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13B1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8413B1 KR101978413B1 KR1020170117896A KR20170117896A KR101978413B1 KR 101978413 B1 KR101978413 B1 KR 101978413B1 KR 1020170117896 A KR1020170117896 A KR 1020170117896A KR 20170117896 A KR20170117896 A KR 20170117896A KR 101978413 B1 KR101978413 B1 KR 101978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ping
- liquid
- groove
- main body
- inf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로부터 인출 고정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의 일부를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액점적통에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을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부측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수액점적통을 삽입 위치시키는 제1파지홈이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홈과 대응 위치에 제2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는 오목거울이 설치되고, 타면에는 적하되는 점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근접 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통한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포함되는 결합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제1파지홈과 같이 상기 수액점적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수액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을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부측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수액점적통을 삽입 위치시키는 제1파지홈이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홈과 대응 위치에 제2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는 오목거울이 설치되고, 타면에는 적하되는 점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근접 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통한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포함되는 결합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제1파지홈과 같이 상기 수액점적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수액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움직임 등의 외력에 의한 수액점적통의 흔들림에도 정확하게 점적을 감지하고, 그 수액 주입속도를 측정하여 처방에 따른 규정된 수액 주입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인체에 수액이 과다 내지 과소투여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액점적통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수액, 약물 또는 혈액을 인체에 공급을 위해 정맥 속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주입하는 정맥 주사 요법이 사용된다.
상기 정맥 주사 요법은 정맥 속에 직접 수액 등을 주입하므로 정확하고 빠른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정맥 주사 요법을 하기 위해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간호사가 수액용기, 수액점적통, 수액줄, 유량조절기, 주사바늘 등으로 구성된 수액세트를 사용하며, 환자의 정맥 속에 직접 주사바늘을 삽입한 후 처방에 따른 수액의 주입속도를 계산하고 수액세트의 유량조절기를 사용하여 직접 육안으로 수액의 주입속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간호사가 수동으로 직접 수액의 주입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환자의 정맥 속에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속도가 빠르면 수액이 과다하게 주입되고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수액의 주입속도가 느리면 수액이 부족하게 주입되어 수액의 효능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호사가 수동으로 조절함으로 인해 처방에 따라 수액의 주입속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우며 조절하는 사람에 따라 주입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수액의 잔여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의료진이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혈액, 약물 등을 환자에게 주입할 때도 동일하다.
따라서, 수액 등을 주입할 경우에는 처방에 따라 정확한 속도로 수액 등이 주입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1의 공개번호 제10-2015-0123875호(공개일 2015년11월04일)에는 전자기 방사선(EMR)을 방출할 수 있는 소스와, 검출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검출기와, 상기 소스 및 상기 검출기가 상기 점적 챔버를 가로질러 광로를 규정하도록 상기 소스 및 상기 검출기를 상기 점적 챔버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 주위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디바이스 본체로서, 상기 소스와 상기 검출기 사이의 유체는 EMR이 상기 광로를 따라 트래블링하는 것을 억제하는, 상기 디바이스 본체 및 작용들을 수행하는 지시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작용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지체 시간에 의해 시간적으로(temporally) 분리된 복수의 검출기 신호 값들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유체 액적을 검출하는 것 및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점적 인자에 기초하여 유체의 유량을 결정하고 복수의 유체 액적들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점적 챔버가 캐비티 내에 위치 결정되는 때에, 클립의 장력 또는 스프링력이 점적챔버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첨부하는 안정화를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파형 신호값이 장기적인 변화에 민감하지 않게 반응되어 보다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러율이 대폭 상승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적 챔버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고정함에 있어서, 스프링력 만으로는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탈의 위험성이 있으며, 수액백의 이동에 대응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로부터 인출 고정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의 일부를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액점적통에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수액백간에 수평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수액백의 흔들림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체를 수액점적통에 보다 확실히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을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부측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수액점적통을 삽입 위치시키는 제1파지홈이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홈과 대응 위치에 제2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는 오목거울이 설치되고, 타면에는 적하되는 점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근접 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통한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포함되는 결합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제1파지홈과 같이 상기 수액점적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수액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파지부에는, 내부 공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상에 밀착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파지홈과 근접하여 상면 상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파지부는, 하면에는 상기 결합블록이 결합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어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제2지지면과,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 상기 오목거울이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기 제2파지부의 이탈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돌기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공간부에는 판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제1파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파지홈과 상기 제2파지홈의 테두리에는 파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수액백간에 상호 고정을 위하여 수평고정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수평고정수단은, 클립과, 상기 클립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프링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는, 파지부재를 통해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수액점적통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규정된 수액 주입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파지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파지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파지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는, 수액점적통(도 5에 도시:30)에 고정 장착되어 수액점적관(도 5에 도시:20 )에서 적하되는 점적(도 5에 도시:32)을 감지하여 수액의 주입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본체(100)로부터 인출되어 수액점적통(30)에 고정되는 파지부재(200)와, 파지부재(200)에 설치되는 광원(510)과 오목거울(500), 센서(520)와,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이고, 내부 공간의 하부측에는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120)가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20)는 바람직하게 건전지가 사용되고, 건전지의 교체를 위하여 본체(100)의 후면에 전원교체용커버(1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센서(520)로부터 점적(32)을 감지하여 생성된 신호를 수신받아 수액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을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130)가 설치되고, 제어부(130)에서 산출한 수액의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이 표시되도록 본체(100) 전면에 표시부(140)이 설치되어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 등에게 수액이 주입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 내측으로는 금형 제작시 일체로 삽입공간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삽입공간부(150)는 일정 크기를 가지고서 구획되어 있어서 파지부재(200)가 삽입 위치되어 있다가 인출되는 장소로 일측방이 개방되어 있다.
파지부재(200)는, 삽입공간부(150)에 삽입 위치되어 개방된 일측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30)을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켜서 점적(32)을 감지하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파지부재(200)는, 제1파지부(210)와, 제1파지부(2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제2파지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파지부(210)는 역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육면체로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고, 개방부의 반대측 내부 공간 일면에 열십자 형태의 제1지지면(211)이 돌출 형성되며, 제1지지면(211)에는 스프링(212)이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212)은 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스프링 또는 공/유압스프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파지부(210)의 외측면 즉, 내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면(211)의 외측으로는 돌출된 손잡이(213)가 더 형성되어 인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중앙측에 일방 즉, 커버(300)측을 향하도록 개방 형성되어 수액점적통(30)을 삽입 위치시키는 제1파지홈(2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파지홈(214)은 "∩" 형태이고, 수액점적통(30)의 지름 보다는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어 수액점적통(30)이 억지끼워지게 된다.
또한, 제1파지홈(214)의 테두리에는 파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드(214a)가 구조물간의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214a)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일 수 있다.
또한, 제1파지홈(214)과 근접하여 상면 상에 일정 크기로 천공된 가이드홈(215)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파지부(220)의 돌기턱(225)이 위치될 수 있다.
또, 가이드홈(215)과 근접하여 개방된 일측면 상에 걸림턱(216)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걸림턱(216)과 대응되는 삽입공간부(150)에 양단이 고정되어 호 형태로 돌출된 판스프링(160)이 설치되어 걸림턱(216)과의 구름 접촉으로 이탈을 저지하여 제1파지부(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파지부(220)는, 제1파지부(210)보다는 작게 제작되어 제1파지부(210)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삽입시 제1파지홈(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파지홈(222)이 형성된다.
제2파지홈(222) 역시 "∩" 형태이고, 수액점적통(30)의 지름 보다는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어 수액점적통(30)이 억지끼워지게 된다.
또, 제2파지홈(222)의 테두리에는 파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드(222a)가 구조물간의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파지홈(222)의 일면에는 일정 깊이의 삽입홈(223)이 형성되어 오목거울(500)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파지홈(222)과 근접하는 하면에 결합부(224)를 형성하며, 이 결합부(224)에는 광원(510)과 센서(520)가 설치되는 결합블록(230)이 부착 설치되는 곳이다.
결합블록(230)은, 사각의 블록 형태로 돌출된 반원홈(231a)(231b)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지고, 한 쌍의 반원홈(231a)(231b) 사이에 홈(23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224)에는 칸막이와 같은 돌출된 칸막이(224a)가 돌출 형성되어 홈(232)에 억지끼워지게 되고, 결합부(224)에도 대응되는 반원홈 형상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결합블록(230)의 설치 시, 반원홈(231a)(231b)에 센서(520)와 광원(510)의 설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센서(520)와 광원(510)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반원홈(231a)(231b)의 일면은 삽입홈(223)을 중심으로 하여 180°이내의 범위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마주하는 오목거울(500)을 향하도록 형성하였다.
즉, 센서(520)와 광원(510)이 오목거울(500)을 마주하여 유효입사범위에 해당하는 각도를 가지는 반원홈(231a)(231b)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파지부(220)에는 제1파지부(210)를 향한 삽입 설치 시 제1지지면(211)과 대응하여 열십자로 돌출된 제2지지면(221)이 형성되어 제1지지면(211)과 제2지지면(221)의 사이에 스프링(21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파지부(220)의 상면상에는 가이드홈(215)에 위치되어 스프링(212) 의 압축 및 신장 시 제2파지부(220)의 이탈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돌기턱(225)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파지홈(222)에 설치되는 오목거울(500)과, 결합블록(230)에 설치되는 광원(510)과 센서(5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광원(510)은 적하되는 점적(32)에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LED 등과 같이 빛을 생성하여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빛의 세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거울(500)은, 광원(510) 내지 점적(32)을 투과한 빛을 굴절하여 반사시키면서 집광하기 위해 반사면이 오목한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는 조도센서 등과 같이 빛을 검출하여 그 빛의 양에 따라 출력신호를 가변할 수 있어야 하며, 오목거울(50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원(510)의 빛을 입사받기 위한 광섬유와, 광섬유로부터 전달된 광원(510)의 빛을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원(510) 및 센서(520)는 수액점적통(30)의 지름방향으로부터 외측의 일측에 위치되고, 오목거울(500)은 제2파지부(220)의 타측 삽입홈(223)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원(510)은 적하되는 점적(32)을 적어도 일부분을 투과하면서 조사하도록 하고, 센서(520)는 광원(510)과 이격되어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광원(510)은 수액점적통(3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은 오목거울(500)에 의해 반사 및 집광되어 센서(520)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본체의 전면에는 탈, 장착 가능한 커버(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덧붙여, 본체(100)와 수액백(10)간에 상호 고정을 위하여 수평고정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수평고정수단은 수액백(10)에 고정되는 클립(400)과, 본체(100)에 돌출 형성된 고리(170)에 설치되는 스프링줄(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줄(410) 대신에 스트랩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작용은, 도 4a와 도 4b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수액점적통(30)에 고정 장착되어 수액점적관(20)에서 적하되는 점적(32)을 감지하여 수액의 주입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 위치된 손잡이(213)를 잡고 측방으로 당기면, 제1파지부(210)와 제2파지부(220)로 구성되는 파지부재(200)가 일방향으로 인출된다.
인출 정도는 적어도 제1, 2파지홈(210)(222)이 노출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제1파지부(210)의 걸림턱(216)이 삽입공간부(150)의 판스프링(160)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인출을 제한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수액백(10)로부터 수액점적관(20)으로 이어지는 수액점적통(30)에 제1, 2파지홈(210)(222)이 억지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제1지지면(211)과 제2지지면(221)의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212)이 어느 정도 압축되어 신장력에 의하여 제2지지면(221)을 후퇴시킨 상태 즉, 돌기턱(225)이 가이드홈(215)의 후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1파지홈(214)으로부터 도 4a의 점선과 같이 제2파지홈(222)이 어느 정도 돌출로 중첩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시 말해, 도 4a에서는 제1파지홈(214)로부터 제2파지홈(222)에서 오목거울(500)이 설치된 삽입홈(223)측이 돌출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파지홈(210)(222)에 수액점적통(30)을 억지끼우게 되면, 중첩되어 있던 제2파지홈(222)을 일측으로 밀게 되고, 스프링(212)을 더욱 압축된 상태로 수액점적통(30)을 압축 고정하게 된다.
수액점적통(30)이 해제되면, 스프링(212)이 다시 신장되어 제2파지부(220)가 원위치되어 돌기턱(225)이 가이드홈(215)의 후측에 다시 위치하게 된다.
이때, 패드(214a)(222a)가 고정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수평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위치고정수단이 이용되며, 클립(400)이 수액백(10)에 고정되고, 연결된 스프링줄(410)이 고리(170)에 연결되어 상호 연결을 하게 되어, 일측의 파지부재(200)로 하여 본체(100)의 무게 중심을 수평으로 맞추어 정확한 주입속도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액점적통(30)을 포함하여 근접 위치된 삽입홈(223)상의 오목거울(500)과 대향 위치에 있는 결합블록(230) 상의 광원(510)과 센서(520)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이 과다 및 과소 투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액의 주입속도를 측정하여 수액의 투여량을 확인할 수 있고 환자에게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었을 시 경고음을 알려 의료진이 수액의 주입과정을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혈관손상 및 시간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파지부재를 통해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수액점적통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규정된 수액 주입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수액백 20 : 수액점적관
30 : 수액점적통 32 : 점적
100 : 본체 110 : 전원교체용커버
120 : 전원공급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150 : 삽입공간부
160 : 판스프링 170 : 고리
200 : 파지부재 210, 220 : 제1, 2 파지부
211, 221 : 제1, 2지지면 212 : 스프링
213 : 손잡이 214, 222 : 제1, 2 파지홈
215 : 가이드홈 216 : 걸림턱
223 : 삽입홈 224 : 결합부
224a : 칸막이 225 : 돌기턱
230 : 결합블록 232 : 홈
300 : 커버 400 : 클립
410 : 스프링줄 500 : 오목거울
510 : 광원 520 : 센서
30 : 수액점적통 32 : 점적
100 : 본체 110 : 전원교체용커버
120 : 전원공급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150 : 삽입공간부
160 : 판스프링 170 : 고리
200 : 파지부재 210, 220 : 제1, 2 파지부
211, 221 : 제1, 2지지면 212 : 스프링
213 : 손잡이 214, 222 : 제1, 2 파지홈
215 : 가이드홈 216 : 걸림턱
223 : 삽입홈 224 : 결합부
224a : 칸막이 225 : 돌기턱
230 : 결합블록 232 : 홈
300 : 커버 400 : 클립
410 : 스프링줄 500 : 오목거울
510 : 광원 520 : 센서
Claims (5)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수액점적통을 내측에 포함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부측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수액점적통을 삽입 위치시키는 제1파지홈이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파지홈과 대응 위치에 제2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는 오목거울이 설치되고, 타면에는 적하되는 점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근접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통한 빛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포함되는 결합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제1파지홈과 같이 상기 수액점적통을 고정함과 동시에 수액 주입속도 및 수액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제2파지부와,
상기 본체와 수액백간에 상호 고정을 위하여 수평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고정수단은,
클립과,
상기 클립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프링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에는,
내부 공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상에 밀착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파지홈과 근접하여 상면 상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파지부는,
하면에는 상기 결합블록이 결합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면과 대응되어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제2지지면과,
상기 제2파지홈의 일면에 상기 오목거울이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기 제2파지부의 이탈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돌기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부에는 판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제1파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홈과 상기 제2파지홈의 테두리에는 파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896A KR101978413B1 (ko) | 2017-09-14 | 2017-09-14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896A KR101978413B1 (ko) | 2017-09-14 | 2017-09-14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446A KR20190030446A (ko) | 2019-03-22 |
KR101978413B1 true KR101978413B1 (ko) | 2019-05-14 |
Family
ID=6594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7896A KR101978413B1 (ko) | 2017-09-14 | 2017-09-14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84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300B1 (ko) | 2019-08-07 | 2020-02-21 | 서민지 | 수액점적통 고정장치 |
KR102119041B1 (ko) | 2019-08-16 | 2020-06-04 | 윤건우 | 수액점적통 고정 홀더 |
WO2021246593A1 (ko) * | 2020-06-06 | 2021-12-09 | 주식회사 한빛엠디 | 점적 센서 |
KR20220063947A (ko) | 2020-11-11 | 2022-05-1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용 수액 주입량 확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17440B (zh) * | 2020-01-16 | 2024-10-08 | 盐城金沃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替换尺寸规格的输液滴斗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27939A1 (en) * | 2008-03-06 | 2009-09-10 | T3M | Drop counter |
WO2014118944A1 (ja) * | 2013-01-31 | 2014-08-07 | テルモ株式会社 | 点滴プローブと点滴プローブを備える輸液ポンプ |
KR101727229B1 (ko) * | 2016-01-28 | 2017-04-20 |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30974A1 (en) | 2013-02-25 | 2014-08-28 | Shift Labs, Inc.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delivery of fluids through a drip chamber |
-
2017
- 2017-09-14 KR KR1020170117896A patent/KR1019784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27939A1 (en) * | 2008-03-06 | 2009-09-10 | T3M | Drop counter |
WO2014118944A1 (ja) * | 2013-01-31 | 2014-08-07 | テルモ株式会社 | 点滴プローブと点滴プローブを備える輸液ポンプ |
KR101727229B1 (ko) * | 2016-01-28 | 2017-04-20 | 주식회사 메디유케어 |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300B1 (ko) | 2019-08-07 | 2020-02-21 | 서민지 | 수액점적통 고정장치 |
KR102119041B1 (ko) | 2019-08-16 | 2020-06-04 | 윤건우 | 수액점적통 고정 홀더 |
WO2021246593A1 (ko) * | 2020-06-06 | 2021-12-09 | 주식회사 한빛엠디 | 점적 센서 |
KR20220063947A (ko) | 2020-11-11 | 2022-05-1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의료용 수액 주입량 확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446A (ko) | 2019-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8413B1 (ko) | 수액주입 모니터링장치 | |
JP7055432B2 (ja) | 注射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 | |
KR100922839B1 (ko) |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4378014A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intravenous fluid | |
JP6469633B2 (ja) | 輸液モニタリング装置 | |
WO2014115597A1 (ja) | 点滴速度測定器 | |
AU2004241880B2 (en) | Disposable syringe | |
JPH0416186B2 (ko) | ||
EP39602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etting internal fluid path surfaces of a fluid port to increase ultrasonic signal transmission | |
KR101727229B1 (ko) |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 |
US20230236055A1 (en) | Priming Valve to Induce Appropriate Pressure and Flow Profile and Improve Sensor Readiness | |
KR20230009485A (ko) | 광-보조된 정렬 및 조준을 갖는 안구용 제약 적용기 | |
BR112020015989A2 (pt) | Dispositivo para assistir no uso de um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produto líquido | |
KR101622157B1 (ko) | 수액측정기 및 그 제어방법 | |
BR112020016009A2 (pt) | Dispositivo para assistir no uso de um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com ativação axial | |
KR20200123136A (ko) | 주입 라인 시스템 | |
CN110141724B (zh) | 一种输液器滴壶的滴速监测装置 | |
KR20150022230A (ko) | 점적 센서를 이용한 유량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펌프 및 검사기 | |
JP2013226212A (ja) | 点滴検知装置 | |
KR101398255B1 (ko) | 수액주입세트에 직접 연결되는 수액주입 속도 측정장치 | |
KR20210151618A (ko) | 점적 센서 | |
JP2024520640A (ja) | 自動調整式ivスタンド | |
KR20200072954A (ko) | 수액 모니터링 장치 | |
CN213667282U (zh) | 输液测速装置 | |
KR102247273B1 (ko) | 수액 자동 조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