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606A -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 Google Patents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606A
KR20210151606A KR1020200068659A KR20200068659A KR20210151606A KR 20210151606 A KR20210151606 A KR 20210151606A KR 1020200068659 A KR1020200068659 A KR 1020200068659A KR 20200068659 A KR20200068659 A KR 20200068659A KR 20210151606 A KR20210151606 A KR 2021015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rthodontics
camera
hybrid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397B1 (ko
Inventor
신영훈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주)레비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비스톤 filed Critical (주)레비스톤
Priority to KR102020006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3
    • H04N5/225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구강내 치아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는 촬영버튼(150)이 구비된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10)는 안면 촬영 시에 사용되는 제1 렌즈(130); 구강내 치아 촬영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제1 렌즈(130)의 반대측에 구비된 제2 렌즈(140); 및 상기 제1 렌즈(130) 및 상기 제2 렌즈(140)를 통과한 피사체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A hybrid camera for dental orthodentics used in both intraoral image capturing and face image capturing}
본 발명은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과 교정 시술에 필요한 피시술자에 대한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과 병원에서는 치아 교정 시술을 위해 피시술자의 안면 사진 및 구강내 사진을 촬영하여 활용한다.
도 1은 치아 교정 시술을 위해 치과 병원에서 촬영되는 사진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이에 예시된 바와 같이 4장의 외부 안면 사진 및 5장의 구강내 사진, 총 9개의 사진을 촬영하여 시술 전후의 기록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외부 안면 사진은 도 2-(a)에 예시된 DSRL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며 구강내 사진은 도 2-(b)에 예시된 구강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촬영 방식에 따르면, 외부 안면 사진 촬영에 사용되는 DSRL 카메라의 경우 무겁고 수동으로 촬영 시마다 조작을 해야 한다. 촬영자에 따라 카메라 촛점(Focus) 및 촬영 시 환자의 구도(Composition)가 달라지기 때문에 피시술자 촬영 시 자연스러운 실제 피부 색상 톤(tone) 획득이 어렵고, 환자의 전체 얼굴 촬영시 기준점 및 가이드가 없기 때문에 정확하고 통일된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2가지 다른 카메라가 사용되기 때문에 장비 구입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2가지 다른 카메라가 사용되기 때문에 DSRL 카메라의 사진 톤(tone)과 구강내 촬영 전용 카메라의 사진 톤이 달라서 양자의 톤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하여 도 2-(b)의 구강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톤이 도 2-(a)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톤과 매칭이 되어 전체 영상들의 톤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싶은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서, 치과 교정 시술에 필요한 안면 사진 및 구강내 사진과 구강내 치아 사진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구강내 치아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로서, 촬영버튼(150)이 구비된 하부몸체(120);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10)는 안면 촬영 시에 사용되는 제1 렌즈(130); 구강내 치아 촬영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제1 렌즈(130)의 반대측에 구비된 제2 렌즈(140); 및 상기 제1 렌즈(130) 및 상기 제2 렌즈(140)를 통과한 피사체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60);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상기 구강내 치아 촬영 시에 상기 제2 렌즈(140)가 피사체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130)가 상기 촬영버튼(150)과 상하로 정렬 배치되며, 상기 안면 촬영 시에 상기 제1 렌즈(130)가 피사체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140)가 상기 촬영버튼(150)과 상하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10)와 피사체 간의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한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점광원(19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과 상기 제2 점광원(19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카메라(10)로부터 기 설정된 적정 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면 상에서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광점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이 상기 제1 렌즈(130)와 상하로 정렬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촬영버튼(150)이 눌려지면 상기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에 의한 광 조사가 차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10)와 피사체 간의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한 거리 측정 센서(195); 및 상기 거리 측정 센서(195)에 의해 상기 카메라(10)에 대한 피사체면의 거리가 적정 거리인 것으로 감지되면 알림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195)가 상기 제1 렌즈(130)와 상하로 정렬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제1 렌즈(130)의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이 가이드공(211)이 형성된 가이드몸체(210); 상기 가이드공(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격자부재(220); 및 상기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2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격자부재(220)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렌즈(130)의 정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버튼(150)이 반셔터 조작으로 눌려질 때 상기 가이드공(211)을 따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제1 렌즈(130)의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격자 이미징 유닛(20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자 이미징 유닛(200B)이 투과공(251)이 형성된 회전판(250); 상기 회전판(250)에서 상기 투과공(251)과 반대편에 배치된 격자부재(260); 및 상기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상기 격자부재(260)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렌즈(130)의 정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버튼(150)이 반셔터 조작으로 눌려질 때 상기 회전판(250)의 180°회전에 의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치아 교정 시술을 위해 치과 병원에서 촬영되는 사진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안면 촬영용 카메라의 예 및 구강내 촬영용 카메라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 및 우측면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대한 정면도 및 배면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의 두 가지 사용 모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점광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해 대안적으로 구비되는 거리 측정 센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에 구비되는 격자 이미징 유닛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 표시되는 격자 이미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대안적인 격자 이미징 유닛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에 대한 사시도 및 우측면도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에 대한 정면도 및 배면도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의 사용 모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0)는 하부몸체(120)의 상단부에 180°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몸체(110)의 회전을 통해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는 구강내 촬영 모드 및 안면 사진 촬영 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는 각각 원통형으로 예시되었는데, 이것들의 형태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부몸체(120)에는 카메라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 커넥터(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몸체(110)에는 제1 렌즈(130) 및 제2 렌즈(140)가 구비되고, 하부몸체(120)에는 촬영버튼(150)이 구비된다.
제1 렌즈(130)는 안면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이고, 제2 렌즈(140)는 구강내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이다. 제1 렌즈(130)와 제2 렌즈(140)는 상부몸체(110)에서 서로 반대편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부몸체(110)는 제2 렌즈(140)가 피사체 쪽을 향하고 제1 렌즈(130)가 그 반대편에서 촬영버튼(150)에 정렬 배치되는 제1 포지션(도 5-(a) 참조)을 갖거나, 제1 렌즈(130)가 피사체 쪽을 향하고 제2 렌즈(140)가 그 반대편에서 촬영버튼(150)에 정렬 배치되는 제2 포지션(도 5-(b) 참조)을 갖는다.
구강내 촬영 시에는 상부몸체(110)가 도 5-(a)에 도시된 제1 포지션에 위치되며, 안면 촬영 시에는 상부몸체(110)가 도 5-(b)에 도시된 제2 포지션에 위치된다.
상부몸체(110)에는 이미지 센서(160)가 구비된다. 이미지 센서(160)는 제1 렌즈(130) 또는 제2 렌즈(140)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광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하부몸체(120)에는 상부몸체(110)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구동모터(170)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카메라(10)에 마련된 회전 스위치를 누르면 회전구동모터(170)가 작동하여 상부몸체(110)가 회전 구동된다. 회전구동모터(170)를 작동시켜 상부몸체(110)를 구강내 촬영 모드를 위한 제1 포지션(도 5-(a) 참조) 또는 안면 촬영 모드를 위한 제2 포지션(도 5-(b))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 스위치를 누르면 상부몸체(110)가 180°회전하여 제1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으로 또는 제2 포지션에서 제1 포지션으로 전환된다.
회전구동모터(170)의 작동을 위한 회전 스위치로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고, 촬영버튼(150)이 회전 스위치의 기능도 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촬영버튼(150)이 회전 스위치의 기능을 겸하는 경우 사용자가 그것을 누르는 지속시간에 따라 촬영버튼(150)의 수행 기능이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촬영버튼(150)을 짧게 눌러주는 경우에는 촬영을 실행시키는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촬영버튼(160)을 길게 눌러주는 경우에는 회전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몸체(110)의 회전을 위해 전술한 회전구동모터(17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는데, 대안적으로 회전구동모터(170) 없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부몸체(110)가 회전되게 설계될 수도 있다.
하부몸체(120)에는 제어부(180)가 또한 구비된다.
제어부(180)는 PCB 기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0)의 전기적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 카메라(10)의 전기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 및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메라(10)는 적정 거리 감지 기능 및 격자 이미지 투사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조 기능들이 활용됨으로써 DSLR 카메라처럼 프리뷰(preview) 기능이 없지만 하이브리드 카메라(10)를 가지고 안면 촬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카메라(10)가 제공하는 적정 거리 감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상부몸체(110)에 한 쌍의 점광원(191, 192)이 구비된다.
이들 도면에서 한 쌍의 점광원(191, 192)은 상부몸체(110)에서 안면 촬영용 제1 렌즈(130)를 사이에 두고 그것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대안적으로 한 쌍의 점광원(191, 192)은 하부몸체(120)에서 촬영버튼(150)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들 점광원(191, 192)을 통해 조사되는 광은 예로써 레이저 광일 수 있다. 점광원(191, 192)을 통해 조사되는 광은 피시술자의 안면 부위에 조사되므로 피시술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가급적 낮은 강도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점광원(191, 192)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데, 위에 배치된 제1 점광원(191)은 광을 하향 투사하고 아래에 배치된 제2 점광원(192)은 광을 상향 투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사체면이 적정 거리에 있는 경우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으로부터 피사체면에 조사된 광들은 피사체면 상에서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광점을 형성하는 반면, 피사체면이 적정 거리보다 가깝거나 먼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으로부터 피사체면에 조사된 광들은 피사체면 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각기 다른 광점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 간의 거리 및 각각의 조사각은 안면 촬영에 적합한 적정 거리에서 두 광이 중첩되어 하나의 광점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안면 촬영 시에 카메라 사용자는 카메라(10)를 앞뒤로 움직여 카메라와 피사체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으로부터 조사된 광들이 중첩되는 카메라(10)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해당 위치가 안면 촬영을 위한 적정 거리에 상응하는 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서 안면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와 피사체면 사이가 적정 거리인 상태에서의 안면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촬영된 영상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촬영버튼(150)을 누름과 동시에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이 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거리 감지를 위해 상술한 한 쌍의 점광원(191, 192) 대신에 거리 측정 센서(195)가 적용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95)로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0)에는 적정 거리 알림을 위한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된다.
거리 측정 센서(195)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가 기 설정된 적정 거리인 경우 스피커에 의해 알림음이 송출되며, 사용자는 알림음을 듣고 카메라(10)와 피사체면 사이의 거리가 적정 거리에 설정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거리 측정 센서(195)는 상부몸체(110)에서 제1 렌즈(130) 위에 배치되었는데, 대안적으로 상부몸체(110)에서 제1 렌즈(13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부몸체(110)에서 촬영버튼(150) 반대편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카메라(10)가 제공하는 격자 이미지(grid image) 투사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상부몸체(110) 안에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이 구비된다.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은 제1 렌즈공(115) 뒤에 위치하도록 상부몸체(110)에 장착된다.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은 가이드공(211)이 형성된 가이드몸체(210)와, 가이드공(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격자부재(220)와, 격자부재(220)와 함께 이동되며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몸체(210)는 이미지 센서(160)의 피사체광 수광을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버튼(150)을 누르기 전에 격자부재(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30) 바로 뒤에 배치된다(초기 위치).
이러한 배치에서 사용자가 촬영버튼(150)을 반셔터 누름 조작하면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을 통해 격자 이미지가 피시술자의 안면에 제공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안면에는 격자부재(220)의 격자 형태에 대응되는 격자 이미지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격자 이미지를 보고 촬영하고자 하는 피시술자의 안면 부위가 촬영 범위 안에 적절하게 들어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버튼(150)을 촬영버튼(150)을 완전히 누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30)은 OFF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격자부재(220) 및 광원(230)이 본 촬영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방 이동되며(대기 위치), 이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160)를 통한 이미지 획득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한 장의 촬영이 완료되는 즉시 격자부재(220) 및 광원(230)은 위로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격자부재(220) 및 광원(230)의 구동을 위해 격자 이미징 유닛(200A)에 소형의 리니어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격자 이미지 투사 기능은 안면 사진 촬영 뿐만 아니라 구강내 사진 촬영에도 적용될 수 있다. 격자 이미징 투사 기능이 상하악 교합면(Occulusal) 및 위아래 전방 치아 (Upper and lower Incisors)에 실행되어 정확한 촬영 구도를 잡을 수 있다.
도 11에는 대안적인 구조의 격자 이미징 유닛(200B)이 도시되어 있다.
격자 이미징 유닛(220B)은 투과공(251)이 형성된 투명 소재의 회전판(250)과, 회전판(250)에서 투과공(251)과 반대편에 배치된 격자부재(260)와,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 포함한다.
회전판(250)과 격자부재(260)는 별도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사용자가 촬영버튼(150)을 반셔터 누름 조작하면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을 통해 피시술자의 안면에 격자 이미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격자 이미지의 도움으로 피시술자의 안면 부위가 촬영 범위 안에 잘 들어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 시 환자의 안면 전체 얼굴이 수평이 되도록 격자 이미지가 정중앙 시상면(Mid-Sagittal line), 평행 시상면(Francfort Horizontal Line), 관상선(Coronal line), 치아의 교합면(Occlusal) 위에 격자 이미지가 표시되어 정확한 촬영 구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촬영버튼(150)을 완전히 누르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50)이 180°회전됨으로써 회전판(250)의 투과공(251)이 렌즈공(115) 바로 뒤에 자리하는 배치가 되며(대기 위치), 이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160)를 통한 이미지 획득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한 장의 촬영이 완료되는 즉시 회전판(250)이 다시 180°회전됨으로써 격자부재(260)는 렌즈공(115) 바로 뒤에 자리하는 도 11-(a)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회전판(250)의 구동을 위해 격자 이미징 유닛(200B)에는 소형의 회전구동형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10 :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110 : 상부몸체
115 : 렌즈공
120 : 하부몸체
121 : USB 포트
130 : 제1 렌즈(안면 촬영용 렌즈)
140 : 제2 렌즈(구강내 촬영용 렌즈)
150 : 촬영버튼
160 : 이미지 센서
170 : 회전구동모터
180 : 제어부
191 : 제1 점광원
192 : 제2 점광원
195 : 거리 측정 센서
200A : 격자 이미징 유닛
210 : 가이드몸체
211 : 가이드공
220 : 격자부재
230 : 광원
200B : 격자 이미징 유닛
250 : 회전판
251 : 투과공
260 : 격자부재

Claims (11)

  1. 구강내 치아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10)로서,
    촬영버튼(150)이 구비된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10)는
    안면 촬영 시에 사용되는 제1 렌즈(130);
    구강내 치아 촬영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제1 렌즈(130)의 반대측에 구비된 제2 렌즈(140); 및
    상기 제1 렌즈(130) 및 상기 제2 렌즈(140)를 통과한 피사체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60);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치아 촬영 시에 상기 제2 렌즈(140)는 피사체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130)는 상기 촬영버튼(150)과 상하로 정렬 배치되며,
    상기 안면 촬영 시에 상기 제1 렌즈(130)는 피사체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140)가 상기 촬영버튼(150)과 상하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와 피사체 간의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한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점광원(19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과 상기 제2 점광원(19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카메라(10)로부터 기 설정된 적정 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면 상에서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광점을 형성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은 상기 제1 렌즈(130)와 상하로 정렬 배치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촬영버튼(150)이 눌려지면 상기 제1 및 제2 점광원(191, 192)에 의한 광 조사가 차단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와 피사체 간의 적정 거리 감지 기능을 위한 거리 측정 센서(195); 및
    상기 거리 측정 센서(195)에 의해 상기 카메라(10)에 대한 피사체면의 거리가 적정 거리인 것으로 감지되면 알림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 센서(195)는 상기 제1 렌즈(130)와 상하로 정렬 배치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130)의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자 이미징 유닛(200A)은
    가이드공(211)이 형성된 가이드몸체(210);
    상기 가이드공(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격자부재(220); 및
    상기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230);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재(220)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렌즈(130)의 정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버튼(150)이 반셔터 조작으로 눌려질 때 상기 가이드공(211)을 따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130)의 후방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격자 이미징 유닛(20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자 이미징 유닛(200B)은
    투과공(251)이 형성된 회전판(250);
    상기 회전판(250)에서 상기 투과공(251)과 반대편에 배치된 격자부재(260); 및
    상기 격자 부재(220)를 향해 격자 이미지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재(260)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렌즈(130)의 정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버튼(150)이 반셔터 조작으로 눌려질 때 상기 회전판(250)의 180°회전에 의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KR1020200068659A 2020-06-05 2020-06-05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KR10239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59A KR102393397B1 (ko) 2020-06-05 2020-06-05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59A KR102393397B1 (ko) 2020-06-05 2020-06-05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606A true KR20210151606A (ko) 2021-12-14
KR102393397B1 KR102393397B1 (ko) 2022-05-02

Family

ID=7893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59A KR102393397B1 (ko) 2020-06-05 2020-06-05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3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911A (ja) * 1998-07-13 2000-01-25 Morita Mfg Co Ltd 歯科用カメラ
KR101100318B1 (ko) 2010-11-11 2011-12-30 주식회사 맥스덴탈 치아와 안면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듀얼 구강카메라
KR101461564B1 (ko) 2014-03-07 2014-11-13 주식회사 맥스덴탈 듀얼 구강카메라
KR20150136817A (ko)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굿닥터스 듀얼모드 의료용 카메라 장치
KR20180007660A (ko) * 2016-07-13 2018-01-23 문정본 3차원 스캐너와 이를 이용한 인공물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911A (ja) * 1998-07-13 2000-01-25 Morita Mfg Co Ltd 歯科用カメラ
KR101100318B1 (ko) 2010-11-11 2011-12-30 주식회사 맥스덴탈 치아와 안면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듀얼 구강카메라
KR101461564B1 (ko) 2014-03-07 2014-11-13 주식회사 맥스덴탈 듀얼 구강카메라
KR20150136817A (ko)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굿닥터스 듀얼모드 의료용 카메라 장치
KR20180007660A (ko) * 2016-07-13 2018-01-23 문정본 3차원 스캐너와 이를 이용한 인공물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97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84B1 (ko)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US7090395B2 (en) Wireless digital dental x-ray sensor with positioning apparatus
JP2019517864A (ja) 統合されたカメラを有する歯科ミラー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KR20120119523A (ko)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JP2002355263A (ja) 歯科用カメラ
KR20100115000A (ko) 치과용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1100318B1 (ko) 치아와 안면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듀얼 구강카메라
US20010010760A1 (en) Intraoral imaging camera system
KR20150130938A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2393397B1 (ko) 구강내 촬영 및 안면 촬영에 혼용 가능한 치과 교정용 하이브리드 카메라
KR101485359B1 (ko) 치아촬영용 3면 스캐너
WO2004089194A1 (ja) マウスピース及びこのマウスピースを用いる口腔撮影装置
KR20160136558A (ko) 개별 자동 초점 조절이 가능한 액체 렌즈를 구비한 구강 스캐너
JPH0819534A (ja) パノラマ・セファロ兼用x線撮影装置およびセファロx線撮影装置
KR20150136817A (ko) 듀얼모드 의료용 카메라 장치
KR100813149B1 (ko)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x선 조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x선 촬영 장치
JP7240702B2 (ja) 治療状況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JPH01170436A (ja) 電子式内視鏡装置
KR102555564B1 (ko) 치과용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
KR102118918B1 (ko) 치아 관측을 위한 스마트기기 장착형 촬영 보조장치
KR101461564B1 (ko) 듀얼 구강카메라
CN112074228B (zh) 三维口腔扫描仪
JP2008310227A (ja) 撮像装置
WO2010140491A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JP703129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