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785A -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785A
KR20210158785A KR1020210060801A KR20210060801A KR20210158785A KR 20210158785 A KR20210158785 A KR 20210158785A KR 1020210060801 A KR1020210060801 A KR 1020210060801A KR 20210060801 A KR20210060801 A KR 20210060801A KR 20210158785 A KR20210158785 A KR 2021015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closing cap
fixing
seaso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055B1 (ko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이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혜 filed Critical 이지혜
Publication of KR2021015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6Butter or cheese dishes or covers, with or without cooling or heating devices; Protective covers for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7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secured locally, i.e. a lot less than half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료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배출부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캡; 및, 상기 개폐용 캡에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고정판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의 일측과 임시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구입하기 전에 신제품임을 용이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A Seasoning Container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제품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오염 가능성이 있는 제품 구입을 차단할 수 있고 사용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추나 소금 등의 각종 조미료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플라스틱 뚜껑으로 마감되어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신제품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안쪽에 이물질이 유입된 제품 구입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뚜껑 본체와 용기 사이에 비닐로 밀봉이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비닐 밀봉 공정의 추가로 제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증가하고 비닐의 폐기 처리로 인한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었으며 비닐 제거 작업 자체가 불편하여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용 캡을 뚜껑 본체로부터 개방하기 전에 신제품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3자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된 제품 구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본체로부터 개폐용 캡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한층 사용이 편리한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용 캡을 닫을 경우 용기 내의 내용물이 뚜껑 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본체와 용기 사이의 밀봉을 위해 비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비닐 폐기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은,
상면에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배출부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캡; 및,
상기 개폐용 캡에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고정판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의 일측과 임시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과 고정용 캡은 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용 캡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용 캡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융착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제1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제1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전방 및 후방 내면에는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접촉하는 하향의 제21 경사면과 제22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용 캡과 뚜껑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배출부의 모서리에는 여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 본체의 상단에는 배출공의 외측에서 상기 배출부와 고정판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 상단 에지에는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과 개폐용 캡의 연결부에서 상기 상판과 개폐용 캡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용 캡은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고정용 캡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상기 단턱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밀폐용 돌기는,
상기 배출공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단턱에 면접촉하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제2 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돌기는 선단을 향해 단면 폭이 줄어들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제조방법은,
상기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뚜껑 본체에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캡을 상기 고정판 쪽으로 하강 힌지 이동시켜서 대향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융착을 통해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미료 용기 뚜껑에 따르면, 상면에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배출부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캡; 및, 상기 개폐용 캡에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고정판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의 일측과 임시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구입하기 전에 신제품임을 용이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되어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상기 개폐용 캡을 상승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용 브릿지가 파단되어 최초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닐을 벗켜서 사용을 개시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한층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용 캡이 고정용 판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용 캡만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한층 확실하고 안정적인 연결용 브릿지의 파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제1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제1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전방 및 후방 내면에는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접촉하는 하향의 제21 경사면과 제22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개폐용 캡을 배출부에 대하여 눌러서 결합할 때,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부가 상기 제21 경사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듯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다가 탄성적으로 넘어가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제11 경사면이 배출공의 제21 경사면의 배면 둘레에 원터치식으로 걸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밀폐용 돌기와 배출공의 결합시 상기 제12 경사면과 제22 경사면에 의해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밀봉 효과가 한층 높아지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상기 단턱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계단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밀폐용 돌기의 계단부와 단턱이 서로 밀접하게 면접촉하기 때문에 용기 내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폐용 돌기는, 상기 배출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단턱에 면접촉하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더 한층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선단을 향해 단면 폭이 줄어들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후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4에서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을 용기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9의 B-B 단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의 사용 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9의 C-C 단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1000)은, 상면에 배출공(11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부(110)와 상기 배출부(110)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고정판(120)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100), 상기 뚜껑 본체(100)의 배출부(110)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1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캡(200) 및, 상기 개폐용 캡(200)에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100)의 고정판(120)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용 브릿지(800)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200)의 일측과 임시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20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 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뚜껑 본체(100)에 고정된 고정용 캡(300)에 연결용 브릿지(800)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200)이 임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입하기 전에 신제품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신제품을 구입하여 사용을 개시할 경우에는, 개폐용 캡(200)을 상기 배출부(110)에 대하여 단순히 상부로 힌지 이동시켜서 연결용 브릿지(800)를 파단함으로써 개폐용 캡(200)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상기 개폐용 캡(2O0)을 상승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용 브릿지(800)가 파단되어 최초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닐을 벗켜서 사용을 개시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한층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고정용 캡(300)이 고정용 판(1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용 캡(200)만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한층 확실하고 안정적인 연결용 브릿지(800)의 파단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개폐용 캡(200) 2개가 연결용 브릿지(800)를 통해 상기 고정용 캡(300)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한 개폐용 캡(200)이 고정용 캡(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판(120)과 고정용 캡(300)은 초음파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합성수지끼리 융착하는 고주파 융착이나 적외선 유착 등 공지의 다양한 고정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판(120)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용 캡(300)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용 캡(300)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융착용 돌기(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초음파 가열시 상기 융착용 돌기(310)에 열이 집중되어 빠른 시간에 고정용 캡(300)을 고정판(120)에 융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용 캡(20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111)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2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용기(C)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공(111)을 통해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200)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제11 경사면(211a)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200)의 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제12 경사면(211b)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11)의 전방 및 후방 내면에는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접촉하는 하향의 제21 경사면(111a)과 제22 경사면(111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200)을 배출부(110)에 대하여 눌러서 결합할 때,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전방부가 상기 제21 경사면(111a)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듯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다가 탄성적으로 넘어가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제11 경사면(211a)이 배출공(111)의 제21 경사면(111a)의 배면 둘레에 원터치식으로 걸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밀폐용 돌기(210)와 배출공(111)의 결합시 상기 제12 경사면(211b)과 제22 경사면(111b)에 의해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용기(C)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밀봉 효과가 한층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11)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용 캡(200)과 뚜껑 본체(100)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배출부(110)의 모서리에는 여유홈(112)이 형성되어 개폐용 캡(200)의 개방시 손톱 대신 손가락면을 사용할 수 있어 손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손톱이 갈라지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뚜껑 본체(100)의 상단에는 배출공(111)의 외측에서 상기 배출부(110)와 고정판(120)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판(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30)의 일측 상단 에지에는 개폐용 캡(200)과 고정용 캡(300)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판(130)과 개폐용 캡(200)의 연결부에서 상기 상판(130)과 개폐용 캡(200)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개폐용 캡(200)이 뚜껑 몸체(100)에 접근하여 접촉할 때 상호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용 캡(200)이 배출부(110)와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상판(130)과 개폐용 캡(200)의 상단은 단차 없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1000)을 용기(C)와 결합할 때 상기 용기(C)의 개구 단면을 축소하여 뚜껑 본체(100)가 용기(C)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 본체(100)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용기(C)의 개구 테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는 외측 플랜지(150)와 내측 플랜지(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플랜지(160)의 외측에는 상기 용기(C)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누름 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용기(C)로부터 조미료가 배출공(111)을 통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공(111)과 밀폐용 돌기(21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용 캡(20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111)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210)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111)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111c)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상기 단턱(111c)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계단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용 돌기(210)의 계단부(217)가 단턱(111c)에 밀접하게 면접촉하기 때문에 용기(C) 내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용 돌기(210)는, 상기 배출공(1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제1 돌기(215) 및, 상기 제1 돌기(215)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단턱(111c)에 면접촉하는 계단부(217)가 형성되는 제2 돌기(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돌기(215)가 상기 배출공(111)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용기(C) 내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더 한층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215)는 선단을 향해 단면 폭이 줄어들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용 캡(200)의 저면에는 결합 돌기(27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27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홈(18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 돌기(270)가 상기 결합홈(180)에 삽입될 때 상기 개폐용 캡(200)이 상기 뚜껑 본체(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조미료 용기 뚜껑(1000)의 제조방법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개폐용 캡(200)과 고정용 캡(300)이 연결용 브릿지(800)를 통해 연결되고 뚜껑 본체(100)에 개폐용 캡(200)과 고정용 캡(300)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이를 위해, 상기 뚜껑 본체(100)와 개폐용 캡(200) 및 고정용 캡(300) 사이는 비교적 얇게 구성하여 유연한 절곡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고정용 캡(300)을 상기 고정판(120) 쪽으로 하강 힌지 이동시켜서 대향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을 통해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용 캡(200)과 고정용 캡(300)이 연결용 브릿지(800)를 통해 임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캡(300)이 뚜껑 본체(100)에 고정되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최초 사용시에는 단순히 뚜껑 본체(100)에 대하여 개폐용 캡(200)을 상승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용 브릿지(800)를 파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기재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뚜껑 본체
110... 배출부
111... 배출공
111a... 제21 경사면
111b... 제22 경사면
111c... 단턱
112... 여유홈
120... 고정판
130... 상판
150... 외측 플랜지
160... 내측 플랜지
170... 누름 돌기
200... 개폐용 캡
210... 밀폐용 돌기
211a... 제11 경사면
211b... 제12 경사면
215... 제1 돌기
216... 제2 돌기
217... 계단부
300... 고정용 캡
310... 융착용 돌기
800... 연결용 브릿지
1000... 조미료 용기 뚜껑
C... 용기

Claims (12)

  1. 상면에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배출부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용 캡; 및,
    상기 개폐용 캡에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고정판 쪽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개폐용 캡의 일측과 임시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고정용 캡은 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용 캡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용 캡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융착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제1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후방면은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제1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전방 및 후방 내면에는 상기 밀폐용 돌기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접촉하는 하향의 제21 경사면과 제22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용 캡과 뚜껑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배출부의 모서리에는 여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와 밀착되게 끼워지는 밀폐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돌기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상기 단턱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돌기는,
    상기 배출공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단턱에 면접촉하는 계단부가 형성되는 제2 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선단을 향해 단면 폭이 줄어들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단에는 배출공의 외측에서 상기 배출부와 고정판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 상단 에지에는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개폐용 캡의 연결부에서 상기 상판과 개폐용 캡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은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상기 고정용 캡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미료 용기 뚜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연결용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뚜껑 본체에 개폐용 캡과 고정용 캡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캡을 상기 고정판 쪽으로 하강 힌지 이동시켜서 대향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융착을 통해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뚜껑의 제조방법.
KR1020210060801A 2020-06-24 2021-05-11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7009 2020-06-24
KR1020200077009 2020-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85A true KR20210158785A (ko) 2021-12-31
KR102502055B1 KR102502055B1 (ko) 2023-02-21

Family

ID=7917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801A KR102502055B1 (ko) 2020-06-24 2021-05-11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0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302A (ja) * 1996-12-12 1998-06-23 Mikasa Sangyo Kk 振り出し容器のキャップ
KR19990005453U (ko) * 1997-07-16 1999-02-18 정순환 분말용 용기 뚜껑의 덮개에 형성된 절곡구조
JP2001063788A (ja) * 1999-08-30 2001-03-13 Yoshino Kogyosho Co Ltd 納豆容器
KR20050072032A (ko) * 2003-03-24 2005-07-08 오시오 오야마 전자렌지 조리용 시스템용기
KR20060003594A (ko) * 2004-07-07 2006-01-11 강문규 개봉식별부가 형성된 분말용기뚜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9456B1 (ko) * 2015-12-30 2017-09-19 이지혜 조미료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302A (ja) * 1996-12-12 1998-06-23 Mikasa Sangyo Kk 振り出し容器のキャップ
KR19990005453U (ko) * 1997-07-16 1999-02-18 정순환 분말용 용기 뚜껑의 덮개에 형성된 절곡구조
JP2001063788A (ja) * 1999-08-30 2001-03-13 Yoshino Kogyosho Co Ltd 納豆容器
KR20050072032A (ko) * 2003-03-24 2005-07-08 오시오 오야마 전자렌지 조리용 시스템용기
KR20060003594A (ko) * 2004-07-07 2006-01-11 강문규 개봉식별부가 형성된 분말용기뚜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9456B1 (ko) * 2015-12-30 2017-09-19 이지혜 조미료 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055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501A (en) Water tight hinge closure
US4993606A (en) Dispensing closure
JP4002616B2 (ja) 一体モールド成形されたフリップキャップ蓋装置
US5395015A (en) Dispensing closure with a modified lid for increased opening angle
US4826026A (e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5251793A (en) Dispensing closure
EP0598018A1 (en) Container with curled tamper-evident band to retain closure
JP6166948B2 (ja) キャップ
KR20210158785A (ko) 조미료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US7048158B2 (en) Elongated orifice closure
US7051905B2 (en) Elongated orifice closure
EP0481981B1 (en) Linerless closure for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JP3616210B2 (ja) 内容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US6143229A (en) Method for making a dispensing closure with a finger well formed after molding of the dispensing closure
JP3569060B2 (ja) 内容液注出容器の中栓付キャップ
KR100714651B1 (ko) 밀폐용기의 뚜껑
JPH0644839Y2 (ja) 流動物注出キヤツプ
EP0404856B1 (en) Dispensing closure
JP4350195B2 (ja) チューブ用キャップ
CN213850090U (zh) 一种容器盖及液体加热容器
JP4435924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3678030B2 (ja) 小蓋付キャップ
JP2591883Y2 (ja) ヒンジキャップ
JP3938796B2 (ja) 内容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2002028930A (ja) 合成樹脂製容器蓋を成形するための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