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68Y1 - 책상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68Y1
KR200259768Y1 KR2020010031980U KR20010031980U KR200259768Y1 KR 200259768 Y1 KR200259768 Y1 KR 200259768Y1 KR 2020010031980 U KR2020010031980 U KR 2020010031980U KR 20010031980 U KR20010031980 U KR 20010031980U KR 200259768 Y1 KR200259768 Y1 KR 200259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ide plate
desk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202001003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68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을 지지하면서 다리의 역할을 하는 측판을 구비한 책상에 있어서, 상판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4)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상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측판에 고정된 브라켓(26)을 구비하되,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측판의 단부가 걸리어 상기 상판과 측판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게 하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판과 상판을 소정간격으로 띄워 지지대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고, 띄운 간격으로 배선등을 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풍이 잘 된다.

Description

책상의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desk}
본 고안은 책상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책상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판(2)(4)이 다리의 역할을 하고, 상기 양 측판(2)(4)의 상단면은 상판(6)에 밀착하며, 상기 상판(6)과 양 측판(2)(4)이 이루는 모서리에 지지앵글(도시안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 측판의 하단면에는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발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높이조절 볼트(8)가 결합된다. 그리고, 책상의 후측에는 후판(도시안됨)이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책상에서는 측판(2)(4)과 상판(6)이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측판 쪽으로 배선 등을 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통풍이 되지 않으므로 여름철에 선풍기 등을 사용할 때 바람을 막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판과 상판을 소정간격으로 띄워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책상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좌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의 브라켓를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의 브라켓을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는 도2의 책상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의 조립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일측판 14 : 타측판
16 : 상판 20 : 후판
24 : 지지대 26 : 브라켓
30 : 끼움부 32 : 제1플랜지부
34 : 제2플랜지부 36 : 걸림턱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는, 상판을 지지하면서 다리의 역할을 하는 측판을 구비한 책상에 있어서, 상판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상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측판에 고정된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측판의 단부가 걸리어 상기 상판과 측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게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지지대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다수의 돌출띠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상은 양 측판(12)(14)의 상측에는 소정의 간격(C)을 두고 상판(16)이 설치되고, 상기 양 측판(12)(14)의 하단면에는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발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높이조절 볼트(18)가 결합되며, 책상의 후측에는 후판(20 : 도6에 도시)이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양 측판은 일측판(12)과 타측판(14)을 합한 명칭이다.
상기 양 측판(12)(14)은 다리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상판(16)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판(16)은 전선을 수평으로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는 와이어 스트립(21)에 의해 두개의 판, 즉 앞상판(16a)과 뒷상판(16b)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앞상판(16a)은 뒷상판(16b)에 비해 폭이 넓고, 상기 와이어 스트립(21)의 양단에는 캡(22)이 씌워진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앞상판(16a)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대(24)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4)의 양단에는 브라켓(26)이 끼워지고, 이 브라켓(26)은 상기 앞상판(16a)의 저면 및 양 측판(12)(14)에 고정된다. 상기뒷상판(16b)의 저면에는 상기 후판(20)이 밀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앞상판(16a)과 뒷상판(16b)의 저면의 경계부, 즉 상기 와이어 스트립(21)이 설치된 부분에는 앞상판(16a)과 뒷상판(16b)을 이어주는 다수의 고정판(28)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후판(20)은 그 하단부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그 높이가 상기 양 측판(12)(14)보다 낮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4)는 사각파이프 형상이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앞상판(16a)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26)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4)의 단부에 내삽되는 끼움부(30)와, 상기 앞상판(16a)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32)와, 상기 일측판(12) 또는 타측판(14)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34)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2플랜지부(34)의 외측에는 상기 일측판(12) 또는 타측판(14)의 단부가 걸리어 상기 앞상판(16a)과 일측판(12) 또는 타측판(14)사이에 일정한 간격(C)이 생기게 하는 걸림턱(36)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30)와 제1플랜지부(32)는 상기 제2플랜지부(34)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30)는, 사각통형상이며, 그 외면에는 상기 지지대(24) 내면과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다수의 돌출띠(30a)가 형성되며, 그 벽면에는 상기 지지대(24)에 끼워져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흔들리지 않게 하도록 관통구멍(30b)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제1플랜지부(32)는 상기 끼움부(30)의 양측에 대칭으로 한쌍이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상기 앞상판(16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30)와 상기 제1플랜지부(32)의 하측, 즉, 상기 제2플랜지부 측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34)는, 그 단부는 반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상기 일측판(12) 또는 우측판(1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구멍(34a)가 형성되며, 그 외측면에는 상기 구멍(34a)의 주위에 보스가 형성되어 이 보스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리브(34b)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턱(36)의 면에는 상기 일측판(12) 또는 타측판(14)의 상단면이 밀밀착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34)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측판(12) 또는 타측판(14)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4)의 양단에 상기 브라켓(26)의 끼움부(30)를 끼워 체결부재(도시안됨)로 고정한 후, 상기 지지대(24)를 상판(16)의 저면에 고정하는 한편, 브라켓(26)의 제1플랜지부(32)를 상판(16)의 저면에 고정하며, 양 측판(12)(14)을 상기 걸림턱(36)에 걸리게 하여 제2플랜지부(34)를 양 측판(12)(14)의 내측면에 고정하여 조립한다.
이때, 양 측판(12)(14)을 상기 걸림턱(36)에 걸리게 하면, 상판(16)과 양 측판(12)(14)사이의 간격(C)이 정해지므로 별도로 간격을 맞출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판(16)와 양 측판(12)(14)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측판와 상판을 소정간격으로 띄워 지지대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고, 띄운 간격을 통해 배선 등을 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풍이 잘 된다.

Claims (2)

  1. 상판을 지지하면서 다리의 역할을 하는 측판을 구비한 책상에 있어서,
    상판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상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측판에 고정된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측판의 단부가 걸리어 상기 상판과 측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게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지지대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다수의 돌출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지지장치.
KR2020010031980U 2001-10-19 2001-10-19 책상의 지지장치 KR200259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80U KR200259768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80U KR200259768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68Y1 true KR200259768Y1 (ko) 2002-01-05

Family

ID=7306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80U KR200259768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14B1 (ko) 2008-11-05 2011-05-20 김두철 책상 측판용 보호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14B1 (ko) 2008-11-05 2011-05-20 김두철 책상 측판용 보호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948B2 (en) Seismic perimeter brace
US5755431A (en) Post assembly and mounting fitting therefor
US4757967A (en) Box support
US7923635B2 (en) Mounting bracket with far side support
CA2231211A1 (en) Anchoring biscuit device for joining two adjacent boards
KR200259768Y1 (ko) 책상의 지지장치
US7380757B2 (en) Adjustable support for cable tray
JPS6316265Y2 (ko)
JPH0650580Y2 (ja) 外囲体のキャップ嵌合構造
KR102297187B1 (ko)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0137406Y1 (ko) 배선덕트 지지용 브래킷
JPH045536Y2 (ko)
JPH057857U (ja) 浴室ユニツト
JPS587541Y2 (ja) 「けい」光灯照明器具
JPH0715155Y2 (ja) 電子機器本体を設置するための脚具の取付け構造
JP2572891B2 (ja) 二重床
JP2520407Y2 (ja) 置床の支持脚
JPH0616116Y2 (ja) ボックスの振れ止め装置
FI89542C (fi) Dosfaeste/roerstuts
JPH0321531Y2 (ko)
JPH0112466Y2 (ko)
JP3938749B2 (ja) 基礎への大引及び界壁用下ランナの取付け構造
JP2024018216A (ja) 天井パネル
GB2240124A (en) Support structure for ceiling members
JP2523531Y2 (ja) 機器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