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014U - 조립식 가벽 파티션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벽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014U
KR20220001014U KR2020200003920U KR20200003920U KR20220001014U KR 20220001014 U KR20220001014 U KR 20220001014U KR 2020200003920 U KR2020200003920 U KR 2020200003920U KR 20200003920 U KR20200003920 U KR 20200003920U KR 20220001014 U KR20220001014 U KR 20220001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frame
ceiling
panel support
vertic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972Y1 (ko
Inventor
서영희
Original Assignee
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희 filed Critical 서영희
Priority to KR2020200003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7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y Windows, Entrances, And Structural Adjustments Related Thereto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할 하고자하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간편하게 설치사용 할 수 있으며, 버티컬 패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항상과 모양 및 각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생활 공간의 미려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식 가벽 파티션(100)은, 버티컬 패널(110)의 상.하단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버티컬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과, 상단 및 하단으로 구비되는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의 사이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설치되는 버티컬 패널(110)과,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으로 삽입되어 가변에 의해 천정면과 밀착되게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프레임(130)과,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내부에 설치되어 패널 지지프레임(120b)을 지지하면서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높낮이 조절하는 바닥 가변부재(150-1)와,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 방향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프레임(130)을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천정 가변부재(150-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벽 파티션{Prefabricated partition}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분할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 하고자하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간편하게 설치사용 할 수 있으며, 버티컬 패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항상과 모양 및 각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생활 공간의 미려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제한된 실내 공간을 분할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업무의 능률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창의적인 업무환경을 만드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파티션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립 및 설계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일예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티션은 사각 형태의 외곽프레임(11) 내측으로 버티컬 패널(12)이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되고, 외곽프레임하단은 바닥고정부재(13)에 의하여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외곽프레임의 상단은 천정고정부재(14)를 통해 천정에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파티션(10)은 주문제작용으로 파티션을 이루는 외곽프레임 및 내측의 버티컬 패널을 주문에 따라 제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천정고정부재와 바닥고정부재를 통해 바닥과 천정에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파티션(10)은 버티컬 패널(12)이 고정이 완료된 상태로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각도 변경이 안되는 문제가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공간 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닥과 천정 높이에 준해 제작되므로 공간 이동 설치에 따른 제한을 받는다.
특허문헌1 : 등록특허번호 제10-153697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분할 하고자하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부터 천정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버티컬 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각도를 연출하여 생활 공간의 미려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티컬 패널의 상.하단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버티컬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과,
상단 및 하단으로 구비되는 패널 지지프레임의 사이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설치되는 버티컬 패널과,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으로 삽입되어 가변에 의해 천정면과 밀착되게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프레임과,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패널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지지프레임의 높낮이 조절하는 바닥 가변부재와,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 방향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프레임을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천정 가변부재;를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은 버티컬 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버티컬 패널이 결속 안착되는 다수의 힌지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수직으로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의 내측으로 내측 가이드편이 좌우 한 쌍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측 가이드편의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편이 상하 이격되게 돌출되어 끼움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버티컬 패널의 회전각도를 안내하는 각도 선정홈이 형성되되, 버티컬 패널을 패널 지지프레임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제1홈과, 버티컬 패널을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홈과, 버티컬 패널을 직각으로 안내하는 제3홈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천정으로 밀착되는 천정지지편과, 상기 천정지지편의 수직으로 이격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으로는 메지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메지라인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할 하고자하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간편하게 설치사용 할 수 있으며, 버티컬 패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항상과 모양 및 각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생활 공간의 미려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파티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벽 파티션을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벽 파티션(100)은 크게, 상하단으로 구비되어 버티컬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프레임과, 상기 패널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다양한 각도를 연출하는 버티컬 패널과, 상단의 패널 지지프레임에 삽입되어 가변부재의 조절에 의해 승하강되는 높이조절프레임과, 하단에 구비된 패널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을 행하는 바닥가변부재로 이루어진다.(도면 2참조)
더욱 상세하게는 버티컬 패널(110)의 상.하단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버티컬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과, 상단 및 하단으로 구비되는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의 사이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설치되는 버티컬 패널(110)과,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으로 삽입되어 가변에 의해 천정면과 밀착되게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프레임(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내부에 설치되어 패널 지지프레임(120b)을 지지하면서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높낮이 조절하는 바닥 가변부재(150-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 방향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프레임(130)을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천정 가변부재(150-2);가 구비된다.
특히,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은 버티컬 패널(110)이 결속 안착되는 다수의 힌지 체결공(121a)이 형성되는 지지부(121)와, 상기 지지부의 수직으로 마감편(123)과, 상기 마감편의 내측으로 내측 가이드편(122)이 좌우 한 쌍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내측 가이드편의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편(122a)이 상하 이격되게 돌출되어 끼움부(122b)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 체결공(121a)은 등간격으로 다수개 이루어지되, 설치되는 공간의 폭을 감안하여 파티션의 길이에 따라 대략 100mm~200mm의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편(123)은 지지부(121)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되, 마감편(123)의 외측면으로는 보강력을 증대시키며, 실내 공간과 미관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물결모양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이외에 다양한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가이드편(122)은 상기 마감편(123)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마감편(123)의 기장보다는 작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가이드편(122)의 돌출편(122a) 끼움부(122b)에는 높낮이 조절을 하는 부재가 조립형성되되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으로는 바닥 가변부재(150-1)가 적어도 3개이상(중앙 및 양단) 조립되고,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으로는 천정가변부재(150-2)가 적어도 3개이상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가변부재(150-1)는 끼움부(122b)로 삽입되는 지지편(151-1a)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결합되는 발통(150-1b)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51-1a)에는 발통이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공(151-1a')이 형성되며, 발통(150-1b)에는 상기 나사공으로 조립되는 볼트(15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가변부재(150-2)는 끼움부로 삽입되며 나사공을 갖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으로 나사 결합되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양측 단에는 마감캡(140)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121)에는 버티컬 패널(110)의 회전각도를 안내하는 각도 선정홈(121-1)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 선정홈(121-1)은 버티컬 패널(110)의 회전각을 안내하는 것으로,
버티컬 패널(110)을 패널 지지프레임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제1홈(L1)과, 버티컬 패널(110)을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홈(L2)과, 버티컬 패널(110)을 직각으로 안내하는 제3홈(L3)으로 이루어진다,(도 8참조)
그리고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에는 높이조절프레임(130)이 조립되되, 천정으로 밀착되는 천정지지편(131)과, 상기 천정지지편(131)의 수직으로 이격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32)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으로는 메지돌부(13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메지라인(133a)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0)은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으로 삽입결합되되, 천정 가변부재(150-2)를 조절에 의해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내측에서 인출되어 천정으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패널 버티컬(110)은 내측으로 체결공(111a)을 갖는 몸체(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측단에는 보강력 증대를 위한 요철부(1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면이나 양면, 또는 전체면에는 인화지, 시트지 등이 부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화지 및 시트지는 풍경화등의 다양한 그림이 인쇄된 것으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 버티컬(110)은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조립되되, 힌지 체결공으로 위치하여 패널 지지프레임의 외측에서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 가능하게 조립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 경사, 직각으로 선정하여 볼트를 완전 조임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이외에 회전 조절구(112)를 통해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조절구(112)는 버티컬 패널(110)의 면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마감편(112a)과 상기 마감편의 상하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 패널 지지프레임의 힌지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힌지(112b)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회전 조절구(112)에 의해 버티컬 패널 조립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항시 버티컬 패널의 각도 조절사용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조립식 가벽 파티션의 작동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가벽 파티션은 설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면 부터 천정면 까지의 높이가 2,000mm일 경우, 본 고안의 파티션 전체기장(하단 패널지지프레임+패널 버티컬+상단 패널지지프레임)은 대략 1920mm~195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장으로 완전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바닥 가변부재(150-1)를 일방향 회전시켜 파티션 전체를 상승시킨다.
어느정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결합된 천정가변부재(150-2)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높이조절프레임(130)이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에서 인출되어 천정으로의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천정가변부재(150-2)가 위치되는 부위는 육각렌지등이 투입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좌우 중앙에 구비된 천정가변 부재(150-2)를 작동시켜 높이조절프레임(130)을 상승시켜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인출되는 높이 조절 프레임(130)의 가이드바 외측으로 메지돌부 및 메지라인 형성되어 파티션 자체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되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회전사용하면 된다.
예컨데, 버티컬 파티션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킬 경우, 버티컬 파티션을 회전시켜 버틸컬의 좁은 폭을 제1홈(L1)으로 안착시키면 버틸컬 파티션을 평행으로 설정시킬 수 있다.
이때, 버틸컬 패널은 제1홈(L1)으로 유입된 상태로 자체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버티컬 파티션을 경사지게 배치시킬 경우, 버티컬 파티션을 회전시켜 양 모서리부가 제2홈(L2)의 폭과 맞닿게 설정해 놓으면 정확한 45도의 경사각으로의 조절이 이루어지며 제2홈(L2)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버티컬 파티션을 회전시켜 큰 폭의 면이 제3홈(L3)과 평행지게 위치시키면 직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 파티션은 실내의 공간에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설치부재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며,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버티컬 패널의 자유로운 각도조절을 통해 실내 공간의 다양한 느낌을 창출할 수 있고, 버틸컬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빛 내지 햇볕 등을 차단을 효율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바람의 방향등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파티션은 출입구 내지 발코니창의 근접부근 또는 에어컨이 설치되는 근접부근에 설치시 공간의 구획하는 역할 이외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조립식 가벽 파티션 110: 버티컬 패널
112: 회전 조절구 120a, 120b: 패널 지지프레임
121: 지지부 122: 내측가이드편
123: 마감편 121-1: 각도 선정홈
130: 높이조절프레임 150-1: 바닥 가변부재
150-2: 천정가변 부재

Claims (6)

  1. 버티컬 패널(110)의 상.하단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버티컬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과,
    상단 및 하단으로 구비되는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의 사이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설치되는 버티컬 패널(110)과,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으로 삽입되어 가변에 의해 천정면과 밀착되게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프레임(130)과,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내부에 설치되어 패널 지지프레임(120b)을 지지하면서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지지프레임(120b)의 높낮이 조절하는 바닥 가변부재(150-1)와,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 방향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프레임(130)을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천정 가변부재(1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120b)은 버티컬 패널(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버티컬 패널(110)이 결속 안착되는 다수의 힌지 체결공(121a)이 형성되는 지지부(121)와,
    상기 지지부의 수직으로 마감편(123)과 상기 마감편의 내측으로 내측 가이드편(122)이 좌우 한 쌍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측 가이드편의 끝단은 내측으로 돌출편(122a)이 상하 이격되게 돌출되어 끼움부(12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1)에는 버티컬 패널(110)의 회전각도를 안내하는 각도 선정홈(1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선정홈(121-1)은 버티컬 패널(110)의 회전각을 안내하는 것으로,
    버티컬 패널(110)을 패널 지지프레임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제1홈(L1)과,
    버티컬 패널(110)을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홈(L2)과,
    버티컬 패널(110)을 직각으로 안내하는 제3홈(L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0)은,
    천정으로 밀착되는 천정지지편(131)과,
    상기 천정지지편(131)의 수직으로 이격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32)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으로는 메지돌부(13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메지라인(13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0)은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으로 삽입결합되되, 천정 가변부재(150-2)를 조절에 의해 상단 패널 지지프레임(120a)의 내측에서 인출되어 천정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벽 파티션.
KR2020200003920U 2020-10-30 2020-10-30 조립식 가벽 파티션 KR200495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20U KR200495972Y1 (ko) 2020-10-30 2020-10-30 조립식 가벽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20U KR200495972Y1 (ko) 2020-10-30 2020-10-30 조립식 가벽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14U true KR20220001014U (ko) 2022-05-09
KR200495972Y1 KR200495972Y1 (ko) 2022-10-04

Family

ID=8158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20U KR200495972Y1 (ko) 2020-10-30 2020-10-30 조립식 가벽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70B1 (ko) 2015-01-23 2015-07-17 유인규 높낮이 및 폭이 조절되는 조립식 가구용 파티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30Y1 (ko) 1997-05-12 1999-08-02 박종원 우수방수 벽돌
JP2001207576A (ja) 2000-01-26 2001-08-03 Comany Inc パネル支持構造及び床レール
KR100701427B1 (ko) * 2006-02-02 2007-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JP2009161971A (ja) * 2007-12-28 2009-07-23 Yaeko Hiraguri 格子角度自在つっぱり間仕切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70B1 (ko) 2015-01-23 2015-07-17 유인규 높낮이 및 폭이 조절되는 조립식 가구용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72Y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520B2 (en)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US8027092B1 (en) Curved light shelf system for daylighting an interior space
GR20170100357A (el) Συστημα κατασκευης παραθυρου πολλαπλων λειτουργιων
KR200495972Y1 (ko) 조립식 가벽 파티션
KR101306640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피구조
US11959283B2 (en) Heat and/or light regulating system
KR101352781B1 (ko)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CN213391715U (zh) 幕墙式窗
EP3124716B1 (en) Solar protection system with a movable pergola
US20040256062A1 (en) Light shelf blind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CN111677410B (zh) 幕墙式窗
KR20190096846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EP3732339B1 (en) Heat and/or light regulating system
JPH08218485A (ja) アルミニウム製ベランダフェンス
US20240141670A1 (en) Terrace canopy
KR102062128B1 (ko) 다방향 장착구조의 엔드브라켓을 갖는 전동롤 블라인드
JP3974348B2 (ja) 窓サッシ
JPH0643432Y2 (ja) 化粧枠体及びそれを用いた嵌殺し窓
KR101645597B1 (ko) 빛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
CN2345664Y (zh) 内设百叶帘的双玻璃窗
CN2523933Y (zh) 防盗百页窗装置
WO2023026178A1 (en) A terrace canop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215995Y1 (ko) 블라인드
CN2517850Y (zh) 防盗百页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