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29U - 커피 캡슐 - Google Patents

커피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29U
KR20220000129U KR2020200002406U KR20200002406U KR20220000129U KR 20220000129 U KR20220000129 U KR 20220000129U KR 2020200002406 U KR2020200002406 U KR 2020200002406U KR 20200002406 U KR20200002406 U KR 20200002406U KR 20220000129 U KR20220000129 U KR 20220000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apsule body
capsule
extraction
extra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기
Priority to KR202020000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129U/ko
Publication of KR20220000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캡슐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커피 캡슐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분말커피를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캡슐 본체와, 상기 캡슐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지와, 그리고 상기 캡슐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커버지에 유입공이 천공되고 캡슐 본체의 하부에 추출공이 천공된 후 고온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액상화되는 액상커피를 필터링하여 추출공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캡슐 본체에 포장되는 분말커피에 고온의 고압수를 공급하여 액상커피를 추출시 필터에 의해 분말덩어리를 여과하여 추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액상 커피의 신속하고 원활한 추출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커피 캡슐{COFFEE CAPSULE}
본 고안은 커피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커피가 포장되는 캡슐을 커피 추출장치에 장착하고 고온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액상커피를 추출시 분말덩어리에 의해 캡슐 하부면에 형성되는 추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피 캡슐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커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커피를 추출하는 일명 커피 메이커와 같은 커피 추출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또는 홍차 및 코코아) 등을 담아 고온의 물과 수압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를 직접 담아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사용 후 자주 청소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1회용 커피의 양이 개별 포장되는 커피 캡슐이 개시된 바 있다.
즉, 상기 커피 캡슐은 캡슐에 1회용 커피의 양을 추출할 수 있도록 커피를 담고 커버지로 밀폐 포장하여 판매하므로, 상기 커피 캡슐을 직접 커피 추출장치에 장착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피 추출장치는 천공핀에 의해 커피 캡슐의 커버지와 캡슐 하부면에 구멍을 뚫고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 후 커피 추출장치의 청소 관리가 간편한 잇점과 함께 정량의 커피를 사용할 수 있어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여러 잇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커피 캡슐은 커피 추출장치의 천공핀에 의해 커버지와 캡슐 하부면에 구멍을 뚫고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캡슐 하부면에 형성되는 추출공을 통해 커피를 추출시 분말알갱이가 자주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추출공이 쉽게 막혀 커피를 원활하게 추출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3918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분말커피가 포장되는 캡슐을 커피 추출장치에 장착하고 고온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액상커피를 추출시 분말덩어리에 의해 캡슐 하부면에 형성되는 추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액상 커비를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는 커피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분말커피를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캡슐 본체와, 상기 캡슐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커버지에 유입공이 천공되고 캡슐 본체의 하부에 추출공이 천공된 후 고온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액상화되는 액상커피를 필터링하여 추출공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필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 하측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추출공의 형성을 위해 하부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출공 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추출공 형성부의 상부에 단턱부와 연결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커피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 안내경사면을 따라 추출공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캡슐 본체에 포장되는 분말커피에 고온의 고압수를 공급하여 액상커피를 추출시 필터에 의해 분말덩어리를 여과하여 추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액상 커피의 신속하고 원활한 추출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의 커버지와 캡슐 하부면이 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의 커버지를 통해 고온 고압수가 공급되어 캡슐 하부면으로 추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본체(10)와, 커버지(20)와, 그리고 필터(30)를 포함한다.
캡슐 본체(10)는 분말커피를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캡슐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캡슐 본체(10)는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일정량의 분말커피가 포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캡슐 본체(10)는 내부 하측에 단턱부(12)가 형성된다. 단턱부(12)는 필터(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필터(30)는 단턱부(12)에 의해 캡슐 본체(10)의 내부에 원활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분말커피()는 필터(30)의 상부 쪽에 위치하도록 캡슐 본체(10)의 내부에 포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캡슐 본체(10)는 하부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출공 형성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추출공 형성부(14)에는 커피 추출장치(도면에 미도시)의 천공핀에 의해 추출공(16)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캡슐 본체(10)는 추출공 형성부(14)의 상부에 단턱부(12)와 연결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안내경사면(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경사면(18)은 커피 추출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수에 의해 액상화된 액상커피를 추출공(16) 방향으로 안내하며, 이에 따라 액상커피의 원활한 추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커버지(20)는 캡슐 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커버지(20)는 캡슐 본체(10)의 상부에 열융착되며, 이에 따라 분말커피는 캡슐 본체(10)로부터 유출 방지되면서도 외부 공기의 접촉의 차단에 따라 변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필터(30)는 캡슐 본체(10)의 내부에서 액상화되는 액상커피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필터(30)는 캡슐 본체(10)의 단턱부(12)에 설치되어 커피 추출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수에 의해 액상화되는 액상커피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필터(30)는 액상커피의 필터링을 위해 종이필터는 물론 공지된 다양한 커피 필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의 추출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은 커피 추출장치에 장착된 후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되는 천공핀에 의해 커버지(20)에 유입공(22)이 천공되고 캡슐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추출공 형성부(14)에 추출공(16)이 천공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지(20)와 캡슐 본체(10)에 유입공(22)과 추출공(16)이 각각 천공되면, 커피 추출장치로부터 고온 고압수가 유입공(22)을 통해 캡슐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분말커피는 고압수에 의해 용해되어 액상화되고, 액상커피는 필터(30)에 의해 여과되어 추출공(16)을 통해 추출되게 된다.
이때, 분말커피는 고온 고압수에 의해 용해되는 과정에서 분말덩어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분말덩어리는 필터(30)에 의해 차단되어 추출공(16)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분말덩어리에 의한 추출공(16)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터(30)를 통과하는 액상커피는 안내경사면(18)의 경사구조에 의해 추출공(16)으로 안내됨으로써, 액상커피의 신속한 추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은, 캡슐 본체(10)에 포장되는 분말커피에 고온의 고압수를 공급하여 액상커피를 추출시 필터(30)에 의해 분말덩어리를 여과하여 추출공(16)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액상 커피의 신속하고 원활한 추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캡슐 본체
12: 단턱부
14: 추출공 형성부
16: 추출공
18: 안내경사면
20: 커버지
22: 유입공
30: 필터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분말커피를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캡슐 본체; 및
    상기 캡슐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커버지에 유입공이 천공되고 캡슐 본체의 하부에 추출공이 천공된 후 고온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액상화되는 액상커피를 필터링하여 추출공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필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 하측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추출공의 형성을 위해 하부에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출공 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본체는,
    상기 추출공 형성부의 상부에 단턱부와 연결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커피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 안내경사면을 따라 추출공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
KR2020200002406U 2020-07-06 2020-07-06 커피 캡슐 KR202200001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06U KR20220000129U (ko) 2020-07-06 2020-07-06 커피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06U KR20220000129U (ko) 2020-07-06 2020-07-06 커피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29U true KR20220000129U (ko) 2022-01-13

Family

ID=7934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06U KR20220000129U (ko) 2020-07-06 2020-07-06 커피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12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18B1 (ko) 2014-07-08 2016-04-21 에스프레소코리아(주) 커피 캡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18B1 (ko) 2014-07-08 2016-04-21 에스프레소코리아(주) 커피 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1316B1 (en) 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r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JP4991861B2 (ja) 飲料調製用カプセル
JP5043113B2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
JP5080571B2 (ja) 液垂れの少ないカプセル
DK1700548T4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20110053368A (ko) 핸드 로딩 커피 기계의 커피 홀딩 아암
KR101897569B1 (ko) 커피추출장치
MX2009001061A (es) Mejoras en capsulas que contienen una sustancia en forma de polvo de la cual debe extraerse una bebida, preferentemente cafe expreso.
JP2004517654A (ja) 詰替え容器に収容された食品の抽出を改良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6142015A (ja) カートリッジ内に受け入れた物質を調理及び抽出することによって熱い飲料を調製する飲料機械
RU200811813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енных напитков
GB2503697A (en) Coffee machine capsule
EP2694403A1 (en) Capsule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KR20140029718A (ko) 커피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KR20220000129U (ko) 커피 캡슐
WO2013050820A1 (en) Capsule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KR101448275B1 (ko)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101797869B1 (ko) 캡슐용 카트리지
CN101652091A (zh) 浓缩咖啡机
KR101572952B1 (ko)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101581930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200454675Y1 (ko) 살포유도용 단부를 가지는 주입부를 포함한 필터 팩
IT201900001101A1 (it) Capsula per prodotti da infusione
CN106943010A (zh) 嗜好饮品提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