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618A - 점적 센서 - Google Patents

점적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618A
KR20210151618A KR1020200068690A KR20200068690A KR20210151618A KR 20210151618 A KR20210151618 A KR 20210151618A KR 1020200068690 A KR1020200068690 A KR 1020200068690A KR 20200068690 A KR20200068690 A KR 20200068690A KR 20210151618 A KR20210151618 A KR 20210151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
flow rate
drip
infusion
drop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585B1 (ko
Inventor
이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빛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빛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빛엠디
Priority to KR102020006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85B1/ko
Priority to PCT/KR2020/017011 priority patent/WO2021246593A1/ko
Publication of KR2021015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2Mounting brackets, arm 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통(210)에 떨어지는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점적통(210)에 부착되었을 때, 부착된 위치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37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적 센서(300)에 관한 것으로, 제1 파지부(311)가 형성된 제1 몸체(310); 상기 제2 파지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31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몸체(320); 상기 제1, 2 몸체(310, 320)를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탄성체(3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는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320)에는 발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가 구비되어 있는 점적감지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310)의 제1l 파지부(311)의 상부에는 상기 점적통(210)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37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적 센서{Drip Sensor}
본 발명은 수액세트에 구비된 점적통의 내부에서 떨어지는 수액 점적(drip)의 유량 또는 주기를 측정하는 점적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적통에 떨어지는 수액 점적(drip)의 유량 또는 주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점적통에 부착되었을 때, 부착된 위치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적 센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수액세트(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백(10)을 연결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을 목표 유량으로 투여하기 위한 의료 기구로서, 수액백(10)으로부터 수액이 유입되도록 하고 수액이 점적(21a, drip, 단위: gtt) 형태로 주기적으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점적통(21)과 상기 점적통(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액을 주사바늘(23)로 흐르게 하는 튜브(22)와 상기 튜브(22)의 단부에 설치한 주사바늘(23)과 상기 튜브(22)의 중간에 장착되어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수액세트(20)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은 점적통(21)의 내부에서 단위 시간당(일반적으로 1분당) 낙하하는 점적(21a)의 수(점적 속도)를 점적의 주기 등으로부터 계측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점적 수(점적 속도)에 점적의 부피를 곱하여 단위 시간당 투여되는 수액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액은 환자에에 처방된 치료약제 중의 하나이므로, 처방된 유량만큼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임상 현장에서 수액세트(20)로 투약되는 수액의 유량은 수액백(10)과 주사바늘(23) 사이의 높이 차를 나타내는 수위차(H), 수액 온도, 환자의 상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변하므로, 실제 유량은 대부분의 경우 유량조절기(24)에 표기된 눈금과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유량조절기(24)의 눈금은 참고만 하고, 유량조절기(24)를 조금씩 변경하며 눈으로 점적의 주기를 관찰하면서 시행착오(Trial & Error)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위와 같은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통상적인 수액세트를 사용하여 정확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액유량 조절장치를 개발하였다(등록특허 제10-2024936).
도 2에 도시한 수액유량 조절장치(100)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점적통(210)에 점적 센서(300)를 부착하고, 유량조절기(300)를 상기 수액유량 조절장치(10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액유량 조절장치(100)에서 목표 유량을 입력하면, 상기 수액유량 조절장치(100)는 유량조절기(30)의 다이얼을 임의의 초기 회전위치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점적 센서(300)로 점적통(210) 내에서 낙하하는 수액 점적(d)의 주기를 측정하여 수액 유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목표 유량에 대응되는 유량조절기(30)의 회전 위치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액유량 조절장치(100)는 파악된 목표 회전위치로 유량조절기(30)의 다이얼을 회전시켜 수액이 환자에게 처방된 목표 유량으로 투약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상기 수액유량 조절장치(100)는 환자에게 투약되는 수액의 유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400)를 설치하여 투약되는 수액의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도 2에 나타난 수액유량 조절장치(100)는 유량조절기(300)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처방된 수액 유량으로 환자에게 투약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에서 점적통(210)에 낙하하는 점적의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3에는 점적통(210)에 장착되는 종래의 점적 센서(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점적 센서(300)는 중공형이나 집게형 또는 점적통(210)의 측면에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C 형상 또는 U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요홈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는 점적통(210)의 측면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C형상 또는 U형상의 점적 센서(300)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는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가 탄성스프링(260)을 매개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3에서처럼 제1 몸체(310)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안내공(311)에 제2 몸체(320)에 형성된 안내돌기(321)가 끼워진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2 몸체(310, 320)에는 상기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 형상의 제1, 2 파지부(311, 321)가 형성되어 있다.
점적 센서(300)에는 점적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는 점적감지부(330)와 수액백(10) 또는 점적통(2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감지부(340)가 형성되어 있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점적감지부(330)의 일 실시예에는 점적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몸체(320)에 발광소자(331)와 수광소자(332)를 포함하고 있고, 발광소자(331)에서 조사되는 광은 점적통(210)을 관통하여 수광소자(332)로 감지되게 한다.
여기서 광은 적외선, 레이저빔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점적통(2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점적(d)에 의해 발광소자(331)의 광이 교란되어 수광소자(332)에서 그 광의 차이를 감지하여 점적(212)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점적의 주기 및/또는 점적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는 점적통(2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도 3에서는 ‘C’자형 또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집게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난 모션감지부(340)의 일 실시예는 점적통(2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2몸체(320)에 형성되어 있다. 점적통(210)이 설치된 수액백(10)은 3축 방향의 가속도 및 각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도록 스탠드(500)의 걸이부(510)에 매달려 있으므로, 모션감지부(340)는 3축 가속도계; 또는 3축 가속도계와 자이로 센서로 구성되어 3축 가속도, 각가속도 및 기울기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적감지부(330)와 모션감지부(340)로부터 측정한 신호들은 연산제어부(350)에서 연산을 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액유량 조절장치(100) 또는 모니터링 장치(400)에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는 연산제어부(350)가 발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와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산제어부(350)는 발광소자(331), 수광소자(332) 및 모션감지부(340)와 연결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를 연산한 후에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100) 또는 모니터링 장치(4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산제어부(350)는 점적 센서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100) 또는 모니터링 장치(40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난 종래의 점적 센서(300)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에서는 상기 도 3에 나타난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점적 센서(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몸체(310, 320)에 각각 형성된 제1, 2 파지부(311, 321)를 이용하여 상기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한다.
하지만, 통상의 점적통(210)은 원통 형상의 구조이고, 하부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경우도 있어, 처음 부착된 위치에서 아래로 미끄러져 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센서(300)에 센서 케이블(39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및/또는 환자가 이동하면서 점적통(210)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더 많은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점적 센서(300)가 점적통(210)에 부착된 위치에서 미끄러지게 되면 점적통(2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점적(d)의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의 수액이 채워져 있는 부분까지 점적 센서(300)가 미끄러지게 되면 점적통(210)의 내부로 낙하하는 점적(d)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까지 발생하여, 수액유량 조절장치(100) 또는 모니터링 장치(40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24936호(2019.11.04. 공고)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점적통에 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는 점적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는, 제1 파지부(311)가 형성된 제1 몸체(310)와, 상기 제2 파지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31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몸체(320) 및 상기 제1, 2 몸체(310, 320)를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탄성체(36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는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320)에는 발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가 구비되어 있는 점적감지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310)의 제1l 파지부(311)의 상부에는 상기 점적통(210)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3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370)는 상기 제1 파지부(311)의 상부에 도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71) 및 상기 연장부(37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372)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372)는 점적통(210)의 상부에 결합된 스파이크 확장부(212)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는, 미끄럼방지부(37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 점적통(210)에 미끄러짐 없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점적통(2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는, 점적통이 흔들리거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점적통(210)의 초기 부착 위치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운동 등을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나타난 점적 센서(300)는 점적통(210)에 부착된 일정한 위치에서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액유량 조절장치(100) 또는 수액유량 모니터링 장치(400) 등의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통상적인 수액세트 상태도.
도 2. 수액유량 조절장치 및 종래의 점적 센서가 구비된 수액세트 상태도.
도 3. 종래의 점적 센서 단면도.
도 4. 점적통(210)에 부착된 종래의 점적 센서
(a) 점적 센서의 초기 부착 상태 (b) 점적 센서가 미끄러진 상태
도 5. 본 발명에 따른 점적 센서의 사시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점적 센서의 단면도
(a) 평면도 (b) 정면도
도 7. 점적통(210)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
도 8. 수액유량 조절장치 및 본 발명의 점적 센서가 구비된 수액세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4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점적 센서가 점적통(210)에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의 상부에는 통상 스파이크(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크(211)의 일단은 수액백(10)과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적통(210)과 스파이크(211)는 통상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데, 결합 및 점적통(210)의 밀폐가 용이하도록 상기 스파이크(211)의 타단에는 상기 점적통(210)의 상단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스파이크 확장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211)의 일단이 상기 수액백(10)과 연결되면, 상기 수액백(10) 내부의 수액은 상기 스파이크(211)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점적통(210)의 내부로 점적(d)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낙하하게 된다. 점적통(210)의 내부에는 일정 높이까지 수액이 채워지고, 낙하하는 점적(d)의 유량만큼 환자에게 투약된다. 이 때, 투약되는 수액의 유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세트(200)에 구비된 유량조절기(240)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종래의 점적 센서(300)는 상기 점적통(210)의 내부로 낙하하는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측정하고, 수액유량 조절장치(100) 또는 수액유량 모니터링 장치(400) 등에 수액 유량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점적 센서(300)는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체(360)에 의한 탄성력으로 점적통(210)의 측면에 끼워져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부착된 시간이 길어지거나 환자의 이동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점적통(210)의 요동에 의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 센서(300)가 점적통(210)에 부착된 초기 위치에서 아래로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점적통(210)은 하부로 경사져 있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점적통(210)에 부착된 점적 센서(300)는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기 쉽게 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 센서(300)가 점적통(210)의 하부로 미끄러져 내리면 측정 위치가 변하여 수액 점적(d)의 주기 등을 측정할 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의 내부에 차 있는 수액 위치까지 미끄러지게 되면, 낙하하는 수액 점적(d)을 측정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에 끼워져 부착되었을 때, 점적통(210)에서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구성된 점적 센서(300)를 발명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는 종래의 점적 센서와 마찬가지로 제1 몸체(310)와 상기 제1 몸체(310)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2 몸체(320) 및 상기 제1, 2 몸체(310, 320)의 탄성적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 몸체(310, 320)를 연결시키는 탄성체(3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2 몸체(310, 320)에는 각각 종래의 점적 센서(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 형태로 형성된 제1, 2 파지부(311, 3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몸체(310, 320)에는 각각 안내공(312)과 상기 안내공(312)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된 안내돌기(32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공(312)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2 몸체(310, 320)가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발생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 2 몸체(310, 320)의 전면에는 각각 램프용 장공(313)과 상기 램프용 장공(313)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된 작동표시 램프(32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작동표시 램프(323)의 작동을 통하여 점적 센서(300)의 작동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몸체(320)에는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점적 센서 케이블(390)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32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몸체(320)에는 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가 구비되어 있는 점적감지부(33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모션감지부(340) 및 연산제어부(350)도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그 구성은 앞서 살펴본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점적 센서(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점적 센서(300)가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로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점적통(210)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몸체(310)에 상기 점적통(210)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37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37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311)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371) 및 상기 연장부(37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37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점적 센서(300)가 상기 점적통(210)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연장부(37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0)의 상부 측면과 접하거나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걸림부(372)는 상기 점적통(210) 상부의 스파이크 확장부(212)가 걸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71)와 걸림부(3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적합한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걸림부(372)는 상기 스파이크 확장부(212)의 상하 방향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372)가 상기 스파이크 확장부(212)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점적 센서(300)의 초기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 점적통(210)으로부터 작은 범위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과 같이 상기 걸림부(272)가 상기 스파이크 확장부(212)의 상부와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상대운동이 발생할 수 없으므로, 점적 센서(300)는 부착된 초기 위치로부터 큰 차이는 발생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로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하여 점적통(210)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미끄럼 방지부(370)의 걸림부(372)에 상기 스파이크 확장부(212)가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제1, 2 파지부(311, 321)의 파지 위치를 선택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를 점적통(210)에 결합시키면, 점적 센서(300)는 제1, 2 파지부(311, 321)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점적통(210)에 부착되고, 상기 스파이크 확장부(212)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370)의 걸림부(372)가 걸리게 되어 2차적으로 점적통(210)과의 상대이동이 제한되므로, 점적 센서(300)는 점적통(210)에 부착된 초기 위치 부근에서 수액 점적(d)의 유량 또는 주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종래의 점적 센서에서와 같이 수액을 점적(d)을 측정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세트(200)에 본 발명의 점적 센서(300)를 부착할 경우에는, 보다 정확하게 수액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수액유량 조절장치(100) 또는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400)의 정확도를 보다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액백 100 : 수액유량 자동조절장치
200 : 수액세트 210 : 점적통 211 : 스파이크
212 : 스파이크 확장부 220 : 튜브 230 : 주사바늘
240 : 유량조절기 250 : 롤러 클램프 300 : 점적 센서
310 : 제1 몸체 311 : 제1 파지부 312 : 안내공
313 : 램프용 장공 320 : 제2 몸체 321 : 제2 파지부
322 : 안내돌기 323 : 작동표시 램프 324 : 케이블 연결부
330 : 점적감지부 331 : 발광소자 332 : 수광소자
340 : 모션감지부 350 : 연산제어부
360 : 탄성체 370 : 미끄럼 방지부 371 : 연장부
372 : 걸림부 390 : 점적 센서 케이블 400 : 모니터링 모듈
500 : 스탠드 510 : 걸이부 d : 점적

Claims (2)

  1. 제1 파지부(311)가 형성된 제1 몸체(310); 상기 제2 파지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31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몸체(320); 상기 제1, 2 몸체(310, 320)를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탄성체(360)를 포함하는 점적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1, 2 파지부(311, 321)는 점적통(2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320)에는 발광소자(331) 및 수광소자(332)가 구비되어 있는 점적감지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310)의 제1l 파지부(311)의 상부에는 상기 점적통(210)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3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370)는 상기 제1 파지부(311)의 상부에 도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71) 및 상기 연장부(37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372)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372)는 점적통(210)의 상부에 결합된 스파이크 확장부(212)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 센서.
KR1020200068690A 2020-06-06 2020-06-06 점적 센서 KR10257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90A KR102576585B1 (ko) 2020-06-06 2020-06-06 점적 센서
PCT/KR2020/017011 WO2021246593A1 (ko) 2020-06-06 2020-11-26 점적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90A KR102576585B1 (ko) 2020-06-06 2020-06-06 점적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618A true KR20210151618A (ko) 2021-12-14
KR102576585B1 KR102576585B1 (ko) 2023-09-08

Family

ID=7883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90A KR102576585B1 (ko) 2020-06-06 2020-06-06 점적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6585B1 (ko)
WO (1) WO2021246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3001B (zh) * 2022-04-18 2023-02-24 成都熙晟医疗科技有限公司 输液监测仪的输液管控制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46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KR102024936B1 (ko) 2016-08-03 2019-11-04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 조절장치
KR20200055282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수액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8944A1 (ja) * 2013-01-31 2014-08-07 テルモ株式会社 点滴プローブと点滴プローブを備える輸液ポンプ
WO2017033947A1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流体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936B1 (ko) 2016-08-03 2019-11-04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 조절장치
KR20190030446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KR20200055282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수액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585B1 (ko) 2023-09-08
WO2021246593A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69B1 (ko)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KR100655524B1 (ko) 정맥주사 세트용 용적흐름측정장치
US10300197B2 (en) Dropping rate measuring device, dropping rate controller, drip infusion device, and liquid droplet volume measuring device
JP7061463B2 (ja) Ivフロ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964022B (zh) 输液监控装置
JP6469633B2 (ja) 輸液モニタリング装置
KR101978413B1 (ko)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KR20210151618A (ko) 점적 센서
KR101532613B1 (ko) 정맥내 수액유량 자동 조절장치
KR101727229B1 (ko)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WO2018026179A1 (ko) 수액유량 모니터링장치
BR112020015989A2 (pt) Dispositivo para assistir no uso de um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produto líquido
KR101962632B1 (ko) 수액 모니터링 장치
US11486755B2 (en) Float-based fluid level indicator for surgical cassette
JP2011206082A (ja) 点滴計測用センサおよび点滴計測装置
JP6628003B2 (ja) 液滴流量測定装置
KR20150022230A (ko) 점적 센서를 이용한 유량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펌프 및 검사기
BR112020016006A2 (pt) Método de monitoramento de distribuição de um dispositivo de gotícula e de assistência
JPH02286175A (ja) 点滴流量制御装置
CN210644757U (zh) 一种输液器流速检测装置
CN213667282U (zh) 输液测速装置
KR20240046472A (ko)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JPH059555U (ja) 点滴容器の液位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