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966B1 -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966B1
KR102009966B1 KR1020180075419A KR20180075419A KR102009966B1 KR 102009966 B1 KR102009966 B1 KR 102009966B1 KR 1020180075419 A KR1020180075419 A KR 1020180075419A KR 20180075419 A KR20180075419 A KR 20180075419A KR 102009966 B1 KR102009966 B1 KR 10200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roke
oyster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천수
한승연
이지혜
Original Assignee
나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천수 filed Critical 나천수
Priority to KR102018007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굴피나무 추출물은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뇌졸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및 식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latycarya strobilacea as and effective component for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stroke}
본 발명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 (stroke 또는 cerebrovascular disease)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손상 받은 부위의 뇌세포가 죽게 되어 그에 따른 의식소실, 언어장애, 반신마비 등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이다.
뇌졸중은 크게 뇌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에서는 혈관의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뇌동맥의 혈전이나 색전과 심장질환 등에 의한 심인성 색전이 주된 원인이며, 뇌출혈의 경우는 고혈압에 의한 원발성 뇌출혈과 동정맥 기형이나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이 중요한 원인이다.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게 되는 뇌경색은 다시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으로 구분되는데, 뇌혈전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의하여 동맥경화증이 초래되어 동맥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고 혈관의 안벽이 상처받기 쉬워 매끄럽지 못해서 피가 엉겨 붙으면서 결국 막히게 되어 혈액의 공급이 현저히 줄거나 중단되어 뇌세포로 가는 산소 및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뇌기능의 장애가 초래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뇌색전증은 심장판막증 또는 심방세동 등의 질환에 의하여 심장 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 혈액의 일부가 심장 내에 부분적으로 정체, 응고되어 피찌꺼기(혈전)가 생기게 되며, 이것이 떨어져 나가 뇌혈관을 막게 되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뇌출혈의 경우에는 고혈압으로 인해 뇌혈관 내의 압력도 높아지기 때문에 작은 혈관의 벽이 견디지 못하고 터지는 원발성 뇌출혈, 혈관벽의 일부가 약해서 그 약한 부분의 벽이 늘어나 꽈리모양으로 불거져 나온 상태인 뇌동맥류가 어떤 계기에 터져서 발생하는 지주막하 출혈, 뇌동정맥 기형이 선천적으로 존재해 동맥의 높은 압력이 정맥으로 직접 전달되어 발생하는 뇌출혈로 나누며, 이 외에 혈액응고의 장애로 출혈 소인을 가진 경우에도 발생하게 된다.
현재 치료방법으로서는 항혈전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을 이용한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유일하게 허가된 약물인 항혈전제(tPA)는 뇌경색 발생 후 4~5 시간 이내에만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tPA는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 병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며, 알러지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즉, 뇌졸중은 진단도 쉽지 않고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아직까지도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자는 뇌졸중의 치료 방법을 연구하던 중 굴피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12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04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피나무 추출물은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며, 뇌졸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및 식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 개요를 시간 순서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실험예 1의 4 그룹 마우스의 TTC(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염색된 뇌 절편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뇌 절편은 뇌의 전두극(frontal pole)으로부터 1 ㎜ 간격으로 잘랐으며, 흰색 영역은 경색 영역을 나타내며, 빨간 색 영역은 손상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다.
도 2b는 실험예 1의 각 그룹의 마우스의 뇌 절편의 경색 영역의 부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실험예 2의 각 그룹 마우스의 신경 장애 점수(neurological deficit scor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실험예 2의 각 그룹 마우스의 악력 시험(grip strength 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실험예 2의 각 그룹 마우스의 역 스크린(inverted screen)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실험예 3의 각 그룹 마우스의 허혈반음영(ischemia penumbra) 영역에서 TUNEL 분석과 cleaved caspase-3-immunopositive 세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b는 실험예 3의 각 그룹 마우스의 허혈반음영에서 high-power field(HPF, 400X)당 TUNEL-positive apoptotic neuron의 평균 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실험예 3의 각 그룹 마우스의 허혈반음영에서 HFP 당 cleaved caspase-3-immunopositive 세포의 평균 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실험예 4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 마우스의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분석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b는 실험예 4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 마우스의 4-HNE- 및 8-OHDG-immunopositive 세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400X).
도 5c는 실험예 4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 마우스의 4-HNE- 및 8-OHDG-immunopositive 세포 개수/HFP(% of Sham)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d는 실험예 4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의 4-HNE protein adduct 웨스턴 블럿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e는 실험예 4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의 4-HNE protein adduct의 누적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험예 5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의 허혈반음영에서 HO-1의 웨스턴 블럿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b는 실험예 5의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의 허혈반음영에서 HO-1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굴피나무 추출물은 허혈반음영(ischemic penumbra)에서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을 억제하여 뇌신경세포를 보호함으로 뇌졸중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굴피나무 잎 또는 과서(infructescence)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굴피나무 잎 추출물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30 내지 70%의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 또는 출혈성 뇌졸중일 수 있다.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뇌졸중이라면 상기 기재에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굴피나무 잎 또는 과서(infructescence) 추출물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30 내지 70%의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 또는 출혈성 뇌졸중일 수 있다.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뇌졸중이라면 상기 기재에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굴피나무 추출물은 광의로는 굴피나무 잎 또는 과서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굴피나무 추출물의 가공물, 예컨대, 굴피나무 추출물의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굴피나무 추출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굴피나무 추출물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굴피나무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굴피나무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굴피나무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굴피나무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굴피나무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굴피나무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굴피나무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굴피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굴피나무 추출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굴피나무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굴피나무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 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굴피나무 추출물
완전 건조시킨 굴피나무 잎 200 g을 메탄올 1 ㎏에 넣고 100 ℃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여액을 60 mmHg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실험 개요
생후 55일 된 C57/BL6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각 12 마리씩 Sham(수술 대조군), fCI, fCI+PSI-L(상기 실시예 1의 굴피나무 추출물 20 ㎎/㎏ 투여) 및 fCI+PSI-H(상기 실시예 1의 굴피나무 추출물 100 ㎎/㎏ 투여)의 4개 그룹으로 나눴다. 국소뇌허혈(focal cerebral ischemia) 유발을 위한 중뇌동맥 폐쇄술 및 재관류 유도수술(MCAO/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and reperfusion operation)을 실시하였으며, 수술 전의 모든 처리는 8일 동안 경구로 매일 이루어졌다. MCAO/R 수술 직전 DHE(dihydroehthidium)를 10 ㎎/㎏의 농도로 희석한 생리식염수를 정맥을 통해 주사하였으며 DHE 형광 검출은 MCAO/R 후 2시간이 지나고 진행되었다(n=2). 행동기능검사는 MCAO/R 후 24시간이 지나고 진행되었으며(n=10) 남은 마우스의 뇌를 즉시 적출하여 TTC(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 웨스턴 블럿, IHC(immunohistochemistry),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and labeling) 분석에 이용하였다. 도 1에 실험 개요를 시간 순서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뇌경색 영역의 부피 측정
도 2a 는 4 그룹 마우스의 TTC-염색된 뇌 절편을 나타내었다. 뇌 절편은 뇌의 전두극으로부터 1 ㎜ 간격으로 잘랐다. 흰색 영역은 경색 영역을 나타내며, 빨간 색 영역은 손상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다.
도 2b의 정량 그래프는 각 뇌 절편의 동측 경색 영역의 부피를 나타내었다. 굴피나무 추출물 투여로 국소뇌허혈로 인한 뇌경색 부피는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보인다.(***p<0.001 vs. Sham ; ###p<0.001 vs. fCI. N.S는 fCI+PSI-L과 fCI+PSI-H의 데이터 간의 통계적 차이가 “명확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2. 감각운동장애 측정
3가지 행동 시험이 이루어졌다. MCAO/R 후 24시간이 지나서, 국소 뇌허혈에서 기인한 감각운동장애(sensorimotor deficit)를 신경 장애 점수(neurological deficit score)(도 3a), 악력 시험(grip strength test)(도 3b) 및 역 스크린(inverted screen) 시험(도 3c)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fCI+PSI-L 그룹과 fCI+PSI-H 그룹의 감각운동장애는 fCI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각운동장애 감소 정도는 굴피나무 추출물의 투여량에 비례하였다(**p<0.01, ***p<0.001 vs. Sham ; ###p<0.001 vs. fCI ; §§p<0.01,§§§p<0.001 vs. fCI+PSI-L).
실험예 3. 신경세포사멸 측정
도 4a는 모든 그룹의 허혈반음영(ischemia penumbra) 영역에서 TUNEL 분석과 cleaved caspase-3-immunopositive 세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b의 그래프는 high-power field(HPF, 400X) 당 TUNEL-positive apoptotic neuron의 평균 개수를 나타낸다.
도 4c의 그래프는 HFP 당 cleaved caspase-3-immunopositive 세포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의 결과는 굴피나무 추출물 투여로 인해 국소 뇌허혈에서 기인한 caspase-3 의존적인 세포사멸(apoptosis)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보여주며, 그 정도는 굴피나무 추출물의 투여량에 비례하였다(*p<0.05, **p<0.01,***p<0.001 vs. Sham ; ##p<0.01,###p<0.001 vs. fCI ; §p<0.05 vs. fCI+PSI-L.).
실험예 4. 반응성 산소 종(ROS) 축적량, 지방 과산화반응(lipid peroxidation) 및 oxidative DNA damage 측정
도 5a는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에 대해 DHE(빨간 색)를 사용하여 세포 내의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a로부터 굴피나무 추출물을 100 ㎎/㎏ 투여한 군은 국소뇌허혈로 유발된 ROS 생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b는 허혈반음영 영역의 4-HNE(4-Hydroxynonenal)- 및 8-OHdG(8-hydroxyl-2’-deoxyguanosine)-immunopositive 세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400X).
도 5c는 4-HNE- 및 8-OHDG-immunopositive 세포 개수/HFP(% of Sham)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d는 4-HNE protein adduct 웨스턴 블럿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e는 4-HNE protein adduct의 누적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결과는 굴피나무 추출물 투여가 ROS 감소, 지방 과산화반응 및 oxidative DNA damage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p<0.001 vs. Sham ; #p<0.05, ###p<0.001vs. fCI.).
실험예 5. 허혈반음영에서 HO-1(Heme oxygenase-1) 발현 수준 조절영향(modulatory effect) 측정
도 6a는 Sham 군, fCI 군, fCI+PSI-H 군의 허혈반음영에서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웨스턴 블럿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b는 각각 HO-1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β-액틴을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로 사용하였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굴피나무 추출물은 대뇌피질에서 HO-1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p<0.001 vs. Sham ; ##p<0.01 vs. fCI.).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굴피나무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굴피나무 잎 추출물이고,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식품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활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인 뇌졸중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굴피나무 잎 추출물이고,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HO-1(Heme oxygenase-1) 활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인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75419A 2018-06-29 2018-06-29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0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9A KR102009966B1 (ko) 2018-06-29 2018-06-29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9A KR102009966B1 (ko) 2018-06-29 2018-06-29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966B1 true KR102009966B1 (ko) 2019-08-12

Family

ID=6762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19A KR102009966B1 (ko) 2018-06-29 2018-06-29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70A (ko) 2020-08-19 2022-02-28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굴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슐린 민감성 개선용 조성물
WO2023113355A1 (ko) * 2021-12-16 2023-06-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굴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825A (ko) * 2013-01-30 2014-08-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굴피나무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굴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30415B1 (ko) 2012-09-03 2015-06-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4857079A (zh) * 2015-05-27 2015-08-26 李凤鹏 一种治疗非痴呆型血管性认知功能障碍的中药制剂
KR101811207B1 (ko) 2015-12-18 2017-1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굴피나무잎, 자작나무수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15B1 (ko) 2012-09-03 2015-06-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97825A (ko) * 2013-01-30 2014-08-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굴피나무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굴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857079A (zh) * 2015-05-27 2015-08-26 李凤鹏 一种治疗非痴呆型血管性认知功能障碍的中药制剂
KR101811207B1 (ko) 2015-12-18 2017-1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굴피나무잎, 자작나무수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70A (ko) 2020-08-19 2022-02-28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굴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슐린 민감성 개선용 조성물
WO2023113355A1 (ko) * 2021-12-16 2023-06-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굴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966B1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1020157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ood comprising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fruit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KR100805865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용조성물
KR20140077483A (ko) 갯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9538B1 (ko) 담즙산을 포함하는 허혈성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358627B2 (ja) タラヨウ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虚血性疾患または退行性脳疾患の予防もしくは治療用または記憶障害の改善用の薬学的組成物
KR101838379B1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09771B1 (ko)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3545B1 (ko) 알피늄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4867A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42797B1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예정괴사와 관련된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4229B1 (ko)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623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눈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07939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rvous system disorders comprising sulfuret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KR100544711B1 (ko) 항암효능을 갖는 비타민 k3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식품
KR20220164889A (ko) 소듐 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867457B1 (ko) 살리드로사이드 및 베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40006283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64842A1 (ko) 플루옥세틴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의예방및치료용약학적조성물
KR20230087245A (ko) 오가피 열매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세실린의 알칼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40006282A (ko)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