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053A - 압축기 및 냉방기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및 냉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053A
KR20220003053A KR1020217039016A KR20217039016A KR20220003053A KR 20220003053 A KR20220003053 A KR 20220003053A KR 1020217039016 A KR1020217039016 A KR 1020217039016A KR 20217039016 A KR20217039016 A KR 20217039016A KR 20220003053 A KR20220003053 A KR 2022000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xhaust
piston
compressor
intak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439B1 (ko
Inventor
샤오한 주
싱뱌오 저우
보 장
수민 린
창 구
Original Assignee
안후이 메이즈 프리시전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후이 메이즈 프리시전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안후이 메이즈 프리시전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3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of internal-axi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1Rad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및 냉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케이싱(140)을 포함하고, 케이싱(140)에는 제1 배기 포트(142)와 제2 배기 포트(144)가 설치되며; 제1 실린더(100)는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고, 제1 피스톤(110)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며, 제2 실린더(120)는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고, 제2 피스톤(130)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며, 제1 실린더(100)의 내경은 D1이고,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1 피스톤(110)의 이심률은 e1이며, 제1 실린더(100)의 높이는 H1이고, 제1 실린더(100)의 배기 압력은 P1이며, 제1 실린더(100)는 제1 배기 포트(142)를 거쳐 배기되며; 제2 실린더(120)의 내경은 D2이고,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130)의 이심률은 e2이며, 제2 실린더(120)의 높이는 H2이고,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은 P2이며, 제2 실린더(120)는 제2 배기 포트(144)를 거쳐 배기하며; P1<P2이고, 0.6≤(e1×(D1-e1)×H1)÷(e2×(D2-e2)×H2)≤1.9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및 냉방기기
본원 발명은 2019년 11월 29일에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11205085.6"이고 발명의 명칭이 "압축기 및 냉방기기”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 발명에 결부된다.
본원 발명은 냉방기기 기술분야에 속하는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압축기 및 냉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의 더블 실린더 압축기는 크랭크축의 축방향에 두 개의 실린더가 설치되고, 두 개의 실린더 내에서 모두 냉매의 흡입,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상이한 배기 통로를 거쳐 케이싱에서 배출되어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더블 실린더 압축기는 가공의 편리성, 조립의 간편성 등 요소를 고려하여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각 실린더의 배기량이 동일하지만, 압축기에 이중 배기 압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상이한 압력비와 대응하는 응축기 온도는 상이하고 출입구 엔탈피 차이가 상이하며 대응하는 유량도 상이한바, 압축기 등의 배기량의 배기는 실제로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어 최적화한 효과를 실현할 수 없다.
본원 발명은 종래기술 또는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에서의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본원 발명의 제1 양태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제2 양태는 냉방기기를 제공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원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바, 이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제1 배기 포트와 제2 배기 포트가 설치되는 케이싱; 제1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1 실린더 및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는 제1 피스톤; 제2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2 실린더 및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는 제2 피스톤을 포함하며; 제1 실린더의 내경은 D1이고, 제1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피스톤의 이심률은 e1이며, 제1 실린더의 높이는 H1이고, 제1 실린더의 배기 압력은 P1이며; 제2 실린더의 내경은 D2이고,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의 이심률은 e2이며, 제2 실린더의 높이는 H2이고,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은 P2이며; 여기서, P1<P2이고, 0.6≤(e1×(D1-e1)×H1)÷(e2×(D2-e2)×H2)≤1.9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압축기는 제1 실린더, 제1 피스톤, 제2 실린더 및 제2 피스톤을 포함하고, 제1 실린더에는 수용 캐비티가 가공되어 성형되며, 제1 피스톤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고, 제2 실린더에도 마찬가지로 수용 캐비티가 가공되어 형성되며, 제2 피스톤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고, 제1 피스톤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여 제1 피스톤이 제1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흡기, 공기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수용 캐비티의 일부에 속하고, 제1 피스톤의 외주면,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및 제1 실린더의 내면으로 에워싸이며; 제2 피스톤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여 제2 피스톤이 제2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흡기, 공기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수용 캐비티의 일부에 속하고, 제2 피스톤의 외주면,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및 제2 실린더의 내면으로 에워싸인다. 두 개의 실린더 및 두 개의 피스톤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이중 배기 기능을 실현하고,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는 모두 냉매에 대해 흡입,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를 설치하여 이중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 인한 비용이 높은 문제를 방지하며, 본원 발명에서의 하나의 압축기는 관련 기술에서 두 개의 압축기가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 가공비용을 저하시키고 압축기의 점용 공간을 저하시키며 압축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
그 밖에, 본원 발명에서는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한정하는데, 상이한 배기 압력은 냉매로 하여금 예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시간 및 필요한 에너지가 모두 상이하도록 할 수 있는바,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압축기의 상이한 사용 요구에 따라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는 상이한 배기 압력을 실현함으로써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와 대응하는 응축기가 고효율적으로 응축 기능을 실현하여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며,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여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밖에, P1<P2라고 한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출 압력이 상이한 목적을 달성하며, 제1 실린더의 내경이 제2 실린더의 내경과 상이하고,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1 피스톤의 이심률이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의 이심률과 상이하며, 제1 실린더의 높이가 제2 실린더의 높이와 상이하고 구체적인 범위를 0.6≤(e1×(D1-e1)×H1)÷(e2×(D2-e2)×H2)≤1.9로 한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실린더의 배기 압력이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과 상이한 동시에 제1 실린더의 배기량이 제2 실린더의 배기량과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와 대응하는 응축기가 고효율적으로 응축 기능을 실현하여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며,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여 압축기의 및 이 압축기를 응용한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원 발명의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1 피스톤의 이심률은 제1 수용 캐비티의 중심선에 대한 제1 피스톤의 이심률로 디폴트되고, 이 중심선의 연장방향은 크랭크축의 축방향과 같다.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의 이심률은 제2 수용 캐비티의 중심선에 대한 제2 피스톤의 이심률로 디폴트되고, 이 중심선의 연장방향은 크랭크축의 축방향과 같다. 제1 수용 캐비티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제2 수용 캐비티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을 이룬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압축기는, 이격되게 분포되고,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 어셈블리;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제1 피스톤의 외주면 및 제1 실린더의 내면과 함께 제1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제2 피스톤의 외주면 및 제2 실린더의 내면과 함께 제2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는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제1 워킹 캐비티가 이를 거쳐 상기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1 배기 출구, 및 상기 제2 워킹 캐비티가 이를 거쳐 상기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2 배기 출구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베어링, 제2 베어링 및 격벽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제1 베어링은 크랭크축을 지지하고, 제2 베어링은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를 지지하여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격벽 어셈블리는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는 또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베어링과 격벽 어셈블리가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의 제1 수용 캐비티를 밀폐하고, 제2 베어링과 격벽 어셈블리는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실린더의 제2 수용 캐비티를 밀폐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제1 피스톤의 외주면 및 제1 실린더의 내면은 제1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고,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제2 피스톤의 외주면 및 제2 실린더의 내면은 제2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며, 제1 피스톤의 이동은 제1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켜 기체를 압축할 수 있고, 제2 피스톤의 이동은 제2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켜 기체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는 제1 배기 출구와 제2 배기 출구를 더 포함하여 제1 배기 출구가 제1 워킹 캐비티와 제1 배기 포트를 연통시키고 제2 배기 출구가 제2 워킹 캐비티와 제2 배기 포트를 연통시킨다.
더 나아가, 제1 베어링 및 격벽 어셈블리는 제1 실린더와 접하고, 제2 베어링 및 격벽 어셈블리는 제2 실린더와 접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배기 출구는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거나, 또는 제2 배기 출구는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제1 배기 출구는 제1 실린더 또는 제1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제2 배기 출구는 제2 실린더 또는 제2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제1 배기 출구는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어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1 배기 출구를 거쳐 배출된 후,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에 확산되고, 그 다음 제1 배기 포트를 거쳐 배출되도록 한다. 제1 실린더의 배기 압력은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보다 작아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에서의 기체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압축기의 오일 리턴이 편리하고 압축기가 운행하는 신뢰도를 담보하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
물론, 제2 배기 출구는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어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2 배기 출구를 거쳐 배출한 후,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에 확산되고, 그 다음 제2 배기 포트를 거쳐 배출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제1 배기 출구는 제1 실린더 또는 제1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배기 출구는 제2 실린더 또는 제2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원 발명에서,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란 케이싱 내의 자유 공간을 말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베어링과 함께 제1 배기 챔버를 에워싸되, 제1 배기 출구와 제1 배기 챔버가 연통되는 제1 실링 부재, 및 제1 베어링, 제1 실린더, 격벽 어셈블리, 제2 실린더 및 제2 베어링을 관통하여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되는 제1 배기 통로; 제2 베어링과 함께 제2 배기 챔버를 에워싸되, 제2 배기 출구와 제2 배기 챔버가 연통되는 제2 실링 부재, 및 제2 베어링, 제2 실린더 및 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고 제1 실린더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2 배기 통로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실링 부재, 제1 배기 통로, 제2 실링 부재 및 제2 배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데, 제1 실링 부재를 통해 제1 베어링과 함께 제1 배기 챔버를 에워싸고, 제2 실링 부재를 통해 제2 베어링과 함께 제2 배기 챔버를 에워싼다. 제1 워킹 캐비티와 제1 배기 통로를 연통하고 제1 배기 통로로 하여금 제1 베어링, 제1 실린더, 격벽 어셈블리, 제2 실린더 및 제2 베어링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1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실린더가 위치한 측에 도달하도록 하며, 그 다음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에서 제1 배기 포트와 연통한다. 제2 워킹 캐비티와 제2 배기 통로를 연통하고, 제2 배기 통로로 하여금 제2 베어링, 제2 실린더 및 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도록 한 다음, 제1 실린더에서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와 연통함으로써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2 배기 통로를 거쳐 제1 실린더가 위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며, 제1 실린더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에 배출된다.
더 나아가, 제1 실링 부재와 제2 실링 부재는 커버 패널 또는 소음기이다.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기타 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배기 통로에 설치되는 제1 배기 밸브; 제2 배기 통로에 설치되는 제2 배기 밸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배기 밸브는 제1 배기 통로를 도통 및 밀폐할 수 있고, 제2 배기 밸브는 제2 배기 통로를 도통 및 밀폐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케이싱에는 흡기 포트가 설치되고,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를 거쳐 흡기 포트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를 거쳐 흡기 포트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는 제2 흡기 통로와 서로 연통된다.
이 설계에서, 케이싱에 하나의 흡기 포트를 설치하고 제1 워킹 캐비티와 제2 워킹 캐비티가 모두 하나의 흡기 포트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를 거쳐 흡기 포트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를 거쳐 흡기 포트와 연통되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는 바람직하게 서로 연통되어 흡기 통로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켜 실린더, 베어링 등 부품을 지나치게 가공하여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한다.
다른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케이싱에 두 개의 흡기 포트가 설치되고,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를 거쳐 하나의 흡기 포트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를 거쳐 다른 하나의 흡기 포트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이 설계에서, 케이싱에 두 개의 흡기 포트를 설치하고, 하나의 워킹 캐비티를 하나의 흡기 포트와 연통시켜 두 개의 흡기 통로 내의 기체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실린더의 흡기량을 담보하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흡기 통로는 제1 실린더 또는 제1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제2 흡기 통로는 제2 실린더 또는 제2 베어링 또는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를 제1 실린더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1 흡기 통로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에서 압축되며, 마찬가지로, 제1 흡기 통로를 제1 베어링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1 베어링에서의 제1 흡기 통로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제2 흡기 통로를 제2 실린더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2 흡기 통로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제2 워킹 캐비티 내에서 압축되며, 마찬가지로, 제2 흡기 통로를 제2 베어링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2 베어링에서의 제2 흡기 통로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 및 제1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제1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또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이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이 힌지 결합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고, 제1 탄성 부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에서 제1 피스톤과 멀어지는 일단과 연결되어 제1 피스톤이 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항상 제1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1 워킹 캐비티의 밀폐성을 확보한다. 또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과 일체형 구조로서, 제1 슬라이딩 베인이 제1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 안정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일체형 구조의 역학 성능이 양호하므로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은 일체로 제조되어 양산에 유리하고 제품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과 힌지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제1 슬라이딩 베인이 제1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어 제1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이 안정되도록 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2 탄성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제2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한다. 또는,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이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은 힌지 연결된다.
이 설계에서,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고, 제2 탄성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에서 제2 피스톤과 멀리하는 일단과 연결되어 제2 피스톤이 운동하는 과정에서, 제2 탄성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항상 제2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2 워킹 캐비티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과 일체형 구조로서, 제2 슬라이딩 베인이 제2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 안정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일체형 구조의 역학 성능이 양호하므로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은 일체로 제조되어 양산에 유리하고 제품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과 힌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딩 베인이 제2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이 안정되고 제품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1 편심부 및 제2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2 편심부를 구비하는 크랭크축;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크랭크축을 회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전동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압축기는 크랭크축과 전동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데, 전동기 어셈블리는 크랭크축을 회동하도록 구동시키고, 크랭크축에서의 제1 편심부는 제1 피스톤과 연결되어 크랭크축이 회동할 때 크랭크축의 제1 편심부가 제1 피스톤을 회동시키며, 회동하는 제1 피스톤은 기체에 대한 흡입, 압축 및 배출 기능을 실현한다. 마찬가지로, 크랭크축의 제2 편심부는 제2 피스톤과 연결되어 크랭크축이 회동할 때 크랭크축의 제2 편심부가 제2 피스톤을 회동시키고, 회동하는 제2 피스톤은 기체에 대한 흡입, 압축 및 배출 기능을 실현한다.
본원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방기기를 제공하므로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냉방기기는 상기 어느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제공하는 압축기의 모든 효과를 구비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냉방기기는,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1 응축기; 제1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1 스로틀 소자; 제1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1 증발기; 제1 증발기 및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액체 저장기;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2 응축기; 제2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2 스로틀 소자; 제2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2 증발기; 제2 증발기 및 압축기의 제2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액체 저장기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1 응축기, 제1 스로틀 소자, 제1 증발기, 제1 액체 저장기와 제1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고, 압축기는 제2 응축기, 제2 스로틀 소자, 제2 증발기, 제2 액체 저장기와 제2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며, 두 그룹의 서로 독립적인 냉방 시스템, 즉 냉방기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가 실현하는 멀티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고 냉방기기의 점용 공간도 저하시켜 냉방기기 내의 부품을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여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에 도달하는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하여 냉방기기가 이중 응축 온도와 이중 증발 온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단계별 이용을 실현하고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특히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기량이 상이한 경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가 응축하는 냉매의 양도 상이하여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냉방기기는,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3 응축기; 제3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3 스로틀 소자; 제3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3 증발기; 제3 증발기 및 압축기의 제1 흡기통로, 제2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3 액체 저장기;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4 응축기; 제4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4 스로틀 소자; 제4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4 증발기를 더 포함하되; 제3 액체 저장기는 제4 증발기 및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 제2 흡기 통로와 더 연통된다.
이 설계에서, 압축기는 제3 응축기, 제3 스로틀 소자, 제3 증발기, 제3 액체 저장기와 제3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고, 압축기는 제4 응축기, 제4 스로틀 소자, 제4 증발기, 제3 액체 저장기와 제4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며, 두 그룹의 서로 독립적인 냉방 시스템, 즉 냉방기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가 실현하는 멀티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고 냉방기기의 점용 공간도 저하시켜 냉방기기 내의 부품을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는 제3 액체 저장기와 연통되어 하나의 액체 저장기만 설치하면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흡기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 냉방기기 내의 부품 수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며, 냉방기기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냉방기기를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여 제3 응축기와 제4 응축기에 도달하는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하여 냉방기기가 이중 응축 온도와 이중 증발 온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단계별 이용을 실현하고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특히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배기량이 상이한 경우, 제3 응축기와 제4 응축기가 응축하는 냉매의 양도 상이하여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본원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와 장점은 아래의 설명 부분에서 더 뚜렷해지거나 또는 본원 발명의 실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양태와 장점은 아래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뚜렷하고 이해가 용이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국부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기 에너지 효율이 두 개의 실린더의 배기량의 비율에서의 변화 곡선 모식도를 도시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 뚜렷이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결부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원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수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방식과 다른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에서 개시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및 냉방기기를 설명한다.
실시예1: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40), 제1 실린더(100), 제1 피스톤(110), 제2 실린더(120) 및 제2 피스톤(130)을 포함한다. 케이싱(140)에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제1 배기 포트(142)와 제2 배기 포트(144)가 설치되고; 제1 실린더(100)에는 수용 캐비티가 가공되어 성형되며, 제1 피스톤(110)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고, 제2 실린더(120)에도 마찬가지로 수용 캐비티가 가공되어 형성되며, 제2 피스톤(130)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고, 제1 피스톤(110)은 제1 수용 캐비티 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여 제1 피스톤(110)이 제1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흡기, 공기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수용 캐비티의 일부에 속하고, 제1 피스톤(110)의 외주면,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80) 및 제1 실린더(100)의 내면으로 에워싸이며; 제2 피스톤(130)은 제2 수용 캐비티 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여 제2 피스톤(130)이 제2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흡기, 공기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수용 캐비티의 일부에 속하고, 제2 피스톤(130)의 외주면,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90) 및 제2 실린더(120)의 내면으로 에워싸인다. 제1 실린더(100)는 제1 배기 포트(142)를 거쳐 배기하고, 제2 실린더(120)는 제2 배기 포트(144)를 통해 배기한다. 두 개의 실린더 및 두 개의 피스톤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이중 배기 기능을 실현하고,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는 모두 냉매에 대해 흡입, 압축 및 배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를 설치하여 이중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 인한 비용이 높은 문제를 방지하며, 본원 발명에서의 하나의 압축기는 관련 기술에서 두 개의 압축기가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 가공비용을 저하시키고 압축기의 점용 공간을 저하시키며 압축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
그 밖에, 본원 발명에서는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한정하는데, 상이한 배기 압력은 냉매로 하여금 예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시간 및 필요한 에너지가 모두 상이하도록 할 수 있는바,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압축기의 상이한 사용 요구에 따라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는 상이한 배기 압력을 실현함으로써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와 대응하는 응축기가 고효율적으로 응축 기능을 실현하여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며,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여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P1<P2, 0.6≤(e1×(D1-e1)×H1)÷(e2×(D2-e2)×H2)≤1.9라고 한정하였다. 구체적으로, (e1×(D1-e1)×H1)÷(e2×(D2-e2)×H2)의 값의 범위는 0.8, 1.05, 1.85 일 수 있다. 여기서, P1은 제1 실린더(100)의 배기 압력이고, D1은 제1 실린더(100)의 내경이며, e1은 제1 실린더(100)에 대한 제1 피스톤(110)의 이심률이고, H1은 제1 실린더(100)의 높이이며, P2는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이고, D2는 제2 실린더(120)의 내경이며, e2는 제2 실린더(120)에 대한 제2 피스톤(130)의 이심률이고, H2는 제2 실린더(120)의 높이이다. e1×(D1-e1)×H1과 e2×(D2-e2)×H2의 비율 크기는 제1 실린더(100)의 배기량과 제2 실린더(120)의 배기량의 비율 크기를 대표한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본원 발명은 P1<P2라고 한정하여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출 압력이 상이한 목적을 달성하며, 제1 실린더(100)의 내경이 제2 실린더(120)의 내경과 상이하고,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1 피스톤(100)의 이심률이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130)의 이심률과 상이하며, 제1 실린더(100)의 높이가 제2 실린더(120)의 높이와 상이하고 구체적인 범위를 0.6≤(e1×(D1-e1)×H1)÷(e2×(D2-e2)×H2)≤1.9로 한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실린더(100)의 배기 압력이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과 상이한 동시에 제1 실린더(100)의 배기량이 제2 실린더(120)의 배기량과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제1 실린더(100) 및 제2 실린더(120)와 대응하는 응축기가 고효율적으로 응축 기능을 실현하여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상이한 배기량 비율에서, 배기량 비율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에너지 효율 변화 곡선이고, 도 12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배기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에너지 효율은 먼저 증가한 후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나게 되는바, 이로써 알 수 있다 시피,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여 압축기의 및 이 압축기를 응용한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원 발명의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1 피스톤(110)의 이심률은 제1 수용 캐비티의 중심선에 대한 제1 피스톤(110)의 이심률로 디폴트되고, 이 중심선의 연장방향은 크랭크축(260)의 축방향과 같다.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제2 피스톤(130)의 이심률은 제2 수용 캐비티의 중심선에 대한 제2 피스톤(130)의 이심률로 디폴트되고, 이 중심선의 연장방향은 크랭크축(260)의 축방향과 같다. 제1 수용 캐비티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제2 수용 캐비티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을 이룬다.
그 밖에, 관련 기술에서의 더블 실린더 압축기는 이의 작용 상대, 가공 편의성, 조립 간편성 등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으로 인하여 더블 실린더 압축기의 각 실린더의 배기가 동일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고 상이한 압력비와 대응하는 응축기 온도도 상이하며, 출입구 엔탈피 차이도 상이하고 대응하는 유량도 상이하여 이중 배기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최적화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실시예1의 기초상에, 압축기는 제1 베어링(150), 제2 베어링(160), 격벽 어셈블리(170), 제1 배기 출구(180), 제2 배기 출구(190),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80) 및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90)를 더 포함한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은 이격되게 분포되고,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는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베어링(150)은 크랭크축(260)을 지지하고, 제2 베어링(160)은 제1 실린더(100), 제2 실린더(120)을 지지하여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는 또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베어링(150)과 격벽 어셈블리(170)가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100)의 제1 수용 캐비티를 밀폐하고, 제2 베어링(160)과 격벽 어셈블리(170)는 양자 사이의 제2 실린더(120)의 제2 수용 캐비티를 밀폐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80), 제1 피스톤(110)의 외주면 및 제1 실린더(100)의 내면은 제1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고,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90), 제2 피스톤(130)의 외주면 및 제2 실린더(120)의 내면은 제2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며, 제1 피스톤(110)의 이동은 제1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켜 기체를 압축할 수 있고, 제2 피스톤(130)의 이동은 제2 워킹 캐비티의 용적을 변화시켜 기체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는 제1 배기 출구(180)와 제2 배기 출구(190)를 더 포함하여 제1 배기 출구(180)가 제1 워킹 캐비티와 제1 배기 포트(142)를 연통시키고 제2 배기 출구(190)가 제2 워킹 캐비티와 제2 배기 포트(144)를 연통시켜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 기능을 실현한다.
더 나아가, 제1 베어링(150) 및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1 실린더(100)와 접하고, 제2 베어링(160) 및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2 실린더(120)와 접한다.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배기 출구(180)를 거쳐 제1 배기 포트(142)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배기 출구(190)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제1 배기 출구(180)는 제1 실린더(100) 또는 제1 베어링(150) 또는 격벽 어셈블리(170)에 설치되고; 제2 배기 출구(190)는 제2 실린더(120) 또는 제2 베어링(160) 또는 격벽 어셈블리(170)에 설치되며; 제1 배기 출구(180)는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1 배기 포트(142)와 연통되거나, 또는 제2 배기 출구(190)는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배기 출구(180)는 제1 실린더(100)에 설치되어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기체가 제1 배기 출구(18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제2 배기 출구(190)는 제2 실린더(120)에 설치되어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기체가 제2 배기 출구(19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제1 워킹 캐비티와 제2 워킹 캐비티의 배기가 편리하도록 한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배기 출구(180)와 제2 배기 출구(190)는 또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어링(150)에 제1 배기 출구(180)를 설치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1 베어링(150)의 제1 배기 출구(180)를 거치도록 한다. 제2 베어링(160)에 제2 배기 출구(190)를 설치하여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2 베어링(160)의 제2 배기 출구(190)를 거치도록 하는데,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이 두 개의 실린더의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멀리하므로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과정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 기능을 실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1 격벽(172)과 제2 격벽(174)을 포함하되, 제1 격벽(172)과 제2 격벽(174)은 캐비티를 에워싸고 제1 격벽(174)에 제2 배기 출구(190)를 설치하여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2 배기 출구(190)를 통해 격벽 어셈블리(170) 내의 캐비티 내에 배출되도록 하며, 다시 제2 배기 통로(21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제2 배기 포트(144)에 배출하도록 하는데, 이때, 제1 베어링(150)에는 제1 배기 출구(180)가 설치되고,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는 제1 배기 출구(180)를 통해 제1 배기 포트(142)에 배출되어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담보함으로써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 기능을 실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1 격벽(172)과 제2 격벽(174)을 포함하되, 제1 격벽(172)과 제2 격벽(174)은 캐비티를 에워싸고 제1 격벽(174)에 제1 배기 출구(180)를 설치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1 배기 출구(180)를 통해 격벽 어셈블리(170) 내의 캐비티 내에 배출되도록 하며, 다시 제1 배기 통로(20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제1 배기 포트(142)에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베어링(160)에는 제2 배기 출구(190)가 설치되고,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는 제2 배기 출구(190)를 통해 제2 배기 포트(144)에 배출된다. 이로써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담보함으로써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 기능을 실현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격벽 어셈블리(170)는 제1 격벽(172), 제2 격벽(174) 및 이격판을 포함하되, 이격판은 제1 격벽(172)과 제2 격벽(174) 내의 캐비티를 이격시켜 캐비티를 두 개의 서로 독립적인 챔버로 이격시킨다. 이때, 제1 격벽(172)에 제1 배기 출구(180)를 설치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1 배기 출구(180)를 통해 그 중의 한 챔버 내에 배출되고, 다시 제1 배기 통로(20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제1 배기 포트(142)에 배출하거나 또는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제1 배기 포트(142)에 배출하며; 또 제2 격벽(174)에 제2 배기 출구(190)를 설치하여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압축 공기가 제2 배기 출구(190)를 통해 다른 하나의 챔버 내에 배출되고, 다시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제2 배기 포트(1440에 배출하거나 또는 제2 배기 통로(210)를 통해 제2 배기 포트(144)에 배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과정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압축기의 이중 압력 배기 기능을 실현한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내용을 결부하면,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압축기는 제1 실링 부재(240)와 제1 배기 통로(200)를 더 포함하되, 제1 실링 부재(240)와 제1 베어링(150)은 제1 배기 챔버(242)를 에워싸고,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배기 챔버(242)와 연통되며, 제1 배기 통로(200)는 제1 베어링(150), 제1 실린더(100), 격벽 어셈블리(170), 제2 실린더(120) 및 제2 베어링(160)을 관통하여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되고; 제2 실링 부재(250)와 제2 배기 통로(210), 제2 실링 부재(250)와 제2 베어링(160)은 제2 배기 챔버(252)를 에워싸며,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배기 챔버(252)와 연통되고, 제2 배기 통로(210)는 제2 베어링(160), 제2 실린더(120) 및 격벽 어셈블리(170)를 관통하고 제1 실린더(100)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된다.
이 실시예에서, 압축기는 제1 실링 부재(240)와 제2 실링 부재(250)를 더 포함하되, 제1 실링 부재(240)를 통해 제1 베어링(150)과 함께 제1 배기 챔버(242)를 에워싸고, 제2 실링 부재(250)를 통해 제2 베어링(160)과 함께 제2 배기 챔버(252)를 에워싼다. 제1 워킹 캐비티와 제1 배기 통로(200)를 연통시키고 제1 배기 통로(200)로 하여금 제1 베어링(150), 제1 실린더(100), 격벽 어셈블리(170), 제2 실린더(120) 및 제2 베어링(160)을 관통하도록 한 후,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시켜 제1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1 배기 통로(200)를 거쳐 제2 실린더(120)가 위치한 측에 도달하도록 하며, 그 다음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에서 제1 배기 포트(142)와 연통한다. 제2 워킹 캐비티와 제2 배기 통로(210)를 연통하고, 제2 배기 통로(210)로 하여금 제2 베어링(160), 제2 실린더(120) 및 격벽 어셈블리(170)를 관통하도록 한 다음, 제1 실린더(100)에서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함으로써 제2 워킹 캐비티 내의 기체가 제2 배기 통로(210)를 거쳐 제1 실린더(100)가 위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며, 제1 실린더(100)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에 배출된다.
더 나아가, 제1 실링 부재(240)와 제2 실링 부재(240)는 커버 패널 또는 소음기이다.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기타 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압축기는 제1 실링 부재(240)와 제2 실링 부재(250)를 더 포함한다. 제1 실링 부재(240)와 제1 베어링(150)은 제1 배기 챔버(242)를 에워싸고,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배기 챔버(242)과 연통되며, 제2 실링 부재(250)와 제2 베어링(160)은 제2 배기 챔버(252)를 에워싸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배기 챔버(252)와 연통된다. 제1 배기 통로(200)는 제1 베어링(150), 제1 실린더(100) 및 격벽 어셈블리(170)를 관통하고 제2 실린더(120)의 배기 통로를 거쳐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되고; 제2 배기 통로(210)는 제2 베어링(160), 제2 실린더(120), 격벽 어셈블리(170), 제1 실린더(100) 및 제1 베어링(150)를 관통하여 케이싱(140)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압축기는 제1 베어링(150)과 제2 베어링(160)에 설치되는 리프트 리미터를 더 포함하되, 리프트 리미터는 제1 배기 통로(200)와 제2 배기 통로(210)의 배기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배기 밸브(260)는 제1 배기 통로(200)에 설치되고; 제2 배기 밸브는 제2 배기 통로(210)에 설치된다.
실시예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의 기초상에, 케이싱(140)에 흡기 포트(146)가 설치되고,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를 더 포함하며,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220)를 거쳐 흡기 포트(146)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230)를 거쳐 흡기 포트(146)와 연통된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는 서로 연통된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싱(140)에 하나의 흡기 포트(146)를 설치하여 제1 워킹 캐비티와 제2 워킹 캐비티로 하여금 모두 하나의 흡기 포트(146)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220)를 거쳐 흡기 포트(146)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230)를 거쳐 흡기 포트(146)와 연통되며,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는 바람직하게 서로 연통되어 흡기 통로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켜 실린더, 베어링 등 부품을 지나치게 가공하여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한다.
실시예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의 기초상에, 케이싱(140)에 두 개의 흡기 포트(146)가 설치되고,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를 더 포함하며, 제1 워킹 캐비티는 제1 흡기 통로(220)를 거쳐 하나의 흡기 포트(146)와 연통되고, 제2 워킹 캐비티는 제2 흡기 통로(230)를 거쳐 다른 하나의 흡기 포트(146)와 연통된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싱(140)에 두 개의 흡기 포트(146)를 설치하고, 하나의 워킹 캐비티를 하나의 흡기 포트(146)와 연통시켜 두 개의 흡기 통로 내의 기체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실린더의 흡기량을 담보하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
실시예5:
상기 실시예3 또는 실시예4의 기초상에, 제1 흡기 통로(220)는 제1 실린더(100) 또는 제1 베어링(150) 또는 격벽 어셈블리(170)에 설치되고; 제2 흡기 통로(230)는 제2 실린더(120) 또는 제2 베어링(160) 또는 격벽 어셈블리(170)에 설치된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더 나아가, 제1 흡기 통로(220)를 제1 실린더(100)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제1 워킹 캐비티 내에서 압축되며, 마찬가지로, 제1 흡기 통로(220)를 제1 베어링(150)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1 베어링(150)에서의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제2 흡기 통로(230)를 제2 실린더(120)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제2 워킹 캐비티 내에서 압축되며, 마찬가지로, 제2 흡기 통로(230)를 제2 베어링(160)에 설치하고, 기체가 제2 베어링(160)에서의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흡기 통로(220)는 제1 실린더(100)에 설치되고, 기체는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하며; 제2 흡기 통로(230)는 제2 실린더(120)에 설치되고, 제2 워킹 캐비티와 연통되며, 기체는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흡기 통로(220)는 제1 실린더(100)에 설치되고, 제1 워킹 캐비티와 연통되며, 기체는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하며; 제2 흡기 통로(230)는 제2 베어링(160)에 설치되고 제2 워킹 캐비티와 연통되며, 기체는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흡기 통로(220)는 제1 베어링(150)에 설치되고, 제1 워킹 캐비티와 연통되며, 기체는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하며; 제2 흡기 통로(230)는 제2 실린더(120)에 설치되고, 기체는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흡기 통로(220)는 제1 베어링(150)에 설치되고, 기체는 제1 흡기 통로(220)를 통해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1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하며; 제2 흡기 통로(230)는 제2 베어링(160)에 설치되고, 기체는 제2 흡기 통로(230)를 통해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여 기체를 제2 워킹 캐비티에 흡입시키는 과정을 실현한다.
실시예6: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80)는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110)의 외주면을 압착하고, 제1 탄성 부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에서 제1 피스톤(110)과 멀리하는 일단과 연결되어 제1 피스톤(110)이 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항상 제1 피스톤(110)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1 워킹 캐비티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또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80)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110)과 일체형 구조로서, 제1 슬라이딩 베인이 제1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 안정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일체형 구조의 역학 성능이 양호하므로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1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피스톤(110)은 일체로 제조되어 양산에 유리하고 제품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제1 슬라이딩 베인은 제1 피스톤(110)과 힌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제1 슬라이딩 베인이 제1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제1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이 안정되고 제품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90)는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130)의 외주면을 압착하고, 제2 탄성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에서 제2 피스톤(130)과 멀리하는 일단과 연결되어 제2 피스톤(130)이 운동하는 과정에서, 제2 탄성 부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항상 제2 피스톤(130)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2 워킹 캐비티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290)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130)과 일체형 구조로서, 제2 슬라이딩 베인이 제2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 안정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일체형 구조의 역학 성능이 양호하므로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13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피스톤(130)은 일체로 제조되어 양산에 유리하고 제품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제2 슬라이딩 베인은 제2 피스톤(130)과 힌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딩 베인이 제2 슬라이딩 베인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인의 장착이 안정되고 제품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실시예7: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압축기가 크랭크축(260)과 전동기 어셈블리(270)를 더 포함하되, 전동기 어셈블리(270)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하고, 크랭크축(260)은 제1 피스톤(110)과 연결되는 제1 편심부 및 제2 피스톤(130)과 연결되는 제2 편심부를 구비하며; 전동기 어셈블리(270)는 크랭크축(260)과 연결되어 크랭크축(260)을 회동하도록 구동시킨다고 추가로 한정한다.
압축기는 크랭크축(260)과 전동기 어셈블리(270)를 더 포함하는데, 전동기 어셈블리(270)는 크랭크축(260)을 회동하도록 구동시키고, 크랭크축(260)은 제1 피스톤(110)과 연결되는 제1 편심부 및 제2 피스톤(130)과 연결되는 제2 편심부를 가지며, 크랭크축(260)이 회동할 때 크랭크축(260)의 제1 편심부는 제1 피스톤(110)을 회동시키고, 회동하는 제1 피스톤(110)은 기체에 대한 흡입, 압축 및 배출 기능을 실현한다.
크랭크축(260)의 제2 편심부는 제2 피스톤(130)을 회동시키고, 회동하는 제2 피스톤(130) 은 기체에 대한 흡입, 압축 및 배출 기능을 실현한다.
크랭크축(260)이 제1 피스톤(110)과 제2 피스톤(130)을 회동시킴에 따라, 저압의 기체는 일반적으로 제1 흡기 통로(220)로부터 제1 실린더(100)의 제1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고, 제1 워킹 캐비티에서 흡기, 압축, 배기의 과정을 완성하며, 제1 배기 통로(200)를 거쳐 배기한다. 다른 저압의 기체는 제2 흡기 통로(230)로부터 제2 실린더(120)의 제2 워킹 캐비티 내에 진입하고 제2 워킹 캐비티에서 흡기, 압축, 배기의 과정을 완성하며, 제2 배기 통로(210)를 거쳐 배기하고, 크랭크축(260)이 한 바퀴 회동할 때마다 두 번 배기하는 과정을 완성한다.
본원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방기기를 제공하므로 본원 발명이 제공하는 냉방기기는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압축기의 모든 효과를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냉방기기는 제1 응축기(350), 제1 스로틀 소자(410), 제1 증발기(360), 제1 액체 저장기(370), 제2 응축기(380), 제2 스로틀 소자(420), 제2 증발기(390) 및 제2 액체 저장기(400)를 더 포함한다.
제1 응축기(350)는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142)와 연통되고, 제1 스로틀 소자(410)는 제1 응축기(350)와 연통되며, 제1 증발기(360)는 제1 스로틀 소자(410)와 연통되고, 제1 액체 저장기(370)는 제1 증발기(360) 및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220)와 연통된다.
제2 응축기(380)는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되고, 제2 스로틀 소자(420)는 제2 응축기(380)와 연통되며, 제2 증발기(390)는 제2 스로틀 소자(420)와 연통되고, 제2 액체 저장기(400)는 제2 증발기(390) 및 압축기의 제2 흡기 통로(230)와 연통된다.
압축기는 제1 응축기(350), 제1 스로틀 소자(410), 제1 증발기(360), 제1 액체 저장기(370)와 제1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고, 압축기는 제2 응축기(380), 제2 스로틀 소자(420), 제2 증발기(390), 제2 액체 저장기(400)와 제2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며, 두 그룹의 서로 독립적인 냉방 시스템, 즉 냉방기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가 실현하는 멀티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고 냉방기기의 점용 공간도 저하시켜 냉방기기 내의 부품을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여 제1 응축기(350)와 제2 응축기(380)에 도달하는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하여 냉방기기가 이중 응축 온도와 이중 증발 온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단계별 이용을 실현하고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바, 특히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량이 상이한 경우, 제1 응축기(350)와 제2 응축기(380)가 응축하는 냉매의 양도 상이하여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냉매의 유동 과정은 아래와 같다.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142)는 파이프 등 어셈블리를 통해 제1 응축기(350)와 연결되고, 냉매는 제1 팽창 밸브를 통해 제1 증발기(360)에 유입되어 제1 증발기(360)에 의해 제1 액체 저장기(370)의 흡기 통로를 거쳐 제1 실린더(100)의 제1 흡기 통로(220)에 유입되며; 제1 배기 포트(142)는 파이프 어셈블리를 통해 제2 응축기(380)와 연결되고, 냉매는 제2 팽창 밸브를 통해 제2 증발기(390)에 유입되어 제2 증발기(390)에 의해 제2 액체 저장기(400)의 흡기 통로를 거쳐 제2 실린더(120)의 제2 흡기 통로(230)에 유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냉방기기는, 제3 응축기(430), 제3 스로틀 소자, 제3 증발기(440), 제3 액체 저장기(450), 제4 응축기(460), 제4 스로틀 소자 및 제4 증발기(470)를 더 포함한다.
제3 응축기(430)는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142)와 연통되고, 제3 스로틀 소자는 제3 응축기(430)와 연통되며, 제3 증발기(440)는 제3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고, 제3 액체 저장기(450)는 제3 증발기(440) 및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220), 제2 흡기 통로(230)와 연통된다.
제4 응축기(460)는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144)와 연통되고, 제4 스로틀 소자는 제4 응축기(460)와 연통되며, 제4 증발기(470)는 제4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고, 제3 액체 저장기(450)는 또 제4 증발기(470) 및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220), 제2 흡기 통로(230)와 연통된다.
압축기는 제3 응축기(430), 제3 스로틀 소자, 제3 증발기(440), 제3 액체 저장기(450)와 제3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고, 압축기는 제4 응축기(460), 제4 스로틀 소자, 제4 증발기(470), 제3 액체 저장기(450)와 제4 그룹 냉방 시스템을 형성하며, 두 그룹의 서로 독립적인 냉방 시스템, 즉 냉방기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관련 기술에서 다수의 압축기가 실현하는 멀티 배기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고 냉방기기의 점용 공간도 저하시켜 냉방기기 내의 부품을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1 흡기 통로(220)와 제2 흡기 통로(230)는 제3 액체 저장기(450)와 연통되어 하나의 액체 저장기만 설치하면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흡기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 냉방기기 내의 부품 수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냉방기기의 가공 비용을 저하시키며, 냉방기기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냉방기기를 장착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 압력이 상이하여 제3 응축기(430)와 제4 응축기(460)에 도달하는 배기 압력이 상이하도록 하여 냉방기기가 이중 응축 온도와 이중 증발 온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단계별 이용을 실현하고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특히 제1 실린더(100)와 제2 실린더(120)의 배기량이 상이한 경우, 제3 응축기(430)와 제4 응축기(460)가 응축하는 냉매의 양도 상이하여 냉방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상기 두 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하나의 압축기의 이중 배기 파라미터의 기능을 실현하였는바, 이중 행의 고저온 열량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약하였다. 동시에, 더블 실린더 파라미터 비율의 범위를 합리하게 규정하여 이중 행 사이클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용어 "다수"는 별도로 명확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둘 또는 둘 이상을 가리킨다.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모두 일반화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장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서로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체에 의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원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한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 설명은 이 실시예와 결부하거나 또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원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실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의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단지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원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원 발명은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사상과 원리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도 모두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1에서 도면부호와 부품의 명칭 사이의 대응 관계는 아래와 같다.
100: 제1 실린더, 110: 제1 피스톤, 120: 제2 실린더, 130: 제2 피스톤, 140: 케이싱, 142: 제1 배기 포트, 144: 제2 배기 포트, 146: 흡기 포트, 150: 제1 베어링, 160: 제2 베어링, 170: 격벽 어셈블리, 172: 제1 격벽, 174: 제2 격벽, 180: 제1 배기 출구, 190: 제2 배기 출구, 200: 제1 배기 통로, 210: 제2 배기 통로, 220: 제1 흡기 통로, 230: 제2 흡기 통로, 240: 제1 실링 부재, 242: 제1 배기 챔버, 250: 제2 실링 부재, 252: 제2 배기 챔버, 260: 크랭크축, 270: 전동기 어셈블리, 280: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290: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350: 제1 응축기, 360: 제1 증발기, 370: 제1 액체 저장기, 380: 제2 응축기, 390: 제2 증발기, 400: 제2 액체 저장기, 410: 제1 스로틀 소자, 420: 제2 스로틀 소자; 430: 제3 응축기, 440: 제3 증발기, 450: 제3 액체 저장기, 460: 제4 응축기, 470: 제4 증발기

Claims (12)

  1. 압축기로서,
    서로 연통되지 않는 제1 배기 포트와 제2 배기 포트가 설치되는 케이싱;
    제1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는 제1 피스톤;
    제2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편심 설치되는 제2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내경은 D1이고, 상기 제1 수용 캐비티에 대한 피스톤의 이심률은 e1이며, 상기 제1 실린더의 높이는 H1이고, 상기 제1 실린더의 배기 압력은 P1이며, 상기 제1 실린더는 상기 제1 배기 포트를 거쳐 배기하며;
    상기 제2 실린더의 내경은 D2이고, 상기 제2 수용 캐비티에 대한 상기 제2 피스톤의 이심률은 e2이며, 상기 제2 실린더의 높이는 H2이고, 상기 제2 실린더의 배기 압력은 P2이며,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제2 배기 포트를 거쳐 배기하며;
    여기서, P1<P2이고, 0.6≤(e1×(D1-e1)×H1)÷(e2×(D2-e2)×H2)≤1.9인,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격되게 분포되는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 - 상기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 사이에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가 위치함 -;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 어셈블리;
    상기 제1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실린더의 내면과 함께 제1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상기 제2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내면과 함께 제2 워킹 캐비티를 에워싸는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
    제1 배기 출구 및 제2 배기 출구 - 상기 제1 워킹 캐비티가 상기 제1 배기 출구를 거쳐 상기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워킹 캐비티가 상기 제2 배기 출구를 거쳐 상기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됨 - 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출구는 상기 제1 실린더 또는 상기 제1 베어링 또는 상기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배기 출구는 상기 제2 실린더 또는 상기 제2 베어링 또는 상기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기 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상기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배기 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를 거쳐 상기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과 함께 제1 배기 챔버를 에워싸되, 상기 제1 배기 출구와 상기 제1 배기 챔버가 연통되는 제1 실링 부재, 및 상기 제1 베어링, 상기 제1 실린더, 상기 격벽 어셈블리,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이너 캐비티와 연통되는 제1 배기 통로;
    상기 제2 베어링과 함께 제2 배기 챔버를 에워싸되, 상기 제2 배기 출구와 상기 제2 배기 챔버가 연통되는 제2 실링 부재, 및 상기 제2 베어링,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격벽 어셈블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배기 통로를 거쳐 상기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2 배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통로에 설치되는 제1 배기 밸브;
    상기 제2 배기 통로에 설치되는 제2 배기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흡기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워킹 캐비티는 상기 제1 흡기 통로를 거쳐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워킹 캐비티는 상기 제2 흡기 통로를 거쳐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제1 흡기 통로는 상기 제2 흡기 통로와 서로 연통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에는 두 개의 흡기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제1 흡기 통로와 제2 흡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워킹 캐비티는 상기 제1 흡기 통로를 거쳐 하나의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워킹 캐비티는 상기 제2 흡기 통로를 거쳐 다른 하나의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제1 흡기 통로와 상기 제2 흡기 통로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 통로는 상기 제1 실린더 또는 상기 제1 베어링 또는 상기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흡기 통로는 상기 제2 실린더 또는 상기 제2 베어링 또는 상기 격벽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압축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일을 밀어 상기 제1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1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인과 상기 제1 피스톤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인을 밀어 상기 제2 피스톤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인 어셈블리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인과 상기 제2 피스톤은 힌지 연결되는,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1 편심부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2 편심부를 구비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을 회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전동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10. 냉방기기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방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1 응축기;
    상기 제1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1 스로틀 소자;
    상기 제1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1 증발기;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액체 저장기;
    상기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2 응축기;
    상기 제2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2 스로틀 소자;
    상기 제2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2 증발기;
    상기 제2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의 제2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액체 저장기를 더 포함하는, 냉방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제1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3 응축기;
    상기 제3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3 스로틀 소자;
    상기 제3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3 증발기;
    상기 제3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 제2 흡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3 액체 저장기;
    상기 압축기의 제2 배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4 응축기;
    상기 제4 응축기와 연통되는 제4 스로틀 소자;
    상기 제4 스로틀 소자와 연통되는 제4 증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액체 저장기는 상기 제4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의 제1 흡기 통로, 제2 흡기 통로와 더 연통되는, 냉방기기.
KR1020217039016A 2019-11-29 2020-07-08 압축기 및 냉방기기 KR102542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05085.6 2019-11-29
CN201911205085.6A CN110985384B (zh) 2019-11-29 2019-11-29 压缩机及制冷设备
PCT/CN2020/100762 WO2021103552A1 (zh) 2019-11-29 2020-07-08 压缩机及制冷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53A true KR20220003053A (ko) 2022-01-07
KR102542439B1 KR102542439B1 (ko) 2023-06-14

Family

ID=7008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016A KR102542439B1 (ko) 2019-11-29 2020-07-08 압축기 및 냉방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2309A1 (ko)
EP (1) EP3957855A4 (ko)
JP (1) JP2022534304A (ko)
KR (1) KR102542439B1 (ko)
CN (1) CN110985384B (ko)
WO (1) WO2021103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5384B (zh) * 2019-11-29 2023-11-17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及制冷设备
EP4047209A4 (en) * 2020-10-21 2023-06-21 Anhui Meizhi Precision Manufacturing Co., Ltd. COMPRESSOR AND COOLING UNIT
DE102020007490A1 (de) 2020-12-08 2022-06-0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Klimagerät
CN117145772A (zh) * 2022-05-23 2023-1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流体机械和换热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58676U (zh) * 2016-07-28 2017-01-04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缸压缩机
CN208749557U (zh) * 2018-06-25 2019-04-16 上海海立电器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压缩机与排气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7715B2 (ja) * 2006-03-09 2011-10-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2008057395A (ja) * 2006-08-30 2008-03-13 Toshiba Kyaria Kk 密閉型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040907B2 (ja) * 2008-09-30 2012-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1681585B1 (ko) * 2009-12-2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식 로터리 압축기
US10254013B2 (en) * 2014-03-03 2019-04-09 Guangdong Meizhi Compressor Co., Ltd. Two-stage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same
JP2016114049A (ja) * 2014-12-15 2016-06-23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回転式圧縮機
WO2017031669A1 (zh) * 2015-08-24 2017-03-0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和具有其的冷冻循环装置
CN107476979A (zh) * 2017-08-10 2017-12-1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空调器及压缩机的装配方法
CN107489620B (zh) * 2017-09-11 2023-10-03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07437362U (zh) * 2017-10-23 2018-06-0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制冷系统及空调器
CN107859623A (zh) * 2017-10-23 2018-03-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制冷系统及空调器
CN108119955B (zh) * 2017-12-19 2019-10-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058106B (zh) * 2018-09-13 2023-12-01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泵体组件、压缩机及双温度空调系统
DE102018128557A1 (de) * 2018-11-14 2020-05-14 Wabco Gmbh Hubkolbenmaschine, Druckluftversorgungsanlage,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ubkolbenmaschine
CN110985384B (zh) * 2019-11-29 2023-11-17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及制冷设备
CN110821833A (zh) * 2019-11-29 2020-02-21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及制冷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58676U (zh) * 2016-07-28 2017-01-04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缸压缩机
CN208749557U (zh) * 2018-06-25 2019-04-16 上海海立电器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压缩机与排气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85384A (zh) 2020-04-10
CN110985384B (zh) 2023-11-17
JP2022534304A (ja) 2022-07-28
US20220082309A1 (en) 2022-03-17
WO2021103552A1 (zh) 2021-06-03
EP3957855A4 (en) 2022-10-26
EP3957855A1 (en) 2022-02-23
KR102542439B1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439B1 (ko) 압축기 및 냉방기기
CN102900669B (zh) 旋转式双级压缩机
KR101386481B1 (ko) 밀폐형 압축기
EP2339179B1 (en) Rotary compressor
CN110778498B (zh) 压缩机及制冷设备
US9689388B2 (en) Scroll compressor
CN110821833A (zh) 压缩机及制冷设备
US20180195503A1 (en) Fluid compressor
CN110863987B (zh) 压缩机及制冷设备
KR10158717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74B1 (ko) 로터리 압축기
WO2022082958A1 (zh) 压缩机和制冷设备
KR101328229B1 (ko) 로터리식 압축기
CN110863985A (zh) 压缩机及制冷设备
CN112360739B (zh) 压缩机
WO2022004027A1 (ja) 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213838901U (zh) 旋转压缩机和制冷循环系统
CN213360420U (zh) 压缩机和制冷设备
CN219529308U (zh) 压缩机及制冷设备
KR101870180B1 (ko) 2단 로터리 압축기
CN110863986B (zh) 压缩机及制冷设备
CN112253461B (zh) 压缩机、空调器及热水器
CN112412785B (zh) 压缩机及冷冻循环装置
JP5595324B2 (ja) 圧縮機
CN112145423A (zh) 压缩机和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