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730A -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730A
KR20210154730A KR1020210068583A KR20210068583A KR20210154730A KR 20210154730 A KR20210154730 A KR 20210154730A KR 1020210068583 A KR1020210068583 A KR 1020210068583A KR 20210068583 A KR20210068583 A KR 20210068583A KR 20210154730 A KR20210154730 A KR 2021015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signal
positive
spike
resistanc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847B1 (ko
Inventor
야스히로 토미타
마사루 야노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5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12Classification; Matching
    • G06F2218/14Classification; Matching by matching peak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9Temporal neural networks, e.g. delay elements, oscillating neurons or pulse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G06N3/065Analogu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8Non-supervised learning, e.g. competitive lear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ments simulating biological cells, e.g. neur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8Word-line or ro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1Ti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11C2013/0092Write characterized by the shape, e.g. form, length, amplitude of the write pul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2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di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7Array wherein the memory elemen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bit lines and word lines without any access device being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Neur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emory System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과제] 정 전위를 이용해 STDP의 기재를 실시할 수 있는 저항 변화형 시냅스 어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시냅스 어레이 장치는, 크로스바 어레이(40)의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대한 기재를 실시하는 기재 수단을 포함한다. 기재 수단은,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정의 펄스 신호(Pa)를 생성하는 드라이버(122)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정의 펄스 신호(Tb)를 생성하는 드라이버(124)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정의 펄스 신호(Ta)를 생성하는 드라이버(132)와,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정의 펄스 신호(Pb)를 생성하는 드라이버(134)을 가진다.

Description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SPIKE TIMING DEPENDENT PLASTICITY WRITE METHOD AND SYNAPSE ARRAY APPARATUS}
본 발명은,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대한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STDP)의 기재(Write)에 관한 것이다.
시냅스란, 신경 정보를 출력하는 측과 입력되는 측 사이에 발달된 정보 전달을 위한 접촉 구조이다.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시냅스 전 신경원의 축삭돌기(axon) 말단이 시냅스 후 신경원의 수상돌기(Dendrite)에 접촉하는 것이다. 시냅스 전 신경원과 시냅스 후 신경원이 함께 높은 빈도로 연속 발화하면 시냅스의 전달 효율이 증가한다. 근래에는, 시냅스 전 신경원과 시냅스 후 신경원의 발화 시간 차이 만에 의해서도 결합 강도에 변화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시냅스 가역성(STDP; Spike Timing Dependent Plasticity)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STDP를 생성하는 뉴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뉴론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자 뉴론과 복수의 전자 뉴론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결합된 상호 접속 회로를 가진다. 상호 접속 회로는, 축삭돌기나 수상돌기 등의 패스를 통해 전자 뉴론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시냅스 장치를 포함한다. 각 시냅스 장치는, 가변 저항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각 시냅스 장치는, 축삭돌기와 수상돌기와의 사이에 결합된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9,269,042호 공보
인공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패턴 인식 등의 인식 분류 기술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이는, 높은 집적의 디지털 CMOS 기술에서 실장되는 필수 기술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술에서 실장된 뉴럴 네트워크는, 전력ㆍ규모의 점에서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특히, 장래 기대되는 IoT 분야에서는, 규모ㆍ전력ㆍ코스트가 중시되고 있고, 이를 그대로 기기에 넣는 것은 어렵다. 한편, 최근 수년, 저항 소자를 시냅스로서 이용한 뉴럴 네트워크의 연구ㆍ개발이 실시되고, 저전력, 소규모로, 궁극의 학습 기능을 실현하는 뉴럴 네트워크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뇌의 기억ㆍ학습은, 신경망의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신호 전달에는, 전위 펄스가 이용되고, 두 개의 전위 펄스의 시간차에 따라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변조된다. 이는, 상기한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성 가역성(STDP)이며, 뇌의 기억ㆍ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에, 가변 저항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의 일례를 나타낸다. 크로스바 어레이는, 행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행 라인(10)과, 이것과 직교하도록 열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열 라인(20)과, 각 행 라인(10)과 열 라인(20)과의 교차부에 접속된 멤리스터(Memristor)(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멤리스터(30)는, 예를 들면 전압 또는 전류를 가함으로써 상이한 저항 상태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이다.
이러한 크로스바 어레이를 뉴론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경우, 시냅스의 결합 강도의 변조는, STDP의 전기 신호를 멤리스터(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30)에 기재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2는, STDP의 기재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는, 크로스바 어레이(40)의 일부로서, 2개의 행 라인(R1, R2)과, 2개의 열 라인(C1, C2)과, 이것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접속된 4개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가 선택되는 것으로 하고, 행 라인(R1)이 시냅스 전 신경원(Pre Neuron)을 나타내고, 열 라인(C1)이 시냅스 후 신경원(Post Neuron)을 나타내고,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가 시냅스를 나타낸다.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산화하프늄 등의 금속 천이 산화물을 이용해 구성되고, 세트(SET)/리셋(RESET) 시에 인가하는 기재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바이폴라(bipolar) 타입이며, 세트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저저항 상태로 하고, 리셋은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고저항 상태로 한다. 예를 들면, 행 라인(R1)으로부터의 기재 전압의 인가는 세트이며, 열 라인(C1)으로부터의 기재 전압의 인가는 리셋이다. 행 라인(R1)에 스파이크 신호(Spre)가 인가되고, 열 라인(C1)에 스파이크 신호(Spost)가 인가되고,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는, 시냅스 전 신경원과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Spre/Spost)의 차분이 기재되어, 이에 따라,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의 컨덕턴스, 즉,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변조된다.
도 3의 (A)는, STDP에 의해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강화되는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STDP에 의해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억제되는 예를 나타낸다.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대한 실제 기재는, 스파이크 신호(Spre/Spost)를 근사시킨 펄스상의 전압 신호(Vpre/Vpost)를 이용해 실시된다. 전압 신호(Vpre)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펄스 신호이고, 전압 신호(Vpost)는,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펄스 신호이다. 전압 신호(Vpre/Vpost)는, 정(正)의 구형파(矩形波) 펄스(Pa/Ta)와, 급격한 부 전위로부터 완만하게 감쇠하는 부(負)의 삼각파 펄스(Pb/Tb)로 구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전압 신호(Vpre)가 전압 신호(Vpost)보다 시간적으로 빨리 발생할 때(Δt>0), Vpost-Vpre의 전위차(Vnet)는, 세트 기재의 역치(VTSET) 보다 Veff 만큼 큰 정(正)의 펄스가 생긴다. 이 펄스가 몇 번이나 반복되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의 컨덕턴스가 커지고, 즉,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강화된다(LTP: Long Term Potentiation). 반대로,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전압 신호(Vpre)가 전압 신호(Vpost)보다 시간적으로 늦게 발생하면(Δt<0), Vpost-Vpre의 전위차(Vnet)는, 리셋 기재의 역치(VTRESET) 보다 Veff 만큼 큰 부(負)의 펄스가 생긴다. 이 펄스가 몇 번이나 반복되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의 컨덕턴스가 저하하고, 즉,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억제된다(LTD: Long Term Depression).
Vpost-Vpre의 시간차(Δt)와 시냅스 결합 강도의 변화(ΔW)와의 관계는, STDP 학습 룰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이 관계를 도 4개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Δt와 ΔW의 관계는 직각 쌍곡선으로 표현된다. 극성이 다른 기재가 가능한 바이폴라 타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시냅스의 결합 강도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디바이스이다. 그렇지만, VPost-Vpre의 전위차(Vnet)는, 부 전위 또는 부의 펄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크로스바 어레이의 주변 회로는, 부 전위에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부 전위 또는 부 전원을 생성하는 내부 회로가 필요하게 되거나, 그 때문에 반도체 프로세스를 트리플 웰(Triple well)로 해야 하므로, 그 결과, 디바이스의 코스트가 증가하고, 전류 소모가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정 전위를 이용해 STDP의 기재를 실시할 수 있는 저항 변화형 시냅스 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에 대한 STDP의 기재 방법은, 정(正) 전위를 이용한 제1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正)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2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負)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3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4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4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1 구동 신호를,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하고, 제3 전압 신호와 제4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제1 구동 신호는, 세트 또는 리셋의 기재 전압이고, 제2 구동 신호는, 리셋 또는 세트의 기재 전압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STDP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차분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는, 정의 펄스 신호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제1 전압 신호는, 정의 구형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2 전압 신호는, 정의 삼각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3 전압 신호는, 정의 구형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4 전압 신호는, 정의 삼각파의 펄스 신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냅스 어레이 장치는, 바이폴라 타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와, 상기 크로스바 어레이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대한 기재(Write)를 실시하는 기재 수단을 가지고, 상기 기재 수단은,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 정 전위의 제1 및 제2 드라이버와, 타방의 단자에 접속된 정 전위의 제3 및 제4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제1 드라이버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드라이버는,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드라이버는,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드라이버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4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재 수단은,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1 구동 신호를,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하고, 제3 전압 신호와 제4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제1 구동 신호는, 세트 또는 리셋의 기재 전압이고, 제2 구동 신호는, 리셋 또는 세트의 기재 전압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STDP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차분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가 셀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셀렉터 디바이스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 전위를 이용한 제1 내지 제4 드라이버에 의해 제1 내지 제4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1 구동 신호를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하고, 제3 전압 신호와 제4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하도록 했으므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정 전위를 이용한 STDP의 기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크로스바 어레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에 대한 STDP의 기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STDP의 기재를 실시했을 때의 펄스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STDP 러닝 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냅스 어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에 대한 STDP의 기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쿼드형 기재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크로스바 어레이는, AI 하드웨어로서의 뉴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시냅스 어레이 장치로서 사용된다. 크로스바 어레이는, 행렬의 교차부에 멤리스터로서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극성이 다른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이한 컨덕턴스 상태(고저항 상태와 저저항 상태)를 기억할 수 있는 바이폴라 타입이다.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시냅스를 구성하고, 크로스바 어레이는, 시냅스 어레이 장치를 구성한다. 시냅스 어레이 장치는, 컴퓨터 장치 혹은 컴퓨터 시스템에 편입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CPU 등에 의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담당한다.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냅스 어레이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시냅스 어레이 장치(100)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크로스바 어레이(110), 행 선택/구동 회로(120), 열 선택/구동 회로(130), 제어부(140) 및 입출력(I/O)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냅스 어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면, AI칩 또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실장된다.
크로스바 어레이(1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행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행 라인과, 열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열 라인과, 행 라인과 열 라인과의 교차부에 접속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산화하프늄(HfOx)이나 산화탄탈(TaOx) 등의 금속 천이 산화물을 이용해 구성된다. 행 라인 및 열 라인의 수, 형상, 도전성 재료 등은 임의이다. 또, 크로스바 어레이(110)는, 도 1에 도시한 크로스바 어레이를 한 쌍으로 하여, 이를 수직 방향으로 복수 쌍 적층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제어부(140)로부터의 행 선택 신호나 제어 신호 등에 근거해 크로스바 어레이(110)의 행 라인을 선택하고, 선택한 행 라인에 기재 전압이나 독출 전압을 인가하거나, 비선택의 행 라인에 기재 금지 전압 등을 인가한다.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후술하는 것처럼(도 7을 참조), 2개의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행_정(正) 부분 드라이버(122)와, 행_부(負) 부분 드라이버(124)와, 가산기(126)를 포함한다. 2개의 드라이버(122, 124)는, 정 전위를 이용해 동작되고,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는, 시냅스 전 신경원(Pre Neuron)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는, 시냅스 후 신경원(Post Neuron)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열 선택/구동 회로(130)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열 선택 신호나 제어 신호 등에 근거해 크로스바 어레이(110)의 열 라인을 선택하고, 선택한 열 라인에 기재 전압이나 독출 전압을 인가하거나, 비선택의 열 라인에 기재 금지 전압 등을 인가한다. 열 선택/구동 회로(130)는, 후술하는 것처럼(도 7을 참조), 2개의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와,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와, 가산기(136)를 포함한다. 2개의 드라이버(132, 134)는, 정 전위를 이용해 동작되고,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는, 시냅스 후 신경원(Post Neuron)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는, 시냅스 전 신경원(Pre Neuron)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고, 독출 동작이나 기재 동작을 제어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제어부(140)는, ROM/RAM을 포함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스테이트 머신 등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ROM/RA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독출 동작이나 기재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40)는, 크로스바 어레이(110)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대한 STDP의 기재를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를 통해, 선택된 행에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에 상당하는 구동 신호(Vpre)를 인가하고, 열 선택/구동 회로(130)를 통해, 선택된 열에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에 상당하는 구동 신호(Vpost)를 인가한다. 행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Vpre)는,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에 의해 생성된 전압 신호와,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에 의해 생성된 전압 신호를 가산한 신호이고, 이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세트 기재에 대응한다. 열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Vpost)는,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에 의해 생성된 전압 신호와,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에 의해 생성된 전압 신호를 가산한 신호이고, 이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리셋 기재에 대응한다.
또, 제어부(140)는, 독출 동작시에, 행 선택/구동 회로(120) 또는 열 선택/구동 회로(130)에 의해 선택된 행 또는 열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는, 예를 들면, 내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제어부(140)와 접속되고, 외부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제공하거나, 제어부(14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대한 STDP의 기재를 실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출력부(150)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STDP의 기재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6의 (A)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전압 신호(Vpre)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전압 신호(Vpost)의 오리지널 파형이다. 전압 신호(Vpre)는, 정의 구형파 펄스(Pa)와, 급격한 부 전위로부터 완만하게 감쇠하는 부의 삼각파 펄스(Pb)를 포함하고, 전압 신호(Vpost)는, 정의 구형파 펄스(Ta)와, 급격한 부 전위로부터 완만하게 감쇠하는 부의 삼각파 펄스(T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전압 신호(Vpre)가 전압 신호(Vpost) 보다 먼저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Δt>0).
STDP는, 전압 신호(Vpre)와 전압 신호(Vpost)와의 차분(Vpost-Vpre)을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인가하는 프로세스이다. 상기 차분은, 식(1)과 같이 변환할 수 있다.
Vpost-Vpre = (Ta-Tb)-(Pa-Pb)
= (Ta+Pb)-(Pa+Tb) … (1)
식(1)에서, (Ta+Pb)를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세트 기재에 대응시킨 경우, 이것과 극성이 다른 (Pa+Tb)를 리셋 기재에 대응시킬 수 있다. 혹은, (Ta+Pb)를 리셋 기재에 대응시킨 경우에는, (Pa+Tb)를 세트 기재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Pa+Tb)를 세트 기재 전압으로 하고, (Ta+Pb)를 리셋 기재 전압으로 한다.
도 6의 (B)는, 오리지널의 전압 신호(Vpre, Vpost)를, 식(1)에 나타낸 4개의 항으로 각각 변환한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부(負)의 삼각파 펄스(Pb, Tb)가 정(正)의 삼각파 펄스(Pb, Tb)로 변환되어, 4개의 모든 펄스가 정(正)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4개의 펄스는, 정 전위를 이용한 4개의 드라이버에 의해 각각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C)는, 식(1)에 따라, 전압 신호(Vpre)의 구형파 펄스(Pa)와 전압 신호(Vpost)의 삼각파 펄스(Tb)를 합성한 구동 신호(Vpre)와, 전압 신호(Vpost)의 구형파 펄스(Ta)와 전압 신호(Vpre)의 삼각파 펄스(Pb)를 합성한 구동 신호(Vpost)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의 (D)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인가되는 전위차(Vnet(=Vpost-Vpre))를 예시하고 있다.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는, 세트 기재의 역치(VTSET)를 넘는 펄스가 인가되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컨덕턴스가 커지고, 즉,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강화된다. 덧붙여, 여기에는, Δt<0인 경우를 나타내지 않지만, 이 경우에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는, 리셋 기재의 역치(VTRESET)를 넘는 펄스가 인가되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컨덕턴스가 저하하고, 즉, 시냅스의 결합 강도가 감쇠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행 선택/구동 회로(120) 및 열 선택/구동 회로(130)에 포함되는 쿼드 드라이버(200)를 나타낸다. 쿼드 드라이버(200)는, 행 선택/구동 회로(120)에 포함되는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 및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와, 열 선택/구동 회로(130)에 포함되는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 및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와의 4개의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 및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는, 식(1)의 (Pa+Tb)의 펄스 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 및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는, (Ta+Pb)의 펄스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4개의 드라이버(122, 124, 132, 134)는, 정의 펄스 파형을 생성하는 것이며, 전부 정 전위에 의해 동작되고, 부 전위 또는 부 전원은 이용하지 않는다.
크로스바 어레이(110)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STDP의 기재를 실시할 때,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제어부(140)로부터의 행 주소에 근거해,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 및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를 선택된 행 라인(R1)에 접속하고, 열 선택/구동 회로(130)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열 주소에 근거해,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 및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를 선택된 열 라인(C1)에 접속한다.
행_정 부분 드라이버(122)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OEP)에 응답해 구형파 펄스(Pa)를 생성하고, 행_부 부분 드라이버(124)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OET)에 응답해 삼각파 펄스(Tb)를 생성하고, 구형파 펄스(Pa)와 삼각파 펄스(Tb)가 가산기(126)에서 합성되고, 합성된 구동 신호(Vpre)가 세트 기재 전압으로서 행 라인(R1)을 통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된다. 또, 열_정 부분 드라이버(132)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OET)에 응답해 구형파 펄스(Ta)를 생성하고, 열_부 부분 드라이버(134)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OEP)에 응답해 삼각파 펄스(Pb)를 생성하고, 구형파 펄스(Ta)와 삼각파 펄스(Pb)가 가산기(136)에서 합성되고, 합성된 구동 신호(Vpost)가 리셋 기재 전압으로서 열 라인(C1)을 통해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된다. 또, 행 선택/구동 회로(120)는, 비선택의 행 라인(R2)을 플로팅 상태 또는 기재 금지 전압(Vinh)을 인가하고, 열 선택/구동 회로(130)는, 비선택의 열 라인(C2)을 플로팅 상태 또는 기재 금지 전압(Vinh)을 인가한다.
제어부(140)는, 인에이블 신호를 통해 4개의 드라이버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시켜, (Pa+Tb)의 구동 신호(Vpre) 및 (Ta+Pb)의 구동 신호(Vpost)를 소망한 타이밍에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인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MC)에 STDP의 기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뉴론에 대해 적어도 4개의 정 전위의 드라이버를 이용함으로써, 크로스바 어레이의 주변 회로는, 부 전위를 취급하지 않고, 정 전위를 이용한 바이폴라 동작으로 STDP의 기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냅스 어레이 장치의 저 비용화 및 저 소비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행 라인 및 열 라인을 선택함으로써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구동 신호(Vpre/Vpost)를 인가했지만, 크로스바 어레이의 고집적화 혹은 소형화가 진행되면, 행 라인 및 열 라인의 바이어스에 의한 제어에서는, 인접하는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와의 격리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장치(셀렉터 디바이스)를 설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선택 장치는, 예를 들면,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이며,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는, 가변 저항 소자와 트랜지스터(1T1R)로 구성된다. 이 경우, 액세스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행 라인(워드선)에 접속되어, 액세스용 트랜지스터가 온 했을 때, 가변 저항 소자의 일방의 단자가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방의 단자가 소스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STDP의 기재를 실시할 때, 예를 들면, 비트선에 구동 신호(Vpre)가 인가되고, 소스선에 구동 신호(Vpost)가 인가된다. 또, 선택 장치로서, 모든 가변 저항 소자에 다이오드를 집적시켜, 비선택의 가변 저항 소자에 소망하지 않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일정 이상이 되면 순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고, 또, 역방향 바이어스가 일정 이상이 되면 역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파이크 신호를 정의 구형파 펄스와 부의 삼각파 펄스에 근사하여, 그 결과, 1개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대한 STDP의 기재를 실시하기 때문에 4개의 정 전위의 드라이버(122, 124, 132, 134)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스파이크 신호를 1개의 정의 구형파 펄스와, 1개의 부의 구형파 펄스와, 1개의 부의 삼각파 펄스로 근사하는 경우, 행 라인에 인가하는 구동 신호(Vpre)는, 3개의 정 전위의 드라이버의 정의 펄스 신호의 합성이고, 열 라인에 인가하는 구동 신호(Vpost)는, 3개의 정 전위의 드라이버의 정의 펄스 신호의 합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ㆍ 변경이 가능하다.
100: 시냅스 어레이 장치
110: 크로스바 어레이
120: 행 선택/구동 회로
122: 행_정 부분 드라이버
124: 행_부 부분 드라이버
126: 가산기
130: 열 선택/구동 회로
132: 열_정 부분 드라이버
134: 열_부 부분 드라이버
136: 가산기
140: 제어부
150: 입출력부

Claims (10)

  1. 바이폴라 타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에 대한 STDP의 기재 방법에 있어서,
    정 전위를 이용한 제1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2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3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정 전위를 이용한 제4 드라이버에 의해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4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1 구동 신호를,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하고, 제3 전압 신호와 제4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하는
    기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 신호는, 세트 또는 리셋의 기재 전압이고,
    제2 구동 신호는, 리셋 또는 세트의 기재 전압인
    기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STDP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차분인
    기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는, 정의 펄스 신호인
    기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전압 신호는, 정의 구형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2 전압 신호는, 정의 삼각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3 전압 신호는, 정의 구형파의 펄스 신호이고,
    제4 전압 신호는, 정의 삼각파의 펄스 신호인
    기재 방법.
  6. 바이폴라 타입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크로스바 어레이와,
    상기 크로스바 어레이의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에 대한 기재를 실시하는 기재 수단
    을 가지고,
    상기 기재 수단은,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 정 전위의 제1 및 제2 드라이버와,
    타방의 단자에 접속된 정 전위의 제3 및 제4 드라이버
    를 포함하고,
    제1 드라이버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드라이버는,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드라이버는,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정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3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제4 드라이버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제4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재 수단은,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1 구동 신호를,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인가하고, 제3 전압 신호와 제4 전압 신호를 가산한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인가하는
    시냅스 어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구동 신호는, 세트 또는 리셋의 기재 전압이고,
    제2 구동 신호는, 리셋 또는 세트의 기재 전압인
    시냅스 어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STDP는, 시냅스 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와, 시냅스 후 신경원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신호의 차분인
    시냅스 어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형 메모리 소자가, 셀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냅스 어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디바이스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인
    시냅스 어레이 장치.
KR1020210068583A 2020-06-11 2021-05-27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 KR102575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1399 2020-06-11
JP2020101399A JP6899024B1 (ja) 2020-06-11 2020-06-11 抵抗変化型シナプスア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730A true KR20210154730A (ko) 2021-12-21
KR102575847B1 KR102575847B1 (ko) 2023-09-07

Family

ID=7665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583A KR102575847B1 (ko) 2020-06-11 2021-05-27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0373A1 (ko)
JP (1) JP6899024B1 (ko)
KR (1) KR102575847B1 (ko)
CN (1) CN113807161A (ko)
TW (1) TWI787813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43A (ko) * 2017-04-19 2018-10-29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저항 변화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20190041924A (ko) * 2017-10-13 2019-04-23 난테로 인크. 저항 변화 소자 어레이의 저항 변화 소자에 액세스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0010B2 (en) * 2009-05-21 2012-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learning synapse with spike-timing dependent plasticity using unipolar memory-switching elements
US8433665B2 (en) * 2010-07-07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three-memristor synapse with STDP and dopamine signaling
US8510239B2 (en) * 2010-10-29 2013-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cognitive synaptic computing circuits with crossbar arrays spatially in a staggered pattern
CN102918600B (zh) * 2011-05-31 2014-11-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阻变化型非易失性存储装置
CN102496385B (zh) * 2011-12-26 2014-04-16 电子科技大学 一种脉冲时序活动性转换电路
CN103430186A (zh) * 2012-01-20 2013-12-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神经网络电路的学习方法
WO2013111200A1 (ja) * 2012-01-23 2013-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回路の学習方法
US9418333B2 (en) * 2013-06-10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apse array, pulse shaper circuit and neuromorphic system
US10650308B2 (en) * 2015-09-23 2020-05-12 Politecnico Di Milano Electronic neuromorphic system, synaptic circuit with resistive switching memory and method of performing spike-timing dependent plasticity
US10268949B2 (en) * 2016-03-21 2019-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ficial neuron apparatus
WO2017174527A1 (de) * 2016-04-07 2017-10-12 Helmholtz-Zentrum Dresden - Rossendorf E. V. Verfahren und mittel zum betrieb eines komplementären analogen rekonfigurierbaren memristiven widerstandsschalters sowie dessen verwendung als künstliche synapse
JP6481667B2 (ja) * 2016-07-20 2019-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回路
US11263521B2 (en) * 2016-08-30 2022-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 control of learning rate for RPU devices for deep neural network training
CN106845634B (zh) * 2016-12-28 2018-12-14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忆阻器件的神经元电路
US11620500B2 (en) * 2018-01-11 2023-04-04 Winbond Electronics Corp. Synapse system and synapse method to realize STDP operation
CN109034379B (zh) * 2018-10-12 2024-02-27 南京邮电大学 一种由类脑器件忆阻器搭建的神经元及神经元电路
CN110163365A (zh) * 2019-05-29 2019-08-23 北京科易达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应用于忆阻器突触阵列的脉冲神经元电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43A (ko) * 2017-04-19 2018-10-29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저항 변화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20190041924A (ko) * 2017-10-13 2019-04-23 난테로 인크. 저항 변화 소자 어레이의 저항 변화 소자에 액세스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07161A (zh) 2021-12-17
KR102575847B1 (ko) 2023-09-07
TW202147183A (zh) 2021-12-16
TWI787813B (zh) 2022-12-21
JP2021197191A (ja) 2021-12-27
JP6899024B1 (ja) 2021-07-07
US20210390373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25345B (zh) 使用非易失性存储器单元的乘法
US10643705B2 (en) Configurable precision neural network with differential binary non-volatile memory cell structure
CN110782027B (zh) 用于人工神经网络的差分非易失性存储器单元
US10528643B1 (en) Vector-matrix multiplication using non-volatile memory cells
US11157803B2 (en) Neuromorphic device including a synapse having a variable resistor and a tran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JP6956191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を用いた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演算回路
US11188825B2 (en) Mixed-precision deep-learning with multi-memristive devices
US11443172B2 (en) Synapse array of neuromorphic device including synapses having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1620505B2 (en) Neuromorphic package devices and neuromorphic computing systems
KR102313075B1 (ko) 인공 뉴런 및 멤리스터를 갖는 장치
KR20150034900A (ko) 뉴런 회로들을 연결하는 시냅스 회로, 뉴로모픽 회로를 구성하는 단위 셀 및 뉴로모픽 회로
US11321608B2 (en) Synapse memory cell driver
KR20170080431A (ko) 뉴로모픽 소자 및 뉴로모픽 소자의 저항 변화율을 조절하는 방법
US20220138546A1 (en) Expandable neuromorphic circuit
US11170852B1 (en) Cross-bar arrays having steering element with diode
KR102575847B1 (ko) 스파이크 타이밍 의존 가역성의 기재 방법 및 시냅스 어레이 장치
US20220147796A1 (en) Circuit and method for spike time dependent plasticity
JP7150787B2 (ja) 抵抗変化型クロスバーアレイ装置
JP6968941B1 (ja) 抵抗変化型クロスバーアレイ装置
US20230306245A1 (en) Programming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US20170193364A1 (en) Learning method for synapses of a neuromorphic device
KR102610430B1 (ko) 이진 신경망 및 그 동작 방법
KR102656337B1 (ko) 삼항 정밀도 xor 논리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