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638A -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638A
KR20210148638A KR1020200065733A KR20200065733A KR20210148638A KR 20210148638 A KR20210148638 A KR 20210148638A KR 1020200065733 A KR1020200065733 A KR 1020200065733A KR 20200065733 A KR20200065733 A KR 20200065733A KR 20210148638 A KR20210148638 A KR 2021014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witching element
voltage
driving signal
rectifie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성연수
오교언
이의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638A/ko
Priority to CN202180039561.0A priority patent/CN115943731A/zh
Priority to PCT/KR2021/006727 priority patent/WO2021246733A1/ko
Priority to US18/000,467 priority patent/US20230217552A1/en
Publication of KR2021014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7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against abnormal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15Resonant converters

Abstract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는,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류전압을 상기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전압제공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되,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VERTING POWER, ELECTRIC RANGE COMPRISING THE SAME, AND MER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워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모터 구동용 인버터, 무정전 전원장치, 및 주파수 변환장치 등의 전력기기의 제어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력기기의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는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사용되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도 고내압화 및 대전류화가 요구되나,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발열에 의해 고출력을 길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고내압화 및 대전류화 추세에 따라,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발열문제를 해결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도요타 지도샤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2142호 공보(스위칭 회로 및 반도체 장치)는 IGBT를 병렬로 배치하고, 배선을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두개의 IGBT를 모두 턴온하고, 배선을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둘 중 하나의 IGBT만을 턴온하는 회로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대전류시 각 IGBT 부하를 저감하면서 소전류시 턴오프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IGBT 각각의 상태반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자의 내구성 강화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4031호 공보(병렬접속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용 반도체장치)는 전력용 반도체를 병렬로 배치하고, 온지령에 대해서는 두 소자를 동시에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온 상태로 하고, 오프지령에 대해서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오프상태로 하는 회로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스위칭손실을 종래보다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반도체 소자의 각각의 상태반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자의 내구성 강화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칭소자를 병렬로 연결하고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소자의 상태에 따라 분산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하여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는,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류전압을 상기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전압제공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되,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는,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류전압을 상기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전압제공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되,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암(arm) 소자를 구성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암 소자를 구성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워킹코일과, 정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압제공부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워킹코일과, 정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압제공부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워킹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압제공부가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정류전압의 파형과 워킹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위칭소자가 전기레인지의 내부에서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워킹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풀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9는 하프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위칭소자가 병렬로 배치되는 인버터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칭소자가 병렬로 배치되는 인버터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레인지(1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케이스(110)를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는 케이스(110)의 상면과 결합하여 케이스(1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고, 발열부(130)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피가열 물체에 발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세라믹 글래스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복수의 발열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거나 발열부(130)의 출력을 조절하게 하거나, 또는 전기레인지(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에 의한 정보입력 및 정보표시가 모두 가능한 터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구조의 인터페이스부(14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케이스(110)에 발열부(130)와 인터페이스(140)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 외 다른 전기레인지(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커버 플레이트(120)에는 인터페이스부(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작 영역(145)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조작 영역(145)에는 문자나 이미지등이 미리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인쇄된 문자나 이미지를 참고하여 조작 영역(145)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40)에 의해서 출력되는 정보는 커버 플레이트(120)를 통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 내부에 세개의 발열부(130)가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 내부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발열부가 배치되거나, 또는 세개 이상의 발열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개략적인 전기레인지(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보다 다양한 구성이 전기레인지(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열부(130)는 공급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유도 자계를 형성하는 워킹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워킹코일에 자계가 형성되고, 이 자계가 워킹코일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생성시킴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전기레인지(100)는 유도가열 방식의 조리기기일 수 있다. 또는, 발열부(130)는 커버 플레이트(12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열선에 전원이 인가되면, 열이 발산되어 커버 플레이트(120)에 안착된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전기레인지(100)는 하이라이트 방식의 조리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100)는 유도가열 방식의 조리기기이거나, 하이라이트 방식의 조리기기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발열부(130)가 워킹코일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다시, 도 1을 참조로 하면, 케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추후 설명되는 제어부가 배치되어,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후 설명되는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를 제어하여, 워킹코일(2)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워킹코일인 발열부(1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워킹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버터(1)는, 제어부(10), 전압검출부(15), 정류부(25), 초크코일(choke coil)(30), 전압제공부(35), 워킹코일(2)에 병렬로 연결되는 공진 커패시터(40), 제1스위칭소자(45), 제1온도센서(55), 제1스위칭소자(45)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50), 및 제2온도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싱글-엔디드 방식의 인버터는 워킹코일(2)과 병렬로 공진 커패시터(40)를 삽입하여 전압공진을 발생시키므로, 높은 공진전압이 발생된다. 공진전압의 크기는 700V 내외로 설계하므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의 각각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1000V를 상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인버터에 사용되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는 주로 1200V 이상의 정격전압을 가지는 고내압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전력용 반도체 소자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류부(25)는 교류전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초크코일(30)은 정류전압을 평활하여 정류전압에 포함되는 리플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초크코일(30)은 소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저지할 목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소자가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압제공부(35)는 정류전압을 워킹코일(2)에 인가하는 전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제공부(35)는 직류링크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싱글-엔디드 방식의 인버터에서, 별도의 역률 보상회로 없이 인버터의 동작만으로 고역률을 얻기 위해서는 작은 용량의 커패시터가 사용되며, 따라서, 직류링크 전압은 평활되지 않은 맥류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압제공부(35)가 워킹코일(2)에 제공하는 정류전압의 파형과 워킹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직류링크 전압은 평활되지 않은 정류전압이고, 직류링크 전압에 전류가 비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압검출부(15)는, 전압제공부(35)의 전압레벨을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압제공부(35)의 정류전압이 워킹코일(2)로 인가되도록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키고 출력유지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로의 용량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스위칭소자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온도센서(55)는 제1스위칭소자(45)의 근처에 배치되어, 제1스위칭소자(45)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센서(60)는 제2스위칭소자(50)의 근처에 배치되어, 제2스위칭소자(50)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구동신호는, 예를 들어 IGBT에 대한 게이트 구동신호일 수 있다. 구동신호를 수신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는 해당 구동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되고, 이에 의해 워킹코일(2)에 정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칭소자(45) 또는 제2스위칭소자(50)는 제어부(10)로부터 온으로 지정하는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온으로 전환하며, 전압제어부(35)로부터 워킹코일(2)로 정류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소자(45) 또는 제2스위칭소자(50)는 제어부(10)로부터 오프로 지정하는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오프로 전환하며, 전압제어부(35)로부터 워킹코일(2)로 정류전압이 공급이 중단되고, 워킹코일(2)의 등가 인덕터 Lr과 공진 커패시터 Cr(40) 상호간 병렬공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스위칭소자(45) 또는 제2스위칭소자(50)의 주기적인 온/오프에 의해, 워킹코일(2)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0)의 피가열 물체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10)는 전압제공부(35)에 의해 제공되는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를 모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는 전압제공부(35)에 의해 제공되는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 중 온도가 더 높은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온 또는 오프를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레벨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10)는, 전압제공부(35)에 연결된 전압검출부(15)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제공부(35)의 정류전압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S41). 도 3에서와 같이, 전압제공부(35)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정류전압이고, 소정 주기에 따라 전압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10)는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이상,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S42),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를 모두 온 또는 오프로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7). 즉, 제어부(10)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 모두가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는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의 각각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S43). 이때, 제어부(10)는 제1온도센서(55)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1스위칭소자(45)의 온도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제2온도센서(6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스위칭소자(50)의 온도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0)는, 양 스위칭소자(45, 50)의 온도가 상이한 경우에는(S44),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46). 예를 들어, 제1스위칭소자(45)의 온도가 제2스위칭소자(50)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1스위칭소자(45)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1스위칭소자(45)에 제공하여, 제1스위칭소자는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칭소자(50)에 구동신호를 제공하여 주기적인 온/오프에 의해 워킹코일(2)에 전압제공부(35)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이고, 양 스위칭소자(45, 50)의 온도가 상이하지 않은(실질적으로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10)는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45).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45, 50)의 온도가 상이하지 않더라도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0)의 제어는, 소정 주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정류전압이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전압이므로, 도 4의 제어부(10)의 동작은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정류전압의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위칭소자가 전기레인지(100)의 내부에서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케이스(110)의 내부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워킹코일(2)에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워킹코일(2a)에 연결되는 제3스위칭소자(45a)와 제4스위칭소자(50a)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소자의 방열을 위해 전기레인지(100)의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팬(200)과 히트싱크(2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팬(200)을 복수로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히트싱크(210)에 의해 동일한 수준의 방열을 하여도 팬(200)을 기준으로 위치가 먼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고출력을 장시간 유지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의 전기레인지(100)에서, 워킹코일(2)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온도가 낮은(즉, 팬(200)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하여,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레인지(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워킹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인버터(1a)는, 제어부(10a), 전압검출부(15), 정류부(25), 초크코일(30), 전압제공부(35), 워킹코일(2)에 병렬로 연결되는 공진 커패시터(40), 제1스위칭소자(45), 제1전류센서(65), 제1스위칭소자(45)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50), 및 제2전류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인버터(1a)는, 제1온도센서(55)와 제2온도센서(60) 대신, 제1전류센서(65)와 제2전류센서(7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10a), 제1전류센서(65)와 제2전류센서(70)의 동작을 제외하고 그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할 것이므로, 나머지 구성요소의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제1전류센서(65)는 제1스위칭소자(4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0a)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전류센서(65)는 예를 들어 변류기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고 또는 션트저항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전류센서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전류센서(70) 역시, 제2스위칭소자(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0a)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변류기 방식 또는 션트저항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고, 그외 다른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부(10a)는 전압제공부(35)에 의해 제공되는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를 모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a)는 전압제공부(35)에 의해 제공되는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 중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온 또는 오프를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레벨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a)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부(10a)는, 전압제공부(35)에 연결된 전압검출부(15)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제공부(35)의 정류전압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S71). 도 3에서와 같이, 전압제공부(35)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정류전압이고, 소정 주기에 따라 전압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10a)는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이상,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S72),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를 모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7). 즉, 제어부(10a)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 모두가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a)는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45)와 제2스위칭소자(50)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S73). 이때, 제어부(10a)는 제1전류센서(65)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1스위칭소자(45)에 흐르는 전류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제2전류센서(7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스위칭소자(50)에 흐르는 전류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0a)는, 양 스위칭소자(45, 5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한 경우에는(S74),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76). 예를 들어, 제1스위칭소자(45)에 흐르는 전류가 제2스위칭소자(50)에 흐르는 전류보다 큰 경우, 제1스위칭소자(45)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1스위칭소자(45)에 제공하여 제1스위칭소자(45)는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칭소자(50)에 구동신호를 제공하여 제2스위칭소자(50)의 주기적인 온/오프에 의해 워킹코일(2)에 전압제공부(35)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이고, 양 스위칭소자(45, 5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하지 않은(실질적으로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10a)는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75).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45, 5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하지 않더라도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0a)의 제어는, 소정 주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정류전압이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전압이므로, 도 4의 제어부(10)의 동작은 전압제공부(35)가 제공하는 정류전압의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는, 도 2와 도 6의 싱글-엔디드 인버터의 스위칭소자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토폴로지의 인버터에 적용가능하다.
도 8은 풀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의 회로도이고, 도 9는 하프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8의 풀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는 총 4개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직렬로 연결된 L-R-C 공진회로로 구성된다. 풀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에서 각 암을 구성하는 두개의 스위칭소자는 상보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되어, 공진회로에 전압제공부(35)의 전압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의 하프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는 암을 구성하는 2개의 스위칭소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 동작하여 공진회로에 전압이 인가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다양한 토폴로지의 인버터 회로에 병렬로 스위칭소자를 배치하여, 스위칭소자의 발열을 줄이고, 고출력을 장시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장치가 공진형 인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동기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다양한 토폴로지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위칭소자가 병렬로 배치되는 인버터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8 또는 도 9와 같은 전체 인버터 회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버터 장치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제1온도센서(540), 제2온도센서(55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는 소정 토폴로지의 인버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도 8의 풀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에 사용될 수도 있고, 도 9의 하프 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는 병렬로 연결되며,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의 입력전압은 도 2에서 설명한 정류된 전압일 수도 있지만, 정류되지 않은 교류전압일 수도 있다. 정류되지 않은 교류전압일 경우, 제어부(500)는 입력전압의 절대값의 레벨을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온도센서(540)는 제1스위칭소자(520)의 근처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연결되어, 제1스위칭소자(540)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00)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센서(550)는 제2스위칭소자(530)의 근처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2스위칭소자(530)와 연결되어, 제2스위칭소자(530)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00)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구동신호는, 예를 들어 IGBT에 대한 게이트 구동신호일 수 있다. 구동신호를 수신한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는 해당 구동신호를 기반으로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의 입력전압을 확인하고,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를 모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제어부(500)는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중 온도가 더 높은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온 또는 오프를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레벨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부(500)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확인하여,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모두가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의 각각의 온도를 확인하여, 양 스위칭소자(520, 530)의 온도가 상이한 경우에는,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칭소자(520)의 온도가 제2스위칭소자(530)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1스위칭소자(520)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1스위칭소자(520)에 제공하여, 제1스위칭소자(520)는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칭소자(530)에 구동신호를 제공하여 주기적인 온/오프에 의해 소정의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이고, 양 스위칭소자(520, 530)의 온도가 상이하지 않은(실질적으로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500)는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520, 530)의 온도가 상이하지 않아도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500)의 제어는, 소정 주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입력전압의 주기에 따라, 제어부의 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칭소자가 병렬로 배치되는 인버터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8 또는 도 9와 같은 전체 인버터 회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버터 장치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제1전류센서(560), 제2온도센서(570) 및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류센서(560)는 제1스위칭소자(52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어부(5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전류센서(560)는 예를 들어 변류기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고 또는 션트저항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전류센서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전류센서(570) 역시, 제2스위칭소자(5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어부(5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변류기 방식 또는 션트저항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고, 그외 다른 방식의 전류센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부(510)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의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를 모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제어부(510)는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중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온 또는 오프를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격전압의 70% 레벨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10)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확인하여,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 모두가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지정하는 구동신호를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10)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520)와 제2스위칭소자(530)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10)는 제1전류센서(56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1스위칭소자(520)에 흐르는 전류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제2전류센서(57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스위칭소자(530)에 흐르는 전류정보를 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510)는, 양 스위칭소자(520, 53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한 경우에는,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칭소자(520)에 흐르는 전류가 제2스위칭소자(530)에 흐르는 전류보다 큰 경우, 제1스위칭소자(520)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1스위칭소자(520)에 제공하여 제1스위칭소자(520)는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칭소자(530)에 구동신호를 제공하여 제2스위칭소자(530)의 주기적인 온/오프에 의해 소정의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이고, 양 스위칭소자(520, 53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하지 않은(실질적으로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510)는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다른 스위칭소자를 오프로 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520, 530)에 흐르는 전류가 상이하지 않더라도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하나의 스위칭소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510)의 제어는, 소정 주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입력전압이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전압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510)의 동작은 입력전압의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모두 구동하여 고전압에 대응하고, 인가되는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만을 구동함으로써 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하여 스위칭소자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감소시켜 고출력 유지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5: 전압제공부 45, 50: 스위칭소자
10, 10a: 제어부

Claims (10)

  1.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류전압을 상기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전압제공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되,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기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기레인지.
  3. 피가열 물체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정류전압을 상기 워킹코일에 제공하는 전압제공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되,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기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기레인지.
  5. 입력전압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암(arm) 소자를 구성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력변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력변환장치.
  7. 입력전압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암 소자를 구성하는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력변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이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스위칭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기레인지.
  9. 워킹코일과, 정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압제공부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온도가 낮은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온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0. 워킹코일과, 정류전압을 제공하는 전압제공부와, 상기 정류전압의 상기 워킹코일로의 인가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류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가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전압이 상기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제2스위칭소자중 작은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큰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소자에 오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KR1020200065733A 2020-06-01 2020-06-01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48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33A KR20210148638A (ko) 2020-06-01 2020-06-01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CN202180039561.0A CN115943731A (zh) 2020-06-01 2021-05-31 功率转换装置、包括其的电灶及其控制方法
PCT/KR2021/006727 WO2021246733A1 (ko) 2020-06-01 2021-05-31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US18/000,467 US20230217552A1 (en) 2020-06-01 2021-05-31 Power conversion device, electric rang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33A KR20210148638A (ko) 2020-06-01 2020-06-01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638A true KR20210148638A (ko) 2021-12-08

Family

ID=788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33A KR20210148638A (ko) 2020-06-01 2020-06-01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7552A1 (ko)
KR (1) KR20210148638A (ko)
CN (1) CN115943731A (ko)
WO (1) WO20212467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9339B2 (ja) * 2002-04-26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1616463B1 (en) * 2003-04-22 2015-06-10 Panasonic Corporation High-frequency dielectric heating device and printed board with thermistor
JP5279748B2 (ja) * 2010-03-19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調理器
JP6172175B2 (ja) * 2015-02-09 2017-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回路及び半導体装置
JP6473997B2 (ja) * 2015-03-04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電磁誘導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7552A1 (en) 2023-07-06
WO2021246733A1 (ko) 2021-12-09
CN115943731A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389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EP2753146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level thereof
KR101743495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EP2753147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KR10172902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WO2014033773A1 (ja) 誘導加熱調理器
EP2753145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JP4794533B2 (ja) 誘導加熱装置
JP2009099350A (ja) 誘導加熱装置
JP200821074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76452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KR20210148638A (ko) 전력변환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1611277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JP2013013163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誘導加熱装置
KR102306811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Ahmed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ull bridge series resonant inverters for induction-heating cooking appliances
JP2982364B2 (ja) 誘導加熱用インバータ
JP5304426B2 (ja) 誘導加熱装置
JP3932976B2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と炊飯器
WO2022102983A1 (ko) 전기레인지의 전력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5142U (ko) 유도가열 조리기
JP2008270088A (ja) 大型電磁誘導加熱装置
JP3555320B2 (ja) コンバータ
JP2007287601A (ja) 電磁調理器
JP3937918B2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と炊飯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