귄취되거나 펼쳐져도 스크린부(300)에 설치되어 있고 차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여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빛으로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삼각표시부(400)는, 빨간색이나 주황색에 가까운 빛으로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고정부(500)는, 스크린부(300)가 내려오는 수직한 위치에 있는 차 트렁크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차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을 가지게 되어, 자성부재(310)와 자성의 인력으로 붙어 스크린부(30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고정부(500)는, 자성부재(310)와 반대 극성을 가져 서로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고정부(500)는, 스크린부(300)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모터부(200),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의 작동에 필요한 차 베터리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운전석에서 생성하여 보내주는 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차 운전석에 별도로 설치된 후방 경고 알림 버튼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차 운전석에 별도로 설치된 후방 경고 알림 버튼을 홀수번 누르면 모터부(200)와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부(2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부(300)가 내려와 자성고정부(500)에 자성의 인력으로 붙어 고정 설치되고, 삼각표시부(400)가 발광하며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짝수번 누르면 모터부(200)와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고정된 스크린부(300)가 자성의 인력이 사라지며 모터부(2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부(300)가 귄취되며 올라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차 트렁크가 열리지 않으면 후방 경고 알림 버튼의 신호를 받아도 전원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여, 차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스크린부(30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운전석의 비상등에 연동되어 홀수번 누르면 모터부(200)와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부(2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부(300)가 내려와 자성고정부(500)에 자성의 인력으로 붙어 고정 설치되고, 짝수번 누르면 모터부(200)와 삼각표시부(400), 자성고정부(5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고정된 스크린부(300)가 자성의 인력이 사라지며 모터부(2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부(300)가 귄취되며 올라가도록 형설될 수 있다.
보조발광부(700)는, 차 트렁크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차 베터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스크린부(300) 방향으로 발광하여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낸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발광부(700)는, 흰색으로 발광하되, 삼각표시부(400)의 발광에 비해 조도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발광부(700)는, 운전석의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을 홀수번 누르면 제어부(600)나 차 베터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고, 짝수번 누르면 인가받는 전원을 차단하여 발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트렁크 내장 삼각대
100: 회전바
100a: 스크린관통홀
200: 모터부
300: 스크린부
310: 자성부재
400: 삼각표시부
500: 자성고정부
600: 제어부
700: 보조발광부

Claims (5)

  1. 차 트렁크 커버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는 모터부;
    일측이 상기 모터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펼쳐지거나 권취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 표면에 설치되어, 차 후방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삼각표시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토크를 걸어주어 회전시키는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에 연결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스크린부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부를 펼치거나 권취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표시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섬유 엘이디나 플렉시블 엘이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
  5. 제3항에 있어서,
    차 트렁크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을 가지는 자성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내장 삼각대.
KR2020210001986U 2021-06-23 2021-06-23 트렁크 내장 삼각대 KR202200030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86U KR20220003069U (ko) 2021-06-23 2021-06-23 트렁크 내장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86U KR20220003069U (ko) 2021-06-23 2021-06-23 트렁크 내장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69U true KR20220003069U (ko) 2022-12-30

Family

ID=8453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986U KR20220003069U (ko) 2021-06-23 2021-06-23 트렁크 내장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069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28B1 (ko) 2004-07-14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고정 설치된 점멸식 비상 삼각대구조
KR101558105B1 (ko) 2014-09-15 2015-10-07 박세현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28B1 (ko) 2004-07-14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고정 설치된 점멸식 비상 삼각대구조
KR101558105B1 (ko) 2014-09-15 2015-10-07 박세현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790B2 (en) Emergency vehicle light bar with message display
US3430374A (en) Emergency signal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519839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772444B1 (ko)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210284A1 (en) Vehicle-mounted retractable illuminated emergency alert system
KR20050041574A (ko) 자동차의 비상사태 표출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22225A (ko)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US20110298605A1 (en) Alarm light structure
KR20220003069U (ko) 트렁크 내장 삼각대
EP3693219A1 (en) Specific signalling system for warning road users of the imminent opening of vehicle doors
US11978363B2 (en) Case having car safety warning sign integrated therein
KR101962704B1 (ko)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JP2005219566A (ja) 車両の挙動表示装置
CN209904642U (zh) 一种车辆开门安全警示装置
KR20060070741A (ko) 차량용 비상삼각대
KR200300452Y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200000391A (ko) 트렁크에 부착하는 롤식 고장표지판
KR102430908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KR100302851B1 (ko) 차량에설치된안전표시판
KR101916623B1 (ko)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20160054378A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KR200488866Y1 (ko) 차량용 안전 표지판
KR102260837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