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039A -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039A
KR20230017039A KR1020210098766A KR20210098766A KR20230017039A KR 20230017039 A KR20230017039 A KR 20230017039A KR 1020210098766 A KR1020210098766 A KR 1020210098766A KR 20210098766 A KR20210098766 A KR 20210098766A KR 20230017039 A KR20230017039 A KR 2023001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usion
information
ringe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이치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이치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이치유
Priority to KR102021009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039A/ko
Publication of KR2023001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61M5/16845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93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by weighing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이하게 거치대에 수액백을 거치할 수 있고, 수액백에서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량을 간호사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액 투입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는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투여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이 수액 투여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Sap Dose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이하게 거치대에 수액백을 거치할 수 있고, 수액백에서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량을 간호사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액 투입량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용 약물주입펌프는 의사가 처방한 약물이 해당 환자에게 정확한 유량 및 속도로 투여 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형 의료기기로, 인퓨전 펌프, 시린지 펌프, PCA 장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약물주입펌프를 사용할 때는 처방 대상 환자에게, 의사 처방과 일치하는 약물을 처방량만큼 정확하게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환자오인실수, 약물선택실수, 기기설정실수, 기기구동오류 등에 의한 약물투여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 및 보고되고 있다. 특히, 부족한 간호 인력으로 인한 업무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인해 약물주입펌프 설정 실수(예를 들어, 30.0 ml/h를 300.0 ml/h로 설정하거나, 3.0 ml/h로 설정한 경우 과다투여로 인한 생명 위협 및 과소투여로 인한 치료효과가 저하 발생 가능)로 인한 약물투여 사고, 기기 설정은 정상적으로 되었으나 기기 자체의 마모, 노후화 및 기타 오동작으로 인해 설정값과 실제 출력값의 편차가 큰 경우(예를 들어, 30.0 ml/h로 설정되었는데 35.0 ml/h가 출력되는 경우 약물의 종류 및 환자 연령에 따라 치명적인 결과 발생 가능)에는 특히 노인환자 및 소아환자들의 경우 생명을 위협받을 수도 있다. 병원 내에서 이러한 약물투여 관련 사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병동, 응급실, 수술실 내 간호사실에서 개별 입원환자에게 사용 중인 다수 약물주입펌프의 구동상황(기기 설정상태 및 실제구동상태)을 상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상시 감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간호 인력이 수액백 교환을 위해 간헐적으로 환자를 방문했을 때 과다/과소 투여를 발견하거나 환자 및 보호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여 간호 인력에게 신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약물주입펌프 내에 약물별 투여 가이드라인 라이브러리를 자체 탑재하거나, 바코드 리더가 삽입되거나 병원 전산망(EMR)과 연동되는 구조의 스마트 약물주입펌프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미 수백 ~ 수천대의 기기를 보유, 운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에서 기존의 2~3배 가격의 새 장비들을 추가로 다량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고, 현장 간호 인력이 기존 기기와는 상이한 새 기기의 구동방식에 적응하는 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새로운 의료 사고의 발생 위험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 및 거부감 등의 문제로 인해 이러한 스마트 약물주입펌프가 실제 도입된 사례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수액백 내 약물의 주입상황 감시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드롭센서의 경우 대부분이 적외선 수신소자를 이용하거나, 멤스(MEMS)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유량센서를 IV 카테터에 삽입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적외선 방식의 경우 해당 소자들을 드립 챔버 외부에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부착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어, 수시로 수액백 및 IV 카테터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측정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수액백 및 IV 카테터를 교환할 때마다 센서를 탈부착시켜줘야 하는 현장 간호 인력의 불편함으로 인해 실제 현장 활용도가 높지 않다. 특히, 기존 드롭센서들의 경우 약물주입펌프 제조사에서 함께 제조,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해당 업체의 특정 약물주입펌프 모델을 써야만 상호 연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다수의 상이한 제품들을 섞어서 사용하는 국내 대형의료기관의 현실에서는 그 효용성이 매우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약물주입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액백으로부터 환자로 투약되는 투여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간이한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주입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액백으로부터 환자로 투약되는 약물의 투여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은 링거대와 수액백(Ringer's solution bag)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수액백의 중량에 따른 전기적 저항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저항정보를 네트워킹하여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RM유닛(resister measuring unit); 신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코드(code) 정보를 제시하는 아암 밴드(arm band); 상기 아암 밴드의 상기 코드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코드 리딩 유닛(code reading unit);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형성하며, i) 상기 코드 리딩 유닛으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ii) 상기 RM유닛으로부터 상기 저항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액백의 컨디션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RM유닛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공급하는 배터리부; 링거대와 상기 수액백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링거대를 기준으로 상기 수액백으로부터 제공되는 중량을 수용하는 후크 링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류를 수용하여, 상기 후크 링크부가 수용한 중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저항정보의 변화를 감지하는 저항 감지부; 및 상기 저항 감지부로부터 상기 저항정보의 변화를 제공받아,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 송부하는 저항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후크 링크부는, 상기 RM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거대에 거치되는 상부 링크부; 및 상기 RM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액백을 거치하는 하부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저항 감지부는, 소프트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여 소정의 저항을 구비하는 가압 전도부; 및 상호 대향하는 복수 개의 전도 가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도 가지 각각은 상호 병렬적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 전도부에 의해 가압되는 피압 도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 전도부는, 상기 하부 링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링크부에 거치된 상기 수액백의 중량에 의하여 하향 가압하게 되며, 상기 피압 도선부는, 상기 상부 링크부에 연결되어, 하향 가압하는 상기 가압 전도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볼록하게 상기 가압 전도부가 가압하여 상기 전도 가지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에 따라 상기 저항정보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코드 정보를 보유하는 스토리지 유닛; 상기 코드 리딩 유닛이 센싱한 상기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에 매칭된 코드 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아암 밴드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ID를 식별하는 코드정보 수신부; 상기 저항정보 송신부로부터 상기 저항정보를 수신하는 저항정보 수신부; 상기 저항정보 수신부로부터 상기 저항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저항정보를 시간의 추이에 따른 정보로 매핑하고, 상기 저항정보 중 정상정보와 이상정보를 세그멘팅(segmenting)하는 이상정보 감지부; 및 상기 이상정보 감지부로부터 상기 정상정보를 추출하여 수신하고, 상기 정상정보에 따른 상기 수액백의 교체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리니어 신호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이상정보 감지부는, 상기 저항정보를 상기 시간의 추이에 따라 좌표에 매핑하고,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을 산출하는 디퍼런시에이터(differenti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저항정보 수신부로부터 상기 저항정보를 제공받아, 스태디 시그널(steady signal)이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스태디 시그널을 디폴트 저항 정보로 설정하는 디폴트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니어 신호 추출부는, 상기 디퍼런시에이터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이 상수인 경우, 상기 디폴트 저항정보를 100%로 설정한 후, 상기 저항정보가 상기 디폴트 저항정보 대비 임계치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교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이상정보 감지부는, 상기 디퍼런시에이터로부터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이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변수(variable)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OS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이상정보 감지부는, 상기 디퍼런시에이터로부터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이 임계변화율 이하의 음의 상수이면, 과속 유출 상태임을 감지하는 SI 감지부; 상기 디퍼런시에이터로부터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이 양의 상수이면, 상기 수액백의 역류 상태임을 감지하는 PI감지부; 및 상기 디퍼런시에이터로부터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상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상기 저항정보 변화율이 0 이면, 상기 수액백으로부터의 흐름정지 상태임을 감지하는 FS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SI 감지부로부터 상기 과속 유출 상태임을 수신하거나, 상기 PI감지부로부터 상기 역류 상태임을 수신하거나, 상기 FS감지부로부터 상기 흐름정지상태임을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립하는 링거봉과, 수액백이 걸림되고 폴딩 동작과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링거봉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는 복수의 링거걸림살을 가지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링거걸림살에 걸림되는 제1 걸쇄부와 수액백이 결림되는 제2 걸쇄부를 가지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링거봉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수액백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항 감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상기 제1 걸쇄부는 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걸쇄부는 상기 수평부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저항 감지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상기 제1 걸쇄부는 상부에 형성된 걸쇄구와, 상기 걸쇄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저항 감지부가 수집한 압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저항정보 송신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는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투여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이 수액 투여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RM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의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의 저항 감지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이상정보 감지부의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 상의 화면을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정상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또 다른 정상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오버슈트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언더슈트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flat signal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steep incline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positive incline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링거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다른 관점에서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제1 걸쇄부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제2 걸쇄부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RM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의 하위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의 저항 감지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이상정보 감지부의 각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관리자 단말기 상의 화면을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정상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또 다른 정상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오버슈트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언더슈트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flat signal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steep incline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이 측정한 시간 대 질량비율의 비정상 중 positive incline이 발생된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즉, 환자가 투여받고자 하는 수액을 담은 수액백(Ringer's solution bag)의 진행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 하고 이렇게 모니터링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 예컨대, 간호사 등이 적시에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액백(10)의 무게 측정으로 통해, 수액백(10)의 교체 시기를 알려 주도록 하는 기술적인 시도들은 많았으나, 사실 기존의 기술들은 대부분 개념적인 접근에서만 그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적인 접근의 경우, 디테일한 완성도가 떨어져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양한 애로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
예컨대, 현실의 수액백(10)에서는 다양한 오차들과 비정상적인 정보들이 관찰됨에도 불구하고, 기존 특허정보에서의 시도들은 단순히 겉으로 맴도는 관념적인 접근만 존재하여, 이러한 실무적인 문제점에 대한 인식 자체가 결여되어 있었던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개념적인 접근만으로는 당연히 현장에 적용되기엔 큰 무리가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경우, RM유닛(resistor measuring unit, 100), 아암 밴드(arm band,201), 코드 리딩 유닛(code reading unit, 200), 및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RM유닛(100)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대(1)와 수액백(10)의 사이에 제공되어, 수액백(10)의 중량에 따른 전기적 저항정보를 획득하여, 저항정보를 네트워킹하여 외부의 단말기 예컨대, 모니터링 유닛(300)으로 송신하게 된다.
RM유닛(100)의 경우, 상부로는 링거대(1)가 존재하며, 그 하부로는 수액백(10)이 존재하여, RM유닛(100)의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수액백(10)에 의한 무게까지 수용하고, 이러한 무게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수액백(10)의 컨디션 즉, 잔여 용량을 파악하게 된다.
RM유닛(100)은 기존의 상용화된 로드셀이나, 전자저울과는 그 세부적인 기술적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큰 것으로서, 후술하기로 한다.
아암 밴드(201)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즉, 환자의 신체의 일부 예컨대, 팔목에 거치되어,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코드(code) 정보가 인쇄되어 외부로 제시하게 된다.
아암 밴드(201)가 제시하는 코드 정보의 경우, 일반적인 바 코드(bar code)나 QR코드(Quick Response code)일 수 있는데, 이러한 코드 정보를 인식하면, 인식된 코드 정보가 전송되어 현재 인식된 코드 정보에 따른 환자가 누구인지 인식되고, 이에 따라 RM유닛(100)의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면서, 모니터링 유닛(300)은 수액백(10)의 컨디션 정보의 모니터링을 개시(initiate)하게 된다.
위에서의 환자 정보는 환자의 개인적 신상 정보뿐만 아니라, 병의원에서 관리하는 환자의 질환 정보는 물론, 현재 어떠한 수액을 투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까지 반영될 수 있으며, 현재 RM유닛(100)이 인식한 수액백(10)의 컨디션정보 즉, 수액백(10)의 잔여 용량에 대한 정보가 환자 정보에 연동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코드 리딩 유닛(200)의 경우, 아암 밴드(201)의 코드 정보를 센싱하고, 이러한 코드 정보를 외부 단말기 즉, 모니터링 유닛(3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코드 리딩 유닛(200)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코드 리더기, 코드 스캐너 등의 제품을 활용하면 족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코드 리딩 유닛(200)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카메라 등을 통해서도 인식할 수 있는바, 그 유형적인 부분에서의 제한은 없다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RM유닛(100)과 네트워킹 하고, 코드 리딩 유닛(200)과도 네트워킹 하여, 코드 리딩 유닛(200)이 인식한 환자 정보에 대해, RM유닛(100)이 인식한 수액백(10)의 컨디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해당 수액백에 대한 컨디션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궁극적으로는 관리자 예컨대, 간호사 등이 해당 수액백(10)의 컨디션 정보를 관리자에게 할당된 관리자 단말기(50)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RM유닛(10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02), 후크 링크부(110), 저항 감지부(120), 및 저항정보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부(102)의 경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도록 하는, RM유닛(100)의 내장형 배터리의 일종이다.
배터리부(102)의 경우, 충전식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로서 용량은 최소 10,000mAh로 목표 사용기간은 약 1개월 내지 2개월로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부(102) 도 2에 따른 RM유닛(100)의 작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게 된다.
후크 링크부(11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대(1)와 수액백(10) 사이에 제공되어, 링거대(1)를 기준으로 수액백(10)으로부터 제공되는 중량을 수용하게 된다. 즉, 후크 링크부(110)는 위로는 링거대(1)에 매달리며, 아래로는 수액백(10)을 매달게 되어, 수액백(10)의 무게를 감내하고, 무게의 변화에 따른, 후술하게 되는 저항 감지부(120) 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불러오게 된다.
저항 감지부(120)의 경우, 배터리부(10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수용하여 후크 링크부(110)가 수용한 중량의 변화에 따라 전기적인 저항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저항 감지부(120)의 구체적인 기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저항정보 송신부(130)의 경우, 저항 감지부(120)가 감지한 전기적 저항정보를 모니터링 유닛(300)으로 송부하는 구성이다.
저항정보 송신부(130)의 경우, NB-IoT와 WiFi 모듈을 함께 사용하여 네트워킹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유기(40) 등을 매개로 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저항정보를 모니터링 유닛(300)으로 송부하게 된다.
도 2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링크부(110)의 경우, 상부 링크부(110a), 및 하부 링크부(11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부 링크부(11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RM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링거대(1)에 거치되는 구성이며, 하부 링크부(110b)는 수액백(10)을 거치하고 매달게 되는 구성이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감지부(120)는 가압 전도부(121)와 피압 도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전도부(121)의 경우, 소프트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여 소정의 전기적 저항을 구비하게 된다.
가압 전도부(121)의 경우,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향 볼록한 형상을 통해 피압 도선부(122)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 전도부(121)의 하향 볼록한 형상의 경우, 소프트 연질로 이루어지는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피압 도선부(122)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피압 도선부(122)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복수 개의 전도 가지(conductive branch)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전도 가지 각각은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어 대칭하게 마주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전도부(121)는 하향 볼록한 소프트 재질의 형상으로 피압 도선부(122)의 상호 마주보며, 병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전도가지 상면을 가압하며 덮게 되는데, 그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전도 가지를 상호 잇는 가지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압 도선부(122) 사이의 전기적 저항은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저항 정보가 변하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하부 링크부(110b)는 가압 전도부(121)에 연결되어 하향 가압하도록 하며, 상부 링크부(110a)는 피압 도선부(122)에 연결되어 하향되는 힘에 대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피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유닛(storage unit, 302), 코드정보 수신부(310), 저항정보 수신부(320), 이상정보 감지부(350), 및 리니어 신호 추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302)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환자 정보와, 환자 정보에 매칭되는 코드 정보 등을 저장 및 보유하게 된다.
코드정보 수신부(310)의 경우, 코드 리딩 유닛(200)이 센싱한 코드 정보 예컨대, 바코드나 QR코드의 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를 스토리지 유닛(302)으로부터 환자 정보에 매칭된 코드 정보와 대비하여, 현재 읽어들인 코드 정보의 환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도록 한다.
저항정보 수신부(32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저항정보 송신부(130)로부터의 저항정보를 수신하여, 이상정보 감지부(350)로 전달하게 된다.
이상정보 감지부(35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정보 수신부(320)로부터 RM유닛(100)이 측정한 저항정보를 제공받아, 저항정보를 수간의 추이에 따른 정보로 매핑(mapping)하게 되고 이렇게 매칭한 저항정보를 통해 정상정보(normal information)와 이상정보(abnormal information)를 세그멘팅(segmenting)하게 된다.
리니어 신호 추출부(340)의 경우, 이상정보 감지부(350)로부터 정상정보만을 추출하여 수신하고, 정상정보에 따른 수액백(10)의 교체신호의 발생여부 에 대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
먼저, 이상정보 감지부(35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런시에이터(differentiator, 3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퍼런시에이터(differentiator, 351)의 경우, 시간의 추이에 따라 저항정보를 좌표에 매핑(mapping)하고, 시간의 변화율에 따른 저항의 변화율을 산출하게 된다.
이 경우, 디퍼런시에이터(differentiator, 351)는 시간의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의 변화율에 있어서, 시간의 변화율의 폭을 0으로 수렴시킨 후, 시간의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의 변화율에 대한 상수 혹은 변수를 추출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디폴트 설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폴트 설정부(330)는 저항정보 수신부(320)로부터 저항정보를 제공받아, 스태디 시그널(steady signal)이 소정의 시간 예컨대, 3초 내지 5초 이하로 지속되면, 디폴트(default) 저항정보로 설정하게 되며, 이 경우, 리니어 신호 추출부(340)는 디퍼런시에이터(differentiator, 351)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인 경우, 디폴트 중량 정보를 100%로 설정한 후, 저항정보가 디폴트 저항정보 대비 임계치(Th) 이하가 되는 경우, 교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임계치는 수액백(10)의 교체가 필요한 중량 퍼센티지를 의미하는 것인바, 수액백(10)의 용량과 수액백(10) 저장된 수액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디폴트 저항정보 대비 임계치는 전체 100% 대비 5% 내지 10%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즉 환자나 간호사가 클램프(30)의 조정을 통해 수액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조절하는 경우, 그 저항정보가 선형적이되, 그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도 있을 것인데, 이 경우 그 선형적인 기울기가 SI감지부(353)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거나, PI감지부(353)에 의해 감지되거나 FS감지부(355)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신호로 분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임계치(Th)에 해당되는 경우 교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교체 신호는 후술하게 되는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M유닛(100)으로 전송되어 알람부(140)를 통해 외부로의 시각적인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6,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이상정보 감지부(350)의 경우, OS감지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OS감지부(352)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디퍼런시에이터(351)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저항정보 변화율이 시간 변화율에 따른 변수(variable)인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도 10 또는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실 상황에 따라 수액백(10)의
외력 즉, 외부의 힘이 강하게 인가되거나, RM유닛(100)이 인식하는 수액백(10)의 중량이 급격히 사라진 후, 다시 제 자리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슈트(undershoot)가 발생하게 된다.
도 10이나 도 11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따른 시그널의 경우, 그 지속되는 시간의 정도에 따라 의미있는 신호일 수도 있으며, 의미 없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의미있는 신호인 경우에는 이러한 외력에 따라 정상적인 선형 신호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며, 반대로 의미없는 신호인 경우에는 이러한 외력이 발생한 후, 재빠르게 정상적인 선형 신호로 돌아오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도 10이나 도 11에서의 신호는 디퍼런시에이터(351)의 분석에 따라 시간의 추이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이 변수인 경우에 해당하게 된다. 도 10이나 11에서 이러한 저항정보의 변화율이 변수인 경우의 구간이 5초 이상 지속되거나, 5초 이하라 할지라도 외력이 발생된 후, 제자리의 선형신호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정보 감지부(350)는 이상정보로 판단을 내리며 향후, 관리자 단말기(50)로 알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이상정보 감지부(350)의 경우, SI(steep incline) 감지부(353), PI(positive incline) 감지부(354) 및 FS(flat signal) 감지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I감지부(353)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선형 저항정보(녹색 점선)가 아니라, 과도한 기울기를 가진 붉은 색의 점선이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SI감지부(353)의 경우, 디퍼런시에이터(351)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이 임계 변화율 이하의 음의 상수이면, 과속으로 수액이 유출되는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한방울은 통상 005ml로 정의하며, 순수 물인 경우의 한방울당 005g로 산출하게 되면, 초당 10방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005g/1sec의 기울기 이하로 임계 변화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를 분(minute) 단위로 환산하면, -30g/1min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초당 15 방울 혹은 20방울로 산정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이러한 임계 변화율은 임의 설정할 수 있는 수치이다.
PI감지부(354)의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런시에이터(351)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한 것이, 양의 상수인 경우, 수액백(10)의 역류(countercurrent flow) 상태임을 감지하게 되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50)로 알리게 된다.
FS감지부(355)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런시에이터(351)로부터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을 수신하여, 시간 변화율에 따른 저항정보 변화율이 0이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의 시간 이상 예컨대 3초 이상 지속되면, 수액백(10)으로부터 수액의 흐름이 흐름정지 상태임을 감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송신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송신부(3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SI감지부(353)로부터 과속 유출 상태임을 수신하거나, PI감지부(354)로부터 역류상태임을 감지하거나, FS감지부(355)로부터 흐름정지 상태임을 수신하게 되면, 관리자 단말기(50) 즉, 간호사나 담당 의사의 단말기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로 전송하여, 환자의 수액백(10)의 컨디션 정보 즉, 정상정보, 교체신호 발생 혹은, 이상 정보(오버슈트, 과속 유출 상태, 역류상태, 흐름정지 상태)를 관리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링거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를 다른 관점에서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제1 걸쇄부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제2 걸쇄부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다. 도 21(a)는 제1 커버를 나타내고, 도 21(b)는 제2 커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는 수액 투여량 확인 시스템의 일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는 직립하는 링거봉(410)과, 수액백(10)이 걸림되고 폴딩 동작과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며 링거봉(410)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는 복수의 링거걸림살(420)을 가지는 링거대(400)에 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는, 몸체부(510); 몸체부(5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링거걸림살(420)에 걸림되는 제1 걸쇄부(610)와 수액백(10)이 결림되는 제2 걸쇄부(620)를 가지는 제1 고정부(600); 및
몸체부(5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몸체부(510)를 상기 링거봉(410)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고정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부(600)에는 상기 수액백(1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항 감지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RM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RM유닛(1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RM유닛(100)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RM유닛(100) 대신에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로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부(510)의 내부에는 저항 감지부(120)가 수집한 압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저항정보 송신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링거대(400)는 수직으로 직립하는 링거봉(410)과 링거봉(410)으로부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링거걸림살(420)을 포함할 수 있다. 링거봉(410)은 링거걸림살(420)을 바닥면(623)으로부터 상방향 이격 배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링거대(4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링거대(1)와 실실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링거걸림살(420)은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가 걸림되어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링거걸림살(420)은 링거봉(410)의 상단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링거걸림살(420) 각각에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링거봉(410)의 상단부에는 십자 모양으로 4개의 링거걸림살(420)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510)는 내부에 저항정보 송신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522)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간호사나 보호자가 디스플레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액 투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는 내부에는 배터리부(102)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부(102)는 충전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USB등의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배터리부(102)는 실시예에 따라서 교체 가능한 충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부(510)는 전면(524)에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개구부(522)가 형성된 제1 커버(520)와 제1 커버(520)와 상응하는 제2 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520)는 몸체부(510)의 전면(524)을 포함하고, 제2 커버(530)는 몸체부(510)의 후면(533)을 포함한다.
제1 커버(520)의 양 측면에는 측면레일(521)이 형성되며, 제2 커버(530)는 제1 커버(520)의 측면레일(521)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제1 커버(520)는 하단면이 연장 형성되는 하단판(523)을 가지고, 제2 커버(530)는 상단면이 연장 형성되는 상단판(532)을 가지는 구조이다. 제1 커버(520)와 제2 커버(530)가 결합되면 제1 커버(520)의 하단판(523)은 몸체부(510)의 하단을 폐쇄하고, 제2 커버(530)의 상단판(532)은 몸체부(510)의 상단을 폐쇄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걸쇄부(610)는 수평부(616)를 가지고, 제2 걸쇄부(620)는 수평부(616)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622)가 형성되며, 돌출부(622)와 수평부(616) 사이에 저항 감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걸쇄부(610)는 상부에 형성된 제1 걸쇄구(611)와, 제1 걸쇄구(6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몸체(613)와, 수평부(616)의 하부와 지지몸체(613)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수평부(616)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615)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평지지부(615)는 삼각형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616)의 상부와 지지몸체(613)의 측면 사이에는 힌지결합에 제공되는 제1 힌지축고정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축고정부(612)는 좌우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힌지축고정부(612) 사이에 제2 걸쇄부(620)의 제2 힌지축고정부(624)가 고정축에 의하여 힌지결합할 수 있다.
지지몸체(613)는 하측으로 가면서 폭이 점차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몸체(613)의 하단에는 후크 결합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614)는 몸체부(510)에 제공되는 제2 커버(530)의 상단에 형성된 슬롯(53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제2 걸쇄부(620)는 일단에 상방향으로 꺽여 올라가는 제2 걸쇄구(621)가 형성되며, 타방에는 전술한 제2 힌지축고정부(624)가 형성된다. 제2 힌지축고정부(624)는 좌우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힌지축고정부(612)와 한 쌍의 제2 힌지축고정부(624)는 포개져 고정축에 의하여 힌지결합할 수 있다. 제2 걸쇄구(621)는 제1 걸쇄구(611)와 힌지결합하여 제1 걸쇄구(611)를 기준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제2 걸쇄부(620)의 하면에는 돌출부(6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걸쇄부(620)가 제1 걸쇄부(610)를 기준으로 축회전할 수있으며, 돌출부(622)의 바닥면(623)이 제1 걸쇄부(610)의 수평부(616)에 접촉하면서 제2 걸쇄부(620)의 축회전이 멈춤된다. 제2 걸쇄부(620)가 상방향으로 축회전하면 돌출부(622)의 바닥면(623)과 수평부(616)는 이격되고, 제2 걸쇄부(620)가 하방향으로 축회전하면 돌출부(622)의 바닥면(623)과 수평부(616)는 접촉하여 제2 걸쇄부(620)의 축회전이 멈춤되는 것이다.
돌출부(622)의 바닥면(623)과 수평부(616) 사이에는 저항 감지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저항 감지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전도부(121)와 피압 도선부(122)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 전도부(121)는 돌출부(622)의 바닥면(623)에 부착 설치될 수 있고, 피압 도선부(122)는 수평부(616)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가압 전도부(121)와 피압 도선부(122)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 고정부(540)는 몸체부(510)를 링거봉(41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고정부(540)는 몸체부(510)의 측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부(51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연장부(541)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541)는 좌우 한 쌍이 한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세트의 연장부(541)는 상하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41)의 대응하는 한 쌍은 링거봉(410)의 원통형상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서로 대향하여 라운드 형태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541)는 링거봉(410)을 좌우에서 잡고 몸체부(5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간호사는 우선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기 위하여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를 링거대(400)에 설치한다, 이 경우 링거대(400)의 링거걸림살(420)에는 제1 고정부(600)의 제1 걸쇄부(610)의 걸쇄구를 걸어 고정한다. 그리고 링거대(400)의 링거봉(410)에는 제2 고정부(540)를 끼워 고정한다. 그려면 몸체부(510)는 제1 고정부(600)와 제2 고정부(540)에 의하여 상하 또는 좌우 유동 없이 링거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510)가 상하 좌우 유동없이 고정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제1 고정부(600)의 제1 걸쇄부(610)와 제2 고정부(540)는 몸체부(510)를 링거대(400)에 고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수액백(10)이 제2 걸쇄구(621)에 걸림되어 제2 걸쇄부(620)를 누를때 몸체부(510)는 링거대(40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걸쇄부(620)가 단단히 고정된 몸체부(510)의 상단에 설치된 제1 걸쇄부(61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압력 측정(저항 측정)이 가능하다.
그 다음 간호사는 수액백(10)을 제1 고정부(600)의 제2 걸쇄부(620)의 제2 걸쇄구(621)에 걸어 고정한다. 그러면 수액백(10)은 몸체부(510)의 제2 커버(530)의 측면에 접촉하여 거치된다.
제2 걸쇄부(620)는 제1 걸쇄부(610)와 힌지결합되므로 수액백(10)의 무게에 의하여 제2 걸쇄부(620)는 제1 걸쇄부(610)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축회전한다. 그러면 제2 걸쇄부(620)의 돌출부(622)는 제1 걸쇄부(610)의 수평부(616)를 가압한다. 즉, 수액백(10)의 무게에 의하여 제2 걸쇄부(620)의 돌출부(622)가 제1 걸쇄부(610)의 수평부(616)를 가압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수액백(10) 내부에 수액이 가득 수용되어 있으므로 가압하는 정도가 세다. 그러나 수액이 환자에게 투여되면서 점차로 수액백(10)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량이 줄어들게 되며, 수액백(10)의 무게도 가벼워지므로 돌출부(622)가 수평부(616)를 가압하는 정도가 약해진다. 돌출부(622)에는 가압 전도부(121)가 설치되어 있고, 수평부(616)에는 피압 도선부(1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압 전도부(121)가 피압 도선부(122)를 가압하는 정도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로 약해지므로 저항값도 점차로 약해진다. 저항 감지부(120)가 저항값을 점차로 약하게 감지하면 저항정보 송신부(130)는 이와 대응하여 감지한 저항정보를 모니터링 유닛(300)으로 송부하는 구성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고정부(540)는 몸체부(510)의 측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커버(53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측면프레임(535)이 형성되고, 측면프레임(535)의 측면에는 제2슬롯(534)이 형성된다. 제2 고정부(540)는 제2슬롯(534)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간호사가 환자에게 여러 종류의 수액백(10)을 동시에 투여할 때 복수의 링거걸림살(420)에 각각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링거걸림살(420)에 각각의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의 제1 고정부(600)가 설치되고, 측면으로 제2 고정부(540)가 링거봉(410)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링거봉(410)은 하나이므로 각각의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의 제2 고정부(540)의 높낮이를 제2슬롯(534)을 통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하나의 링거봉(410)에 모든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링거대
10: 수액백(ringer bag)
20: 인디게이터
30: 클램프
40: 공유기
50: 관리자 단말기(manager terminal)
100: RM 유닛(resister measuring unit)
101: 중앙 제어부
102: 배터리부
102a: 전원버튼
110: 후크 링크부
110a, b: 링크부
120: 저항 감지부
120a: 리셋버튼
121: 가압 전도부
122: 피압 도선부
130: 저항정보 송신부
140: 알람부
200: 코드 리딩 유닛(code reading unit)
201: 아암 밴드(arm band)
300: 모니터링 유닛
301: 중앙 제어부
302: 스토리지 유닛
310: 코드정보 수신부
320: 저항정보 수신부
330: 디폴트 설정부
340: 리니어 신호 추출부
350: 이상정보 감지부
351: 디퍼런시에이터
352: OS(overshoot signal) 감지부
353: SI(steep incline) 감지부
354: PI(positive incline) 감지부
355: FS(flat signal) 감지부
360: 정보 송신부
400: 제2 실시예에 따른 링거대
410: 링거봉
420: 링거걸림살
500: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510: 몸체부
520: 제1 커버
521: 측면레일
522: 개구부
523: 하단판
524: 전면
530: 제2 커버
531: 슬롯
532: 상단판
533: 후면
534: 제2슬롯
540: 제2 고정부
541: 연장부
600: 제1 고정부
610: 제1 걸쇄부
611: 제1 걸쇄구
612: 제1 힌지축고정부
613: 지지몸체
614: 후크 결합부
615: 수평지지부
616: 수평부
620: 제2 걸쇄부
621: 제2 걸쇄구
622: 돌출부
623: 바닥면
624: 제2 힌지축고정부

Claims (5)

  1. 직립하는 링거봉과, 수액백이 걸림되고 폴딩 동작과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링거봉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는 복수의 링거걸림살을 가지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링거걸림살에 걸림되는 제1 걸쇄부와 수액백이 결림되는 제2 걸쇄부를 가지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링거봉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수액백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항 감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쇄부는 수평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걸쇄부는 상기 수평부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저항 감지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쇄부는 상부에 형성된 걸쇄구와, 상기 걸쇄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저항 감지부가 수집한 압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저항정보 송신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대에 거치되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KR1020210098766A 2021-07-27 2021-07-27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KR20230017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66A KR20230017039A (ko) 2021-07-27 2021-07-27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66A KR20230017039A (ko) 2021-07-27 2021-07-27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39A true KR20230017039A (ko) 2023-02-03

Family

ID=8522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766A KR20230017039A (ko) 2021-07-27 2021-07-27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0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58923U (zh) 用于向患者注入药剂的系统
JP2018532473A (ja) スマートシリンジ:医療介入情報のモニタリング
CN102791310B (zh) 药物注射装置和数据收集系统
CN108025130B (zh) 具有连接组件的流量传感器系统
US11583460B2 (en) Medical module including automated dose-response record system
US11701282B2 (en) Relocation module and methods for surgical equipment
CN102114280B (zh) 一种医院静脉输液监测终端
WO2021236319A1 (en) Medical module including automated dose-response record system
CN106964022A (zh) 输液监控装置
US10629298B2 (en) Medication scan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EP3602564A1 (en) Medication dispensing phone case system
CN202061155U (zh) 一种医院静脉输液监测终端
KR20230017039A (ko)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KR20230017058A (ko) 수액 투여량 모니터링 시스템
CN208927264U (zh) 一种新型智能输液监控装置
KR102367388B1 (ko) 유체 주입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17044A (ko) 균일한 결과값을 가지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CN207545567U (zh) 输液监控装置
KR20230017054A (ko) 발열기능 및 냉각기능을 가지는 수액 투여량 확인장치
KR102139791B1 (ko)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212973766U (zh) 一种便携式静脉输液测速仪
JP2013514838A (ja) 患者流体管理システム
CN208626340U (zh) 输液监测装置
JP5560401B2 (ja) 点滴通信システム
CN216496850U (zh) 一种报警计量输液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