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22U -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22U
KR20220000722U KR2020200003430U KR20200003430U KR20220000722U KR 20220000722 U KR20220000722 U KR 20220000722U KR 2020200003430 U KR2020200003430 U KR 2020200003430U KR 20200003430 U KR20200003430 U KR 20200003430U KR 20220000722 U KR20220000722 U KR 202200007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mounting
fixing member
electronic device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30Y1 (ko
Inventor
황인국
Original Assignee
황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국 filed Critical 황인국
Priority to KR2020200003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3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벽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며,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틈새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펀칭되어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는 일 이상의 후크부; 상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어 상하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실내 벽의 아트월의 타일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므로 벽면에 대한 드릴작업과 같은 복잡한 시공 방법이 필요없어 지게 되고, 아울러 벽면 내장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장착 위치를 수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함으로써 각종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Wall fixing member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설치되어 공유기 등의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가전 및 정보가전기기 또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고루 갖춘 형태로 개발이 되고 있으며, 각 가정 및 사무실에는 이러한 디지털 융복합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홈네트웍크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의 한 공유기와 스위치허브 등의 각종 전자 기기가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비를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수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로 벽면에 장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었고, 이 고정수단으로는 앵커볼트와 고정너트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앵커볼트를 벽면에 삽입 고정시키고, 기기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후 체결너트를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종래 벽면 장착방식은 벽먼에 설치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벽면 내장재의 손상이 발생되며, 추후 제거하였을때 훼손 부위가 노출되므로 미관을 저해하므로 인테리어 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109601호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력을 발휘함으로써 각종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벽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며,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틈새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펀칭되어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는 일 이상의 후크부; 상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어 상하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탭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전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바디에 대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는, 일부분이 바디에 이어지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바디에 분리되도록 펀칭에 의해 절개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장공으로 된 접이부가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는 중간에 형성되는 접이부를 기준으로 절곡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부는,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된 탭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가 상기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후 절곡되어 상기 탭단부가 상기 거치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 벽의 아트월의 석판재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므로 벽면에 대한 드릴작업과 같은 복잡한 시공 방법이 필요없어 지게 되고, 아울러 벽면 내장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장착 위치를 수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함으로써 각종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는,
평판상으로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에 펀칭되어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도록 하는 후크부(120)와,
상기 바디(100)의 후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탭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100)는 직사각형의 금속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단부 장변이 벽 타일(300) 사이의 틈새(T)에 끼움결합되며, 탭부(140)를 적정한 형태로 절곡시켜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500)에 부착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부(140)를 거치대(500)의 슬릿(520)에 끼운 후 절곡시켜 외면에 밀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거치대(500)는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금속판 또는 철사로 절곡 형성된다.
거치대(500)의 후면부에 탭부(140)가 부착된다. 거치대(500)는 상부와 양측이 개구되어 공유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장착시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20)는, 바디(100)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 형성되며, 일부분이 바디(100)에 이어지도록 연결부(122)가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22)를 제외한 부분은 상하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22)는 바디(100)의 전단부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크부(120)를 하방으로 절곡시켜 바디(100)의 전단부쪽으로 경사면이 향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서 후크부(120)는 'ㄷ'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후크부(120)는 중간에 접기 용이하도록 장공(124)으로 된 접이부가 형성다.
상기 접이부를 기준으로 절곡시킴으로써 꺽임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측면에서 보면 '∨'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도 3의 확대도 참조).
이렇게 후크부(120)의 중간이 절곡되도록 하여 타일(300) 사이의 틈새(T)가 좁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후크부(120)의 높이를 절감시키되 탄성력은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A2)에 따르면, 바디(100)의 전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바디(100)에 대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80)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00)는 측면에서 보면 평면이되 그 전단에 경사부(180)가 하향 경사져 형성되므로 대략 '<' 형상을 갖는다.
하부의 경사부(180)가 더 형성됨으로써 경사진 형상과 탄성이 타일(300) 사이 틈새(T)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A3)에 따르면, 바디(100)는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190)를 포함한다.
단턱부(190)가 형성됨으로써 타일(300) 사이 틈새(T)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탭부(140)는 바디(100)의 후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적어도 한개 이상 돌출되게 소정의 길이를 갖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된 탭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탭부는, 상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된 탭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가 상기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후 절곡되어 상기 탭단부가 상기 거치대를 지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탭부(140)로 구성되나 그 숫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돌출된 탭부(140)의 브릿지는 바디(100)와 동일한 두께이거나 또는 바디(100)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절곡될 수 있고, 또는 대상물에 감아져서 구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부(140)를 거치대(500)의 슬릿(520)에 끼운 후 절곡시켜 외면에 밀착시킨다.
또는 거치대(500)가 철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탭부(140)를 철사에 감아서 협착시킨다.
이후 바디(100)를 벽 사이의 틈새(T)에 억지끼움시켜 고정되도록 한 후 거치대(50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킨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바디 120 : 후크부
122 : 연결부 124 : 장공
T : 틈새 140 : 탭부
180 : 경사부 190 : 단턱부
300 : 타일 500 : 거치대
520 : 슬릿

Claims (5)

  1. 벽 사이의 틈새에 끼움결합되며,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틈새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펀칭되어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는 일 이상의 후크부;
    상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어 상하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바디에 대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일부분이 바디에 이어지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바디에 분리되도록 펀칭에 의해 절개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장공으로 된 접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를 기준으로 절곡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는,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단부에 형성된 탭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가 상기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후 절곡되어 상기 탭단부가 상기 거치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KR2020200003430U 2020-09-21 2020-09-21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KR200495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30U KR200495730Y1 (ko) 2020-09-21 2020-09-21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30U KR200495730Y1 (ko) 2020-09-21 2020-09-21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22U true KR20220000722U (ko) 2022-03-29
KR200495730Y1 KR200495730Y1 (ko) 2022-08-04

Family

ID=8093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30U KR200495730Y1 (ko) 2020-09-21 2020-09-21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3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79A (ja) * 1994-02-03 1995-08-15 Sekisui Chem Co Ltd 壁部化粧材取付具
KR20140002406U (ko) * 2012-10-17 2014-04-25 정석하 핸디폰 거치대 고정구
KR20160000705U (ko) * 2014-08-22 2016-03-03 조경운 차량용 정보알림 거치수단
KR20180109601A (ko) 2017-03-28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단열재 주입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주입방법
KR102125191B1 (ko) * 2020-06-05 2020-06-19 전태환 셋톱박스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79A (ja) * 1994-02-03 1995-08-15 Sekisui Chem Co Ltd 壁部化粧材取付具
KR20140002406U (ko) * 2012-10-17 2014-04-25 정석하 핸디폰 거치대 고정구
KR20160000705U (ko) * 2014-08-22 2016-03-03 조경운 차량용 정보알림 거치수단
KR20180109601A (ko) 2017-03-28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단열재 주입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주입방법
KR102125191B1 (ko) * 2020-06-05 2020-06-19 전태환 셋톱박스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30Y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4645B2 (ja) 電気導体用のばね力クランプ端子
JPH0923534A (ja) 天井ファン取付配線箱
KR200495730Y1 (ko)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JP4079149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KR102142209B1 (ko) 셋톱박스 및 tv 주변기기 고정용 거치대
JP4301030B2 (ja) 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構造
JP4234350B2 (ja) 机等とローパーティションとの連結構造
KR100319582B1 (ko) 전선거치대
JP7396095B2 (ja) 天井電気機器及びその設置方法
CN218975850U (zh) 支架
JP3700929B2 (ja) Acコードの保持構造
JP2761371B2 (ja) 巾木取付構造
KR20240000395U (ko) 벽면 콘센트 끼움형 대상물 고정부재
JP4183544B2 (ja) 天井板支持具
KR200259768Y1 (ko) 책상의 지지장치
JP5508127B2 (ja) 配線ボックス
KR900002127Y1 (ko) 키 텔레폰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확장장치
JP4649063B2 (ja) 電子機器の壁掛け構造
KR100247014B1 (ko) 전화기의 고정장치
JP2004311813A (ja) 基板装置
JP3674706B2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テレビジョンキャビネット
KR0138996Y1 (ko) 책상용 상판의 콘센트 매입구조
JP3807015B2 (ja) 電子機器の取付装置
US20070172254A1 (en) Device holder with supporting member
JP3930272B2 (ja) 軒樋取付構造及び軒樋押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