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160A - 바닥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바닥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160A
KR20210144160A KR1020200061094A KR20200061094A KR20210144160A KR 20210144160 A KR20210144160 A KR 20210144160A KR 1020200061094 A KR1020200061094 A KR 1020200061094A KR 20200061094 A KR20200061094 A KR 20200061094A KR 20210144160 A KR20210144160 A KR 2021014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tube
upper base
floor pan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425B1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20006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높이 변화없이 초기 설정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바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신축 가능한 충전관에 상온에서 경화되는 경화충전재를 충전관에 주입하거나 과잉 주입된 경화충전재를 배출시킴으로써 바닥패널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경화충전재가 경화된 이후에는 진동이나 하중 등에 의해 높이 변화 없이 초기 설정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바닥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의 평활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닥패널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panel}
본 발명은 바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높이 변화없이 초기 설정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바닥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바닥재나 이중 바닥재를 설치하기 위해서 높이 조절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높이 조절구는 시공이 신속하고 이중 바닥재나 이중 바닥재의 평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높이 조절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4375호에는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고 보행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중 바닥재용 지지대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이중 바닥재용 지지대는 너트부가 헤드에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볼트의 하부에 지지대 고무가 설치되므로 헤드에 큰 하중이 걸리면 헤드와 너트부의 결합이 파손되고, 볼트에 끼워진 지지대도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20-1994-0003976 대한민국 실용신안 20-03543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패널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해 바닥패널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바닥패널과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충분한 공간부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높이 조절 후에는 진동 등에 의해 높이 변화가 없도록 한 바닥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평판형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 구비되는 설치대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베이스 상부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 의해 밀폐되는 충전공간부가 마련되고,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충전관과; 상기 충전관의 충전공간부에 충전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는 경화충전재와; 상기 충전관 내부로 경화충전재를 주입하거나, 상기 충전관 내부에 주입된 경화충전재를 상기 충전관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관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관은 내측에 제1충전공간부가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상기 고정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충전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충전공간부가 형성된 이동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 사이로 상기 경화충전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를 통해 상기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때,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해 상기 상부베이스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신축 가능한 충전관에 상온에서 경화되는 경화충전재를 충전관에 주입하거나 과잉 주입된 경화충전재를 배출시킴으로써 바닥패널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경화충전재가 경화된 이후에는 진동이나 하중 등에 의해 높이 변화 없이 초기 설정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바닥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의 평활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 및 그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충전관 및 그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1)는 하부베이스(10)와, 상부베이스(20)와, 설치대(30)와, 충전관(40)과, 경화충전재(50)와, 높이조절부(60)와, 수평유지부(70)를 구비한다.
하부베이스(10)는 콘크리트 슬래브 즉, 바닥 슬래브(5)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베이스(10)와 바닥 슬래브(5) 사이에는 하부베이스(10)가 바닥 슬래브(5)상에서 미끄러져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바닥 슬래브(5)에 밀착되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하부베이스(10)에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이 바닥 슬래브(5)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완충패드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상부베이스(20)는 하부베이스(10)의 상부에 하부베이스(1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베이스(10)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상부베이스(20)는 하부베이스(10)와 동일한 구조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베이스(20)의 일 측에는 후술하는 충전관(40) 내부로 경화충전재(50)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1)와, 충전관(40) 내에 충전된 경화충전재(50)를 충전관(40) 외부로 배출부(22)가 각각 형성된다. 주입부(21)와 배출부(22)에는 각각 체크밸브 또는 차단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대(30)는 바닥패널(2)들을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3)을 설치하거나, 고정브라켓(3)을 지지프레임(4)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4)을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베이스(20)에 설치된다.
설치대(30)는 지주(31)와, 지주(31)상에 설치되는 받침부(32)를 구비하며, 받침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이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의 하단과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지지프레임(4)이 없이 고정브라켓(3)을 설치대(30)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받침부(32)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관(40)은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경화충전재(50)를 수용할 수 있는 충전공간부(4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베이스(1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베이스(20) 상부가 결합되어 하부베이스(10)와 상부베이스(20)에 의해 충전공간부(41)가 밀폐된다.
충전관(40)은 하부베이스(10)에 대해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조절할 때, 길이 조절이 가능 및 신축 가능하도록 플렉시블관이나 자바라관과 같은 주름관으로 형성된다.
경화충전재(50)는 충전관(40)의 충전공간부(41)에 충전되는 것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는 소재를 적용한다. 경화충전재(50)는 무수축 모르타르나 에폭시와 경화제를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되기 전에는 유동성이 좋고, 경화된 후에 부피 변화가 없으며, 압력에 의해 압축이 발생하지 않은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60)는 충전관(40) 내부로 경화충전재(50)를 주입하거나, 충전관(40) 내부에 주입된 경화충전재(50)를 충전관(40) 외부로 배출시켜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경화충전재(50)가 보관된 보관탱크(61)로부터 경화충전재(50)를 상부베이스(20)에 구비된 주입부(21)를 통해 충전관(4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62)과, 충전관(40) 내부에 주입된 경화충전재(50)를 상부베이스(20)에 구비된 배출부(22)를 통해 충전관(40) 외부로 배출 및 보관탱크(61)로 회수하는 회수관(63)과, 공급관(62)에 설치되는 공급펌프(64)와, 회수관(63)에 설치되는 회수펌프(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높이조절부(60)는 공급관(62)과 회수관(63)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관(62)과 회수관(63)을 통과하는 경화충전재(50)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유량계에서 측정된 경화충전재(50)의 유량에 따라 공급펌프(64) 및 회수펌프(65)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60)를 통해 충전관(40)에 경화충전재(50)를 주입하면 충전관(40)에 경화충전재(50)가 차오르면서 충전관(4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충전관(40) 상부에 결합된 상부베이스(2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후에는 경화충전재(50)의 공급을 중단하고 그 상태로 경화충전재(50)를 경화시킨다.
경화충전재(50)가 과잉공급되어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 높이조절부(60)를 통해 충전관(40)에 주입된 경화충전재(50)를 회수하여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낮추며,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회수를 중단하고 그 상태로 경화충전재(50)를 경화시켜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유지부(70)는 높이조절부(60)를 통해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조절할 때, 하부베이스(10)에 대해 상부베이스(20)가 경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 및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일 측이 하부베이스(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부베이스(20)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상부베이스(20)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로드(71)를 포함한다. 가이드로드(71)는 복수가 하부베이스(10) 및 상부베이스(20)의 둘레 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로드(71)를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였다.
상부베이스(20)의 가이드홈 주변에는 가이드로드(7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지지부(72)가 더 구비된다. 보강지지부(72)는 상부베이스(20) 상면의 가이드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부베이스(20) 상측의 가이드로드(71) 일부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지지부(72)는 상부베이스(20) 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충전관(40)과 다르게 고정관(141)과 이동관(142)으로 구성된 충전관(14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전관(140)은 고정관(141)과 이동관(142)을 구비한다.
고정관(141)은 내측에 경화충전재(50)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충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관(141)은 하단이 하부베이스(10) 상에 고정되고, 하부베이스(1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된다.
이동관(142)은 고정관(14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고정관(141)의 내측에 고정관(1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내측에 제1충전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충전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동관(142)은 고정관(141)과 같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부베이스(20) 상에 고정되며, 상부베이스(20)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다.
고정관(141) 및 이동관(142)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고정관(141)과 이동관(142)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며, 고정관(141)의 내주면과 이동관(142)의 외주면은 매끄럽게 형성하여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관(141)의 내주면과 이동관(142)의 외주면 사이로 경화충전재(5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관(141)과 이동관(142) 사이에는 패킹부재(143)가 더 개재될 수 있다. 패킹부재(143)는 단면이 원형인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관(141)에 대해 이동관(142)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이동관(142)과 함께 고정관(141)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60)를 통해 충전관(140)에 경화충전재(50)를 주입하면 충전관(140)에 경화충전재(50)가 차오르면서 이동관(142)이 고정관(14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충전관(14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동관(142) 상부에 결합된 상부베이스(2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후에는 경화충전재(50)의 공급을 중단하고 그 상태로 경화충전재(50)를 경화시킨다. 경화충전재(50)가 과잉공급되어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 높이조절부(60)를 통해 충전관(140)에 주입된 경화충전재(50)를 회수하여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낮추며, 상부베이스(20)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회수를 중단하고 그 상태로 경화충전재(50)를 경화시켜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부(70)의 가이드로드(71)에 제1스프링부재(8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스프링부재(81)는 가이드로드(71)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1스프링부재(81)는 상부베이스(20)를 하부베이스(10) 측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하도록 인장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부(70)의 가이드로드(71)와 충전관(40) 내부에 각각 제1스프링부재(81)와 제2스프링부재(8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스프링부재(81)는 앞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드(71)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베이스(20)와 하부베이스(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2스프링부재(82)는 충전관(40) 내측 중앙에 상하로 설치되고, 상단이 상부베이스(20)에 고정되고 하단이 하부베이스(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2스프링부재(82)는 제1스프링부재(81)와 같이 상부베이스(20)를 하부베이스(10) 측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하도록 인장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의 제1스프링부재(81) 및 제2스프링부재(82)는 각각 상부베이스(20)를 하부베이스(10) 측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관(40)에 충전되는 경화충전재(50)의 충전량을 조절하여 하부베이스(10)에 대한 상부베이스(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전관에 경화충전재가 과잉공급되는 경우, 자동으로 충전관으로부터 경화충전재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지지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지지장치
2 : 바닥패널
3 : 고정브라켓
4 : 지지프레임
10 : 하부베이스
20 : 상부베이스
30 : 설치대
40 : 충전관
50 : 경화충전재
60 : 높이조절부
70 : 수평유지부
81 : 제1스프링부재
82 : 제2스프링부재

Claims (5)

  1. 평판형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 구비되는 설치대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베이스 상부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 의해 밀폐되는 충전공간부가 마련되고,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충전관과;
    상기 충전관의 충전공간부에 충전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는 경화충전재와;
    상기 충전관 내부로 경화충전재를 주입하거나, 상기 충전관 내부에 주입된 경화충전재를 상기 충전관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은 내측에 제1충전공간부가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 상기 고정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충전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충전공간부가 형성된 이동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관의 외주면 사이로 상기 경화충전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관과 상기 이동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를 통해 상기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때,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해 상기 상부베이스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20200061094A 2020-05-21 2020-05-21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237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94A KR102373425B1 (ko) 2020-05-21 2020-05-21 바닥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94A KR102373425B1 (ko) 2020-05-21 2020-05-21 바닥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60A true KR20210144160A (ko) 2021-11-30
KR102373425B1 KR102373425B1 (ko) 2022-03-11

Family

ID=7872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094A KR102373425B1 (ko) 2020-05-21 2020-05-21 바닥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71B1 (ko) * 2023-12-21 2024-03-15 (주)하이탑 관절 충격흡수형 마감 데크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76U (ko) 1992-07-31 1994-02-21 이장호 수분 흡수제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0354375Y1 (ko) 2004-04-02 2004-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KR100632648B1 (ko) * 2006-03-23 2006-10-1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기주입부가 형성된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버팀목 받침대
JP2011132782A (ja) * 2009-12-25 2011-07-07 Nihon Kogyo Co Ltd 浮き床用支持脚および浮き床パネル敷設方法
KR101679040B1 (ko) * 2016-06-21 2016-11-23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KR101879377B1 (ko) * 2018-01-15 2018-08-17 (주)하이탑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JP2019082086A (ja) * 2017-10-31 2019-05-30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ルームユニット支持脚、硬化性材料充填ルームユニット支持脚、ルームユニットの設置高さ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76U (ko) 1992-07-31 1994-02-21 이장호 수분 흡수제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0354375Y1 (ko) 2004-04-02 2004-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재용 지지대
KR100632648B1 (ko) * 2006-03-23 2006-10-1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기주입부가 형성된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버팀목 받침대
JP2011132782A (ja) * 2009-12-25 2011-07-07 Nihon Kogyo Co Ltd 浮き床用支持脚および浮き床パネル敷設方法
KR101679040B1 (ko) * 2016-06-21 2016-11-23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JP2019082086A (ja) * 2017-10-31 2019-05-30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ルームユニット支持脚、硬化性材料充填ルームユニット支持脚、ルームユニットの設置高さ調整方法
KR101879377B1 (ko) * 2018-01-15 2018-08-17 (주)하이탑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71B1 (ko) * 2023-12-21 2024-03-15 (주)하이탑 관절 충격흡수형 마감 데크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425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25B1 (ko) 바닥패널 지지장치
US20180245266A1 (en) Hydraulic leveling base and washing machine
KR1013789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WO2018171069A1 (zh)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20717892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管道支架
CN111041904A (zh) 一种减震地铁轨道装置
CN211899432U (zh) 一种安装底座、调平支撑脚和调平装置
US10808349B2 (en) Support for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CN208221771U (zh) 一种石油管道固定支架
US10844531B2 (en) Household appliance support and household appliance
CN209760456U (zh) 可调节高度的网架支座
KR20180092034A (ko) 건축물의 방진 시스템
JP5936981B2 (ja) レールベース
KR100914212B1 (ko) 오리피스를 이용한 방진용 에어스프링댐퍼
US20090158676A1 (en) Air-floating-type base isolation device which uses a sliding expanding pipe shielding material
CN111578033A (zh) 一种有控制器的减震支撑架
JP2020190139A (ja) フォーム施工機、及びフォーム施工方法
KR101826190B1 (ko)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된 보강 프레임 및 그 시공 방법
CN109404387A (zh) 灯条安装设备
CN213263490U (zh) 一种汽车玻璃转运架
CN210978953U (zh) 一种给排水管道抗震支吊架
KR100682225B1 (ko)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버팀목 받침대
KR101362930B1 (ko) 음강성 방진 시스템
CN220037676U (zh) 一种可周转泵管水平弯头加固装置
JP2013170583A (ja) 不陸調整機能を有する構造物用滑り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