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291A - 분리가능한 크라운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크라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291A
KR20210150291A KR1020210068485A KR20210068485A KR20210150291A KR 20210150291 A KR20210150291 A KR 20210150291A KR 1020210068485 A KR1020210068485 A KR 1020210068485A KR 20210068485 A KR20210068485 A KR 20210068485A KR 20210150291 A KR20210150291 A KR 20210150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engine
movement
driven
s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181B1 (ko
Inventor
필립 추미
Original Assignee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5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6Operation by rotation and axial movement with extra function of axial shift of operating element, e.g. crown combined with pus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1Construction of crowns for rotating movement; connection with the winding stem;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4Mounting the clockwork in the case; Shock absorbing mount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3Locking of the operating element, also by mounting in a concealed pla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0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G04B43/002Component shock prot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무브먼트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무브먼트용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및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자유로운 제 1 위치 (101) 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상기 크라운 (100) 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크라운 (1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가능한 크라운{DISCONNECTABLE CROWN}
본 발명은 시측 무브먼트 (horological movement) 를 위한 충격 방지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를 6 자유도로 해제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크라운에 관한 것이다.
시측 무브먼트는 시계를 착용할 때 반복되는 충격을 받는다. 이러한 충격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기능을 방해하여, 이의 부정확성을 증가시키고 몇 초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격 방지 디바이스, 바람직하게는 시측 무브먼트를 위한 충격 방지 디바이스용 크라운에 의해 전술한 결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할 것을 제안하며; 상기 크라운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자유로운 제 1 위치와 상기 시측 무브먼트가 상기 크라운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라운은:
- 상기 시측 무브먼트에 연결되고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driven organ);
-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drving organ)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6 자유도로 상기 시측 무브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시, 상기 시측 무브먼트가 케이스에 연결되지 않고 케이스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분리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과 접촉하는 결합 위치이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둘러싸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둘러싼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헤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과 접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표면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2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은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 표면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은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및 상기 접촉 표면은 협력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의 상기 원통형 형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의 상기 헤드의 암형 매치 (female match) 를 형성한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간에 상보성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적어도 제 1 조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 1 조인트는 상기 크라운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인트는 상기 크라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사이의 공간을 방수성으로 만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은 상기 크라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인트는 상기 크라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과 항상 접촉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라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과 접촉하고 상기 크라운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라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 2 조인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인트는 상기 크라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사이의 공간을 최대 30 bar, 특히 최대 10 bar, 바람직하게는 최대 5 bar 까지 방수성으로 만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를 위한 무브먼트 자유를 허용하면서 방수성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샤프트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단부 피스이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부 피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과 접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표면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복귀 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귀 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귀 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측 무브먼트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상기 샤프트와 일체이다.
이러한 선행 배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조립 동안 및/또는 상기 샤프트의 제조 동안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상기 샤프트 상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브먼트, 바람직하게는 시측 무브먼트를 위한 충격 방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는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무브먼트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으로서, 상기 크라운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자유로운 제 1 위치와 상기 시측 무브먼트가 상기 크라운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크라운, 및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는 크라운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측 무브먼트의 충격을 감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크라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시측 무브먼트는 방해받지 않으면서 6 자유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에 의해 감쇠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권취 메커니즘 샤프트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는 상기 감쇠 요소에 의해 보호되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상기 시측 무브먼트는 방해받지 않으면서 상기 중간부에서 6 자유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에 의해 감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 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위치 (101) 에서의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크라운 (100) 및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 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위치 (101) 에서의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크라운 (100) 및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 는 적어도 3 자유도, 바람직하게는 6 자유도를 따라 시측 무브먼트 (210) 의 무브먼트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를 도시한다.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샤프트 (220) 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권취 메커니즘 샤프트 (220) 에 의해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에 연결된 크라운 (100) 및 중간부 (250) 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 (250) 는, 상기 중간부 (250) 의 내측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상기 중간부 (250) 의 6 자유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를 포함한다.
실제로,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방해받지 않으면서 6 자유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에 의해 감쇠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는, 상기 크라운 (100) 이 상기 중간부 (250) 와 접촉할 때,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충격을 감쇠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샤프트 (220) 에 의해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에 연결되고 구동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운 (100) 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 (105)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클로저 (105)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둘러싸고, 이 구동 기관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을 둘러싸서, 상기 인클로저 (105)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이 상기 크라운 (100) 의 상기 인클로저 (105) 에 배치되거나 위치될 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바람직하게는 튜브 (130) 가 슬롯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은 상기 크라운 (10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사이에 배치된다.
방수성의 이유로, 상기 크라운 (100) 은 적어도 제 1 조인트 (131) 및 적어도 제 2 조인트 (132) 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인트 (131) 는 상기 크라운 (10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상기 적어도 제 1 조인트 (131) 는 상기 크라운 (100) 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사이의 공간을 방수성으로 만들도록 구성된다.
다른 도면에서 주목할 만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제 1 조인트 (131) 는 항상 상기 크라운 (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최대 30 bar, 특히 최대 10 bar, 바람직하게는 최대 5 bar 까지 방수성으로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크라운 (100) 은 제 1 위치 (101) 와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이 상기 크라운 (100) 에 견고하게 연결되면, 제 1 위치 (101) 와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이다.
분리 위치 (101) 라고도 하는 상기 제 1 위치 (101) 에서,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는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6 자유도를 따라 자유롭고 (도 1a 및 도 1c), 이들의 무브먼트들, 심지어 상기 중간부 (250) 에 의한 그 충격들은 상기 중간부 (250) 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부분적으로 감쇠된다. 이러한 분리 위치 (101) 에서, 즉 상기 제 1 위치 (101) 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으로부터 거리를 두지만,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중간부 (2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과 접촉하거나 그 근방에서 있을 수 있다.
도 1a 및 보다 특히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130) 는 적어도 제 2 조인트 (132) 에 의해 상기 크라운 (100) 과 접촉한다. 실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으로부터 거리를 둘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인트 (132) 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들의 시계를 권취하기를 원할 때,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제 2 위치 (102) 를 향해 이동되고, 즉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중간부 (250) 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시측 무브먼트 (210) 는 상기 크라운 (100) 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2c). 동시에, 상기 적어도 제 2 조인트 (132) 는 상기 크라운 (10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도 2b).
상기 제 1 위치 (101) 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102) 를 향하는 이러한 무브먼트는, 상기 중간부 (250) 로부터 상기 크라운 (100) 을 이격시키지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크라운 (1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사이에 포함되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115) 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기관 (115) 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스트 (110) 또는 단부 피스 (113) 의 형태를 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헤드 (113)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의 상기 헤드 (113) 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상기 샤프트 (220) 와 일체형이거나 이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부 피스 (113) 의 형태로, 샤프트 (220) 상에 끼워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헤드 (113) 는, 접촉 표면 (112) 및 상기 구동 기관 (120) 이 결합 위치 (102) 라고도 하는 상기 제 2 위치 (102) 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접촉 표면 (112) 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표면 (111)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의 이러한 협력 또는 이러한 구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을 둘러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의 원통형 형상에 의해,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에 대한 상기 접촉 표면 (112) 에 의해 제공된 맞물림에 의해 허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의 상기 원통형 형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의 상기 헤드 (113) 의 암형 매치를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사이의 상보성이 예를 들어 튜브 렌치 및 육각형 볼트의 방식으로 가능하다.
결합 위치 (102), 즉 제 2 위치 (102) 에서, 사용자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를 권취할 수 있다.

Claims (15)

  1. 시측 무브먼트 (210) 용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용 크라운 (100) 으로서,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자유로운 제 1 위치 (101) 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상기 크라운 (100) 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라운 (100) 은,
    -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에 연결되고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
    - 상기 크라운 (100) 이 상기 제 1 위치 (101) 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크라운 (100) 이 상기 제 2 위치 (102) 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포함하는, 크라운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인클로저 (105) 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 (105)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포함하는, 크라운 (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105)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둘러싸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둘러싸는, 크라운 (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헤드 (113) 를 포함하는, 크라운 (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113)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과 접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에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 (11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표면 (111) 을 포함하는, 크라운 (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은 상기 크라운 (100) 이 상기 제 1 위치 (101) 에 있을 때 상기 접촉 표면 (112) 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은 상기 크라운 (100) 이 상기 제 2 위치 (102) 에 있을 때 상기 접촉 표면 (112) 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크라운 (100).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크라운 (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의 상기 원통형 형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의 상기 헤드 (113) 의 암형 매치를 형성하는, 크라운 (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적어도 제 1 조인트 (131)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 1 조인트 (131) 는 상기 크라운 (10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사이에 배치되는, 크라운 (1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인트 (131) 는 상기 크라운 (10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기관 (130) 사이의 공간을 방수성으로 만들도록 구성되는, 크라운 (10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샤프트 (220)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단부 피스 (110) 이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동 기관 (110) 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샤프트 (220) 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크라운 (10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상기 제 1 위치 (101) 와 상기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관 (120) 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복귀 기관 (115) 을 포함하는, 크라운 (100).
  13. 시측 무브먼트 (210) 를 위한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로서,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는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무브먼트를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제 11 항에 따른 크라운 (100) 으로서, 상기 크라운 (100) 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적어도 3 자유도를 따라 자유로운 제 1 위치 (101) 와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가 상기 크라운 (100) 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제 2 위치 (10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크라운 (100), 및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의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 (230)
    를 포함하는,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220) 는 권취 메커니즘 샤프트 (220) 인,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요소 (230) 에 의해 보호되는 상기 시측 무브먼트 (210) 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간부 (250) 를 포함하는, 충격 방지 디바이스 (200).
KR1020210068485A 2020-06-02 2021-05-27 분리가능한 크라운 KR102636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7877.6 2020-06-02
EP20177877.6A EP3919987A1 (fr) 2020-06-02 2020-06-02 Couronne debray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291A true KR20210150291A (ko) 2021-12-10
KR102636181B1 KR102636181B1 (ko) 2024-02-13

Family

ID=7097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85A KR102636181B1 (ko) 2020-06-02 2021-05-27 분리가능한 크라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40588B2 (ko)
EP (1) EP3919987A1 (ko)
JP (1) JP7364621B2 (ko)
KR (1) KR102636181B1 (ko)
CN (1) CN11375968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1920A (en) * 1952-07-17 1955-01-12 Charles Jules Juillerat Waterproof shock-absorbing watch case
JPS6146699B2 (ko) 1977-10-11 1986-10-15 Aisin Warner
JPH08248148A (ja) * 1995-03-10 1996-09-27 Citizen Watch Co Ltd ネジロックリューズ構造
JP2010243343A (ja) * 2009-04-07 2010-10-28 Seiko Epson Corp 時計
JP2011203211A (ja) * 2010-03-26 2011-10-13 Seiko Instruments Inc 携帯時計
KR20180015080A (ko) * 2016-08-02 2018-02-12 매코 쏘시에떼 아노님 스크류-다운 배향가능 크라운
EP3492995A1 (fr) 2017-11-30 2019-06-05 Ball Watch Company SA Systeme de couronne pour piece d'horlogeri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0688U (ko) * 1988-05-30 1989-12-26
EP1168113A1 (fr) * 2000-06-20 2002-01-02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Dispositif de commutation électrique entre au moins trois contacts différents
US7360944B2 (en) * 2003-10-24 2008-04-22 Richemont International Sa Control device with a disengageable crown for a wristwatch
FR2956755B1 (fr) * 2010-02-25 2012-08-17 Cheval Freres Sas Couronne de remontoir de montre multifonctions
FR2981467B1 (fr) 2011-10-14 2014-04-18 Xavier Bich Montre et ensemble d'un dispositif antichoc et d'un casier de protection pour montre
FR2987684B1 (fr) * 2012-03-01 2014-03-14 Cheval Freres Ensemble de couronne de commande d'une lunette indicatrice tournante, dite "rehaut", et montre le comportant
JP6146699B2 (ja) * 2013-09-27 2017-06-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時計
JP6367059B2 (ja) * 2014-09-09 2018-08-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時計
JP6829116B2 (ja) * 2017-03-13 2021-02-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りゅうずロック機構付き時計
CN110753884B (zh) * 2017-04-18 2022-06-03 天美时集团美国股份有限公司 表冠推动器组件和包括该组件的手腕佩戴式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1920A (en) * 1952-07-17 1955-01-12 Charles Jules Juillerat Waterproof shock-absorbing watch case
JPS6146699B2 (ko) 1977-10-11 1986-10-15 Aisin Warner
JPH08248148A (ja) * 1995-03-10 1996-09-27 Citizen Watch Co Ltd ネジロックリューズ構造
JP2010243343A (ja) * 2009-04-07 2010-10-28 Seiko Epson Corp 時計
JP2011203211A (ja) * 2010-03-26 2011-10-13 Seiko Instruments Inc 携帯時計
KR20180015080A (ko) * 2016-08-02 2018-02-12 매코 쏘시에떼 아노님 스크류-다운 배향가능 크라운
EP3492995A1 (fr) 2017-11-30 2019-06-05 Ball Watch Company SA Systeme de couronne pour piece d'horlog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0588B2 (en) 2023-08-29
KR102636181B1 (ko) 2024-02-13
US20210373494A1 (en) 2021-12-02
CN113759689A (zh) 2021-12-07
JP2021189177A (ja) 2021-12-13
EP3919987A1 (fr) 2021-12-08
JP7364621B2 (ja)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8332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時計
JP5007751B2 (ja) 腕時計
US20100220562A1 (en) Portable watch
ATE407582T1 (de) Verstärkungsanordnung für helm
JP6723522B2 (ja) ケースおよび時計
ES2962336T3 (es) Dispositivo de asiento
JP6818228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時計
TW200617456A (en) Dustproof and pluggable transceiver
JP2019060765A (ja) ケースおよび時計
KR20210150291A (ko) 분리가능한 크라운
JP5839294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時計
JP7148897B2 (ja) 外装部材、ケースおよび時計
JP2023029529A (ja) ケースおよび時計
JP2010243343A (ja) 時計
JP6125392B2 (ja) 打撃工具
JP2021189177A5 (ko)
JP2001194471A (ja) 腕時計ケース
JP2000258560A (ja) 腕時計ケース
JP6418286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時計
KR102658952B1 (ko) 측시 무브먼트용 보호 링 및 상기 보호 링을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
JP4937869B2 (ja) ペダル軸結合構造
JP4968729B2 (ja) 緩衝装置
JP6424439B2 (ja) 腕時計
JPH10115688A (ja) 腕時計
JP6487857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