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513A - 중량선별 배제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선별 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513A
KR20210155513A KR1020200072827A KR20200072827A KR20210155513A KR 20210155513 A KR20210155513 A KR 20210155513A KR 1020200072827 A KR1020200072827 A KR 1020200072827A KR 20200072827 A KR20200072827 A KR 20200072827A KR 20210155513 A KR20210155513 A KR 2021015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orted
panel
weigh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602B1 (ko
Inventor
이종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웰
Priority to KR102020007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선별 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별대상물품을 이송시키는 반송 트레이;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동일 직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고,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퇴출공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4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퇴출공이 개방되도록 회동되어 불량품인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퇴출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량이상으로 인한 불량품 발생시 이를 이송라인으로부터 오류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소비자로부터의 크레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선별 배제장치{Apparatus for excluding of defective goods}
본 발명은 중량선별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무게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미달되는 경우 이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중량을 계근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중량선별장치는 제품의 중량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미달되는 경우 이를 불량으로 판단하여 이를 제품 이송라인에서 배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중량선별장치는 불량품이 발생될 경우 이를 제품 이송라인에서 제거하기 위해 정해진 구간에 불량품이 위치할 때 바(bar)를 이용하여 밀어내거나 공기압을 이용하여 날려보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중량선별장치의 불량품 제거 방식은 불량품을 이송라인에서 불량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과중량으로 판정된 불량품의 경우 과도한 무게로 인해 에어를 이용해서는 불량품을 날려보내지 못하고, 바를 이용하여 밀어낼 경우 이동 중인 불량품의 중앙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면 불량품이 이송라인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량 미달의 불량품 중 내용물이 담기지 않은 빈봉지가 발생하는 경우, 빈봉지를 에어를 이용하여 날려보내면 빈봉지가 날렸다가 다시 이송라인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고, 바를 이용하여 빈봉지를 밀어낼 때는 바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의 틈새로 빈봉지가 통과하거나 끼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86-0002398호(1986.04.24.)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량이상으로 인한 불량품 발생시 이를 이송라인으로부터 오류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중량선별 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별대상물품을 이송시키는 반송 트레이;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동일 직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고,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퇴출공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4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퇴출공이 개방되도록 회동되어 불량품인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퇴출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량선별 배제장치는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과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상기 제3 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퇴출공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부면을 따라 상기 제4 컨베이어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판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판넬과 함께 회동하는 제2 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판넬은 상기 제1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퇴출공을 통해 낙하하는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받아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슈트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판넬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린더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슈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불량품으로 판단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배출슈트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배출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상기 배출감지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린더를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가 폐쇄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각도는 120도 내지 1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이상으로 인한 불량품 발생시 이를 이송라인으로부터 오류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소비자로부터의 크레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폐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폐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폐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개폐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100)는 중량 측정 대상인 선별대상물품(10)을 이송라인을 따라 반송하는 복수의 컨베이어들(120,130,150,190)과 불량으로 판단된 선별대상물품(10)을 이송라인에서 제거하는 개폐부(160) 및 개폐부(160)를 구동시키는 실린더(182)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선별대상물품(10)은 양불판정을 위해 중량 측정이 요구되는 제품으로서 다수의 알갱이 또는 분말 등이 포장된 제품, 예를 들어 다종다수의 견과류 등이 포장된 상태의 제품일 수 있다.
선별대상물품(10)은 소정의 반송 트레이(110)를 통해 이송되어 중량 측정을 위한 이송라인에 진입된다.
이송라인의 시작 지점에는 반송 트레이(110)로부터 선별대상물품(10)을 전달받는 제1 컨베이어(120)가 배치되고, 제1 컨베이어(120)는 선별대상물품(10)을 후단의 제2 컨베이어(130)로 이송한다.
제2 컨베이어(130)는 제1 컨베이어(120)와 동일 직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1 컨베이어(120)로부터 선별대상물품(10)을 전달받아 후단의 제3 컨베이어(150)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선별대상물품(10)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제2 컨베이어(130)는 로드셀이 구비된 컨베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150)는 중량이 측정된 선별대상물품(10)을 제2 컨베이어(130)로 부터 전달받아 후단의 제4 컨베이어(190)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선별대상물품(10)의 정확한 중량 측정을 위해 제2 컨베이어(130)는 제1 및 제3 컨베이어(120,150)와 별도로 분리된 컨베이어로 구비되며, 제1 내지 제3 컨베이어(120,130,150)는 서로 수평하게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별대상물품(10)이 중량을 측정하는 제2 컨베이어(130) 위로 낙하할 때 선별대상물품(10)의 중량 측정값이 큰 폭으로 요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별대상물품(10)의 정확한 중량 측정을 위해 제2 컨베이어(130) 위에는 동시에 여러 개의 선별대상물품(10)이 놓여지지 않도록 선별대상물품(10)의 이송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컨베이어(190)는 제3 컨베이어(15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4 컨베이어(190)는 제3 컨베이어(15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3 컨베이어(150)와 제4 컨베이어(19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퇴출공(170)에는 개폐부(160)가 배치되어 제3 컨베이어(150)와 제4 컨베이어(190)를 연결한다.
개폐부(160)는 퇴출공(170)이 닫히도록 하는 폐쇄 상태에서 선별대상물품(10)이 상부면을 따라 제4 컨베이어(190)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판넬(162)과, 제1 판넬(162)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판넬(162)과 함께 회동하는 제2 판넬(164)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넬(164)은 제1 판넬(162)이 개방된 상태에서 퇴출공(170)을 통해 낙하하는 선별대상물품(10)을 받아 선별대상물품(10)이 제3 컨베이어(15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슈트(200)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불량으로 판단되어 퇴출공(170)을 통해 제2 판넬(164)로 낙하한 선별대상물품(10)이 배출슈트(200)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판넬(162)과 제2 판넬(164) 사이의 각도는 120도 내지 160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슈트(200)와 가까이 위치하는 제2 판넬(164)의 단부는 개폐부(160)의 개방시 배출슈트(200)의 진입 단부와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판넬(164)의 하부면에는 실린더(182)에 연결되는 링크(166)가 구비되며, 개폐부(160)는 실린더(182)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실린더(182)는 실린더 구동부(18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동작을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중량선별 배제장치(100)가 불량품을 이송라인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 컨베이어(130)가 측정한 선별대상물품(10)의 중량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송신하면, 제어부(140)는 선별대상물품(10)의 중량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비교하여 선별대상물품(10)이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측정된 선별대상물품(10)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140)는 이에 대한 신호를 실린더 구동부(180)로 송출한다.
실린더 구동부(180)는 제어부(14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실린더(182)가 전진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개폐부(160)가 개방 위치로 회동된다(도 3 참고).
개폐부(160)가 개방된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선별대상물품(10)은 제3 컨베이어(150)를 지나 퇴출공(170)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때 제1 판넬(162)은 선별대상물품(10)이 제4 컨베이어(190)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을 형성한다.
한편, 배출슈트(200)의 상부에는 불량품으로 판단된 선별대상물품(10)이 배출슈트(200)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배출감지부(210)가 구비된다.
배출감지부(210)는 선별대상물품(10)이 배출감지부(210)의 측정위치를 통과할 때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고, 실린더 구동부(180)는 배출감지부(2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실린더(182)를 후진시킴으로써 개폐부(160)가 원래의 폐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불량품으로 판단되어 이송라인에서 제거된 선별대상물품(10)은 배출슈트(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불량수집부(220)에 수용되어 모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선별 배제장치(100)는 중량이상으로 인한 불량품 발생시 이를 이송라인으로부터 오류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소비자로부터의 크레임을 예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선별대상물품 100: 중량선별 배제장치
110: 반송 트레이 120: 제1 컨베이어
130: 제2 컨베이어 140: 제어부
150: 제3 컨베이어 160: 개폐부
162: 제1 판넬 164: 제2 판넬
166: 링크 168: 회전축
170: 퇴출공 180: 실린더 구동부
182: 실린더 190: 제4 컨베이어
200: 배출슈트 210: 배출감지부
220: 불량수집부

Claims (7)

  1. 선별대상물품을 이송시키는 반송 트레이;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동일 직선상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고,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퇴출공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4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퇴출공이 개방되도록 회동되어 불량품인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퇴출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의 중량과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불량품으로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상기 제3 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퇴출공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부면을 따라 상기 제4 컨베이어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판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판넬과 함께 회동하는 제2 판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판넬은 상기 제1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퇴출공을 통해 낙하하는 상기 선별대상물품을 받아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슈트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넬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린더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불량품으로 판단된 상기 선별대상물품이 상기 배출슈트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배출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상기 배출감지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린더를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가 폐쇄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각도는 120도 내지 1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배제장치.


KR1020200072827A 2020-06-16 2020-06-16 중량선별 배제장치 KR10242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27A KR102427602B1 (ko) 2020-06-16 2020-06-16 중량선별 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27A KR102427602B1 (ko) 2020-06-16 2020-06-16 중량선별 배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513A true KR20210155513A (ko) 2021-12-23
KR102427602B1 KR102427602B1 (ko) 2022-08-01

Family

ID=7917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827A KR102427602B1 (ko) 2020-06-16 2020-06-16 중량선별 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1819A (zh) * 2022-11-30 2023-01-13 南通杰蕾机械有限公司(Cn) 一种玩具残次品回收运输用卸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98A (ko) 1984-09-13 1986-04-24 간노 요리쯔구 연상물 자동충전 포장기의 불량품 배출장치
KR20090054539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남선알미늄 사출 성형물 양불 판별장치
JP4789457B2 (ja) * 2004-12-09 2011-10-12 大和製衡株式会社 振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98A (ko) 1984-09-13 1986-04-24 간노 요리쯔구 연상물 자동충전 포장기의 불량품 배출장치
JP4789457B2 (ja) * 2004-12-09 2011-10-12 大和製衡株式会社 振分装置
KR20090054539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남선알미늄 사출 성형물 양불 판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1819A (zh) * 2022-11-30 2023-01-13 南通杰蕾机械有限公司(Cn) 一种玩具残次品回收运输用卸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602B1 (ko)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954B2 (ja) インライン製品検査システムのための回収箱、およびインライン製品検査システム
KR200448886Y1 (ko) 중량선별장치
JP7152953B2 (ja) 物品の経路を検出及び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を含む物品仕分け設備並びに仕分け方法
WO1993023724A1 (en) Combinative weighing apparatus with tare weight subtracting function
JP2008290042A (ja) 分別装置
WO2000003211A1 (fr) Trieuse ponderale
KR102427602B1 (ko) 중량선별 배제장치
JP3785476B2 (ja) 重量選別装置
JP3413218B2 (ja) 農産物の設定個数取出し装置
KR102215065B1 (ko) 포장제품 중량 선별 및 정량제품을 일정 갯수로 포장하기 위한 제품 이송장치
JP2022087367A (ja) 食品搬送装置
JP6616912B2 (ja) 計量包装システム
JPH03238218A (ja) 物品選別機
JP2003121248A (ja) 組合せ計量装置
KR20190038520A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JP7366498B2 (ja) 物品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システム
US11814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containers with closures
JP5760420B2 (ja) 物品の仕分け収納設備
JP2566249Y2 (ja) 物品の供給装置
JPH01127915A (ja) 穀粒荷受け装置
JPH0687030B2 (ja) 重量選別装置
JP2536179Y2 (ja) 計量装置の物品相載り防止装置
JP3431305B2 (ja) 重量選別方法および重量選別装置
JP2008068915A (ja) 箱詰装置
JPH08285664A (ja) ウエイトチェ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