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552A -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552A
KR20210147552A KR1020200064970A KR20200064970A KR20210147552A KR 20210147552 A KR20210147552 A KR 20210147552A KR 1020200064970 A KR1020200064970 A KR 1020200064970A KR 20200064970 A KR20200064970 A KR 20200064970A KR 20210147552 A KR20210147552 A KR 2021014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cosmetic composition
blocking
weigh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882B1 (ko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102020006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블루라이트 등 인체에 유해한 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복합체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과는 달리, 광안정성이 우수하여, 활성 산소 등 피부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 피부에 전혀 무해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백탁현상 등이 없는 등 사용감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HAMFUL RAYS}
본 발명은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도한 태양광 노출은 피부 탄력 저하, 피부 반점 생성 등의 문제를 유발하여 피부 건강 및 미용상의 관점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종래 화장품 분야에서는 태양광 중에서 자외선을 주요 피부 위험 요소로 파악하고, 자외선 차단을 위한 화장료를 집중적으로 개발해왔다. 그러나, 최근 현대인들의 태양광 외에도 LED 조명, TV·컴퓨터 모니터,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등에서 방출 빈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블루라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 블루라이트는 안구 건조증, 시력 저하, 망막 기능 저하 등 안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피부에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등 피부 건강을 해치고 피부 노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옥분말과 같은 블루라이트 차단을 위한 성분의 개발(KR10-2017-0003391A)이 시도되고 있는데, 블루라이트 차단능이 우수한 성분이 아직까지 밝혀진바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개발된 물질들은 광안정성이 낮고, 화장료 내 타 성분과의 관계에서 불안정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KR 10-2087868 B1 KR 10-2017-0003391 A
S. Vandersee, M. Beyer, J. Lademann and M. E. Darvin, Blue-violet light irradiation dose dependently decreases carotenoids in human skin, which indicates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Oxid. Med. Cell. Longev., 7 (2015)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광선 차단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광선 차단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안정성이 우수한 유해광선 차단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내 다른 성분과의 반응으로 인한 제형 불안정성 문제가 없는 유해광선 차단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톤에 적합한 색상을 갖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블루라이트 등 인체에 유해한 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복합체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과는 달리, 광안정성이 우수하여, 활성 산소 등 피부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 피부에 전혀 무해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백탁현상 등이 없는 등 사용감이 우수하다.
도 1은 i) 이산화티탄(1-1로 표시), ii) 이산화티탄과 철(Fe)의 복합체(2-1로 표시), 및 iii) 이산화티탄, 철 및 MBBT의 복합체(3-1로 표시) 각각의 FTIR 결과를 보이는 도이다.
도 2는 i) 이산화티탄(빨강), ii) 이산화티탄과 철의 복합체(파랑), 및 iii) 이산화티탄, 철 및 MBBT의 복합체(초록), iv) 이산화티탄, 세륨 및 MBBT의 복합체(주황) 각각의 FTIR 결과를 보이는 도이다.
도 3은 의 평균입도 mapping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m27: 빨강, m33: 노랑, m34: 파랑, m40: 에메랄드, m37: 자주).
도 4는 복합체의 UV-Visble maping 결과에 대한 도면이다( 이산화티탄(150nm)+Fe+MBBT(노랑), 이산화티탄(150nm)+Mn+MBBT(회색), 이산화티탄(150nm)+나노백금+MBBT(보라), 이산화티탄(60nm)+Fe+MBBT(청록), 이산화티탄(600nm)+Mn+MBBT(연파랑), 이산화티탄(60nm)+Si+Fe+MBBT(진분홍), 이산화티탄(150nm)+Ce+MBBT(초록))
도 5 는 복합체(m37)의 SEM-EDS maping 결과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이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산화티탄은 광학적으로 불안정하여, 광에너지 노출로 인해 여기상태가 되면서, 화장료 내 다른 성분들(예컨대, 킬레이트 물질 등)과 착물을 형성하여 제형 안정성, 조성물 자체의 기능 또는 효과를 저하시키고, 활성산소 발생의 원인이 되어 피부에 자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산화티탄을 실리콘, 수산화알루미늄 등으로 코팅한 물질도 개발되고 있으나, 가시적인 효과는 얻지 못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은 실리콘 등으로 표면처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과 전이금속을 겹합을 통해 이산화티탄의 광에너지로 인한 여기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복합체는, 전이금속 및 MBBT를,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0.01~10 중량부, 및 1~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및 MBBT를 상기와 같은 중량비율로 포함함으로써 극대화된 광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대화된 유해광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체는,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및 MBBT의 조합을 포함하고, 이들을 상기와 같은 함량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유해광선 중 블루라이트 차단능이 극대화된다. 상기 차단능이란, 절대적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차단력과, 차단력이 지속되는 능력인 지속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체의 전이금속은,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3~7 중량부, 또는 0.04~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의 MBBT는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18 중량부, 3~17 중량부, 또는 3~1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이금속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이산화티탄의 광안정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전이금속 자체로 인한 피부 자극과, 특유의 색상으로 인한 사용감 저하 문제가 발생하며, 장파장의 광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상기 복합체 내의 MBBT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단파장 광선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 불안정, 사용감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 측면에서, 상기 복합체의 이산화티탄 및 전이금속의 중량의 합과, MBBT의 중량의 비율은 6~18: 1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전이금속은, 철, 망간,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철 또는 망간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이산화티탄의 입경은 100~200nm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티탄의 입경은, 100~170nm, 더욱 구체적으로 110~160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의 이산화티탄의 종횡비(aspect ratio)는 2~10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종횡비가 2 미만일 경우나 10을 초과할 경우에는 유해광선 중 자외선 차단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바람직하게 종횡비가 3~6인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코코넛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코넛 오일은 복합체를 100 중량부로 할때 10~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오일 중 코코넛 오일을,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에 다른 오일류 포함시와 비교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유해광선은, 파장이 10~500nm인 광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또는 블루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복합체가 상기 범위보다 소량 포함될 경우에는 유해광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피부 자극문제, 화장료 내 복합체 침전 문제, 사용감 저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용학적 또는 기능적으로 필요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보습제, 항노화제, 항산화제, 탄력 개선제, 미백제, 항염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팩, 클렌징 폼, 베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립스틱, 선크림, 선스틱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m와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복합체의 제조
[제조예 1] 이산화티탄 및 전이금속의 선정
하기 표 1에 기재된 이산화티탄, 세륨옥사이드 및 산화아연(이하, 이산화티탄 등)을 이용하여, 표 2의 배합 조건하에 이산화티탄 등과 전이금속을 배합하여 결합정도(삽입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표 1의 이산화티탄 등을 정제수 1L에 200g 씩 투입한 후, 70~80도씨 온도조건에서, 등전점 이상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하 초속 분산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Zetaxizer를 이용하여 등전점 이상을 확인하였다. 그 후, 전이금속을 표 2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투입하고 혼합하여 안정화하였다. 그 후 master size를 이용하여 입도 측정을 하였고, FTIR을 이용하여 반응정도(결합정도)를 확인하였다.
평균입도
(입자크기, nm)
표면처리 유,무 /종류 형태(두께 X 길이, nm)
이산화티탄 1 120 X 변형된 정방계(20 x 120)
이산화티탄 2 150 X 변형된정방계(30 X 200)
이산화티탄 3 120 O/Silica 변형된 정방계(20 x 120
이산화티탄 4 60 O/Silica 정방계(20 X 60)
이산화티탄 5 60 X 정방계(20 X 60)
세륨옥사이드 80 X
아연화(ZnO) 60 X
번호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배합량(이산화티탄 대비 중량%) 평균입도(nm) 삽입정도
m1 이산화티탄 1 Fe 0.05 130 ± 10 5
m2 이산화티탄 1 Fe 0.50 130 ± 10 5
m3 이산화티탄 1 Fe 5.00 130 ± 10 5
m4 이산화티탄 1 Mn 0.05 130 ± 10 5
m5 이산화티탄 1 Mn 0.5 130 ± 10 5
m6 이산화티탄 1 Mn 5.0 130 ± 10 5
m7 이산화티탄 1 Nano Pt 0.01 120 ± 10 5
m8 이산화티탄 1 Nano pt 0.5 120 ± 10 5
m9 이산화티탄 2 Fe 1.0 175 ± 10 5
m10 이산화티탄 2 Mn 1.0 175 ± 10 5
m11 이산화티탄 2 Nano PT 0.5 150 ± 10 5
m12 이산화티탄 3 Fe 1.0 70 ± 10 3
m13 이산화티탄 3 Mn 1.0 70 ± 10 3
m14 이산화티탄 3 Nano Pt 0.5 70 ± 10 3
m15 이산화티탄 4 Fe 1.0 70 ± 10 3
m16 이산화티탄 4 Mn 1.0 70 ± 10 3
m17 이산화티탄 4 Nao PT 1.0 70 ± 10 3
m18 이산화티탄 5 Fe 1.0 70 ± 10 3
m19 이산화티탄 5 Mn 1.0 70 ± 10 3
m20 이산화티탄 5 Nano Pt 0.5 70 ± 10 3
m21 세륨옥사이드 Fe 1.0 75 ± 10 3
m22 세륨옥사이드 Mn 1.0 75 ± 10 4
m23 세륨옥사이드 Nano Pt 0.5 75± 10 4
m24 아연화 Fe 1.0 70 ± 10 2
m25 아연화 Mn 1.0 70 ± 10 2
m26 아연화 Nano Pt 1.0 70 ± 10 2
삽입여부(결합정도): 5=매우 잘됨, 3=보통, 1=미약
그 결과, 표면처리 되지 않은 이산화티탄이 가장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MBBT 결합 복합체 제조
제조예 2의 각 1차 복합체(표 3에서 시료로 표시)에 MBBT를 표 3과 같은 조건으로 결합시켜 2차 복합체를 제조하고, 반응정도(결합정도)를 확인하였다.
시료 MBBT
배합량(이산화티탄 대비 중량%)
평균입도(nm) 반응정도
m27 m1 5.0 230 ± 10 5
m28 m1 10.0 235 ± 10 5
m29 m1 15.0 240 ± 10 5
m30 m2 5.0 230 ± 10 5
m31 m2 10.0 230 ± 10 5
m32 m2 15.0 235 ± 10 5
m33 m3 5.0 240 ± 10 5
m34 m3 10.0 240 ± 10 5
m35 m4 15.0 280 ± 10 5
m36 m4 5.0 285 ± 10 5
m37 m4 10.0 290 ± 10 5
m38 m5 10.0 220 ± 10 5(수정)
m39 m8 10.0 220 ± 10 3
m40 m9 10.0 290 ± 10 3
m41 m10 10.0 280 ± 10 3
m42 m11 10.0 230 ± 10 3
m43 m12 10.0 230 ± 10 3
m44 m18 10.0 230 ± 10 3
m45 m21 10.0 240 ± 10 3
m46 m23 10.0 220 ± 10 3
그 결과, 이산화티탄과 철 또는 망간을 결합하되, 철 또는 망간이 이산화티탄 대비 0.5~5wt%로 포함되고, MBBT가 5~15 wt%로 포함된 경우에 성분간 결합력이 가장 우수하여, 이들이 가장 적합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능 확인 실험
FDA(Food & Drug Association의 'method for the in vitro determination of UVA protection provided by sunscreen products'의 시험 규격을 참고하여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를 도포하고 UV-2000S (LABSPHERE,INC. USA)를 이용하여, 290 ~ 400 nm 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는 COPLIPA에 언급되어 있는 1.3 mg/cm2 의 조건으로 PMMA plate에 도포되었으며, 총 사용량은 PMMA plate 22 cm2 내에 28.6 mg 도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광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FDA기준법에 인공광을 조사하여 자외선 차단을 측정하였다.
상기에 따라 측정된 자외선 투과율을 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SPF 지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자외선 지수, 초기
(invitro, SPF 290 analyzer)
자외선 지수, 인공광조사후
차단능 초기대비
(invitro, SpF 290 analyzer
Critical wave Lenth
m27 23.7 ± 1.5 5 378.2
m28 24.3 ± 1.5 5 378.2
m29 32.3 ± 1.8 5 378.2
m30 20.3 ± 2.2 5 376.7
m31 28.3 ± 2.9 5 376.8
m32 32.4 ± 3.3 5 378.4
m33 22.2.3 ± 2.1 5 378.2
m34 23.2 ± 4.3 5 378.4
m35 25.3 ± 4.8 5 378.2
m36 32.2 ± 2.2 5 389
m37 38.3 ± 3.5 5 389
m38 45.5 ± 4.5 5 389
m39 28.3 ± 2.4 4 378.2
m40 32.4 ± 3.5 4 378.1
m41 24.2 ± 2.2 4 378.2
m42 20.3 ± 1.8 3 378.1
m43 23.3 ± 2.0 3 377.2
m44 22.2 ±1.90 3 377.2
m45 20.2 ± 1.7 2 371.1
m46 22.2 ± 1.4 2 372.1
MBBT자체 12.2 ± 1.2 3 372.1
이산화티탄 2 10.2 ± 1.2 1 350.1
5: 95% 이상, 4: 90% 이상, 3:85% 이상, 2:80% 이상, 1: 80 이하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광원 조사후 자외선 차단능이 저하되는 이산화티탄과는 달리, 본 발명의 복합체를 사용할 경우에 자외선 차단능이 절대적으로 우수하며, 광원 조사후에도 지속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블루라이트 차단능 확인 실험
다음은 블루라이트 차단능 시험을 하기의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상세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를 도포하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0 ~ 450 nm 영역의 블루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는 COPLIPA에 언급되어 있는 1.3 mg/cm2 의 조건으로 PMMA plate에 도포되었으며, 총 사용량은 PMMA plate 22 cm2내에 28.6 mg 도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또한 장기간 광에 노출시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공광에 collipa 방식을 응용하여 2시간 조사후 재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식 2에 적용하여, 결과는 표 5에 타내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블루라이트차단력
초기측정값 *
인공광조사후
초기대비 보유효능
m27 1910.3 5
m28 1920.2 5
m29 2003.3 5
m30 2200.3 5
m31 2390.0 5
m32 2490.4 5
m33 2500.3 5
m34 2550.0 5
m35 2612.0 5
m36 2830.2 5
m37 3210.2 5
m38 3320.1 5
m39 2630.2 4
m40 2730.0 4
m41 2100.00 4
m42 2320.00 4
m43 2250.7 3
m44 1230.4 3
m45 1100.2 2
m46 1020.2 2
MBBT자체 1200.3 3
이산화티탄 2 880.40 1
옥파우더 450.2 3
해조류오일 120.0 1
그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 광원 조사후 자외선 차단능이 저하되는 이산화티탄이나, 해조류 오일과 같은 천연물질과는 달리, 본 발명의 복합체의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능이 우수하고, 광원 조사후에도 블루라이트 차단능 지속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안정성 평가
본원발명의 복합체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 세포(B-16 F10)을 96well plate에 1*106cell/ml로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m27~m38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본원발명의 복합체는 피부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복합체 활용 화장료 조성물의 성능 평가
본원발명의 복합체(m28 및 m34)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한 후, 이들의 자외선, 블루라이트 차단 성능 및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1] 선젤 제품
아래 표6의 구성으로 선젤을 제조한 후, 자외선 차단능과 블루라이트 차단능, 사용성 및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A상 및 B상을 70도씨로 가온하고, A상을 호모믹싱하면서 B 상을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 후 40도씨로 냉각시킨 후 C상을 투입하고 호모믹싱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였다.
자외선 차단능과 블루라이트 차단능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제형안정성 평가는 45도씨에서 1달간 보관후, 침전 및 석출 여부 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며, 사용성은 20 ~50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세안 및 스킨사용후 30일간 1일 회 사용후 평가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3.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산탄검 0.10 0.10 0.10 0.10 0.10 0.10
B 옥틸메톡시시나메이트 6.50 6.50 6.50 6.50 6.50 6.50
호모살레이트 6.50 6.50 6.50 6.50 6.50 6.50
에칠헥실노나오에이트 4.0 4.0 4.0 4.0 4.0 4.0
코코넛오일 2.0 2.0 2.0 2.0 2.0 2.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1.0 1.0 1.0
C 제조예 28 5.0 10.0 - - - -
제조예 34 - -- 10.0 - - -
이산화티탄 (m2) - - - 9.0 - -
MBBT - - - 1.0 - -
옥파우더 - - - - 10.0 -
천연추출물(해조류) - - - - - 10.0
그 결과, 아래 표 7 및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복합체를 포함한 선젤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및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SPF 지수 15.03 32.22 25.33 10.44 7.44 6.23
UVA PF 6.22 12.82 10.98 6.62 5.72 4.45
Critica wave lenth 382.7 389.7 388.8 312.2 322.2 301.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차단지수(시료-blank) 1950 2830 2220 1150 780 550
또한,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경우 사용성이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사용성
안정성
○ : 우수, ◐ : 보통, ● : 나쁨
[실험예 4-2] 스틱형 파운데이션 제품
표 10의 성분을 이용하여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품을 제조하고, 자외선 차단능, 블루라이트 차단능,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A 카프?k코코에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옥틸메톡시시나메이트 6.50 6.50 6.50 6.50 6.50 6.50
Tinosob -S 6.50 6.50 6.50 6.50 6.50 6.50
에칠헥실노나오에이트 7.0 7.0 7.0 7.0 7.0 7.0
코코넛오일 2.0 2.0 2.0 2.0 2.0 2.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1.0 1.0 1.0
카프필릭 트리메치콘 7.0 7.0 7.0 7.0 7.0 7.0
합성왁스 4.5 4.5 4.5 4.5 4.5 4.5
세레신 1.5 1.5 1.5 1.5 1.5 1.5
피이지-10 디메치콘 2.5 2.5 2.5 2.5 2.5 2.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1.0 1.0 1.0 1.0
B 이산화티탄(안료급) 10.0 10.0 10.0 10.0 10.0 10.0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C 제조예 28 5.0 10.0 - - - -
제조예 34 - -- 10.0 - - -
이산화티탄 (제조예2 - - - 9.0 - -
MBBT - - - 1.0 - -
옥파우더 - - - - 10.0 -
천연추출물(해조류) - - - - - 10.0
그 결과, 아래 표 11 및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복합체를 포함한 스틱 파운데이션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및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SPF 지수 25.6 45.5 32.0 17.0 15.0 12.0
UVA PF 7.2 15.0 19.0 5.8 7.3 7.4
Critica wave lenth 383.3 389.0 388.7 322.2 322.4 310.2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에5 비교예6
차단지수(시료-Blank)) 2520 3520 2720 1250 880 750
또한,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경우 사용성이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5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사용성
안정성
[실험예 4-3] 코코넛 오일의 함량에 따른 사용감 평가
하기 표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표6과 비교하여, 코코넛 오일 대신 다른 종류의 오일을 포함하거나,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되 함량을 달리하여 포함하는 점만 달리하여 선젤을 제조하고, 제조된 선젤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사용감 평가는 2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고,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우수할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 12 비교예13
코코넛 오일 2 1.8 4.2 - - - - -
피마자유 - - - 2 - - - -
호호바 오일 - - - - 2 - - -
동백오일 - - - - - 2 - -
포도씨 오일 - - - - - - 2 -
대두 오일 - - - - - - - 2
단위: wt%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 12 비교예13
부드러움 8.8 5.3 6 4.5 6.5 6.8 7 5.2
이물감 9 3.2 2.5 3.7 2.1 4.5 4.8 6.1
끈적임 8.8 6.5 7 6.5 6 5.6 6 5.7
그 결과, 본원발명과 같이 코코넛 오일을 복합체 중량대비 20~40 중량부로 포함할 경우에 사용감이 우수한 선젤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4] 비스무스카복실레이트 첨가 및 함량에 따른 효과 차이
실시예 3에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일정량 첨가한 후 실험예 4-3과 같이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스무스 카복실레이트를 0.0002~0.0004 중량% 첨가할 경우 사용감이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M1 실시예 M2 비교예10
비스무스카복실레이트 - 0.00005 0.0001 0.0002 0.0004 0.0005
실시예 3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M1 실시예 M2 비교예10
부드러움 8.8 8.8 8.9 10 9.9 8.7
이물감 9 9 9 10 10 8.5
끈적임 8.8 8.8 9 9.9 10 8.2

Claims (10)

  1. 이산화티탄; 전이금속;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MBBT)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전이금속 및 MBBT를,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0.01~10 중량부, 및 1~20 중량부로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이산화티탄 및 전이금속의 중량의 합과 MBBT의 중량의 비율은, 6~18:1인,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철, 망간,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의 입경은, 100~200nm인 것을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의 종횡비(aspect ratio)는 2~10인 것을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코코넛 오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코넛 오일은, 복합체를 100 중량부로 할 때, 10~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스무스카복실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스무스카복실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2~0.0004 중량%로 포함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광선은,
    파장이 10~500nm인 광선을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광선은,
    자외선 및 블루라이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64970A 2020-05-29 2020-05-29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7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970A KR102347882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970A KR102347882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552A true KR20210147552A (ko) 2021-12-07
KR102347882B1 KR102347882B1 (ko) 2022-01-06

Family

ID=7886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970A KR102347882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936A (ko) 2022-11-07 2024-05-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000A1 (en) * 2006-05-26 2007-12-27 Grune Gue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naturally derived,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US20090306218A1 (en) * 2006-09-22 2009-12-10 Daniel James Fitzgerald Antimicrobial formulations
KR20130133330A (ko) * 2012-05-29 2013-12-09 이스트힐(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복합분체
KR20170003391A (ko)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옥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55997A (ja) * 2018-12-13 2019-04-11 ロレアル 金属ドープ無機uvフィルターを含む複合粒子、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087868B1 (ko) 2019-10-07 2020-03-11 한국콜마주식회사 별꽃, 해바라기 및 월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000A1 (en) * 2006-05-26 2007-12-27 Grune Gue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naturally derived,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US20090306218A1 (en) * 2006-09-22 2009-12-10 Daniel James Fitzgerald Antimicrobial formulations
KR20130133330A (ko) * 2012-05-29 2013-12-09 이스트힐(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복합분체
KR20170003391A (ko)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옥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055997A (ja) * 2018-12-13 2019-04-11 ロレアル 金属ドープ無機uvフィルターを含む複合粒子、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087868B1 (ko) 2019-10-07 2020-03-11 한국콜마주식회사 별꽃, 해바라기 및 월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Vandersee, M. Beyer, J. Lademann and M. E. Darvin, Blue-violet light irradiation dose dependently decreases carotenoids in human skin, which indicates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Oxid. Med. Cell. Longev., 7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882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905B2 (en) Zinc oxide powder ble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20090004252A1 (en) Skin Coating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A1339920C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ingredient and cosmetics
KR101901857B1 (ko)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100061947A1 (en) Uv protective cosmetic product incorporating titanium dioxide and transparent iron oxide
KR102347882B1 (ko) 유해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3719A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0758819B1 (ko) 고농도, 고분산의 자외선 차단 조성물
CN112603875A (zh) 一种防晒组合物及其应用
EP2719372B1 (en) Emulsion-type make-up b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5137657B (zh) 一种用于化妆品栀子色素颜色稳定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50106244A (ko) 자외선 차단 및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
EP2684557A1 (en) Foundation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60346176A1 (en) Method of formulating zinc oxide powder blends for balanced uva/uvb attenuation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595678B (zh) 一种头发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29421A (zh) 一种含有色氨酸和酪氨酸的防晒剂及其制备方法
JPH1143626A (ja) 被覆粉体並びに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KR101569514B1 (ko) 염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4134066A1 (en) Anti-pollution composite powder having uv and fine dust blocking func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80065586A (ko) 나노물질 및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80082853A (ko) 나노 물질 및 중국 의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자외선차단 조성물
KR20230059860A (ko)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0170573B1 (ko) 화장료용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