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318A -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318A
KR20210151318A KR1020200067940A KR20200067940A KR20210151318A KR 20210151318 A KR20210151318 A KR 20210151318A KR 1020200067940 A KR1020200067940 A KR 1020200067940A KR 20200067940 A KR20200067940 A KR 20200067940A KR 20210151318 A KR20210151318 A KR 20210151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braking
driving control
brak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318A/ko
Priority to US17/330,646 priority patent/US20210380081A1/en
Priority to CN202110613648.6A priority patent/CN113753036B/zh
Publication of KR2021015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7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specially adapted for lane departure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8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specially adapted for collision avoidance or collision mit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W30/0953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vehicle dynam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W30/0956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traffic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2Active 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Distance control
    • B60T2201/022Collision avoidanc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8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 B60T2201/081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using distan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6Curve braking control, e.g. turn control within ABS control algorith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20Road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20Road shapes
    • B60T2210/24Curve radi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30Environment conditions or position therewithin
    • B60T2210/32Vehicle surrou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30Road curve radi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2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30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50Relative 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회피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차량의 충돌 위험 정도에 따라 제동이 실시되고, 도로 상태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조정됨으로써, 마주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회피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L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주행시 직선로 주행뿐만 아니라, 곡선로를 주행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다만, 곡선로 주행시, 차량 전방으로 꺾임 구간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마주하는 다른 차량과 충돌되는 위험성이 높아진다.
즉, 곡선로를 주행하는 상황에서는 꺾임 구간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운전자의 인식 능력이 저하되어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고, 특히 경사가 있는 곡선로를 주행시에는 충돌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곡선로에서는 충돌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이정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운전자가 이정표를 통해 위험성을 인식한다 하더라도 곡선로에서 갑자기 마주하는 차량에 대하여 대응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곡선로 주행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물체가 존재하는지 빠르게 판단하고, 그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차량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7-0036373 A (1997.07.2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회피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은 자차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부; 자차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부; 및 자차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의 주행방향에 타차가 감지된 경우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부;를 포함한다.
주행제어부는 곡선로에서 타차가 감지될 경우, 타차가 자차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체감지부는 자차 주변의 장애물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부는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부는 자차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부는 자차가 타차를 회피시 중앙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차와 타차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주행제어부는 보정부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정부는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정부는 타차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부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부는 자차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부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부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부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부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은 자차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단계; 자차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단계; 및 자차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의 주행방향에 타차가 감지된 경우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주행제어단계는 곡선로에서 타차가 감지될 경우, 타차가 자차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차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체감지단계는 자차 주변의 장애물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는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단계는 자차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는 자차가 타차를 회피시 중앙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차와 타차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주행제어단계는 보정단계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정단계는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정단계는 타차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단계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단계는 자차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단계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감지단계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회피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차량의 충돌 위험 정도에 따라 제동이 실시되고, 도로 상태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조정됨으로써, 마주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회피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의 회피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의 회피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통해 주행되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자동 운전되는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충돌 위험 상황을 탈출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 권한이 운전자뿐만 아니라 ECU의 제어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1)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2)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부(10); 자차(1)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부(20); 및 자차(1)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1)의 주행방향에 타차(2)가 감지된 경우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1)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1)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체감지부(10)는 각종 센서로부터 자차(1) 주변의 타차(2)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LiDAR, 카메라, 레이더, 초음파센서가 될 수 있으며, 타차(2)의 형태, 크기, 속도, 거리 등에 따른 정보를 취득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도로감지부(20)는 물체감지부(10)와 동일한 센서로 구성되어 도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네비게이션을 통해 도로가 직선로, 곡선로, 오르막길, 내리막길인지에 따른 다양한 도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물체감지부(10)와 도로감지부(20)를 통해 입력된 타차(2) 및 도로 정보는 주행제어부(30)에 제공되고, 주행제어부(30)는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주행제어부(30)는 도로감지부(20)를 통해 자차(1)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물체감지부(10)가 주행방향에 타차(2)를 감지하였을 경우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1)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타차(2)와 충돌이 회피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주행제어부(30)는 자차(1)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함으로써,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회피가 용이하다. 또한, 자차(1)가 타차(2)를 완전히 회피하지 못하더라도 자차(1)의 제동에 의해 충격이 감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안전성이 향상되어 탑승자에게 주행 신뢰성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제어부(30)는 곡선로에서 타차(2)가 감지될 경우, 타차(2)(2)가 자차(1)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행제어부(30)는 자차(1)의 주행을 제어하며, 타차(2)가 자차(1)를 향해 근접시 타차(2)와의 충돌이 회피되도록 타차(2)량을 제어한다. 이때, 주행제어부(30)는 물체감지부(10)를 통해 자차(1) 주변의 타차(2) 및 다른 물체의 정보를 토대로, 자차(1)가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차(1)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타차(2)를 회피하여 타차(2)와 충돌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물체감지부(10)는 자차(1) 주변의 장애물(3)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부(30)는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3)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1)와 장애물(3)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로에는 차량 외에 가드레일 등 다양한 장애물(3)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제어부(30)는 물체감지부(10)를 통해 주변 장애물(3)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차량의 이동을 제어시 장애물(3)이 없거나, 장애물(3) 간의 거리가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게 주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안전거리는 자차(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장애물(3)과 충분히 이격되어 충돌이 회피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자차(1) 주변의 장애물(3)을 확인하고, 장애물(3)을 고려하여 타차(2)와 충돌이 회피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더 확보된다.
한편, 도로감지부(20)는 자차(1)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부(30)는 자차(1)가 타차(2)를 회피시 중앙선(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로의 차선은 동일 주행방향을 구획하는 차선과 반대방향의 주행방향을 구획하는 차선으로 구획된다. 특히, 반대방향의 주행방향을 구획하는 차선은 중앙선(4)으로서, 차량이 중앙선(4)을 넘어가는 경우 사고위험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주행제어부(30)는 자차(1)가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1)의 이동을 제어시, 타차(2)가 없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중앙선(4)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맞은편 차량과 충돌이 회피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자차(1)가 곡선로를 진입한 상태에서 타차(2)를 회피시, 제동을 수행하여 안정성이 더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자차(1)의 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부(40)가 구성된다.
보정부(40)는 자차(1)와 타차(2)간의 거리, 타차(2)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 타차(2)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한다. 이후, 주행제어부(30)는 보정부(40)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함으로써, 자차(1)가 타차(2)를 안정적으로 회피되도록 한다.
즉, 자차(1)와 타차(2)간의 거리가 가깝거나 타차(2)의 상대속도가 높을 경우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위험성이 높아지는바, 제동 압력을 상향시켜 강한 제동이 수행되고 제동시점을 빠르게 하여 신속한 제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반대로, 자차(1)와 타차(2)간의 거리가 멀거나 타차(2)의 상대속도가 낮을 경우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부드러운 제동을 통해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세하게, 보정부(40)는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한다. 여기서, 기본거리는 미리 저장된 값으로서, 자차(1)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보정부(40)는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위험성이 높은 상황으로서,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여 신속하고 강한 제동을 통해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회피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동력을 상향 보정함은 제동 압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에 따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동력으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함은 제동이 수행되는 시점을 앞당기는 것으로서,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에 따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동시점으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보정부(40)를 통해 제동력과 제동시점이 보정되면, 주행제어부(30)는 곡선로에 진입한 상태에서 타차(2)의 감지시 자차(1)가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에 따라 보정된 제동력과 제동시점으로 자차(1)의 제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자차(1)는 신속하고 강한 제동이 수행되어 타차(2)를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됨에 따라 타차(2)를 회피하기가 용이하고, 자차(1)가 타차(2)를 회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제동에 의해 주행속도가 감소되어 충격이 저감된다.
한편, 보정부(40)는 타차(2)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즉, 물체감지부(10)를 통해 타차(2)에 대한 속도 정보가 수집되고, 보정부(40)는 타차(2)의 속도 정보를 입력받아 기저장된 기본속도와 비교함으로써, 위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자차(1)로 근접하는 타차(2)의 속도가 높을 경우 타차(2)에 대한 자차(1)의 반응이 늦어지거나 충돌시 충격이 커지는바, 타차(2)의 속도에 따라서도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보정부(40)는 타차(2)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한다. 여기서, 기본속도는 타차(2)가 근접해옴에 따른 상대속도에 따라 자차(1)가 반응하여 회피 가능한 속도로 미리 도출되어 저장된다. 즉, 타차(2)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위험성이 커지는바, 보정부(40)는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여 자차(1)가 신속히 제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자차(1)는 곡선로에서 감지된 타차(2)에 반응하여 타차(2)를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고, 타차(2)를 회피하지 못하더라도 신속한 제동에 의해 충격이 감소된다.
한편, 도로감지부(20)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부(40)는 자차(1)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1)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즉, 자차(1)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낮은 제동력으로도 신속히 제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40)는 자차(1)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여, 곡선로에서 타차(2)의 감지시 회피 가능한 상황에서도 과도한 제동에 의해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자차(1)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높은 제동력으로도 차량의 제동이 늦어지는바, 보정부(40)는 내리막길을 주행시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한다. 이로 인해, 곡선로에서 타차(2)의 감지시, 신속하고 강한 제동에 의해 안정적인 제동이 수행되는바, 타차(2)를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도로감지부(20)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부(40)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즉, 포장도로의 경우 제동 수행시 정상적인 제동이 가능하지만, 비포장도로의 경우 노면이 불규칙적임에 따라 제동하더라도 미끄럼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제동이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40)는 자차(1)가 비포장도로에 진입한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여 안정적인 제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자차(1)는 높은 제동력으로 신속한 제동이 수행됨으로써, 비포장도로에서 미끄러움이 발생되더라도 자차(1)와 타차(2)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도로감지부(20)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부(40)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감지부(20)는 날씨정보, 레인센서 등을 통해 노면에 미끄러움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도로감지부(20)를 통해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보정부(40)는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여, 자차(1)의 제동 수행시 미끄럼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인 제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자차(1)는 도로 노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이더라도, 높은 제동력으로 신속한 제동이 수행됨으로써, 타차(2)의 충돌을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의 서술된 보정부(40)를 통한 제동력 및 제동시점의 보정은 각 상황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부가되어 상향 또는 하향 보정됨으로써, 각 상황에 맞추어 안정적이고 정밀한 제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은 자차(1)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2)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단계(S10); 자차(1)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단계(S20); 및 자차(1)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1)의 주행방향에 타차(2)가 감지된 경우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1)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1)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자차(1)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주행방향에 타차(2)를 감지되었을 경우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1)의 이동을 제어하여,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타차(2)와 충돌이 회피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자차(1)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시킴으로써, 자차(1)와 타차(2)의 충돌 회피가 용이하다. 또한, 자차(1)가 타차(2)를 완전히 회피하지 못하더라도 자차(1)의 제동에 의해 충격이 감소된다.
여기서, 주행제어단계(S30)는 곡선로에서 타차(2)가 감지될 경우, 타차(2)가 자차(1)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차(1)가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자차(1)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타차(2)를 회피하여 타차(2)와 충돌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물체감지단계(S10)는 자차(1) 주변의 장애물(3)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S30)는 타차(2)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3)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1)와 장애물(3)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한다. 이처럼, 자차(1)의 이동을 제어시 자차(1) 주변의 장애물(3)을 확인하고, 장애물(3)을 고려하여 자차(1)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더 확보된다.
한편, 도로감지단계(S20)는 자차(1)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S30)는 자차(1)가 타차(2)를 회피시 중앙선(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중앙선(4) 반대편의 맞은편 차량과 충돌이 회피되도록 한다.
한편, 자차(1)와 타차(2)간의 거리, 타차(2)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 타차(2)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단계(S40);를 더 포함하며, 주행제어단계(S30)는 보정단계(S40)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한다.
상세하게, 보정단계(S40)는 자차(1)와 타차(2)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단계(S40)는 타차(2)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차(1)와 타차(2)간의 거리 및 타차(2)의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충돌 위험이 큰상황의 발생시 신속하고 강한 제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타차(2)를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됨에 따라 타차(2)를 회피하기가 용이하고, 자차(1)가 타차(2)를 회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제동에 의해 주행속도가 감소되어 충격이 저감된다.
한편, 도로감지단계(S20)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단계(S40)는 자차(1)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1)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로감지단계(S20)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S40)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로감지단계(S20)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S40)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로의 경사도, 도로의 포장상태, 미끄럼 조건 등을 판단하고, 곡선로에서 타차(2)의 감지시 각 도로 상태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함으로써, 자차(1)의 효율적인 제동에 의해 타차(2)를 안전하게 회피하거나, 충돌 상황에서 충격이 감소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회피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차량의 충돌 위험성 정도에 따라 제동이 실시되고, 도로 상태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조정됨으로써, 마주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회피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물체감지부
20:도로감지부
30:주행제어부
40:보정부
S10:물체감지단계
S20:도로감지단계
S30:주행제어단계
40:보정단계

Claims (20)

  1. 자차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부;
    자차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부; 및
    자차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의 주행방향에 타차가 감지된 경우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행제어부는 곡선로에서 타차가 감지될 경우, 타차가 자차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체감지부는 자차 주변의 장애물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부는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로감지부는 자차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부는 자차가 타차를 회피시 중앙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차와 타차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주행제어부는 보정부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보정부는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보정부는 타차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도로감지부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부는 자차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도로감지부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부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도로감지부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부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11. 자차의 주행방향에 확인되는 타차의 정보를 수집하는 물체감지단계;
    자차의 주행방향 도로가 직진로 또는 곡선로인지 확인하는 도로감지단계; 및
    자차가 곡선로에 진입하고, 자차의 주행방향에 타차가 감지된 경우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차의 이동을 제어하고, 자차의 주행속도가 감속되도록 제동을 수행하는 주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주행제어단계는 곡선로에서 타차가 감지될 경우, 타차가 자차를 향하여 진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차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물체감지단계는 자차 주변의 장애물을 더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는 타차를 회피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도로감지단계는 자차 주변의 차선을 확인하고,
    주행제어단계는 자차가 타차를 회피시 중앙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자차와 타차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른 제동력 및 제동시점이 기저장되고,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 타차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주행제어단계는 보정단계를 통해 입력된 제동력 및 제동시점으로 차량의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보정단계는 자차와 타차 간의 거리가 기본거리 이하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보정단계는 타차의 상대속도가 기본속도 이상일 경우 제동력과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도로감지단계는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인지 더 확인하며,
    보정단계는 자차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하향 보정하고, 자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도로감지단계는 포장도로인지 또는 비포장도로인지를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는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도로감지단계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인지 더 확인하고,
    보정단계는 도로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조건일 경우 제동력 및 제동시점을 상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KR1020200067940A 2020-06-04 2020-06-04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1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40A KR20210151318A (ko) 2020-06-04 2020-06-04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330,646 US20210380081A1 (en) 2020-06-04 2021-05-2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CN202110613648.6A CN113753036B (zh) 2020-06-04 2021-06-02 控制车辆驾驶的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40A KR20210151318A (ko) 2020-06-04 2020-06-04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18A true KR20210151318A (ko) 2021-12-14

Family

ID=7878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40A KR20210151318A (ko) 2020-06-04 2020-06-04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80081A1 (ko)
KR (1) KR20210151318A (ko)
CN (1) CN113753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2708B (zh) * 2023-05-15 2023-07-25 西格玛智能装备(山东)有限公司 一种适用于风电专用车的行驶碰撞预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373A (ko) 1995-12-15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커브주행시 탑승자의 쏠림방지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0780A (en) * 1967-08-31 1970-11-17 Nippon Denso Co Antiskid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DE102007040539B4 (de) * 2006-09-04 2014-03-27 Denso Corporation Fahrzeugsteuersystem
JP4412356B2 (ja) * 2007-06-13 2010-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緩和装置
US8224551B2 (en) * 2009-03-24 2012-07-17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ACC extended mode operation
JP2012066785A (ja) * 2010-09-27 2012-04-05 Fuji Heavy Ind Ltd 車両の統合制御装置
JP5870985B2 (ja) * 2013-10-23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KR101519287B1 (ko) * 2014-02-14 201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9283847B2 (en) * 2014-05-05 2016-03-15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alert vehicle operator of impairment
JP5979259B2 (ja) * 2015-01-20 2016-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回避制御装置
JP6394497B2 (ja) * 2015-05-25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自動運転システム
EP3539838A4 (en) * 2016-11-29 2019-12-11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KR102286352B1 (ko) * 2017-08-11 2021-08-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방 충돌 방지보조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6859902B2 (ja) * 2017-08-31 2021-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2019069659A (ja) * 2017-10-06 2019-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KR102055156B1 (ko) * 2018-02-05 2019-12-12 주식회사 만도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10046911A1 (en) * 2019-08-15 2021-02-18 Lyf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engaging multiple brak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373A (ko) 1995-12-15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커브주행시 탑승자의 쏠림방지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53036B (zh) 2024-05-24
CN113753036A (zh) 2021-12-07
US20210380081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1069B1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06256641B (zh) 用于车辆中安全转向辅助的方法和系统
CN108928341B (zh) 智能停车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51860B1 (ko) 자동 주차 시스템 및 방법
EP1884449B1 (en) Vehicle deviation preventing apparatus
US8762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ision course prediction and collision avoidance and mitigation
US90373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rash prevention control functionality for a vehicle
KR102374916B1 (ko) 차선 유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6525402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956685B1 (ko) 차량의 충돌 완화 장치 및 방법
US20160264003A1 (en) Moving Body Drive Control Device
US20080147277A1 (en) Active safety system
KR102055156B1 (ko)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9078733A (ja) 走行支援装置
JP6521487B2 (ja) 車両制御装置
CN107735312B (zh) 在机动车中的狭窄位置辅助系统
KR101716047B1 (ko) 차량 충돌 회피 장치 및 방법
WO2019044641A1 (ja) 車両制御装置
JP2019043192A (ja) 車両制御装置
CN115867475A (zh) 用于车辆自动驾驶操作的方法和装置以及车辆
KR20210151318A (ko)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0922A (ko)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79309B1 (ko) 운전 제어권 전환 불응에 따른 차량 안전 제어 방법
KR20190058027A (ko) 차량의 주행지원 제어장치 그 방법
JP4525495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