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483A -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483A
KR20210146483A KR1020200063096A KR20200063096A KR20210146483A KR 20210146483 A KR20210146483 A KR 20210146483A KR 1020200063096 A KR1020200063096 A KR 1020200063096A KR 20200063096 A KR20200063096 A KR 20200063096A KR 20210146483 A KR20210146483 A KR 2021014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mprovement
cells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691B1 (ko
Inventor
남권희
Original Assignee
남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권희 filed Critical 남권희
Priority to KR102020006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GONGJINDAN COMPOSITION CONTAINING RUST EXTRACTS AS DEER ANTLERS EXTRACT AND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녹용 및 홍삼으로부터 추출하여,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식품의 산업화로 인한 불균형한 식사 및 사회의 복잡성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체질은 약화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은 떨어져 다양한 성인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영양소와 칼로리 및 기호적인 면에서 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생체조절 기능, 즉 내분비계, 신경계, 면역계 등의 기능에 관한 관심은 등한시해왔다.
그러나, 최근 건강에 대한 욕구와 인식의 전환으로 인해 식품과 천연물의 생체 조절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질병 예방의 목적으로 최근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질병 예방과 회복에 초점을 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면역이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이나 불필요한 산물 등을 비-자기 항원(antigen)으로 인식하여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이를 제거함으로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현장이며 체내에 존재하는 자기 방어체계이다. 이러한 방어체계인 면역은 항원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non-specific immunity)과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 specific immunity)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자연면역, 자연저항 이라고도 한다.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적인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점액조직, 상산성의 위산,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complement) 등이 있다. 세포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와 다형핵 백혈구,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NK세포(natural killer cell) 등이 있다. 또한,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선천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또한,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은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후천면역, 적응면역(adaptive immunuty)이라고도 한다.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원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기억되어 다시 항원이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림프구는 척추동물 및 포유류에서 면역 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 가운데 하나로 전체 백혈구 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흉선에서 성숙되고 변형되어 면역항체를 보유하고 있어서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그 항원이 몸 안에서 해로운 반응을 하지 못하도록 인체의 면역반응에 일차적으로 반응하는 세포이다.
상기 획득면역에는 두 종류의 림프구가 있는데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을 담당하는 T 세포와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을 담당하는 B 세포로 크게 구분된다. T세포는 가슴샘의 상피세포에서 특수한 내부 환경과 흉선의 액성인자에 의해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B세포에 항체생산 자극을 주고 종양 세포 등의 항원을 직접 공격한다. B세포는 가슴샘과는 독립되어 골수에서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항원자극 및 T세포를 매개로 한 자극에 따라 항체생산세포로 성숙하여 IgM, IgG, IgA, IgE의 항체를 생산하고 분비한다.
항원 감염에 대한 최초의 인식은 주로 대식세포(macrophage)가 수행한다. 대식세포가 항원을 탐식하는 과정에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이 생산된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로 면역, 감염병, 조혈기능, 조직회복, 세포의 발전 및 성장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사이토카인은 국소부위에 염증을 유발함으로서 면역세포가 감염부위에 모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이라 불리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 종양괴사인자(TNF)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인터루킨(interleukin)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포(macrophage), NK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IL-12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NK세포 및 T-세포는 IFN-γ의 생산을 자극함으로 초기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인자로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T-세포의 면역기구를 주로 Th-1 성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성 면역 매개자이다.
인터페론 감마(IFN-γ)는 T 림프구와 대과립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포식된 미생물이나 항원의 살해를 유도하는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면역조절작용을 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종양괴사인자(TNF, tumor necrosis factor)는 세균벽에서 나오는 내독소인 지다당체에 의해 T세포에서 분비되는 종양을 괴사시키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한 염증인자이며 때때로 중증의 전신적 염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면역학적 측면에서 TNF는 감염부위로 혈액 내 백혈구인 호중구 및 단핵구를 집합시키고 감염세포의 살해능을 가지는 작동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TNF의 기능은 화학 주성을 가지는 사이토카인의 생산 유도능과 함께 혈관내피세포 및 백혈구 간의 부착분자(adhesionmolecule)의 친화력을 높이는 기능에 의한다.
이와 같이 면역기능은 대식세포, 림프구(T세포, B세포) 등의 매우 다양한 세포와 인터루킨, IFN-γ, TNF 등의 사이토카인과 같은 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현대인의 간 손상에 대한 우려도 커지며 간 기능 개선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간 손상의 원인은 다양하며 한국 특유의 음주문화 및 과도한 스트레스 외에도 흡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독물 또는 약제에 의한 중독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간세포 손상이나 간암의 경우 확실한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항산화제 및 간세포 보호제를 개발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체에는 산화 촉진물질 (pro-oxidants)과 산화 억제물질 (anti-oxidants) 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균형이 깨져서 산화촉진 물질이 과도하게 되면 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런 유해한 작용을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라 한다.
모든 호기성 생물체의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 요소인 산소는 정상적인 호흡과정을 통해 에너지와 물로 전환된다. 일부분의 산소는 불완전한 상태로 머물다 반응성이 매우 큰 superoxide radical (O2 -·), hydroxyl radical (·HO),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t oxygen (1O2)등과 같은 물질로 변환되는데 이를 ROS (reactive oxygen species)라 한다. 체내에서 저농도의 ROS는 세포 증식, 분화 그리고 신호전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반면,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이나 병리적 요인에 의해 ROS 생성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반응 간의 균형이 무너져 ROS 생성 작용이 우세하게 되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고, 그로 인해 세포 내 단백질, 지질, DNA 등이 변형되어 세포 괴사가 일어나며 동맥경화, 당뇨병, 만성 염증 및 자가면역질환, 노화 등의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자연 생산되는 항산화 효소에는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등이 있으며, 이들 효소들은 주로 간에 다량 존재하며 superoxide radical이나 H2O2에 의한 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 한다. 이 중 SOD는 superoxide anion radical (O2 -ㆍ)을 O2와 H2O2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며, 이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H2O2는 GPx 또는 catalase에 의해 H2O로 최종 분해되어 무독화 된다. 또한 생체 내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은 환원형 glutathione (GSH)과 산화형 glutathione (GSSG)으로 존재하며, 세포의 가장 중요한 비단백성 thiol source로써 뛰어난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GPx에 의해 촉매 되는 반응이나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의 촉매나 자발적인 반응에 의해 친전자성 물질들과 GSH 포합체를 형성하여 무독화 시킴으로써 redox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GSSG는 NADPH를 조효소로 하는 GR에 의해 GSH의 형태로 90% 이상 환원되고 나머지 GSSG는 단백질의 sulfhydryl와 결합한 형태인 혼합형 disulfide, 또는 GSSG자체로 존재한다. 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GSH로 환원할 수 있는 세포의 능력한계로 GSH가 고갈될 수 있으며 GSH가 생체 내에 결핍이 되면 지질의 산화 반응이 촉진된다.
상기 GSH는 간세포에서 항산화, cysteine 저장, 세포내 산화·환원 상태의 유지 보수 및 세포 성장 등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간세포에 독성 물질이 유입되거나 질병에 의한 손상 시에 생체 방어 작용에 의해 GSH의 농도가 증가하기도 하지만, 지속적이고 강도 높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오히려 그 총 함량이 줄어들고 산화형의 GSH인 GSSG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여성 갱년기, 불임 및 남성 정력 강화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갱년기(climacteric)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이 오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화 호르몬(luteininzing hormone, LH)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급만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열성 홍조(hot flush), 야간 발한(night sweat), 빈맥 또는 두통 등의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의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빈뇨 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뇨생식기의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다. 폐경 수년 내에 나타나는 비뇨생식계 및 표피증상이, 폐경 수년 후에는 골다공증, 심장혈관 및 뇌혈관 질환 등이 있을 수 있다.
여성의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요법으로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에 의한 치료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에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치료요법에 따라 장기간 약물을 사용하면 자궁내막암, 유방암, 고혈압, 혈전증, 담뇨계 결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월경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난소 과잉자극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의사의 처방 없이는 복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약물의 치료요법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불임이란 결혼 후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통해 임신을 원함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원인에 따라 남성인자, 배란인자, 난관 및 복막인자, 자궁경부 및 자궁인자, 면역학적 인자, 영양 및 대사성인자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 불임증 치료의 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체외수정의 임신 성공률은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52% 정도이며, 임신이 성공되어도 약 30%가 유산으로 종결되고, 자궁외 임신도 5% 내외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과배란 유도제의 개발, 과배란 유도 방법의 개선, 이에 따른 난자의 수정율과 난할율의 향상 등에도 불구하고 임신율은 이에 상응하는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은 자궁내막 착상율이 10~15%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므로, 체외수정을 위한 보조생식술에서 임신율 향상의 제한 요소이자 주된 연구 관심사는 배아의 자궁 내막 착상 분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착상 실패는 반복 유산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에도 해당한다. 자궁에 해부학적 문제가 있어 배아의 안정적인 착상이 방해되는 경우에도 반복적으로 유산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그 외 호르몬 이상이나 면역학적 요인 등으로 인해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하지 못하거나 착상이 이루어진 후에도 유지되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유산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자연 임신 뿐만 아니라 반복 유산의 경우 및 체외수정 시술의 경우에도 임신율 향상을 위하여 수정란의 자궁 착상 환경을 최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므로, 착상과 관련하여 여성의 인체에 부작용이나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자궁 착상 환경을 최상으로 만들 수 있는 한약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여성불임 이외에 남성에게 원인이 있는 남성불임은 잦은 음주, 흡연, 환경오염, 영양섭취, 과다한 약물복용, 환경독소에서의 노출, 지나친 성교,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정상적인 남성에 있어서도 정자의 운동성, 정자수 감소 등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 남성 정력은 남성불임의 원인으로 인해 약화된다고도 이해할 수 있는데 남성불임의 원인으로 무정자증, 정자질의 장애, 정자형성장애, 정자의 운동성 감소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파악 된다. 상기 정자형성장애에는 고환에서의 생성된 후 정자수가 적게 만들어 지는 감정자증(oligozoospermia), 정자의 활동성이 약한 약정자증(asthenozoospermia)이 있다. 임신 가능한 정액의 조건으로는 정액 1 ㎖ 중에 6000만 ~ 1억의 정자가 들어 있고, 그 중 이상(異常) 정자수가 20~30% 이하여야 하며, 사정 후 4~8시간 동안 50% 이상이 활동하고 정액양이 2~5 ㎖이 되어야 하지만, 정자 부족증은 정액 1 ㎖ 중의 정자수가 3000만 이하에 불과해 불임의 원인이 되는 증상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및 당뇨의 합병증 등으로 심혈관 계 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등장하였으며 최근에는 사망원인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질환 및 대동맥과 같은 중심혈관 및 말초 혈관의 질환을 포함하는 심장혈관계에 이상이 온 질환을 총칭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심 부전, 부정맥, 협심증 등과 같은 질환군을 포함한다.
심혈관계 질환 발현의 주요 인자로서는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당뇨의 합병증 등 매우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나 현대의학에 관점에서 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 (endothelial type Nitric Oxide Synthase, eNOS)의 활성 감소로 인한 산화질소의 감소 및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에 따른 혈관내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강력한 혈관이완 인자인 동시에 혈소판 응집, 혈관근육세포 증식, 단핵구 세포의 혈관침착, 동맥경화 관련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여 전체적인 심혈관계의 항상성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혈관내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담당하는 다양한 효소들의 활성증가로 인하여 산화질소의 생성은 감소하게 되고 또한 만들어진 활성산소종은 접착 분자 발현의 조절, 혈관평활근세포 (VSMC, vascular smooth muscle cells)의 증식과 이동 자극, 산화력이 있는 지단백질(lipoprotein) 조절 등을 야기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발생시킨다.
종합적으로,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유도 및 직접적인 활성산소종의 감소, 활성산소종의 하류 발생 억제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타겟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질병이 야기되기 이전에 예방하는 예방치료의 개념이 강하였으며, 종래의 보약이 이러한 개념이었다. 이러한 보약들의 대표적인 한의학적 처방약인 공진단은 당귀, 홍삼, 산수유 및 숙지황의 4 가지 식물 약재와 사향 및 녹용의 2 종류의 동물성 약재로 구성된 복합 처방이다.
공진단의 활용을 살펴보면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경우, 수술이나 큰 병으로 원기가 쇠약해진 경우, 정신적신체적 과로로 기력이 저하된 경우, 만성 피로가 심하여 휴식으로도 회복이 더딘 경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 경우, 혈액순환 저하로 몸이 무겁고 저린 경우, 신경이 예민하여 어지럼증과 불면증이 있는 경우, 과다한 스트레스와 음주로 간 기능이 약화된 경우 등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는 "대체로 남자가 장년시기에 진기(眞氣)가 몹시 약한 것은 타고날 때부터 약하고 허한 것이 아니므로 성질이 조(燥)한 약재를 쓰지 말아야 한다. 음혈을 보한다고 하는 처방들에 약품은 많으나 약효가 매우 약하여 효력을 보기 어렵다. 다만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와 심화가 잘 오르내리게 되면 오장이 스스로 조화되고 온갖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런 때에는 이 처방을 쓴다." 라고 되어 있고 당귀, 산수유, 녹용을 각각 160g, 사향(따로 간 것) 20g을 가루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복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진단의 주요성분 중 하나인 사향은 원료에 대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가격 또한 고가이며 진위에 대한 논란이 심하여 사용상의 문제가 있어 왔으며, 최근에 사향의 대체품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향은 의약품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식품으로 개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향을 제외하면서도, 기존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효과를 갖는 새로운 배합의 생약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용, 홍삼, 산수유, 당귀, 용안육, 지황, 진피, 백출, 대추 및 생강의 생약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여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을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787432 B1 KR 10-2017-0126523 A KR 10-2016-0151819 B1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기호성이 우수한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리활성(pharmacological effect)" 이란 어떤 물질이 생체 내 들어가서 단독으로 또는 생체 내 어떤 물질과 결합해 원하는 약물학적 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 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항산화"는 활성산소의 저감 및 세포의 산화 또는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은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녹용(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 사슴속에 속한 매화록, 마록 또는 대록의 숫사슴의 털이 빽빽하게 나고,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 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으로, 전통적으로 한의학의 약물로 사용되어 왔다. 녹용의 주성분은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및 미량 원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성분들에 의해 다양한 생리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상기 녹용의 생리 기능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한의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면역 활성 증강 효과, 항염증,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효과,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내분비 기능 증진 작용, 조혈작용, 진통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기능 개선 작용, 성장촉진작용 및 당뇨병 치료 효과 및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약한 증상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
홍삼(Red ginseng)은 인삼의 재배 적지에서 생산된 좋은 품질의 6년근 수삼을 엄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증기로 쪄서 건조 시킨 담황 갈색 또는 담 적갈색을 띠는 인삼이다. 상기 인삼(Panax ginseng C.A Mey)은 두릅나무과에 속한 인삼의 뿌리를 가공한 것으로, 가을에 줄기와 잎이 마를 때 캐어 말린 것을 백삼이라 하고, 잔뿌리를 제거하고 쪄서 건조한 것을 홍삼이라 하며 설탕에 가공하여 건조한 것을 당삼이라 한다.
상기 홍삼은 원기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 효과,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인삼의 주요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의 화학적 구조가 변하면서, 항암 성분, 항당뇨 성분, 항염증 성분, 항산화 성분, 간 기능 해독 성분, 중금속 해독 성분 등 수삼에는 없거나 함유량이 극히 미미했던 성분들이 새로 생겨나거나 함유량이 몇 배로 커진다.
상기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혼합작용으로 약리활성이 향상되어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녹용 및 홍삼은 공진단의 중요 요소로서, 기존의 공진단에 대부분 함유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중량부와 같이 녹용의 함량을 높여 다른 공진단과의 차별을 두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량부와 같이 녹용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인한 약리활성이 더욱 우수한 공진단 조성물로 나타내고자 한다.
상기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 교목인 산수유 나무의 열매로 줄기는 높이 5~12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나고,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는 4~10cm이며 폭은 2~6cm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20~30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지름 4~5mm,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긴 타원형, 길이 1.0~1.5cm로 붉게 익는다.
이 열매에는 코르닌, 즉 베르베날린, 사포닌, 탄닌, 우르손 및 비타민 A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의 지방유에는 팔미틴산, 오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산수유는 맛이 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약리작용으로는 간경, 신경에 좋으며,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 작용, 항암 및 항균작용 등이 있다.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한 관속식물이며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는 굵고, 강한 향기가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속이 비고, 높이 100~200cm다. 잎은 1~2회 3출 깃꼴겹잎으로 끝의 작은 잎은 길이 6~12cm다. 줄기 위쪽의 잎은 잎자루 아래쪽이 타원형으로 부풀고 줄기는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난다. 꽃은 8~9월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리며, 자주색이다. 열매는 분과이며,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날개 같은 능선이 있다.
상기 당귀는 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한방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자생되고 있는 당귀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으로는 쿠마린계의 데쿠르신, 베타-시토스테롤, 데쿠르시놀, 움벨리페론 등의 성분이 구성되어 있다.
당귀의 약리작용으로 주성분인 데쿠르신은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단백질 인산화효소 C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당귀의 분획물은 인간 면역세포인 B 세포, T 세포 및 자연 살해세포(NK 세포)의 생육을 촉진한다.
용안육(Lonaganae Arillus)은 용안나무의 열매인 용안(Dimocarpus longan Loureiro)의 헛씨껍질로 용안나무는 무환자나무과의 상록교목이고 이 교목의 과육은 용안이라고 부른다. 즉, 열매의 과육은 투명한 가종피이며 이를 건조하면 검은 갈색인 용안육이 된다.
상기 용안은 세로로 파열된 불규칙한 박편이 보통 여러 개가 끈끈하게 붙어 있으며, 길이는 2-4 cm, 너비는 1-2 cm이며 두께는 2-4 mm이다. 바깥면은 진한 적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반투명한데 한 면은 주름이 지어 고르지 않고 다른 면은 윤기가 있으며 세로 주름이 있다.
상기 용안육은 전통의학에서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여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건망증, 불면증, 소화불량 및 묽은 변을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옴균억제, 강장작용, 항산화작용 및 면역 기능 활성화작용 등이 있다.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뿌리줄기를 약용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길이 10cm쯤이고 노란색을 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30cm, 전체에 회백색 짧은 샘털이 있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3~16cm, 폭 2~4cm, 밑부분은 점차 좁아지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줄기 윗부분의 잎은 꽃싸개잎처럼 된다. 꽃은 6~7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 5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꽃부리는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벌어지며, 샘털이 있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5cm이고 9월에 익는다.
상기 지황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찐 후 건조시킨 것을 숙지황이라 한다.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는 생지황은 허약체질, 토혈, 코피, 자궁출혈 및 변비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지황은 열병으로 인한 갈증과 장기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숙지황은 생리불순, 허약체질, 발육부진, 치매 및 조루증 및 발기부전 등에 사용한다.
진피는 산초과 또는 운향과에 속하는 광귤나무(Citrus Auranticum L.) 또는 제주도산 귤나무(C. Junos), 귤나무(C. nobilis) 등의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으로 동의치료에서는 오래 묵인 것 일수록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재이다.
상기 진피는 주요성분으로 정유와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이 함유되어 있어 방향성 건위약, 진해, 거담, 소화촉진 및 식적에 의한 통증 제거의 약리효과를 지닌다.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삽주의 뿌리부분을 말한다. 상기 삽주는 산지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굵고 마디가 있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는 30~100cm이다. 뿌리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줄기 잎은 어긋난다. 아래쪽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8~11cm, 3~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잎자루는 길이 3~8cm다. 잎 가장자리에 바늘 모양의 가시가 있고 위쪽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잎자루가 거의 없다. 꽃은 7~10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암꽃만 달리거나 양성꽃이 달리고 머리모양꽃은 가지와 줄기 끝에서 1개씩 달리며, 흰색으로 지름은 1.5~2cm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10월에 익으며, 도란형으로 길이 5mm쯤이다. 삽주의 묵은 뿌리는 창출이라고 하고 햇뿌리를 백출이라고 한다. 위를 튼튼하게 하고 위와 장의 기능이 허약한 데에는 백출이 좋다.
상기 백출은 방향성 건위제로 한방에서는 비장을 보강하는 건비, 보비 처방에 빈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테효과, 진통작용, 항염증 작용, 혈당치 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
대추(Zizyphus jujube, Jujube)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 대추나무는 산기슭 양지나 마을 근처에 나며 높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탁엽은 흔히 길이 3cm의 가시로 변한다. 꽃은 양성으로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2~3개씩 잎 겨드랑이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구형으로 9~10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상기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스테롤, 알칼로이드, 사포닌, 비타민, 세로토닌, 유기산, 지방산류, 폴리페놀, 히드록시메틸푸프푸랄,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류 등이 있다. 대추는 예로부터 건강식품으로서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강장작용, 항암, 항염증, 결핵, 기관지염 및 신경쇠약 치료효과 등의 효능이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에 속하며 따듯하고 약간 습한 곳에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생강의 뿌리줄기는 가지를 치고 연한 노란색이며 굵고 옆으로 자란다. 아래쪽 잎집이 서로 감싸서 줄기처럼 자라며 높이 30~60cm, 곧추선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은 긴 잎집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꽃줄기는 높이 20~30cm다. 꽃받침잎은 통 모양이며 꽃부리는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끝은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도란형으로 보라색 바탕에 노란색 반점이 있다.
상기 생강은 뿌리줄기를 식용 및 약용하며 매운 맛과 냄새가 특징으로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및 인도 등의 전통의학에서 소화기계, 중추신경계, 골관절계,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약초로 이용되어 왔으며, 그 외에도 혈중 지질 및 당 수치를 낮추고, 항산화, 항염증, 항균 작용을 갖는다.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높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진저롤은 암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에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식물 추출물 각각의 치료 효능으로 인해 더욱 향상된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인해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홍삼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산수유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당귀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용안육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지황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진피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백출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대추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및 생강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각의 추출물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약리활성이 더욱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개지치 추출물 및 경성사초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개지치 추출물 및 경성사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약리활성 증진 효과와 동시에, 녹용 추출물 특유의 이취 및 홍삼추출물의 쓴맛을 개선시킴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한 공진단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지치(Lithospermum arvense L.)는 산과 들에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잎은 어긋나고 좁은 바늘 모양 또는 넓은 선 모양으로 길이 1~4cm, 폭 2~9mm, 끝은 둔하고 맥이 하나 있으며, 두껍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린다. 꽃은 흰색으로 윗부분의 잎 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꽃자루는 매우 짧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받침 조각은 꽃이 진 후 자라고, 길이 2.5~7.0mm로 바늘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통부 보다 다소 짧다.
상기 경성사초(Carex pallida C. A. Mey.)는 침엽수림 밑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땅속줄기가 길게 벋는다. 줄기는 높이 30~80cm이고, 잎은 줄기보다 짧고 너비 2~4mm이며 꽃은 5~7월에 핀다. 꽃차례의 전체 길이는 2~5cm이고, 줄기 끝에 이삭이 3~10개 뭉쳐나며, 잎 모양의 포는 없다. 이삭은 암꽃이 대부분이고 이삭의 윗부분에 수꽃이 달리기도 한다. 이삭의 길이는 5~10mm이다. 암꽃의 인편은 연한 황갈색이고 끝이 뾰족하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길이가 인편과 비슷하고, 난형으로 4.0~4.5mm이다. 가장자리가 좁은 날개처럼 되고, 희미한 맥이 있으며 털이 퍼져 있다. 암술머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6~8월에 익는다.
본 발명은 녹용 추출물, 홍삼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에 추가로 개지치 추출물 및 경성사초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인해 약리활성을 동등 또는 상승시키고, 더 나아가 녹용 추출물 특유의 이취미 및 홍삼추출물의 쓴맛을 개선시킴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로 제공 가능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은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산수유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당귀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용안육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지황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진피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백출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대추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생강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개지치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 및 경성사초 추출물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 간의 혼합 사용에 따라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로 약리활성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이취미가 개선되어 기호도가 우수한 공진단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물은 각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녹용은 생녹용, 열건조녹용, 동결건조녹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녹용을 파쇄하여 파쇄된 녹용 형태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상기 추출물을 분쇄한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은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면역기능이란 인간 및 동물의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이물질을 생리적으로 인식하여 배제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작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면역기능은 주로 대식세포, 림프구(T세포, B세포) 등의 매우 다양한 세포와 인터루킨, IFN-γ, TNF 등의 사이토카인과 같은 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선천적 허약체질은 한의학 적으로 선천적으로 신장의 기운이 약함을 의미하며, 특정한 질병으로 몸이 약해져 있거나 또는 뚜렷한 질병은 없으면서도 기능적으로 약한 체질을 의미한다.
상기 항산화란 활성산소의 저감 및 세포의 산화 또는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간(liver)의 기능은 체내의 해독, 담즙 배설, 지질 등의 대사 작용, 각종 영양소의 저장, 조혈 또는 혈액 응고,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인체에 다양한 질병이 야기된다.
상기 여성 갱년기란 여성의 노화 또는 질병에 의해 난소기능이 쇠퇴하면서 폐경과 관련된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여성 몸에서 에스트로겐의 급속한 감소로 인하여, 심리학적 및 감성적 징후, 예컨대 피로, 흥분, 불면, 집중력 저하, 우울증, 기억 상실, 두통, 근심 및 신경과민이나 소심증 등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높아지고, 재발성 안면 홍조에 의한 수면 방해에 따른 피로와 흥분, 간헐성 현기증, 감각이상, 심계항진 및 빈맥, 메스꺼움, 변비, 설사, 관절통, 근육통, 수족 냉증 및 체중 증가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를 말한다.
상기 불임이란 피임을 시행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함을 의미하며, 여성의 몸에 이상이 있어 임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여성 불임이라고 불린다.
상기 남성 정력이란 남자의 성적인 능력을 의미하며, 남성 정력이 약해진 경우 남성 불임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정자 감소증이 있다.
상기 정자 감소증은 스트레스, 운동 부족, 비만, 약물의 남용, 각종 유해 화학물질 및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심혈관 기능 개선이란 혈관내피세포 기능장애를 비롯한 일정한 증상을 시작으로 종래에는 심장 및 혈관계의 이상,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 관상동맥질환(심장마비), 뇌혈관계 질환 (뇌졸증, 치매), 말초혈관질환, 부정맥, 심부전, 울혈정 심장질환, 심근질환 등을 포함하는 심장과 혈관에 생긴 이상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하기와 같이 진행하여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여러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호성이 우수한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T assay 분석에 의한 복합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세포 내의 지질과산화 감소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세포 내의 GSH 함량 증가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동맥에서의 혈관 이완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수축인자(U46619)에 의한 혈관의 수축 억제 실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 증강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제조]
1. 녹용 농축물의 제조
생녹용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생녹용 무게 당 10배가량의 물을 넣고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4시간씩 3회 반복하여 열수추출한 후 추출액은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진공 농축하여 녹용 농축물(AC)을 제조하였다.
2. 홍삼 농축물의 제조
홍삼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홍삼 무게당 10배가량의 물을 넣고 완전히 침지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4시간씩 3회 반복하여 열수추출한 후 추출액은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진공 농축하여 홍삼 농축물(BC)을 얻었다.
3. 기타 농축물의 제조
산수유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산수유 무게의 10배가량의 물을 넣고 완전히 침지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4시간씩 3회 반복하여 열수추출한 후 추출액은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진공 농축하여 산수유 농축물(CC)을 얻었다.
상기 산수유 농축물(CC)과 동일한 방법으로 당귀 농축물(DC), 용안육 농축물(EC), 지황 농축물(FC), 진피 농축물(GC), 백출 농축물(HC), 대추 농축물(IC) 및 생강 농축물(JC)을 제조하였다.
4. 기타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개지치를 선별하여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
Figure pat00001
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여 개지치 에탄올 추출물(KEE)로 제조하였다.
상기 개지치 에탄올 추출물(KEE)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성사초 에탄올 추출물(LEE)을 제조하였다.
5.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녹용 농축물(AC), 홍삼 농축물(BC), 산수유 농축물(CC), 당귀 농축물(DC), 용안육 농축물(EC), 지황 농축물(FC), 진피 농축물(GC), 백출 농축물(HC), 대추 농축물(IC), 생강 농축물(JC), 개지치 에탄올 추출물(KEE) 및 경성사초 에탄올 추출물(LEE)을 하기 표 1의 중량부 범위내로 혼합하여 복합추출물로 제조하고, 이에 대한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AC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C 45 45 45 45 45 45 45 45 45
CC - 1 3 9 15 20 9 9 9
DC - 1 3 9 15 20 9 9 9
EC - 1 3 9 15 20 9 9 9
FC - 1 3 9 15 20 9 9 9
GC - 1 3 9 15 20 9 9 9
HC - 1 3 9 15 20 9 9 9
IC - 1 3 9 15 20 9 9 9
JC - 1 3 9 15 20 9 9 9
KEE - - - - - - 1 10 20
LEE - - - - - - 1 10 2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세포독성평가]
1. MTT assay 분석에 의한 복강 대식세포의 세포생존율 측정
체중 200~300g의 Sprague-Dawley 흰 쥐를 경추탈골 시킨 후, HBSS를 복강 주사하여 대식세포(macrophage)를 뽑아낸 다음 56℃에서 30분간 열처리한 fetal bovine serum(FBS)을 10% 첨가한 RPMI 1640배지에 100units/mL의 penicillin/streptomycin을 넣어 대식세포를 분리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복강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에서 준비된 macrophage primary cell를 10% FBS를 포함한 DMEM에 현탁 시킨 후, 48 well plate에 2 x 104cells/ml의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복합 추출물(MX1 내지 9)별로 실험동물에 50mg/kg로 처리한 후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MTT를 각 well에 넣고 잘 섞어준 후, 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tetrazolium bromide salt를 제거하고 DMSO를 200㎕씩 분주하여 well에 생성된 formazin이 잘 녹을 수 있게 충분히 흔들어 모두 녹인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MTT assay 분석에 의한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 대한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이 Macrophage primary cell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추출물(MX 1 내지 9) 별로 50㎕/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을 관찰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결과,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 의한 세포의 생존율은 유의할 만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모든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서 각 화합물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면역 증진 효과]
1. 면역 증진효과
6~8주령 암컷 Balb/c 마우스를 1 주일 동안 23 ℃ 40-60 % 습도, 12시간 명암주기 조건환경에서 적응시켰다. 그 후, 복합 추출물(MX1 내지 9)을 70 ml/kg 의 용량으로 첨가하여 일반 사료(퓨리나)와 함께 1달 간 투여하고, 혈액을 채취하였다. 형광색소(FITC, PE)를 이용하여 염색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상기 혈액 내 총 T 림프구 및 총 B 림프구의 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B 림프구 15 18 23 26 21 19 30 35 28
T 림프구 10 13 17 18 16 14 21 24 23
(단위 세포수 X 105)
그 결과,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MX 3 내지 5 및 MX 7 내지 9의 추출물을 투약 시 B 림프구 및 T 림프구의 세포수가 증가함으로써 면역 증강 효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MX 8에서 B 림프구 및 T 림프구의 세포수 증가가 가장 높음을 통해 면역 증강효과가 MX 8에서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1.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400 uM DPPH(2.2-diphenyl-1-picryl hydrezyl) 용액을 80% 에칠 알콜에 녹여 여과한 후 즉시 사용하였다. 제조된 DPPH 용액과 시료 용액을 1:1로 혼합하여 격렬하게 섞은 후, 상온 암소에 20 분간 방치하였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를 통해 DPPH 라디칼 제거율(%)을 산출하였으며, 이때 라디칼을 제거하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10ug/ml의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해 산출된 DPPH 라디칼 제거율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수학식 1 ]
Figure pat00002
(A: 공시험액에서 얻은 흡광도, B: 검액에서 얻은 흡광도)
농도(%) 항산화력(%)
아스코르브산 10ug/ml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0.1 93 51 64 71 75 72 68 84 89 87
1 93 81 83 82 90 85 84 93 95 93
상기 표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 중 MX 4 및 MX 7 내지 9는 양성 대조군과 가까운 수준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난다.
특히,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 중 MX 8에서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간 세포 보호 효과]
1. 실험개요
간세포는 Dickins와 Peterson의 방법에 따라 collagenase perfusion 방법으로 분리하였으며 perfusion 완충용액으로는 HBSS를 사용하였다. 100mg의 collagenase를 perfusion 완충용액에 녹여서 간세포로 환류시킴으로써 간을 완전히 녹였다. 녹인 간을 50㎖의 perfusion 완충용액이 든 용기에 옮겨 간의 capsule에서 간세포를 유리시킨 뒤에 간세포 현탁액을 250μm의 pore size를 갖는 nylon mesh를 통과시켜 단일 세포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멸균된 tube에 옮겨서 50xg에서 4분간 3회 원심 분리하여 간 실질세포만을 얻었고, 최종적으로 단일세포를 배양용 배지(Williams' E)에 현탁 시켰다. 세포농도는 1×106cells/㎖이 되도록 조정하고 collagen(Collagen corp., USA)이 코팅된 배양용 용기에 세포를 넣고 배양하였다. 간세포는 온도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시작 후 3-4시간 후에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였다.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다음 24시간 후에 다시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면서 간손상 유발물질 내지 시료를 처리하였다. 간기능 개선 실험에는 간손상 유발물질로 t-BHP를 사용하고, 시료로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복합추출물(MX1 내지 9)을 사용하였다.
2. t-BHP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증가된 간세포의 지질과산화 측정
간 손상 유발물질 및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을 처리한 다음 6시간 배양한 후, 수확한 간세포를 Tris-HCl buffer(pH 7.4)에 넣은 후 균질화 시킨 다음 과산화지질의 분해 생성물인 malondialdehyde(MDA)와 2-Thiobarbituric acid(TBA)를 100℃에서 20분간 가열 반응시켜 생긴 TBA pigment를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BHP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증가된 간세포 내 MDA(malondialdehyd) 양을 TBA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하기 도 2에서와 같이 t-BHP에 의해 증가된 간세포 내의 지질과산화가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MX 8에서 지질과산화의 감소율이 가장 눈에 띔을 확인하였다.
5. t-BHP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증가된 간세포의 GSH 측정
간 손상 유발물질 및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6시간 배양한 후, 간세포 내의 GSH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확한 간세포를 Tris-HCl buffer(pH 7.4)에 넣은 후 균질화시킨 다음 수용액을 12,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100μl을 취하였다. 이 상등액에 1.8ml phospate-EDTA buffer와 O-Phthaldiadehyde 100μl를 넣은 후 15분 후에 (Ex: 420nm, Em: 350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t-BHP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감소된 간세포 내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t-BHP에 의해 감소된 간세포내의 GSH 함량이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MX 4 및 MX 7 내지 9에서 GSH 함량 회복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
1. 실험 동물 혈액 중의 17β-estradiol의 농도 측정
21일령의 Sprague Dawley 암컷 흰쥐를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50g) 준비하고 5~6개월령의 흰쥐 역시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350g) 준비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환제를 100mg/kg body wt/day씩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 투여 전 혈액과 3 일간 경구 투여한 후 EIA(Enzyme Immuno Assay)를 이용하여 혈액 중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복합추출물 21일 암컷
17β-에스트라디올 농도
6개월 암컷
17β-에스트라디올 농도
투여전 투여후 투여전 투여후
MX1 92.6 165 100.2 177.9
MX2 95.4 168.82 104.54 180
MX3 100.84 172.96 108 184.3
MX4 104.2 176.54 110.84 187.81
MX5 101.8 173.55 107.6 184.29
MX6 99.8 170.48 104.37 181.27
MX7 108.3 181.66 114.3 191.99
MX8 110.2 183.25 117.6 195.45
MX9 107.5 180.45 115.2 192.84
(단위 pg/㎖)
상기 표 4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미성숙 쥐(21일 암컷)와 성숙 쥐(6개월 암컷) 모두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MX1 내지 9)은 에스트라디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MX 8에서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여성 불임 개선 효과]
암컷 래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을 경구 투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에스트로겐 혈중 농도 및 생식기 조직(자궁과 난소)의 무게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복합 추출물의 경구 투여
평균 체중 300g의 50주령 된 암컷 래트 45마리의 좌측 난소를 부분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적어지도록 유도하고, 군별 5마리씩 체중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순위화한 체중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9개 군(G1 내지 G9)으로 나누어 G1 군부터 차례로 복합추출물 MX1 10㎖를, G2 군에는 MX2 10㎖를, G3 군에 MX3, G4 군에는 MX4 10㎖를, G5 군에는 MX5 10㎖를, G6 군에는 MX6 10㎖를, G7 군에는 MX7 10㎖를, G8 군에는 MX8 10㎖를, G9 군에는 MX9 10㎖를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방법은 래트를 경배부 피부 고정법으로 고정하고 금속제 경구 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위 내에 직접 주입하였다. 투여 개시 시기는 난소 적출 후 10일 후이며, 투여 횟수는 1회/일, 7일/주로 하여 4주간 투여하였다.
2. 혈청(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측정 실험
4주간 투여 후 각 군의 래트를 부검하기 전 하룻밤 절식한 후 후대정맥에서 채혈하여 이를 15분간 실온에서 정치하여 응고시킨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70℃로 보관하였다가 1470 wizard counter (Perkin Elmer Life Scienc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래트의 혈중 에스트로겐의 정량은 EIA(enzyme immunoassay) 키트 (DSL,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5 에 나타내었다.
구분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ng/ml) 160.6 161.3 167.5 169.4 165.8 162.1 171.8 173.2 170.2
(단위 ng/ml)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MX 1 내지 9) 중 MX8 에서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X8에 의하는 복합추출물이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래트의 난소 및 자궁의 무게 측정 실험
4주간 투여 후 각 군의 래트를 부검하고 전자저울 (BP310S, sartorius)을 이용하여 좌측 난소 및 자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난소 무게(g) 0.0675 0.0679 0.0686 0.0689 0.0684 0.0680 0.069 0.071 0.068
자궁 무게(g) 0.775 0.779 0.786 0.791 0.787 0.781 0.830 0.832 0.830
(단위 g)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복합추출물 중 MX8을 투여한 G8 군이 다른 복합추출물을 투여한 군 보다도 난소 및 자궁 무게가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MX 1 내지 9)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난자의 성숙과 자궁 내막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남성 정력 개선 효과]
ICR계 마우스 (웅성, 8주령)는 (주) 오리엔트바이오 (경기도가평)에서 구입하여 1주간 적응시킨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기간 중에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 시켰으며, 사육실 온도는 22 ± 2℃ 습도는 55 ± 5% 및 명암은 12 시간 주기로 자동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멸균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 그룹 및 복합추출물(MX 1 내지 9)를 투여한 시료처리 그룹에 각각 1일 1회 8일간 샘플을 경구 투여하였다. 적응기간이 끝난 웅성마우스를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으로 나누었으며, 시료 투여군은 복합추출물(MX 1 내지 9)별로 각각 나누었고, 각 군당 5 마리 씩 사용하였다. 1일 1회 8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마지막 경구투여 24시간 후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다음, 희생시켜 왼쪽 정소, 왼쪽 부정소, 왼쪽 정낭을 분리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고, 분리한 부정소는 10 ㎖ DMEM 배지에서 균질화 한 다음, 1 ㎖을 24 well에 분주하고 10분 뒤에 200 배율의 현미경 상에서 정자 수를 측정하였다.
2. 마우스의 체중 및 장기(정낭, 정소, 부정소)무게 측정
마우스의 체중 및 장기의 무게는 하기 표 7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체중(g) 37.01 ±1.63 36.99
±1.49
36.50 ±1.36 36.53 ±1.24 37.03
±1.07
36.62
±1.10
35.5 ±1.11 36.73 ±1.13 36.53 ±1.09 35.92 ±1.12
(단위 g)
상기 표 7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마우스의 체중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정낭(g) 0.075 ±0.02 0.076 ±0.01 0.078 ±0.02 0.081
±0.02
0.083 ±0.01 0.080 ±0.01 0.077±0.00 0.089 ±0.02 0.091 ±0.01 0.088 ±0.00
(단위 g)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정소(g) 0.10
±0.01
0.10
±0.02
0.10
±0.01
0.12
±.00
0.12
±0.01
0.12
±.00
0.11
±0.02
0.13
±.00
0.13 ±0.01 0.13
±.00
(단위 g)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부정소(g) 0.039±
0.000
0.039±
0.001
0.039±
0.000
0.040±
0.003
0.040±
0.002
0.040±
0.000
0.038±
0.002
0.041
±
0.001
0.042±
0.004
0.041±
0.000
(단위 g)
상기 표 8 내지 10에 나타낸바와 같이, 마우스의 정낭,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는 복합추출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는 MX7 내지 9 에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MX8에 의하는 경우, 그 마우스의 장기(정낭, 정소, 부정소)무게가 가장 높아 복합 추출물이 남성 성기능 개선에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 마우스의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측정
마우스의 정자수 및 정자 운동성은 하기 표 11 내지 12 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정자수(마리) 94.80 ± 7.19 100.76
±
9.88
106.33 ± 8.59 116.43±
15.00
118.60 ± 18.66 114.38±
16.70
109.21±
10.69
124.60±
14.33
127.00 ± 16.31 125.78±
11.10
(단위 마리)
대조군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정자
운동성(%)
53.73 ± 16.69 66.50 ± 8.56 68.46 ± 3.52 74.80
±
4.56
79.09 ± 8.20 75.61
±
5.26
70.88 ± 6.12 85.41
±
5.16
91.12 ± 2.56 88.23
±
4.16
(단위 %)
상기 표 11 및 12에 나타낸바와 같이, 복합추출물(MX 1 내지 9)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보다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이 증가하여 복합추출물의 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MX 8에 의하는 경우, 정자수 및 정자 운동성 증가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의 심혈관 질환 개선 효과]
1. 혈관이완 및 혈관수축 억제 효과 측정 (관상동맥)
제조된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의 혈관이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돼지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효과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관상동맥은 도축장에서 도살 직후의 돼지심장을 구입한 후 적출하여 18 mM NaCl, 4.7 mM KCl, 1.1 mM MgSO4, 1.2 mM KH2PO4, 1.5 mM CaCl2, 25 mM NaHCO3, 10mM 글루코스가 들어있는 크렙스(Krebs) 용액 (pH 7.4)에 넣고 연결 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 ㎜의 길이의 절편으로 만들었다.
준비한 관상동맥 절편을 95 % O2 및 5 %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 ℃의 크렙스 용액에서 고정시킨 후, 등척성 장력 (isometric tension)을 힘-변위 변환기 (force-displacement transducer, HugoSachs, Germany)가 장착된 생리기록계(Grass physiograph, HugoSachs,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관상동맥의 경우 먼저 트롬복산 유도체인 U46619 (1-60 nM)로 혈관최고수축의 80 %로 수축시키고 10분 후, 300 nM의 브레드키닌(Bradykinin)으로 이완 반응시켜 혈관 내피 세포의 안전성을 측정한 다음, 크렙스 용액으로 3 회 세척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관이완 효과 변화 측정은 먼저 약물을 U46619로 수축하였으며, 이어서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 에 의한 이완 반응을 시험하였다. 또한 U46619를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혈관을 수축하기 30분 전에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을 반응시키고 이후에 U46619를 농도의존적으로 처리하여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에 의한 수축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 시험은 서로 다른 개체에서 적출한 혈관을 가지고 반복 시험하였으며, 시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MX 1 내지 9) 중 MX 3 내지 5 및 MX 7 내지 9에서 혈관이 유의하게 이완하였고
특히, 복합 추출물 MX 8에서는 102 ± 4 % 이완을 하여 관상동맥에서 혈관을 이완시키는 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혈관수축 억제 실험을 진행하여,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U46619 등의 혈관수축인자에 의한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는 효능에서도 복합추출물 MX8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 테스트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 증강에 대한 효과를 송아지 혈관내피세포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의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1177번 세린 잔기 (serine residue) 인산화 정도로서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먼저 혈관내피세포를 DMEM (Dubleco's minimum essential medium) 및 10 % FBS (Fetal bovine serum) 용액과 혼합하여 배양 후 FBS가 제외된 배양액으로 다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안정화된 후에 시료를 처리한 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단백질을 추출하고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세포의 파편들을 제거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시킨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겔의 단백질을 블롯시켰다. 3 % BSA로 1 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한 후에 1:1000의 비율로 phospho-eNOS, phospho-Akt 항체 (Cell Signaling, 미국)를 하루 밤 동안 4 ℃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1:2000의 비율로 희석한 2 차 항체를 처리하여 1 시간 상온에서 배양한 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은 산화질소를 생성시키는 혈관내피세포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화(phospho-eNOS) 증가 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MX 8의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화 증가 정도가 특히 큼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기호성 평가 실험]
녹용 특유의 이취미와 홍삼 특유의 쓴맛과 향미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거부감이 있는 경우가 있어 MX 1 내지 9에 대해 기호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MX1 내지 9를 차로 제조한 이후, 성인 10명에게 제조된 차를 시음하게 한 후, 맛과 향을 평가하도록 하여 하기 표 5에 종합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평가 점수는 각 항목 당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2 4 5 6 6 4 8 8 7
2 3 6 7 6 4 8 9 8
종합기호도(평균) 2 3.5 5.5 6.5 6 4 8 8.5 7.5
(단위: 지수)
상기 표 13를 참조하면, MX 1 보다 MX 3 내지 5의 종합기호도가 더 높았으며, 추가로 개지치 에탄올 추출물 및 경성사초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는 MX 7 내지 9 중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MX 8의 경우, 더 높은 종합기호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 당귀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백출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기능 강화 및 회복, 선천적 허약체질 개선, 항산화 작용, 간 기능 보호 및 회복, 여성 갱년기와 불임 개선, 남성 정력 강화 및 심혈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KR1020200063096A 2020-05-26 2020-05-26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KR10239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6A KR102391691B1 (ko) 2020-05-26 2020-05-26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6A KR102391691B1 (ko) 2020-05-26 2020-05-26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483A true KR20210146483A (ko) 2021-12-06
KR102391691B1 KR102391691B1 (ko) 2022-04-28

Family

ID=7890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96A KR102391691B1 (ko) 2020-05-26 2020-05-26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579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나인비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162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787432B1 (ko) 2017-06-14 2017-10-18 김인숙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20170126523A (ko) 2012-08-10 2017-11-17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세그먼트화 겔 복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지드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162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20170126523A (ko) 2012-08-10 2017-11-17 아스펜 에어로겔, 인코포레이티드 세그먼트화 겔 복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지드 패널
KR101787432B1 (ko) 2017-06-14 2017-10-18 김인숙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691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CN104351573A (zh) 一种治疗奶牛缺乳症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CN101138419B (zh) 一种具有改善体力疲劳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KR100720971B1 (ko) 대나무 또는 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드로젠 효능성조성물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2391691B1 (ko)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CN109123032A (zh) 具有延年益寿温肾补阳温肾益阴功能的组合物与制备工艺
CN104489172A (zh) 一种提高免疫力的刺五加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626938B1 (ko)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ngh et al. Almond (Prunus amygdalus Batsch.): a latest review on pharmacology and medicinal uses
CN108853469A (zh) 改善男性精子活力与男性勃起功能的组合物与制备工艺
Masihuzzaman et al. Badam shireen (Prunus dulcis Mill): A ghiza-e-dawaee and immunomodulator: A latest review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9010788A (zh) 改善睡眠及尿频尿急夜尿频多症的组合物与制备工艺
CN109043527A (zh) 调节人体亚健康及提高免疫力的组合物与制备工艺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652335B1 (ko)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7432889A (zh) 更年期症状或骨质疏松症改善用组合物
KR20100102366A (ko) 혈당강하 및 통증완화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N101491339A (zh) 一种具有缓解疲劳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