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472A -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472A
KR20240046472A KR1020240043467A KR20240043467A KR20240046472A KR 20240046472 A KR20240046472 A KR 20240046472A KR 1020240043467 A KR1020240043467 A KR 1020240043467A KR 20240043467 A KR20240043467 A KR 20240043467A KR 20240046472 A KR20240046472 A KR 2024004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jection
information
sap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이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호 filed Critical 이의호
Priority to KR102024004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472A/ko
Publication of KR2024004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09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matching patient with his treatment, e.g. to improve transfusion secur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각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잔여 주입 시간을 판단하여 표시하고, 주입 종료 임박 시점에 간호사 및 간병인 등에게 주입 종료 임박을 알리고, 주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Notification system for completion of fluid infusion}
본 발명은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각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잔여 주입 시간을 판단하여 표시하고, 주입 종료 임박 시점에 간호사 및 간병인 등에게 주입 종료 임박을 알리고, 주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액 주입은 병원에서 환자에게 약물을 투입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주입 준비 시점부터 주입 종료 및 교체 시점까지 간호사가 직접 관리를 해오고 있다.
주입이 종료되었음에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환자의 피가 역류할 가능성이 있어 주입 종료 전에 간호사의 적절한 조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한 명의 간호사가 관리하는 환자의 수가 다수이고 이로 인해 각 환자마다 주입 종료 시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간호사 한 개인의 판단만으로 빠짐없이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주입 중 환자들의 부주의로 인해 수액 주입 관이 빠지거나 막히는 경우 또는 꼬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922839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환자에게 주사할 수액이 담겨진 수액저장용기의 외부에 설치된 고정 걸이를 걸어 고정하는 걸이대와 상기 수액저장용기의 입구측에 삽입된 수액용 이송비닐판을 포함하는 수액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저장용기가 고정 걸이대에 걸릴 경우 걸이대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마이콤을 이용하여 수액용기의 단위시간당 무게변화를 측정해서 주입속도를 산출하여 설정 치보다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주사되는 것을 경보하게 하며, 주사투입완료 예정시간을 산출하며, 그 용기의 무게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경우 알림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주사량 감시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수액의 잔류량을 산출하고 경보를 울리는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수액 주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호자가 병실 내에 상주하거나 간호사가 수액 주입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922839호(2009.10.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액 주입 종료 알림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주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환자에게 주입되는 상기 수액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수액 측정 장치; 상기 수액 측정 장치에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와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알림을 받는 단말을 포함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액 측정 장치는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주입 감지 정보를 받아 잔여 주입 시간 및 정상 주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수액 하단으로 이어지는 점적 챔버 외측에 구비되고,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상기 점적 챔버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 쌍 이상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수액의 낙하 여부 및 낙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바늘과 연결된 주입관 입구에 구비되고 색 변화를 감지하는 색 변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측정 장치는 상기 수액 측정 장치 내측을 통과하는 주입관의 양 측에서 주입관을 압박하는 캠 및 상기 캠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캠 조절부를 포함하여 수액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수액의 포장 용기의 고유 입력번호와 상기 수액이 투입되는 환자의 고유번호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과 일치하는지 미리 입력된 처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수액의 주입 여부와 주입 빈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액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정보가 단말 및 표시부에 제공될 수 있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이하게 잔여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입 속도 및 잔여시간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면서 주입 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단말을 통해 원격에서도 수액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다 더 정확하게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액이 필요 없는 환자에게 주입되거나 환자에게 처방전과 다른 수액이 환자에게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은 환자에게 직접 가보지 않아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수액 측정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 4a,4b는 수액 측정 장치가 수액 장치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5b는 수액 측정 장치에 두 쌍의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수액 측정 장치에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a,7b는 수액 측정 장치에 설치된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의 캠이 주입관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 및 압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이 색 변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단말에 수액 측정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표시부에 수액 측정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수액 장치는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수액 용기(10), 점적 챔버(20), 주입관(30), 주입량 수동 조절기(40), 바늘(50) 및 거치대(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용기(10)는 수액이 담기는 용기로서 유리의 재질로 구성된 병의 형태일 수 있고, PVC 재질로 구성된 팩의 형태일 수 있다.
점적 챔버(20)는 수액 용기(10)에서 주입되는 수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적 챔버(20)는 주입구(21), 배출구(22), 수액 주입침(23)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21)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관의 형태로 점적 챔버(20) 상부에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주입구(21)를 통해 수액이 점적 챔버(20) 내측으로 주입될 수 있다.
배출구(22)는 점적 챔버(20) 하부에 구비되어 수액이 점적 챔버(2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주입침(23)은 주입구(21)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는 끝단이 경사를 가지는 뾰족한 관으로, 밀봉되어 있는 수액 용기(10) 입구를 관통하여 수액이 주입구(21)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입관(30)은 점적 챔버(20)의 배출구(22)와 연결되어 수액이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주입량 수동 조절기(40)는 주입관(30)의 외측에 구비되어 수액 주입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주입량 수동 조절기(40)는 조절기 본체(41) 및 롤러(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기 본체(41)는 내부 공간으로 주입관(30)이 관통할 수 있고, 양 내측면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여지고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42)는 조절기 본체(41) 내측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어 조절기 본체(41)를 관통하는 주입관(30)을 압박하여 수액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늘(50)은 환자의 혈관에 삽입될 수 있고, 바늘(50)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액이 환자의 혈관 내로 주입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일정 높이를 가지고 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갈고리 형태의 고리를 구비하여 수액 용기(10)를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상기 일반적인 수액 장치 구성을 기초로 일부 변경 또는 추가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발명으로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수액 측정 장치(100), 서버(200), 표시부(300) 및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측정 장치(100)는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수액 측정 장치(100)는 점적 챔버(20) 내부로 주입되는 수액을 낙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로부터 수액에 대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액 측정 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수액에 대한 정보는 수액 주입여부, 주입 속도, 잔량 및 잔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주입여부는 수액이 수액 용기(10)로부터 점적 챔버(20) 내부로 주입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수액 용기(10)로부터 점적 챔버(20) 내부로 수액이 주입되면 주입관(30)으로부터 환자의 혈액으로 주입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입 속도는 수액이 환자의 혈관으로 단위 시간당 얼마만큼으로 주입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잔량은 수액 용기(10)에 남아 있는 수액 양에 관한 것이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수액 측정 장치(1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수액 측정 장치(100)로부터 판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수액 측정 장치(100)는 고유번호를 가져 이로써 서버(200)에서 구분될 수 있고, 수액 측정 장치(100)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는 각 고유번호에 해당되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할 수 있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맥스(Wimax), WCDMA(광대역 분할 다중접속), LTE(롱텀에볼루션)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이하에서 말하는 무선 통신 방식도 위와 같은 방법일 수 있다.
표시부(300)는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아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수액을 관리하는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상주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정보는 각 수액이 주입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와 주입되는 수액의 종류 및 용량, 잔량과 잔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환자의 신상 정보는 성명과 나이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200)에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주입되는 수액의 종류 및 용량 또한 환자에게 주입하기 이전에 미리 서버(200)에 입력될 수 있다.
수액 잔량은 ml로 표시될 수 있고 "잔량 300ml" 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잔여시간은 시간과 분으로 표시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잔여시간 1시간 37분"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400)은 서버(200)에 접속되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고, 주입 종료 일정 시간 이전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단말(400)은 스마트폰, PC, 노트북, PDA 또는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용 단말(400)일 수 있고, 상기 단말(400)은 서버(2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웹페이지 접속을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와 주입되는 수액의 종류, 용량, 잔량 및 종료까지 잔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400)은 휴대 가능하고 또한, 근거리 통신이 아닌 WCDMA나 LTE와 같은 통신 사업자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서버(200)에서부터 원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서버(200)는 수액 측정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수액 주입 종료가 임박된 시점에 이르면 단말(4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임박 시점은 미리 설정 가능하고, 서버(200)에 복수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주입 종료 10분 전", "주입 종료 5분 전", "주입 종료 1분 전", "주입 종료"와 같이 단말(400)에 표시되도록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수액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정보가 단말 및 표시부에 제공될 수 있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수액 측정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액 측정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액 주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무게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변화를 통해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광원을 이용하여 수액 물방울로부터 반사된 광원의 반사 신호 수신을 통해 수액의 주입을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수액이 수액 주입침(23)으로부터 점적 챔버(20) 내부에 주입되어 점적 챔버(20) 내부에 존재하는 수액 표면에 낙하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센서부(110)로부터 주입 감지 정보를 수신 받아 잔여 주입 시간 및 정상 주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잔여 주입 시간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어부(120)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먼저, 점적 챔버(20)로 주입되는 수액은 물방울 형태로 낙하될 수 있고, 하나의 물방울 형태로 이루어진 수액은 부피가 균일할 수 있다.
서버(200)에 의해 미리 입력된 수액의 용량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20)에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되는 수액 물방울의 일정 시간당 낙하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수액 물방울의 단위 시간당 낙하 빈도에 수액 물방울 당 부피를 곱하면 단위 시간당 낙하하는 수액 물방울의 부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액의 초기 용량을 단위 시간당 낙하하는 수액 물방울로 나누면 종료까지 잔여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L의 수액이 환자에게 주입되는 경우에 제어부(120)에서 잔여시간이 도출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액의 낙하 빈도는 gtt 단위를 사용할 수 있고, gtt는 1분에 떨어지는 물방울 수를 말한다.
하나의 물방울을 0.067ml로 가정하고 14gtt로 주입되는 경우,
0.067ml x 14/min = 0.938ml/min으로,
1분에 0.938ml의 수액이 주입될 수 있다.
14gtt의 일정한 속도로 주입된다면 종료까지 잔여시간은,
1000ml 0.938ml/분 1066분 (약 17.7시간) 이다.
주입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주입 속도는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주입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잔여시간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잔여시간은 초기 용량에서 이미 주입된 수액 양을 제외하고 남은 용량을 판단할 수 있고, 남은 용량으로부터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어 변화되는 잔여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부와 제어부를 통해 용이하게 잔여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상 주입 여부는 센서부(110)를 통해 무게 변화가 감지되는지 또는 수액 물방울이 낙하하는지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아 수액 주입 속도, 잔량 및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고 수액 측정 장치(10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액 측정 장치(100)는 고정 클립(1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클립(150)은 수액 측정 장치(100)가 거치대(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4b는 수액 측정 장치가 수액 장치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4b를 참조하면 센서부(110)는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1)는 점적 챔버(20) 외측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방출되는 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일 수 있으나, 병실 내부에 존재하는 형광등 태양광 등의 광원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는 700nm~1mm 파장의 적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부(112)는 점적 챔버(20) 외측 상기 발광부(111)와 마주 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발광부(111)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점적 챔버(20)에서 수액이 발광부(111)와 수광부(112)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부(111)로부터 방출된 빛이 그대로 수광부(112)로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부(111)와 수광부(112) 사이에 수액이 존재하는 경우, 즉 점적 챔버(20)의 주입구(21)를 통해 주입되는 수액 물방울이 발광부(111)와 수광부(112) 사이를 통과하는 순간에는 발광부(111)에서 방출된 빛이 수액 물방울을 통과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수광부(112)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광부(112)에 빛이 일정 시간 단절되는 것으로부터 수액 물방울이 점적 챔버(20) 내부로 낙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수액의 주입 여부와 주입 빈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a,5b는 수액 측정 장치에 두 쌍의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센서부(110)는 두 개 이상의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하는 센서부(110)가 수액의 주입 여부와 주입 빈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도 4a,4b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경우에 발휘될 수 있는 효과로서, 특수한 경우에까지는 적용될 수 없다.
한 쌍의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만을 포함하는 센서부(110)는 수액 물방울이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 사이를 통과하기만 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든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든 그 방향은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수액 용기(10)를 거치하고 있는 거치대(60)가 넘어지는 등의 이유로 수액 용기(10)가 뒤집어진 상태로 점적 챔버(20)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액이 낙하하더라도 한 쌍의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만으로 이루어진 센서부(110)는 정상 주입되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센서부(110)는 도 5a,5b에서와 같이 점적 챔버(20)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는 두 쌍 이상의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어 낙하하는 방향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정상 주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서 센서부(110)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액이 낙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여, 서버(200)는 표시부(300)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단말(400)에 알림을 표시하게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더 정확하게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수액 측정 장치에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a,7b는 수액 측정 장치에 설치된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의 캠이 주입관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 및 압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a,7b를 참조하면,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140)는 단위 시간당 주입되는 수액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수액 측정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주입 속도는 단위 시간당 주입되는 수액 주입량으로 정의한다.
작동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주입량 수동 조절기(40)와는 달리 주입 속도 정보가 입력되어 반자동으로 주입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140)는 캠(141) 및 캠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캠(141)은 주입관(30)의 양쪽 외측에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캠(141)은 모터(미도시)의 회전 축에 의해 전달되는 힘에 따라 회전 양쪽에서 주입관(30)을 압박할 수 있고, 주입관(30)을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주입관(30)을 내부를 통해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캠(141)이 주입관(30)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압박 할수록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 속도는 느려질 수 있고, 외측으로 회동하여 압박을 덜 할수록 수액의 주입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캠 조절부(142)는 수액 측정 장치(1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주입 속도 정보가 입력되어 캠(141)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캠 조절부(142)는 가속 버튼(142a)과 감속 버튼(142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 버튼(142a)은 수액 주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버튼이다.
감속 버튼(142b)은 수액 주입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는 버튼이다.
가속 버튼(142a)과 감속 버튼(142b)을 통해 캠(141)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주입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조절되는 정도에 따라 주입 속도 및 잔여시간은 디스플레이(13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면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캠 조절부(142)는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어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400)에 의해 주입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단말(4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주입 속도 조절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정보는 단말(400)로부터 서버(200)를 거쳐 제어부(120)로 전송이 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캠 조절부(142)가 캠(141)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주입 속도 및 잔여시간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면서 주입 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단말(400)을 통해 원격에서도 수액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리더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미도시)는 바코드로 된 정보를 입력 받아 제어부(120)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리더기(미도시)는 바코드 형태로 이루어진 환자의 정보 및 환자에게 주입될 수액에 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리더기(미도시)로부터 환자의 정보 및 환자에게 주입될 수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에는 의사가 처방한 해당 환자의 처방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200)는 미리 입력된 처방 정보를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정보 및 환자에게 주입될 수액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환자의 정보 또는 주입될 수액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를 통해 캠(141)을 최대한 주입관(30) 내측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수액이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상기 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을 표시부(300), 디스플레이(130), 단말(4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수액이 필요 없는 환자에게 주입되거나, 환자에게 처방전과 다른 수액이 환자에게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이 색 변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은 색 변화 감지 센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색 변화 감지 센서(70)는 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방출된 빛이 색상에 따라 반사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색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바늘(50)과 연결된 주입관(30)의 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수액 주입 압력보다 혈압이 높게 되면 바늘(50)을 통해 혈액이 역류될 수 있다.
수액이 주입되는 압력보다 혈압이 높은 경우는 수액 용기(10)보다 바늘(5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이거나 상측에 위치하지 않음에도 환자의 혈압이 높은 경우일 수 있다.
혈액이 역류하더라도 환자에게 통증이 발생하지 않아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역류 상태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한 후에는 이미 주입관(30)을 따라 혈액 상당량이 역류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늘(50)과 연결되는 주입관(30)에 색 변화 감지 센서(70)를 구비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무색 투명한 수액만이 주입관(30)을 통과하고 있지만, 혈액이 역류하기 시작하는 시점에는 무색 투명한 색에서 붉은 색으로 급격하게 변화되어 색 변화 감지 센서(7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색 변화 감지 센서(70)가 혈액의 역류를 감지하면, 제어부(120)가 이를 서버(200)에 전송하여 표시부(300)에 혈액 역류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단말(400)에 알림을 전송하여 즉시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단말에 수액 측정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4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환자의 신상 정보, 수액 주입 속도, 잔량, 잔여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단말(400)의 액정에 표시될 수 있다.
단말(400)의 액정에 표시되는 정보 외에도 수액 종료 임박을 알리는 메시지,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과 다른 수액의 바코드가 리더기(미도시)에 읽히는 경우 불일치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 혈액 역류를 알리는 메시지, 수액 측정 장치(100)에서 수액 주입이 비정상적으로 감지되는 경우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시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팝업 창의 형태로 단말(400)의 액정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은 환자에게 직접 가보지 않아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의 표시부에 수액 측정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부(300)에는 단말(400)에 표시되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400)에서 팝업 창의 형태로 표시되는 내용은 표시부(3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시 표시되는 내용 대신 표시되고 인지하지 쉽도록 점멸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어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빠른 시간 내에 인지하여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부(300)도 단말(400)과 유사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수액 용기
20 : 점적 챔버
21 : 주입구
22 : 배출구
23 : 수액 주입침
30 : 주입관
40 : 주입량 수동 조절기
41 : 조절기 본체
42 : 롤러
50 : 바늘
60 : 거치대
70 : 색 변화 감지 센서
100 : 수액 측정 장치
110 : 센서부
111 : 발광부
112 : 수광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
140 :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
141 : 캠
142 : 캠 조절부
142a : 가속 버튼
142b : 감속 버튼
150 : 고정 클립
200 : 서버
300 : 표시부
400 : 단말

Claims (2)

  1.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에게 주입되는 상기 수액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수액 측정 장치;
    상기 수액 측정 장치에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와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알림을 받는 단말 및
    바늘과 연결된 주입관 입구에 구비되고 색 변화를 감지하는 색 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 측정 장치는,
    수액의 주입 여부를 감지하고, 수액 하단으로 이어지는 점적 챔버 외측에 구비되며,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주입 감지 정보를 받아 잔여 주입 시간, 정상 주입 여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수액의 낙하 여부 및 낙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수액 측정 장치 외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수액 측정 장치 내측을 통과하는 주입관의 양 측에서 주입관을 압박하는 캠 및 상기 캠의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캠 조절부를 포함하여, 수액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 및
    상기 수액 측정 장치가 거치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수액을 관리하는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도록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상주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수액이 주입되는 환자의 신상정보, 주입되는 수액의 종류 및 용량, 잔량,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박 시점에 이르면 알림이 전송되며, 환자의 신상 정보, 수액 주입 속도, 잔량, 잔여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액정에 표시되고, 상기 액정에 표시되는 정보 외에 수액 종료 임박을 알리는 메시지,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과 다른 수액의 바코드가 리더기에 읽히는 경우 불일치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 혈액 역류를 알리는 메시지, 수액 측정 장치에서 수액 주입이 비정상적으로 감지되는 경우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시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팝업 창의 형태로 액정에 표시되며,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상기 점적 챔버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 쌍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액 측정 장치는,
    일측에 상기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 상기 센서부 및 점액챔버가 내장되고, 타측에 상기 고정 클립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액의 포장 용기의 고유 입력번호와 상기 수액이 투입되는 환자의 고유번호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과 일치하는지 미리 입력된 처방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주입량 반자동 조절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KR1020240043467A 2021-12-15 2024-03-29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KR20240046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3467A KR20240046472A (ko) 2021-12-15 2024-03-29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38A KR20230090882A (ko) 2021-12-15 2021-12-15 링거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KR1020240043467A KR20240046472A (ko) 2021-12-15 2024-03-29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38A Division KR20230090882A (ko) 2021-12-15 2021-12-15 링거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472A true KR20240046472A (ko) 2024-04-09

Family

ID=86989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38A KR20230090882A (ko) 2021-12-15 2021-12-15 링거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KR1020240043467A KR20240046472A (ko) 2021-12-15 2024-03-29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38A KR20230090882A (ko) 2021-12-15 2021-12-15 링거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908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39B1 (ko)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39B1 (ko)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882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7341B1 (en) Iv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5960642B (zh) 带图形用户界面的输液泵
JP6715761B2 (ja) 注入デバイス用高性能アダプタ
US10328200B2 (en) Multifunction capacitive sensor for medical pump
KR101230772B1 (ko) 자동 수액 조절 유닛 및 장치
CN106964022B (zh) 输液监控装置
CN107349487B (zh) 一种静脉输液监控设备和报警系统
KR102130529B1 (ko) 스마트 수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6472A (ko) 수액 종료 알림 시스템
EP2519289B1 (en) Infusion control device
KR20150072669A (ko) 링거 수액 관리시스템
JP2019177131A (ja) 流量監視装置、輸液装置及び異常報知方法
KR102367388B1 (ko) 유체 주입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9791B1 (ko)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20075A (ko) 수액방울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00020074A (ko) 수액 투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수액방울 검출 장치
KR102452982B1 (ko) 의료용 수액 주입량 확인장치
CN209500438U (zh) 一种具有输液纠错的智能医疗报警装置
JP2011147668A (ja) 点滴通信システム
TWI566797B (zh) Liquid transmission device and liquid transmission monitoring device
TW201701908A (zh) 滴落系統
KR20230017039A (ko)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KR20230017058A (ko) 수액 투여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09157A (ko) 스마트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