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623A -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623A
KR20210147623A KR1020200065118A KR20200065118A KR20210147623A KR 20210147623 A KR20210147623 A KR 20210147623A KR 1020200065118 A KR1020200065118 A KR 1020200065118A KR 20200065118 A KR20200065118 A KR 20200065118A KR 20210147623 A KR20210147623 A KR 2021014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heet
peeling
adhesive tape
light releas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6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623A/ko
Publication of KR2021014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 및 응용에서 피착체에 점착제를 라미네이션하기 위해서 경박리시트를 박리할 때 발생되는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가 크지 않아도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으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경박리시트와 중박리시트의 선정에서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 및 이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는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2~30g/25㎜,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4~100g/25㎜,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g/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은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점착제층과 경박리시트가 이루는 각이 90도 내지 180도이며, 점착제층의 이송 방향과 경박리시트의 이송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경박리시트를 박리하면서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LAMINATION METHOD AND SYSTEM OF INDUSTRIAL ADHESIVE WITHOUT SUBSTRATE}
본 발명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 및 응용에서 피착체에 점착제를 라미네이션하기 위해서 경박리시트를 박리할 때 발생되는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가 크지 않아도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으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경박리시트와 중박리시트의 선정에서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전기전자 분야, 토목건축 분야 및 자동차 분야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사용되는 점착제의 형태로 기존의 기재가 있는 양면점착테이프에 비해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고, 한번 제작으로 많은 범위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부직포나 폴리에스터 필름, 이미드 필름 등의 기재를 사용한 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경우 기재를 사이에 두고 양면을 점착제 코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상 많은 설비와 제작공정을 거치게 된다. 기재에 따른 양면의 박리력 차이를 주고자 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재 양면점착테이프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점착제의 물성제어를 적절히 하면 기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재에 따른 박리력 차이를 둘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점착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물성 중 가장 약한 점착제의 내부 응집력도 점착제 내에 무기물이나 점착제의 두께 및 경화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기재 점착 테이프와 크게 뒤지지 않는 인장력이나 응집력을 보유하기도 한다.
그리고 내열적인 특성에서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재 자체의 열적인 특성, 즉 열팽창계수, 열분해율, 내열스트레스 등이 부착 기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을 야기시키는 경우도 많으나, 무기재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점착제의 점탄성의 특성으로 오히려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제품의 스트레스를 흡수해주는 잇점이 있다.
또한, 무기재 점착제의 다른 장점으로는 기존의 필름이나 기재에 직접 도공을 하는 것에 비해서 제품의 제조과정 및 불량이 줄어듦으로써 생산능률을 신장시키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의 패널에 부착되는 편광판의 경우 편광판에 점착제를 직접 도공할 경우, 일반적으로 필요한 숙성기간인 3~7일 가량이 지나야 제품의 출고가 가능하다. 그러나 숙성된 점착제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면 편광판의 제품출고의 기간은 그만큼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통은 점착제가 부착되는 기재는 고가의 기능성 필름이기 때문에 무기재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미리 점착제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어서 점착제의 직접 도공으로 발생되는 불량율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고가의 기능성 필름과 같은 기재에 점착제를 직접 도공하지 않아도 다양한 점착제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측면에서도 잇점이 있다.
그런데,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박리시트(또는 이형필름, 세퍼레이트, 라이너)가 양쪽으로 무거운 박리시트(중박리시트)와 가벼운 박리시트(경박리시트)의 두 종류가 필요하다.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박리되는 경박리시트의 박리시 점착제가 따라 올라가지 않고, 중박리시트에 안전하게 붙어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러하지 못하고 점착제가 경박리시트에 딸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를 점착제층의 응집파괴,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 또는 추종하고 젖혀지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평7-041736호에서는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이 25~200g/50㎜이고,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5~80 g/50㎜이고, 양 박리력의 차이가 20g/50㎜ 이상이며, 중박리시트의 표면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임을 기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작시 사용되는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클수록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안정적이지만 박리시트의 선정에 있어서 제한적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는 없다. 또한 20g/50㎜ 이상이 차이가 나지 않더라도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박리시트의 적절한 조건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2008-115322에서는 점착제층에 테르펜(terpene)계 점착부여수지(tackifier)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면서 점착제의 응집파괴 및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를 해결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첨가제를 이용하여 점착제가 개질이 되면 요구되는 특성을 맞출 수가 없기 때문에 제한적인 점착제의 사용에만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2005-344008에서는 무기재의 구조로 기재응답(response)의 감압성 점착시트를 만듦에 있어서 고온 유지성이 우수하고 박리시 피착체의 오염 없이 벗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중합형 고분자와 친유성 층상 점토광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점착시트의 두께가 최소 150㎛이상, 실시예에서는 1,000㎛의 도공을 예로 들고 있어서 점착제 자체가 충분히 두꺼우며 내부 응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박리시트에 의한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에는 해당사항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2008-0089730에서는 점착제로 붙어져 있는 편광판을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이나 편광판의 찢어짐이 없이 박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박리 롤러의 회전방향과 박리 롤러의 이송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부착된 편광판과 박리되는 편광판이 이루는 박리각도를 초기에는 크게, 나중에는 작게 가져가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2001-0037209에서도 액정패널과 편광판의 사이의 박리각도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박리각도에 따른 테이프의 박리력은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Donatas Satas, ed., 1999, Satas & Associates, p79)에 서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각도 120~140도일 때, 즉 상기와 같은 120~140도 일 때 박리력이 가장 낮게 측정되고 박리각도가 더 낮아지면 박리력은 더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서 박리시킬 때는 패널의 들림과 점착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적인 측면에서 박리각도를 낮게 설계를 하는 것이지 쉽게 편광판을 벗기기 위함은 아니다. 그리고 편광판이나 테이프를 벗기는 것은 박리각도에 따른 점착제의 스트레스가 포함되지만 이형필름을 벗기는 것에는 점착제의 스트레스 영향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고, 박리시트에 의한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가 없이 박리시트를 안전하게 박리함으로써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가 갖는 불량의 원인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최적의 박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테이프에서 박리시트를 박리시 발생되는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가 없는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 및 이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의 박리시 점착제층이 경박리시트를 따라서 들고 일어나거나 점착제층이나 표면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불량없는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가 크지 않아도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점착제의 조성이 달라지면 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달라지는데 이를 최소화하여 박리시트의 선정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게 하고 박리시트에 의한 점착 테이프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2~30g/25㎜,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4~100g/25㎜,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g/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3~10 g/25㎜,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6~20 g/25㎜,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10 g/2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점착제층과 경박리시트가 이루는 각이 90도 내지 180도이며, 점착제층의 이송 방향과 경박리시트의 이송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경박리시트를 박리하면서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는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2~30g/25㎜이고,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4~100g/25㎜이며,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g/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3~10g/25㎜이고,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6~20g/25㎜이며,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10g/2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피착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이송 속도는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속도와 동일하고, 상기 이송속도와 상기 박리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 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착체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기능성 필름, 가전 제품이나 건축 외장재의 외장용 필름 등의 플렉시블한 기재나 유리, SUS,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과 같은 하드한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 및 응용에서 피착체에 점착제를 라미네이션하기 위해서 경박리시트를 박리할 때 발생되는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가 크지 않아도 깨끗하게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으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경박리시트와 중박리시트의 선정에서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구조이고,
도 2는 경박리시트를 90도로 박리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경박리시트를 180도로 박리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경박리시트와 중박리시트의 박리각도 및 박리속도에 따른 박리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시트)의 구조이고, 도 2는 경박리시트를 90도로 박리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경박리시트를 180도로 박리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경박리시트와 중박리시트의 박리각도 및 박리속도에 따른 박리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에서 "1"은 "경박리시트"를, "2"는 "감압성 점착제층"을 "3"은 "중박리시트"를 "4"는 "피착제"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로서,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되는데,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2~30g/25㎜이고,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4~100g/25㎜이며,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 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g/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3~10 g/25㎜,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6~20g/25㎜,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10g/2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점착제층과 경박리시트가 이루는 각이 90도 내지180도가 되도록 하며, 또한 점착제층의 이송방향과 경박리시트의 이송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는, 즉 상기 두 이송방향이 180도에 가깝게 되도록하여 상기 경박리시트를 박리하면서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박리각도에 따른 테이프의 박리력은 박리각도 120~140도일 때 가장 낮게 측정되고 박리각도가 더 커지면 박리력은 더 올라가게 된다('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Donatas Satas, ed., 1999, Satas & Associates, p79). 박리각도가 90도일 때는 계면 점착력에 의해 박리력이 측정된다. 그런데 박리각도가 커지면서 점착제의 변형(deformation)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응력이 계면 점착력을 상쇄시키면서 박리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는 점착제의 내부 응집력이나 유리전이온도 등의 점탄성에 따라서 그 세기가 달라진다. 그리고 어느 임계점(120~140도)을 지나게 되면서 박리력이 올라가는데, 이는 점착제의 뒷면에 부착된 테이프 기재인 백킹 필름(backing film)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백킹 필름의 응력이 박리력에 포함되기 때문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백킹 필름의 두께와 딱딱한 정도에 따라서 필름의 응력이 달라지므로 박리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점착테이프가 아닌 박리시트인 필름만 박리하므로 상기에 서술되어있는 것과는 다른 현상을 보인다(도 4 참조). 즉 90도에서 180도까지 박리각도를 크게 할수록 박리시트의 박리력은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점착테이프의 경우와 반대로 박리각도가 낮을 때는 박리시트와의 접착력으로 인한 점착제의 변형이 크게 생겨서 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높게 측정이 되고, 박리각도가 커질수록 점착제의 변형이 줄어들어서 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낮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박리시트의 필름 응력에 의한 박리력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에서 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낮다는 것은 같은 박리시트를 박리할 때 점착제와의 점착력을 최소로 하여 점착제에 대한 영향이 없이 박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박리각도만 변경시켜도 같은 박리시트와 점착제에서 박리력을 낮출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박리각도를 변경시켜서 박리력도 낮추고 점착제에서 안정적으로 박리함으로써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발생되는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눈물의 이별, 나끼와까레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는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중박리시트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박리시트 및 상기 중박리시트는 일정한 기준의 테이프(TESA 7475 tape)에 대한 박리력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이 2~30g/25㎜이고,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이 4~100g/25㎜이고, 양 박리력의 차이가 2g/2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3~10g/25㎜이고 중박리시트는 박리력이 6~20g/25㎜이고, 박리력의 차이는 2~10g/25㎜가량이 차이가 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너무 낮으면 작은 힘에서도 박리가 되어서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가 없고,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너무 높은면 피착체에 점착제를 라미네이션한 후에 중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큰 힘이 들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acetat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vinylalcoho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합성 수지 필름, 고무시트(rubber sheet), 종이, 옷감, 부직포, 네트(net), 발포시트 (foaming sheet), 금속박, 또는 이러한 피착체 등으로 되는 적당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박리시트의 표면에는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리콘 처리, 긴 고리형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처리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시트의 박리성은 박리처리에 이용하는 표면처리제의 종류와 그 도공량 등을 조절하는 것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은 보다 나은 박리시트의 안정적인 박리가 되도록 점착제층을 피착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이송 속도와 경박리시트를 박리하는 속도가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점착제층의 이송 방향과 경박리시트의 이송 방향은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로 구성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점착테이프가 진행될수록 롤의 직경은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점착테이프 롤러 회전속도가 점차 증가가 되어야 하고, 경박리시트는 반대로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박리시트 롤러의 회전속도는 감소되어야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이송속도와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 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으로 사용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중에,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점착부여제, 경화제, 가소제, 광중합성 화합물, 광개시제, 발포제, 중합금지제, 노화방지제, 충전제 등을 적당히 첨가해도 된다. 점착제는 방사선이나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방사선의 일종인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가열에 의해 건조와 경화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터, 콤마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롤 코터 등의 코터로 박리시트 상에 도포하는 방법, 인쇄를 위해 박리시트에 철판 인쇄, 요판 인쇄, 평판 인쇄, 프렉소 인쇄, 오프세트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등으로 인쇄하여 피착체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건조 후의 두께로 1~10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용도에 따라 적당한 두께를 선정을 하고 두께에는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가 설치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9 중량%, 아크릴산 10 중량%, 및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2-HB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아세테이트(EAc)용제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동안 퍼징한 후, 55℃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0.02 중량부를 투입하고, 8 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배합 및 코팅 과정
위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3.0 중량부를 투입하고 적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중박리시트(상품명 RPC-101, (주)도레이새한)의 실리콘 이형코팅면에 코팅하여 건조한 후 25㎛의 균일한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이후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경박리시트(상품명 RPS-101,(주)도레이새한)로 합지하고, 충분한 숙성과정을 위하여 상온에서 7일간 보관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무기재 양면 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를 박리할 때 박리각도를 다양하게 박리하면서 각각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중박리시트보다 좀더 가벼운 중박리시트(상품명 RPK-101, (주)도레이새한)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중박리시트 대신에 동일한 경박리시트 2장으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박리력, 점착제의 응집파괴(눈물의 이별, 나끼와까레)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박리력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 이형필름을 표1에서와 같이 90~180도의 다양한 각도 및 0.3m/분, 10m/분의 박리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점착제의 응집파괴(눈물의 이별, 나끼와까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를 200㎜× 200㎜으로 재단한 후, 경박리시트를 벗기면서 육안으로 점착제층을 평가하였다.
◎ : 경박리시트에 점착제의 부착이 없고, 깨끗하게 중박리시트에 남아있음.
○ : 재단부로 경박리시트에 점착제가 실같이 길게 늘어지는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은 깨끗하게 중박리시트에 남아있음.
△ : 재단부 주변에서 경박리시트면에 점착제가 남아있음.
×: 재단부 주변 이외에도 경박리시트에 점착제가 남아있음.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박리각도가 클수록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작아지고 점착제의 응집파괴 등의 현상이 없이 깨끗하게 박리된다. 반면에 속도가 증가되면 박리력은 같이 상승이 되고 점착제의 응집파괴 현상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중박리시트와 경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가 작게 나는 것은 박리각도가 작으면 점착제의 응집파괴가 되나 박리각도를 크게 하면 그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박리력 차이가 작더라도 중박리시트로의 사용도 용이해 진다. 그러므로 박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박리속도가 증가되거나, 박리력 차이가 작더라도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눈물의 이별, 나끼와까레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리각도가 커질수록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점착제층에 주어지는 영향력이 최소화되면서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가 없이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데, 이는 박리각도에 따라서 경박리시트 및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기존의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양 박리시트의 박리력의 차이가 20g/25㎜ 이상이 되어야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이별의 눈물, 나끼와까레를 방지할 수 있던 것을 최소 2g/25㎜이상만 되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박리시트의 선택의 폭이 많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점착제의 응집파괴나 눈물의 이별, 나끼와까레를 방지하게 되면 그 응용의 범위는 다양하게 되는데 사용되는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피착체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기능성 필름, 가전 제품이나 건축 외장재의 외장용 필름 등의 플렉시블한 기재나 유리, SUS,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과 같은 하드한 기재가 되며, 그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무반사(Anti-reflection, AR) 필름과 색보정 필름, 전자기파(EMI) 차단 필름, 기타 광기능성 필름이 있으며, 가전외장재의 SUS와 폴리염화비닐 필름(PVC) 등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그 사용의 범위는 다양하다.
1 : 경박리시트 2 : 감압성 점착제층
3 : 중박리시트 4 : 피착제

Claims (1)

  1. 경박리시트, 점착제층 및 중박리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은 16g/25㎜,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은 18~31g/25㎜,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력과 상기 중박리시트의 박리력 차이는 2.7~8.7g/25㎜인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를 피착제에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에서 경박리시트를 박리시킬 때 점착제층과 경박리시트가 이루는 각이 150도 내지 180도이며, 점착제층의 이송 방향과 경박리시트의 이송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여 0.3 ~ 10 m/분의 속도로 상기 경박리시트를 박리하면서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피착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이송 속도는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속도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이송속도와 상기 박리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경박리시트의 박리 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착체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기능성 필름, 가전 제품이나 건축 외장재의 외장용 필름 등의 플렉시블한 기재나 유리, SUS,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과 같은 하드한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065118A 2020-05-29 2020-05-29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7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18A KR20210147623A (ko) 2020-05-29 2020-05-29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18A KR20210147623A (ko) 2020-05-29 2020-05-29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23A true KR20210147623A (ko) 2021-12-07

Family

ID=7886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118A KR20210147623A (ko) 2020-05-29 2020-05-29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6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13409A (ja) * 2022-02-03 2023-08-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粘着シート、フレキシブル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13409A (ja) * 2022-02-03 2023-08-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粘着シート、フレキシブル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118B1 (ko) 점착제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970963B2 (ja) 剥離性感圧接着剤及びその粘着部材
EP0259094B1 (en) Unifi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8333865B2 (en) Method for mounting printing plates to printing cylinders or sleeves with adhesive tape
JP2010525089A (ja) 両面感圧接着テープ
US20140193611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optical film with surface protection film
JP2010189545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部材
JP2008522231A (ja) Lcディスプレー製造用の光反射性および光吸収性を示す両面感圧接着テープ
JP2003177241A (ja) 光学用積層体、粘着剤転写テープ、および光学用積層体の製造法
JP200854399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を製造および/または接着するための光吸収性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
KR20040030187A (ko) 감압성 양면 점착 시트 및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패널의접착 고정 방법
US20130101819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2008546041A (ja) 光反射特性および光吸収特性を有するlcディスプレーの製造のための両面感圧接着テープ
JP2012177084A (ja) 耐熱仮着用の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2007119562A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両面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064946A (ko) 양면 점착제 가공용 양면 이형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521991A (ja) Lcディスプレー製造用の光反射性および光吸収性を示す両面感圧接着テープ
JP2002309212A (ja) ガラス板用水分散型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液晶表示装置
JP2008521989A (ja) Lcディスプレー製造用の光反射性および吸収性を示す両面接着テープ
US20120111830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or sticking together LC displays with light-absorbing properties
KR20210147623A (ko) 산업용 무기재 점착테이프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션 방법 및 시스템
JP2016132697A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08521992A (ja) Lcディスプレー製造または接着用の光吸収特性を有する両面接触接着テープ
JP2012012506A (ja) エネルギー線易剥離型粘着剤組成物
KR20180092898A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