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579A -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579A
KR20230170579A KR1020230073169A KR20230073169A KR20230170579A KR 20230170579 A KR20230170579 A KR 20230170579A KR 1020230073169 A KR1020230073169 A KR 1020230073169A KR 20230073169 A KR20230073169 A KR 20230073169A KR 20230170579 A KR20230170579 A KR 2023017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oi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blood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수
정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비
Publication of KR2023017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개지치씨유가 혈액응고 및 혈관 염증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혈전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rombotic diseases comprising 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 with vegetable omega 3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순환하고 있는 동안에는 혈전이 생성되지 않는다. 혈전의 형성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을 입은 경우 손상 부위로부터 혈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전이며 이는 혈액 성분의 변화, 혈류의 이상 및 혈관 벽의 성상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즉, 혈관이 어떠한 이유로 손상을 입은 경우, 혈소판이 손상 부분에 점착, 응집되어 응집물을 형성함으로써 출혈을 방지하는데, 혈소판은 혈소판 스스로 응집됨으로써 혈액 내에 존재하는 응고인자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방출시켜 보다 견고한 혈전의 형성을 유발하는 혈전 형성을 촉진한다.
혈전증은 생체내의 심혈관 및 혈관 내에서 혈액의 응고, 즉 혈전이 형성된 것으로 혈액이 혈관계 내를 흐르는 동안 생리적 손상을 받을 경우 혈액 성분의 하나인 혈소판이 침착하는 기전으로부터 발생되고, 혈액의 응고와 용해작용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기능적 이상 및 순환 이상 발생은 다양한 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 및 순환 장애가 뇌 및 심장 등에 나타나는 경우, 생명에 치명적이며, 그 후유증 또한 심각하다.
혈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는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 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현재 개발된 항혈소판 제제로는 몰시도민, 베라파밀, 니페디핀, 데오필린, 비스테로이드계 아스피린, 이미다졸, 인도메타신 등이 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항혈소판 제제인 아스피린은 위장출혈, 소화성 장애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으며, 그 외 항응고제나 고지혈증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들은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작용 및 비용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상황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2391691(2021.12.0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가 혈액응고 및 혈관 염증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혈전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혈관내피세포에서 개지치씨유가 트롬복산 B2(Thromboxane B2; 이하 TXB2라 함)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인간혈관내피세포에서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체중 및 피부 출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고지혈증 유도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고지혈증 유도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지질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체중 및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모델에서 개지치씨유가 지질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개지치씨유는 혈액 응고 또는 혈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지치씨유는 ICAM1, VCAM1, E-selectin(SELE), P-selectin(SELP),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및 트롬복산 B2(Thromboxane B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개지치씨유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또는 LDL(Low-density lipoprotein)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중 HDL(High-density lipoprotein)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혈전 질환은 고지혈증, 동맥 혈전증, 정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만성 정맥 허혈, 하지 정맥류, 심부 정맥 혈전증, 동맥경화증, 뇌출혈, 뇌졸증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및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유효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혈전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혈전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혈전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개지치씨유의 혈행 개선 효과 분석( in vitro )
1-1. 실험 준비
개지치씨유는 Natures Crops International사의 개지치씨유를 ㈜케미넥스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인간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s)는 PromoCell에서 구입하여 20% FBS(fetal bovine serum, Gibco), 내피세포 성장 보충제(endothelial cell growth supplement, PromoCell) 12.2ml 및 항생제 1% Antibiotic-Antimycotic(Gibco)을 첨가한 ECGM(endothelial cell growth medium, PromoCell)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및 37℃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1-2. 혈액응고 관련 인자 발현 분석
개지치씨유가 혈액응고 관련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1의 인간혈관내피세포(HEVECs)를 자극하기 위해, TNF-α(10ng/mL)를 처리하고, 개지치씨유를 농도별로(250, 500 및 1000μg/ml)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혈액응고 관련 인자인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이하 TXA2라 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TXA2보다 안정한 대사체인 TXB2 농도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대조군(TNF-α 단독 처리군; Control)에서 TXB2 농도가 증가했고, 대조군 대비 개지치씨유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XB2 농도가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가 TXB2 및 TXA2 활성 억제를 통해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분석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ICAM1(NCBI gene ID : 3383), VCAM1(NCBI gene ID : 7412) 및 SELE(E-selectin, NCBI gene ID : 640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1의 인간혈관내피세포(HEVECs)를 자극하기 위해, TNF-α(10ng/mL)를 처리하고, 개지치씨유를 농도별로(250, 500 및 1000μg/ml)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q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대조군(Control)에서 ICAM1, VCAM1 및 SELE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 대비 개지치씨유 처리군에서 ICAM1, VCAM1 및 SELE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혈관 염증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개지치씨유의 혈행 개선 효과 분석 1( in vivo )
2-1. 동물모델 준비
동물모델로 4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하기와 같이, 동물모델을 5마리씩 5군으로 설정하였다.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이하 HFD라 함)를 통해 고지혈증 유도 동물모델을 제작하였고, 고지방식이 및 개지치씨유 투여는 12주 동안 진행하였고, 개지치씨유는 사료에 혼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1) 정상식이군(natural diet; 이하 ND군이라 함)
2) HFD군
3) HFD + 개지치씨유 100mg/kg/day 투여군(HFD+AO100)
4) HFD + 개지치씨유 200mg/kg/day 투여군(HFD+AO200)
5) HFD + 개지치씨유 300mg/kg/day 투여군(HFD+AO300)
2-2. 체중 및 피부 출혈 분석
개지치씨유가 체중 및 피부 출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1의 동물모델의 체중을 실험 마지막 날 측정하고, 꼬리 끝 3mm를 자른 후 PBS (Phosphate-buffered saline)에 넣어 출혈이 멈추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ND군 대비 HFD군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FD군과 개지치씨유 투여군 간의 유의한 체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부 출혈 시간은 ND군 대비 HFD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FD군 대비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증가하였고, 구체적으로 개지치씨유 200 및 300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는 체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혈액응고 반응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3.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분석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Icam1(ICAM, NCBI gene ID : 15894), Vcam1(VCAM, NCBI gene ID : 22329) 및 Selp(P-selectin, NCBI gene ID : 20344)]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1의 동물모델의 동맥조직을 채취하고, q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ND군 대비 HFD군에서 Icam1, Vcam1 및 Selp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FD군 대비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cam1, Vcam1 및 Selp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개지치씨유 200 및 300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혈관 염증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4. 지질 프로파일 분석
개지치씨유가 지질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1의 동물모델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중 주요 지질 대사체인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LDL(Low-density lipoprotein) 및 HDL(High-density lipoprotein)의 농도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ND군 대비 HFD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DL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HFD군 대비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농도가 감소하였고, HDL 농도가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개지치씨유 200 및 300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LDL 농도는 개지치씨유 100, 200 및 300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 농도는 개지치씨유 100, 200 및 300mg/kg/day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는 지질 프로파일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개지치씨유의 혈행 개선 효과 분석 2( in vivo )
3-1. 동물모델 준비
동물모델로 4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하기와 같이, 동물모델을 4마리씩 5군으로 설정하였다. 동물모델에 콜레스테롤 유도 물질인 Poloxamer 407(이하 P-407이라 함)을 300mg/kg/day로 5일간 복강 투여하여 콜레스테롤 유도 동물모델을 제작하였고, 그 후, 개지치씨유 또는 양성대조군 200 및 300mg/kg/day를 2일간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어유(fish oil; FO)를 사용하였다.
1) 대조군(미투여군; Control)
2) P-407 투여군(P-407)
3) P-407 + 개지치씨유 200mg/kg/day 투여군(AO200)
4) P-407 + 개지치씨유 300mg/kg/day 투여군(AO300)
5) P-407 + 어유 200mg/kg/day 투여군(FO200)
3-2. 체중 및 혈소판 응집 분석
개지치씨유가 체중 및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동물모델의 체중을 실험 마지막 날에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소판을 분리하고, 분리한 혈소판에 혈소판 응집 촉진 물질인 ADP(Adenosine diphosphate)를 처리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Aggreg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체중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Control) 대비 P-407 투여군(P-407)에서 혈소판 응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407 투여군 대비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이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는 체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혈액응고 반응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분석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Icam1(ICAM, NCBI gene ID : 15894), Vcam1(VCAM, NCBI gene ID : 22329) 및 Selp(P-selectin, NCBI gene ID : 20344)]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동물모델의 동맥조직을 채취하고, q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대조군(Control) 대비 P-407 투여군에서 Icam1, Vcam1 및 Selp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cam1, Vcam1 및 Selp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가 혈관내피세포 활성화 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혈관 염증을 억제하여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3-4. 지질 프로파일 분석
개지치씨유가 지질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동물모델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중 주요 지질 대사체인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LDL(Low-density lipoprotein) 및 HDL(High-density lipoprotein)의 농도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대조군(Control) 대비 P-407 투여군(P-407)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DL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P-407 투여군 대비 개지치씨유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개지치씨유는 지질 프로파일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8)

  1.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지치씨유는 혈액 응고 또는 혈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지치씨유는 ICAM1, VCAM1, E-selectin(SELE), P-selectin(SELP),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및 트롬복산 B2(Thromboxane B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지치씨유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또는 LDL(Low-density lipoprotein)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중 HDL(High-density lipoprotein)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전 질환은 고지혈증, 동맥 혈전증, 정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만성정맥 허혈, 하지 정맥류, 심부 정맥 혈전증, 동맥경화증, 뇌출혈, 뇌졸증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약학 조성물.
  8. 개지치씨유(Buglossoides arvensis seed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30073169A 2022-06-10 2023-06-07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70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73 2022-06-10
KR20220070473 2022-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579A true KR20230170579A (ko) 2023-12-19

Family

ID=8938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169A KR20230170579A (ko) 2022-06-10 2023-06-07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5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691B1 (ko) 2020-05-26 2022-04-28 남권희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691B1 (ko) 2020-05-26 2022-04-28 남권희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18440A (ja) β−ヒドロキシ−β−メチル酪酸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アミノ酸を含む組成物および使用法
JP2019513382A (ja) 益智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高尿酸血症または高尿酸血症関連の代謝障害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JP5677717B2 (ja) 血行動態改善剤
JP2008143819A (ja) 酸化ストレス誘導細胞死の抑制剤
JP200613151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品
WO2004112510A1 (ja) 運動生理機能向上剤
US1118555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reperfusion injury comprising bile acids
KR102009966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170579A (ko) 식물성 오메가3 개지치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2004206156B2 (en)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vascular flexibility-improving agent and foods having these functions imparted thereto
KR20220147536A (ko) 저분자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TW201717980A (zh) 動脈硬化改善用組成物
WO2020004585A1 (ja) 血管内皮機能改善用又は末梢血管の血流改善用組成物
JP5730548B2 (ja) Cgrp応答性促進剤
US1039111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scular leak syndrome
KR102489247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886556C (en) Agent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glutathione
KR102474229B1 (ko)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1526B1 (ko) 난각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76572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oxia-induced lung injury comprising WKYMVm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US20230293482A1 (en) Central nervous system potentiating composition
KR20120053012A (ko)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에리쓰리톨의 용도
KR101340675B1 (ko) 탄제레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MXPA06011940A (es) Acidos grasos esenciales en la prevencion y/o el tratamiento de depresion en pacientes con enfermedad cardiaca coronarias o arterial corona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