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971A -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971A
KR20210153971A KR1020200070995A KR20200070995A KR20210153971A KR 20210153971 A KR20210153971 A KR 20210153971A KR 1020200070995 A KR1020200070995 A KR 1020200070995A KR 20200070995 A KR20200070995 A KR 20200070995A KR 20210153971 A KR20210153971 A KR 2021015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alarm unit
door
alarm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재
Original Assignee
최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재 filed Critical 최원재
Priority to KR102020007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971A/ko
Publication of KR2021015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업용 택시가 정차한 후 승객이 하차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 후방에서 따라오는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주행체가 개방되는 차량의 도어와 충돌하여 피해나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은, 지불버튼(311), 빈차버튼(312), 주행버튼(313)을 구비하는 택시미터기(310)와,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와, 1차 알람부(350)와 2차 알람부(326)로 구성된 승객하차알람 유닛(320)과, 상기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승객하차알람 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350)는 상기 지불버튼(311)의 푸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325)는 승객이 하차를 위해 도어 록을 해제하였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325)의 구동 해제는 상기 빈차버튼(312)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313)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동실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Passenger getting off alarm system for commercial taxis and the Passenger getting off alarm method}
본 발명은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영업용 택시가 정차한 후 승객이 하차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 후방에서 따라오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주행체가 개방되는 차량의 도어와 충돌하여 피해나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업용 택시는 도어를 회전시켜 개방하기 때문에 승객 하차시 도어 개방을 미쳐 인지하지 못한 후방의 주행체(오토바이, 자전저 등)가 그대로 직진하여 개방되는 도어와 추돌하거나 하차 승객과 추돌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한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752894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752894호의 공보에 개시된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차량의 운행상태, 요금 결제, 승객의 승하차여부, 도어의 개폐 또는 좌우회전신호 중 어느 하나를 차량의 계기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반(110) 및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반의 제어신호에 따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표시하는 인디케이터(200)를 구비한다.
상기 인디케이터(200)는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는 디지트론(220) 및 상기 디지트론의 좌우측에 구비되어 점멸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LED모듈(21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반(110)은 승객 하차시 상기 디지트론에 하차중이라는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LED모듈은 점멸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트론에 하차중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는 동안에는 차량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결제 후 빈차버튼을 누르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빈차표시부(130)와 키입력부(120)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조작키와 차량용 계기판의 여러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고 각 키에 입력된 신호는 제어반(110)으로 입력된다.
또, 후방에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140)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제어반(110)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순간에 센서부(140)를 통하여 물체의 접근을 탐지하면 스피커(15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은, 디지트론(220)에 하차중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는 동안에는 차량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결제 후 빈차버튼을 누르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정차 중임에도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지 않으면 승객이 하차하고 싶어도 스스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제어 및 설치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75289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하차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설치 비용으로 효율적인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은, 지불버튼, 빈차버튼, 주행버튼을 구비하는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1차 알람부와 2차 알람부로 구성된 승객하차알람 유닛과, 상기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승객하차알람 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는 상기 지불버튼의 푸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는 승객이 하차를 위해 직접 도어 록을 해제하였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 및 2차 알람부의 구동 해제는 상기 빈차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은 불루투스 모듈을 개재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는 문자 또는 램프 출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는 경고음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지불버튼, 빈차버튼, 주행버튼을 구비하는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1차 알람부와 2차 알람부로 구성된 승객하차알람 유닛과, 상기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승객하차알람 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진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방법은, 상기 지불버튼을 푸시하여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빈차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구동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가 지불버튼의 푸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는 승객이 하차를 위해 직접 도어 록을 해제하였을 때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의 구동 해제는 상기 빈차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동실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 하차시 운전자가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동작 제어과정을 종래와 비교하여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승객이 하차를 위해 도어를 개방하는 행위와 연동하여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구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하차 행위와 일치하는 알람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은 설치 및 제어 과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를 차량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승객하차알람유닛을 차량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300)은 도 3과 같이 택시미터기(310), 승객하차알람 유닛(320), 중앙처리장치(330), 도어개폐 감지센서(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택시미터기(310)는 승객의 요금정산을 위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였을 때 푸시하는 지불버튼(311)과 승객이 하차한 후 택시미터기를 리셋 상태로하는 빈차버튼(312)과 택시미터기의 구동을 복귀시키기 위해 푸시하는 주행버튼(313)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도어개폐 감지센서(340)는 승객이 도어 손잡이를 당겨 도어와 차량의 록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측 손잡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승객하차알람 유닛(320)은 문자 출력부(321)와 램프 출력부(322)로 이루어진 1차 알람부(350)와 2차 알람부를 구성하는 경고음 출력부(325)로 이루어진다.
차량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380)와 연결된 중앙처리장치(330)는 불루투스 모듈(390)을 개재하여 승객하차알람 유닛(320)과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유선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350)는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였을 때 문자 출력부(321)과 램프 출력부(322)를 통하여 영업용 택시의 후방에 접근한 주행체(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운전자에게 승객이 하차 예정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불버튼(311)을 푸시함과 동시에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상태에서 탑승한 승객이 요금을 정산한 후 하차하기 위하여 스스로 도어 손잡이를 잡아당겨 도어와 차량 본체의 록을 해제하면 도어개폐 감지센서(340)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330)에 신호를 전송하면 중앙처리장치는 2차 알람부를 구성하는 경고음 출력부(225)를 구동하여 영업용 택시의 후방에 접근한 주행체의 운전자에게 승객이 도어를 개방하여 하차하고 있음을 알린다.
상기 1차 및 2차 알람부는 리셋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유지g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2차 알람부가 구동되는 순간에 1차 알람부는 자동으로 구동이 중지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350)의 구동 중 운전자의 판단이나 승객의 요구에 따라 하차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는 상기 빈차버튼(312) 또는 주행버튼(313)을 푸시하면 자동으로 그 구동이 중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를 구성하는 경고음 출력부(325)의 구동 해제는 상기 빈차버튼(312)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313)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동실행된다.
상기 1차 알람부는 후방 주행체의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후방 차유리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우측에 배치하고, 2차 알람부는 경고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피커가 차량의 후방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1차 알람부(350)는 영업용 택시의 운전자가 지불버튼(311)을 푸시하면 구동되지만 2차 알람부를 구성하는 경고음 출력부(325)는 승객의 행위 즉, 승객이 손잡이 도어를 잡아당겨 도어를 오픈하는 순간에 정확히 맞추어 구동되므로 후방 주행체의 운전자가 위험성 감지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일 운전자의 주도만으로 1차 알람과 2차 알람이 이루어지는 경우 승객이 하차하는 동작의 지연이 발생할 때 후방 주행체의 운전자에게 2차 알람의 신뢰성을 심어줄 수 없게되고,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2차 알람을 무시하게 될 우려가 있어 오히려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업용 택시에 승객이 승차(S100)하면 빈차에서 택시미터기의 주행버튼(313)을 푸시하고, 승객의 하차 목적지까지 운행한다(S200).
이어서,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한 후 요금정산을 위해 지불버튼(311)을 운전자가 푸시하였는지를 중앙처리장치(330)가 판단(S300)한다.
지불버튼(311)이 푸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아 주행 중인것으로 판단하고, 지불버튼(311)이 푸시되면 승객하차알람 유닛(320)의 1차 알람부(350)를 구성하는 문자 출력부(321)와 램프 출력부(322)를 통하여 하차중 표시(S400)와 램프 점멸(S500)을 통하여 영업용 택시의 후방에 있는 주행체(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운전자에게 승객이 하차 준비 중에 있음을 알람한다.
이어서, 중앙처리장치(330)는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승객이 도어 손잡이를 잡아당겨 도어와 차량 본체의 록을 해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600)한다.
도어 록이 해제된 경우에는 2차 알람을 구성하는 경고음 출력부(325)를 통하여 부져음을 출력(S700)함으로써 후방의 주행체 운전자에게 승객이 하차하고 있음을 2차 알람한다. 도어 록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 록이 해제될 때까지 1차 알람부를 구동한다.
이어서, 2차 알람이 이루어진 후 중앙처리장치(330)는 승객이 영업용 택시에서 하차하고 도어를 다시 닫았는지 여부를 도어개폐 감지센서(340)의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S800)한다. 도어가 다시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중앙차리장치(330)는 자동으로 2차 알람을 해제하여 리셋(S900)시킨다. 2차 알람의 리셋은 도어의 폐쇄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운전자가 빈차버튼(312) 또는 주행버튼(313)을 푸시(S850)하여 온(ON)으로함으로써 강제 리셋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예시된 도면 구조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는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300 -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310 - 택시미터기
311 - 지불버튼
312 - 빈차버튼
313 - 주행버튼
320 - 승객하차알람 유닛
321 - 문자 출력부
322 - 램프 출력부
325 - 경고음 출력부(2차 알람부)
330 - 중앙처리장치
340 - 도어개폐 감지센서
350 - 1차 알람부
380 - 전원부
390 - 불루투스 모듈

Claims (4)

  1. 지불버튼, 빈차버튼, 주행버튼을 구비하는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1차 알람부와 2차 알람부로 구성된 승객하차알람 유닛과, 상기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승객하차알람 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는 상기 지불버튼의 푸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는 승객이 하차를 위해 도어 록을 해제하였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 및 2차 알람부의 구동 해제는 상기 빈차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은 불루투스 모듈을 개재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는 문자 또는 램프 출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는 경고음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4. 지불버튼, 빈차버튼, 주행버튼을 구비하는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1차 알람부와 2차 알람부로 구성된 승객하차알람 유닛과, 상기 택시미터기와 도어개폐 감지센서와 승객하차알람 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진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방법은, 상기 지불버튼을 푸시하여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1차 알람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에 따라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2차 알람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빈차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주행버튼의 푸시 신호, 상기 도어 록이 해제된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개폐 감지센서의 도어 폐쇄 감지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객하차알람 유닛의 구동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방법.
KR1020200070995A 2020-06-11 2020-06-11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KR20210153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95A KR20210153971A (ko) 2020-06-11 2020-06-11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95A KR20210153971A (ko) 2020-06-11 2020-06-11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971A true KR20210153971A (ko) 2021-12-20

Family

ID=7903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95A KR20210153971A (ko) 2020-06-11 2020-06-11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9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94B1 (ko) 2016-12-23 2017-06-30 이인규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94B1 (ko) 2016-12-23 2017-06-30 이인규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2354B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JP6000704B2 (ja) 景観照明による搭乗者保護装置及びその方法
JP7208040B2 (ja) 車両制御装置
JP2014024368A (ja) 緊急退避支援装置
EP3578435B1 (en) Rail-mounted vehicle having passenger emergency escape roof hatch
WO2005102792A1 (fr) Systeme anticollision pour l'ouverture de porte de vehicule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1981A (ko)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20210153971A (ko) 영업용 택시의 승객하차알람 시스템 및 승객하차알람 방법
US20080036578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related program
JP2002225560A (ja) 車両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050086107A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1752894B1 (ko) 승하차시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611926B1 (ko)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JP2020097850A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54821A (ko) 차량 도어 충돌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97067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EP4151466B1 (en) Road vehicle emitting a warning signal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warning signal
KR102425632B1 (ko)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0140497Y1 (ko) 자동차의 하차시 충돌위험 방지장치
JP7345007B1 (ja) 制御装置
JPH0312782Y2 (ko)
KR200270308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JPH0572533U (ja) 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