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99A -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99A
KR20220000699A KR1020200078653A KR20200078653A KR20220000699A KR 20220000699 A KR20220000699 A KR 20220000699A KR 1020200078653 A KR1020200078653 A KR 1020200078653A KR 20200078653 A KR20200078653 A KR 20200078653A KR 20220000699 A KR20220000699 A KR 2022000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ridge
ropeway
tow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100B1 (ko
Inventor
강호성
Original Assignee
강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성 filed Critical 강호성
Priority to KR102020007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2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parate haulage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의 지반에 설치되어 주삭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권취 수단; 상기 권취 수단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설치되는 삭도타워;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삭도타워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삭케이블;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상기 주삭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예삭케이블;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주삭케이블과 상기 예삭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의 전동에 의해 상기 주삭케이블을 따라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캐리지; 상기 예삭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에 의해 상기 캐리지가 왕복 이동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윈치; 및,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삭도타워의 사이에 연결된 주삭케이블 상에 구비되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주삭케이블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는 가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타워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그 위를 후크나 버킷, 캐리어 등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자재를 수평 운반할 때에, 교량의 폭 방향 좌우로 자재의 이송 노선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삭도 케이블의 노선이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variable cable crane system for constructing bridge and build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타워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그 위를 후크나 버킷, 캐리어 등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자재를 수평 운반하여 교량 등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현수교, 아치교 등이 있다.
종래의 현수교는, 교량이 건설되어야 하는 지반에 설치되는 주탑과, 상기 주탑 및 주탑 상부를 걸쳐 늘어져 설치됨으로써 작용하중에 대하여 수평장력으로 저항하는 주 케이블과, 상기 주 케이블에 수직 하방으로 연결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매달려 설치되는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행거에 의해 주 케이블에 바닥판이 매달려 설치되도록 하는 교량이다.
이러한 현수교는 주 케이블을 앵커리지에 고정시키는 타정식(Earth-Anchored)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들어 보강형이 주 케이블을 지지하는 자정식(Self-Anchored) 현수교도 시도되고 있으며, 자정식을 제외한 어느 형식이라도 주 케이블이 모든 사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아치교는 외관이 수려하고 장지간의 교량상판구조물을 일괄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협곡이나 수로를 횡단하는 교량설치방식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아치교를 미리 현장 주변 지반에서 조립 제작하여 완성시킨 후, 대용량의 크레인으로 교대와 교대 사이에 직접 안치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특히 하천(바다 등) 횡단구간에서는 통상 바지선에 탑재된 플로팅 크레인(F/C)을 이용하여 아치교를 들어올려 수상에서 직접 교대와 교대 사이에 안치시키는 방식이 이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시공방법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74306호(2010년07월30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삭도는 산악과 같이 험난한 지형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의 왕래를 용이하게 하는 시설물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시공방법은 삭도 시스템이 적용되더라도 자재를 미리 설정된 한 방향으로만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예컨대, 교량의 중심 라인), 교량의 폭 방향 좌우 양단으로 자재를 이송하여 공급하려면 일일이 삭도 케이블의 텐션을 해제하고 삭도 타워를 철거한 후 다시 옮겨 설치해야 하는 등의 시공상의 번거로움과 비용 상승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74306호(2010년07월30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타워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그 위를 후크나 버킷, 캐리어 등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자재를 수평 운반할 때에, 교량의 폭 방향 좌우로 자재의 이송 노선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삭도 케이블의 노선이 가변 되도록 하여 교량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의 지반에 설치되어 주삭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권취 수단; 상기 권취 수단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설치되는 삭도타워;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삭도타워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삭케이블;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상기 주삭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예삭케이블;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주삭케이블과 상기 예삭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의 전동에 의해 상기 주삭케이블을 따라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캐리지; 상기 예삭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에 의해 상기 캐리지가 왕복 이동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윈치; 및,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삭도타워의 사이에 연결된 주삭케이블 상에 구비되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주삭케이블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는 가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 수단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주삭케이블이 상기 한 쌍의 권취 수단과 상기 가변 도르래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의 지반 또는 암반에 주삭케이블의 권취 수단 또는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삭케이블 권취 또는 고정 수단 설치 단계 이후에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와 종점부에 삭도타워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삭도타워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주삭케이블 권취 수단 또는 고정 수단과 상기 각 삭도타워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주삭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 이후에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상기 주삭케이블의 일측에 예삭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예삭케이블 설치 단계 이후에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주삭케이블과 상기 예삭케이블에 캐리지를 연결하여 캐리지가 상기 예삭케이블의 전동에 의해 상기 삭도타워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는 시점부 및 종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주삭케이블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가변 도르래를 통해 상기 주삭케이블의 권취 수단 또는 고정 수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타워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그 위를 후크나 버킷, 캐리어 등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자재를 수평 운반할 때에, 교량의 폭 방향 좌우로 자재의 이송 노선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삭도 케이블의 노선이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종점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종점부 부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시점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시점부 부분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100)과, 삭도타워(200)와, 주삭케이블(300)과, 예삭케이블(400)과, 캐리지(500)와, 윈치(600)와, 가변 도르래(700)를 포함한다.
권취 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의 지반에 설치되어 주삭케이블(30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권취 수단(100)은 직경 600 mm 정도의 원통형 강관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교량의 시점부(10)와 종점부(20)의 지반에 매입 설치된다.
이때, 현장 시공 여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시점부(10) 및 종점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반이 암반층으로 된 경우엔 권취 수단(100)이 아닌 베이스 플레이트에 락 볼트를 채우는 앵커 형태의 고정 수단(110)으로 주삭케이블(300)이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100)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주삭케이블(300)이 한 쌍의 권취 수단(100)과 가변 도르래(7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권취 수단(10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된 주삭케이블(300)이 가변 도르래(700)에 연결되어 삭도타워(200)로 연장되는 주삭케이블(300)의 연장방향이 가변 도르래(7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할 수 있다.
삭도타워(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삭도타워(2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에는 주삭케이블(300)과 예삭케이블(4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새들(2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새들(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도타워(200)의 상부에 상부가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 부분에 호의 형태로 볼록하게 마련되어 주삭케이블(300)의 풀리고 당김에 의한 이동을 지지하는 주삭 지지부(211)와, 하부에 다수의 도르래 바퀴들로 구비되어 예삭케이블(400)의 풀리고 당김에 의한 이동을 지지하는 예삭 지지부(21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에서 삭도타워(200)까지 연결되는 주삭케이블(300) 및 예삭케이블(400)의 이동이 새들(saddle)(210)에 의해 원활히 지지 되며 연결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210)의 측면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210)의 정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10)은 삭도타워(200) 상부의 크로스 빔 상부에도 설치되되 노선의 변경에 따라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하는 주삭케이블(300)이 노선의 변경에 따라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주삭케이블(3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100)과 삭도타워(200)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도타워(200)에서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으로 연장되는 주삭케이블(300)은 중간이 단절되며 중간 연결 브래킷(310)에 연결되고,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에서 삭도타워(200)로 연장되는 주삭케이블(300)을 장력 조절부(320)에 연결된다.
장력 조절부(3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중간 연결 브래킷(310)을 향하여 복수 개로 나란히 구비되어 주삭케이블(300)의 감김 시 장력이 증가 되도록 반 도르래의 역할을 수행하는 증강 도르래(321)와, 하부에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에서 연장되는 주삭케이블(300)이 연결되는 주삭 연결부(32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력 조절부(320)에 의해 주삭케이블(300)의 장력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증강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증강 도르래(321)는 7개가 한 세트로 나란히 다중 배치되어 구비되고, 중간 연결 브래킷(310)에서 증강 도르래(321)를 향한 측은 증강 도르래(321)에 감긴 주삭케이블(300)이 순환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삭케이블(4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주삭케이블(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삭케이블(400)은 윈치(winch)(600)에서 삭도타워(200)로 연장되어 나갈 때 경로 전환 도르래(410)에 의해 경로가 전환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된 주삭케이블(300)과 예삭케이블(400)에 연결되어 예삭케이블(400)의 전동에 의해 주삭케이블(300)을 따라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캐리지(500)는 상부가 도르래에 의해 주삭케이블(300)에 매달리고 예삭케이블(400)이 관통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는 드럼이 구비되어 교량 시공에 필요한 기자재를 올리고 내리는 호이스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윈치(6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삭케이블(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예삭케이블(400)에 의해 캐리지(500)가 왕복 이동되게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윈치(600)에 의해 풀려나가거나 감기는 예삭케이블(400)은 중간에 지면에 설치된 반전부(610)를 통해 경로가 전환되어 삭도타워(200)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부(610)에는 예삭케이블(400) 외에도 권취 수단(100)에 감긴 주삭케이블(300)이 한번 더 감기어 장력 조절부(320)의 주삭 연결부(323)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변 도르래(70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100)과 삭도타워(200)의 사이에 연결된 주삭케이블(300) 상에 구비되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주삭케이블(30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삭도타워(200)의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여기에 캐리지(500)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자재를 수평 운반할 때에, 교량의 폭 방향 좌우로 자재의 이송 노선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삭도 케이블의 노선이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삭케이블 권취 또는 고정 수단 설치 단계(S10)와, 삭도타워 설치 단계(S20)와,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와, 예삭케이블 설치 단계(S40)와, 캐리지 설치 단계(S50)를 포함한다.
주삭케이블 권취 또는 고정 수단 설치 단계(S10)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의 지반 또는 암반에 주삭케이블(300)의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을 설치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도타워 설치 단계(S20)에서는 상기 주삭케이블 권취 또는 고정 수단 설치 단계(S10) 이후에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삭도타워(200)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삭도타워 설치 단계(S20) 이후에 주삭케이블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과 각 삭도타워(200)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주삭케이블(30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는 시점부(10) 및 종점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주삭케이블(300)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가변 도르래(700)를 통해 주삭케이블(300)의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삭도 시스템을 교량 시공에 적용할 때에, 종래처럼 단순히 기자재를 미리 설정된 한 방향으로만 이송하여 공급할 수밖에 없어 일일이 삭도 케이블의 텐션을 해제하고 삭도 타워를 철거한 후 다시 옮겨 설치해야 하는 등의 시공상의 번거로움과 비용 상승 등의 문제 발생이 전혀 없이, 현장의 시공 상황 변화에 따라 교량의 폭 방향 좌우 양단으로도 용이하게 기자재를 가변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삭케이블 설치 단계(S40)에서는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 이후에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주삭케이블(300)의 일측에 예삭케이블(40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예삭케이블(400)은 주삭케이블(300)의 하부에서 주삭케이블(300)과 나란히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지 설치 단계(S5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삭케이블 설치 단계(S40) 이후에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된 주삭케이블(300)과 예삭케이블(400)에 캐리지(500)를 연결하여 캐리지(500)가 예삭케이블(400)의 전동에 의해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서로 멀리 떨어진 2개 조의 삭도타워(200)의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여 여기에 캐리지(500)에 의해 자재를 동력으로 수직 권상하는 기능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교량 시공에 필요한 기자재를 수평 운반하며 교량이 용이하게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삭도 시스템은 교량의 시공뿐만이 아니라,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전망대, 데크, 관로 또는 비선형의 구불구불한 도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설물들의 시공에도 편리하게 확장 적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권취 수단 110 : 고정 수단
200 : 삭도타워 210 : 새들
211 : 주삭 지지부 213 : 예삭 지지부
300 : 주삭케이블 310 : 중간 연결 브래킷
320 : 장력 조절부 321 : 증강 도르래
323 : 주삭 연결부 400 : 예삭케이블
410 : 경로 전환 도르래 500 : 캐리지
600 : 윈치 610 : 반전부
700 : 가변 도르래

Claims (3)

  1.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의 지반에 설치되어 주삭케이블(30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권취 수단(100);
    상기 권취 수단(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설치되는 삭도타워(200);
    상기 권취 수단(100)과 상기 삭도타워(200)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주삭케이블(300);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상기 주삭케이블(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예삭케이블(400);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주삭케이블(300)과 상기 예삭케이블(400)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400)의 전동에 의해 상기 주삭케이블(300)을 따라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캐리지(500);
    상기 예삭케이블(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예삭케이블(400)에 의해 상기 캐리지(500)가 왕복 이동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윈치(600); 및
    상기 권취 수단(100)과 상기 삭도타워(200)의 사이에 연결된 주삭케이블(300) 상에 구비되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주삭케이블(30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는 가변 도르래(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수단(100)은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주삭케이블(300)이 상기 한 쌍의 권취 수단(100)과 상기 가변 도르래(7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3.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의 지반 또는 암반에 주삭케이블(300)의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을 설치하는 단계(S10);
    상기 주삭케이블 권취 또는 고정 수단 설치 단계(S10) 이후에 교량이 시공되는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삭도타워(200)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삭도타워 설치 단계(S20) 이후에 상기 주삭케이블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과 상기 각 삭도타워(200)의 사이, 그리고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주삭케이블(300)을 설치하는 단계(S30);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 이후에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상기 주삭케이블(300)의 일측에 예삭케이블(400)을 설치하는 단계(S40); 및
    상기 예삭케이블 설치 단계(S40) 이후에 시점부(10)와 종점부(20)에 각각 세워진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주삭케이블(300)과 상기 예삭케이블(400)에 캐리지(500)를 연결하여 캐리지(500)가 상기 예삭케이블(400)의 전동에 의해 상기 삭도타워(200) 간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삭케이블 설치 단계(S30)는 시점부(10) 및 종점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주삭케이블(300)이 교량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가변 도르래(700)를 통해 상기 주삭케이블(300)의 권취 수단(100) 또는 고정 수단(110)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의 설치방법.
KR1020200078653A 2020-06-26 2020-06-26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36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53A KR102366100B1 (ko) 2020-06-26 2020-06-26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53A KR102366100B1 (ko) 2020-06-26 2020-06-26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99A true KR20220000699A (ko) 2022-01-04
KR102366100B1 KR102366100B1 (ko) 2022-02-21

Family

ID=7934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53A KR102366100B1 (ko) 2020-06-26 2020-06-26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2694A (zh) * 2023-08-04 2023-09-05 贵州省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缆索吊机系统及其架设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781A (ja) * 1997-01-20 1998-08-04 Yokogawa Koji Kk ケーブルクレーン
JPH1135279A (ja) * 1997-07-14 1999-02-09 Ohbayashi Corp 軌索式ケーブル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0974306B1 (ko) 2009-09-14 2010-08-06 이엔이건설주식회사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781A (ja) * 1997-01-20 1998-08-04 Yokogawa Koji Kk ケーブルクレーン
JPH1135279A (ja) * 1997-07-14 1999-02-09 Ohbayashi Corp 軌索式ケーブル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0974306B1 (ko) 2009-09-14 2010-08-06 이엔이건설주식회사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2694A (zh) * 2023-08-04 2023-09-05 贵州省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缆索吊机系统及其架设方法
CN116692694B (zh) * 2023-08-04 2023-09-29 贵州省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缆索吊机系统及其架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100B1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4737B (zh) 大跨度钢拱桥拱肋二次竖转施工方法
CN101559905A (zh) 一种缆载吊机
JP2912222B2 (ja) 橋梁の桁架設工法
CN101446074B (zh) 钢桁梁桥顶面钢柔性拱的安装及合龙施工方法
CN110820582A (zh) 斜拉桥钢桁梁的架设方法
JP2008025195A (ja) 斜張橋の施工方法
KR102366100B1 (ko)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WO2023005126A1 (zh) 钢箱梁提运架系统及其施工方法
US7066343B1 (en) Powered lifting apparatus using multiple booms
CN103147405B (zh) 斜主桁斜拉桥钢梁架设方法
CN113026528A (zh) 一种山林空间曲线钢结构栈道安装方法
CN204821555U (zh) 一种轻型快装索道
WO2022233226A1 (zh) 用于斜拉桥主梁安装的三跨缆索吊机及其施工方法
CN110040632A (zh) 一种大跨度型钢梁的分段吊装施工方法
CN116216481A (zh) 一种钢梁吊装用多点起吊平衡组件
CN113235460B (zh) 用于桥梁悬臂拼装的预制节段荡移法
CN216891994U (zh) 用于斜拉桥主梁安装的三跨缆索吊机
KR200363059Y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시스템
CN113802461A (zh) 一种钢箱梁架设方法
CN111453630A (zh) 桥面吊机及其使用方法
CN105568862A (zh) 一种架梁装置及架梁方法
CN217104777U (zh) 一种临时栈桥拆除装置
JPH08184122A (ja) 屋根の構築方法
CN113106866B (zh) 主梁的配重式安装方法
CN113718625B (zh) 一种叠合梁斜拉桥塔区无索梁段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