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177A -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177A
KR20210150177A KR1020200067211A KR20200067211A KR20210150177A KR 20210150177 A KR20210150177 A KR 20210150177A KR 1020200067211 A KR1020200067211 A KR 1020200067211A KR 20200067211 A KR20200067211 A KR 20200067211A KR 20210150177 A KR20210150177 A KR 2021015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nduit
distance
maint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석
손병렬
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177A/ko
Publication of KR2021015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에 의해 맨홀 타입별로 일체형 관로구 추가 및 철근 배근을 변경하여 조립식 맨홀 제작함으로써 맨홀 구조물의 강도를 확보하고, 현장 천공작업 생략으로 현장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Assembly manh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실시예는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타입 별로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 전기, 가스 등의 관로 및 전기케이블의 분기점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부분 도로의 지하에 매설된다.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맨홀 내에 지중 전력 배선을 인입하여 배선의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맨홀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로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맨홀 관로 구조는 맨홀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로구와, 이 관로구의 일단에 형성한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플랜지 이음으로 체결되는 관로구 덮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관로 구조는 관로구의 플랜지와 벽체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데 어려움과, 플랜지가 벽체와 이격됨으로써 플랜지 파손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관로 구조는 관로구 일단의 플랜지에 플랜지를 갖는 관로구 덮개가 볼트와 너트로 밀봉효과를 결합되기 위하여 관로구의 플랜지와 맨홀의 내부 벽체 사이를 이격하여 너트가 진입할 공간을 확보하였다. 이에 배근 및 관로구의 설치 후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에 관로구의 양단이 관통하여 돌출하기 위한 천공공정을 수행함으로서, 맨홀 벽체)의 공기 시간 및 플랜지의 이격거리와 이격거리 유지를 위한 작업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중 관로 설치 공사의 맨홀 구조물 개소에 따라 벽면당 24공까지 천공을 시행해야 한다. 맨홀 벽체 구조물 천공 시공 기준으로 2공 이하 천공을 수행한다.
맨홀 구조물 내의 철근까지 절단 천공하여 수직 하중 과중시에 맨홀 붕괴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그러나 철근 절단 과다 천공에 대한 맨홀 구조물 안전성 검토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맨홀 구조물 천공 추가 공정에 따른 공기 지연 및 시공성이 저하되게 되고, 맨홀 구조물 천공 작업시에 굴착면 토사 붕괴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 맨홀을 설치시 현장에서 맨홀 구조물 천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맨홀 구조물 천공 작업시에 굴착면의 토사 붕괴 위험을 제거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천공 작업에 의한 중장비의 하중에 의한 맨홀 붕괴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3열로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내지 310mm을 유지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80 내지 2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상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평 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30mm 내지 5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평 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더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분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고,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140mm 내지 160mm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90mm 내지 110mm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140mm 내지 160mm를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를 유지하는 수직 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은,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는 수평 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맨홀 타입별로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개수만큼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맨홀 타입 별로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개수만큼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3열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2열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 내지 310mm을 유지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를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80 내지 2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상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30mm 내지 5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더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은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140mm 내지 160mm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90mm 내지 110mm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140mm 내지 160mm를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를 유지하는 수직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제작 방법의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는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에 의하면 맨홀 타입별로 일체형 관로구 추가 및 철근 배근을 변경하여 조립식 맨홀 제작함으로써 맨홀 구조물의 강도를 확보하고, 현장 천공작업 생략으로 현장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구체적으로 토사 굴착면 토사붕괴 위험에 대한 작업자 보호가 가능할 뿐 아니라 천공분진 및 중장비 사용 위험에 대한 작업자 보호가 가능한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관로구를 추가하여 조립식 맨홀을 제작함으로써 현장에서 부족한 관로구의 천공작업을 방지하고, 현장에서 과다 천공(철근절단)에 따른 중장비 하중시 맨홀 붕괴위험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맨홀 구조물 천공작업 생략으로 공기 단축 및 시공성 제고가 가능하여 맨홀설치와 동시에 지중관로 및 맨홀 관로구 연결작업 시행이 가능하여 대략적으로 35억/년 절감할 수 있는 재무적 성과가 도출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배근 위치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배근 위치도,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배근 위치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기존 MS-4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MS-4 맨홀의 경우, 도 1a와 같이 배치되었던 기존 하부 맨홀의 175mm용 관로구 6공의 상호 간격을 변경하고, 도 1b와 같이 상부 맨홀 벽면에 전력용 175mmㅧ6공 관로구를 추가로 배치한다. 이때 6공은 2단 3열로 배치한다.
즉,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3열로 배치된다.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b와 같이 하부 맨홀 벽면에 10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0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배치된다. 총 3공의 통신 자동화용 100mm 관로구가 추가된다.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내지 310mm을 유지하게 배치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기존 MS-4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도 2b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17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간격이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구체적으로 14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수직 철근부는 90mm 내지 110mm 규격 즉 100mm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70mm 내지 180mm 규격 즉 17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간 중심점 간 간격이 3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00mm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또한 수직 철근부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우측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 바람직하게는 34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그리고 도 2b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하부 맨홀의 수평 철근 배근 간격은 도 2a의 기존 배근 간격과 동일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 중 바람직하게는 140mm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80 내지 290mm 중 바람직하게는 2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중 10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가 형성된다.
또한, 수평 철근부는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 중 2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수평 철근과의 간격을 90mm 내지 110mm 중 10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기존 MS-6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MS-6 맨홀의 경우, 도 3a와 같이 배치되었던 기존 하부 맨홀의 175mm용 관로구 6공의 상호 간격을 변경하고, 도 3b와 같이 상부 맨홀 벽면에 전력용 175mmㅧ6공 관로구를 추가로 배치한다. 이때 6공은 2단 3열로 배치한다.
즉,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3열로 배치된다.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 중 390mm를 유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b와 같이 하부 맨홀 벽면에 10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0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배치된다. 총 3공의 통신 자동화용 100mm 관로구가 추가된다.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내지 310mm 중 300mm를 유지하게 배치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기존 MS-6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도 4b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17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간격이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구체적으로 14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수직 철근부는 90mm 내지 110mm 규격 즉 100mm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70mm 내지 180mm 규격 즉 17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간 중심점 간 간격이 3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00mm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또한 수직 철근부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우측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 바람직하게는 34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그리고 도 4b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하부 맨홀의 수평 철근 배근 간격은 도 4a의 기존 배근 간격과 동일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 중 바람직하게는 140mm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 중 2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4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가 형성된다.
또한, 수평 철근부는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 중 2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수평 철근과의 간격을 90mm 내지 110mm 중 10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기존 ME-6 맨홀의 양쪽 분기 벽면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다.
ME-6 맨홀은 4방향 분기 타입의 지중배전용 조립식 맨홀로서 직선부 및 곡선부에 여유분의 관로를 두어 추후 확장성 및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양쪽 분기 벽면은 통신 자동화용 100mmㅧ3공 관로구 추가배치된다.
즉,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100mmㅧ1공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분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100mmㅧ2공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또한 도 6a는 기존 ME-6 맨홀의 간선 상대 벽면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b와 같이 ME­6 맨홀의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가 4공 2단 2열로 배치된다.
또한, 간선 상대벽면의 상부 맨홀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100mmㅧ2공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된다.
또한 도 7a는 기존 ME-6 맨홀의 간선 벽면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b와 같이,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ㅧ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고,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ㅧ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어 간선 벽면에는 통신 자동화용 100mmㅧ4공 관로구가 추가 배치된다.
도 8a 내지 도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배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기존 ME-6 맨홀의 양쪽 분기 벽면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 중 4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추직 철근과 90mm 내지 110mm 간격 즉 1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또한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 중 3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수직 철근과의 간격이 90mm 내지 110mm 중 100mm를 유지도록 철근 배근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 중 67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되는 수직 철근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수평철근 배근 간격은 기존의 ME-6 맨홀의 수평철근 배근 간격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철근부는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 중 37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중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 중 10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중 25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배근된다.
또한 도 9a는 기존 ME-6 맨홀의 간선 상대 벽면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또한 도 10a는 기존 ME-6 맨홀의 간선 벽면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철근 배근 위치도이다.
도 10b 와 같이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 중 4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40mm 내지 160mm 간격 바람직하게는 1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그리고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 중 37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수직 철근과의 간격을 140mm 내지 160mm, 바람직하게는 1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배근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수평철근 배근 간격은 기존의 ME-6 맨홀의 수평철근 배근 간격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철근부는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 중 37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중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 중 10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중 25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MS-4 맨홀에 적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가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여 간격을 변경하고(S100),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3열로 배치한다(S110).
이 후에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추가배치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하여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3공 추가배치한다(S120).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바람직하게는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형성한다(S130). 이때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구체적으로 14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 내지 310mm 바람직하게는 3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배근하여 형성한다(S140).
이때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00mm를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150).
또한 수직 철근부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우측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 바람직하게는 34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160).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며(S170), 이때 수평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즉 14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80mm 내지 2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며(S180),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 중 2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한다(S190).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MS-6 맨홀에 적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가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여 간격을 변경하고(S200),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3열로 배치한다(S210).
이 후에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추가배치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하여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3공 추가배치한다(S220).
이때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바람직하게는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형성한다(S230). 이때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구체적으로 14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 내지 310mm 바람직하게는 3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형성한다(S240).
이때 수직 철근과의 간격은 100mm를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250).
또한 수직 철근부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우측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 바람직하게는 34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260).
한편, 하부 맨홀의 수평철근 배근 간격은 기존과 동일하고, 상부 맨홀의 전력용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며 수평 철근과의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 중 140mm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270).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 즉, 2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며 이때 30mm 내지 50mm 간격 즉, 40를 유지한다(S280).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 즉 2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 90mm 내지 110mm 중 10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한다(S290).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을 ME-6 맨홀에 적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가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여 간격을 변경하고(S300),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6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3열로 배치한다(S310).
그리고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가 4공 2단 2열로 배치된다(S315).
즉,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2열로 배치하여 형성한다.
이 후에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분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어 100mm 통신 자동화용 3공이 추가 배치된다(S320).
그리고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2단 1열로 추가 배치하고,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2단 1열로 추가 배치한다(S325).
이후에 간선 상대벽면의 상부 맨홀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100mmㅧ2공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될 수 있다(S330).
한편, 수직 철근부를 형성하되,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 즉 4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중 100mm 간격을 유지하고(S340),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 중 45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140mm 내지 160mm 중 150mm 간격을 유지한다(S345). 그리고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를 중 32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90mm 내지 110mm 바람직하게는 100mm를 유지하고(S350),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 즉 37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140mm 내지 160mm 바람직하게는 1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한다(S355).
그리고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 바람직하게는 675mm를 유지하는 수직 철근부를 형성한다(S360).
이후에,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 바람직하게는 375mm를 유지하고(S370),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며(S375),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175mm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 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를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한다(S380).
또한,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100mm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고(S385),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100mm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 중 450mm를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한다(S390).
이상에서 실시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8)

  1.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전력용 관로구;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되는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3열로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5. 제 4 항에 있어서,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내지 310mm을 유지하게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철근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80 내지 2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상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평 철근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30mm 내지 5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수평 철근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10. 제 4 항에 있어서,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더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11. 제 10항에 있어서,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고,
    분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고,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
  13. 제 12 항에 있어서,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140mm 내지 160mm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90mm 내지 110mm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140mm 내지 160mm를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은,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를 유지하는 수직 철근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은,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는 수평 철근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15.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맨홀 타입별로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3열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6공 전력용 관로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를 2단 2열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18. 제 16 항 또는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80mm 내지 400mm를 유지하게 배치하여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은 290mm 내지 310mm을 유지하게 배치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와 90mm 내지 110mm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기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 벽체 간 간격은 330mm 내지 350mm를 유지하도록 수직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80 내지 29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상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와 간격은 130mm 내지 150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 하단면과의 간격이 220mm 내지 23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30mm 내지 50mm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상부 맨홀의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전력용 하부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상단 면과의 간격이 275mm 내지 29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간선 상대 벽면에 170mm 내지 180mm 규격의 4공 전력용 관로구가 2단 2열로 더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분기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1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분기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간선 벽면의 하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 및
    간선 벽면의 상부 맨홀 벽면에 90mm 내지 110mm 규격의 2공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가 2단 1열로 추가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분기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00mm 내지 50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90mm 내지 110mm 간격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의 간격이 350mm 내지 55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140mm 내지 160mm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15mm 내지 33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90mm 내지 110mm을 유지하고,
    간선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및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중심점 간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간격을 140mm 내지 160mm를 유지하며,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분기 벽면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맨홀 내부벽체 간의 간격이 665mm 내지 685mm를 유지하는 수직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상ㅇ하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365mm 내지 385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좌ㅇ우단 중심점 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165mm 내지 185mm 규격의 전력용 관로구 및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도록 철근 배근하여 최하단 수평 철근과 상부 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은 90mm 내지 110mm를 유지하고,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하부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 중심에서 상부맨홀 최하단 면과의 간격이 240mm 내지 260mm를 유지하며,
    상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275mm를 유지하고,
    상기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은,
    하부 맨홀의 90mm 내지 110mm 규격의 상ㅇ하단 통신 자동화용 관로구의 중심점간의 간격이 440mm 내지 460mm를 유지하는 수평 철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KR1020200067211A 2020-06-03 2020-06-03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KR20210150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11A KR20210150177A (ko) 2020-06-03 2020-06-03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11A KR20210150177A (ko) 2020-06-03 2020-06-03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77A true KR20210150177A (ko) 2021-12-10

Family

ID=7886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11A KR20210150177A (ko) 2020-06-03 2020-06-03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9263A (zh) 钢盖板盖挖法基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420480B (zh) 湿陷性黄土地区综合管网的布置方法及结构
KR101026836B1 (ko) 복공판 패널을 이용한 개착식 터파기 구조 및 개착식 터파기 시공방법
KR20210150177A (ko) 조립식 맨홀 및 조립식 맨홀의 제작 방법
US7975436B2 (en) Utility trench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20013182A (ko) 다단굴착 및 복공판 패널을 이용한 개착식 터파기 구조 및 개착식 터파기 시공방법
CN104032767A (zh) 一种深基坑内塔吊基础及其施工方法
CN105586975A (zh) 预制围护桩与结构墙相叠合的一体化构造及施工方法
EP1380691B1 (en) Wide channel drainage system
KR20140009773A (ko) 발포제 충진형 지중관로 보호용 멀티프로텍터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JP6228836B2 (ja) 逆巻き工法
CN215817324U (zh) 电力排管铺设结构
KR101249660B1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적용되는 벽체 트렌치 토압 지지 방법
CN211523226U (zh) 一种基坑内支撑系统
CN210134453U (zh) 一种环保型预制装配整体式综合管廊
KR100959946B1 (ko) 인장력에 의한 루프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루프 구조체
CN113175062A (zh) 一种超深排水检查井及排水系统
CN111244832A (zh) 一种顶管式地下高压电缆整体提升原位保护的迁改方法
CN105089024A (zh) 地下厂房出线布置方式及结构
JP6556061B2 (ja) 補強部材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CN210661647U (zh) 一种天然气管道保护装置
JP2013150445A (ja) 電線共同溝の管路部及び設置構造
CN219710339U (zh) 一种深基坑交叉管道接驳口支护保护结构
CN214648163U (zh) 洗车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