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75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75B1
KR101378975B1 KR1020120118931A KR20120118931A KR101378975B1 KR 101378975 B1 KR101378975 B1 KR 101378975B1 KR 1020120118931 A KR1020120118931 A KR 1020120118931A KR 20120118931 A KR20120118931 A KR 20120118931A KR 101378975 B1 KR101378975 B1 KR 10137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eight
base portion
lower base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턴
Priority to KR102012011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 기초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물탱크 기초의 모래를 추출시키면서 하부기초부에 결합된 상부기초부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가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Water tank based on height-adjustable}
본 발명은, 물탱크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 기초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물탱크 기초의 모래를 추출시키면서 하부기초부에 결합된 상부기초부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가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물탱크는, 다수의 단위패널을 상,하, 좌,우로 체결하여 함체상으로 형성한 후, 내부를 보강부재로 보강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 등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로서, 상기 단위패널은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패널, 금속 패널, 합성수지 패널로 구비되며, 이는 내부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하면서 내부식성 및 패널의 체결력이 우수하여야 한다.
상기 물탱크에 있어 스테인레스 패널, 금속 패널 및 합성수지 패널 등 패널형 물탱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현행 수도법상 건축물의 벽체 및 바닥으로부터 기초콘크리트를 60cm 이상 형성하여 보수점검이 가능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물탱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조립식 물탱크의 바닥부 설계도면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먹줄로 선을 긋고,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는, 다수의 고정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바(bar) 형태로 성형되므로 시공이 어려우면서도 이동이 불편하여 보수점검이 어려우며,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생으로 형성된 기초콘크리트의 평활도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기초콘크리트에 물탱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금속절편을 설치하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금속절편이 부식되면서 물탱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44151호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패드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상부받침부재와 하부받침부재에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고정프레임과 바닥면 사이에 장착한 후,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부받침부재가 승,하강하면서 고정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하부받침부재 및 연결부재에 나사산을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고정구멍을 후가공으로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공수의 증가 및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시공비가 증자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받침부재 및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산의 부식으로 연결부재의 회전이 어려워 고정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물탱크 설치 바닥면의 불균형한 평활도를 수용하지 못함에 따라 하부받침부재가 바닥면에 기울어지게 설치되므로 고정프레임이 정확한 수평면을 유지하지 못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제품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 기초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물탱크 기초의 모래를 추출시키면서 하부기초부에 결합된 상부기초부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 기초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물탱크 저면에 설치되는 찬넬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T'자형의 연결부재가 회전하면서 용이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는,
물탱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하부기초부와;
상기 하부기초부에 충전된 모래를 선택적으로 추출시키면서 상부기초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하부기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면서 바닥면의 불균형한 평활도에 따라 하부기초부와의 간격 사이에서 수직으로 기울어져 물탱크가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상부기초부와;
상기 모래와 상부기초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기초부에 내장되어 모래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물탱크로부터 상부기초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상부기초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면에 물탱크가 안착되도록 하는 'T'자형의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기초부의 상단부 측면에 'T'자형의 연결부재 저면이 안착되도록 고정되어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가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 기초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물탱크 기초의 모래를 추출시키면서 하부기초부에 결합된 상부기초부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수직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물탱크로부터 상부기초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격흡수패드에서 흡수하여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 기초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물탱크 저면에 설치되는 찬넬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재료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T'자형의 연결부재가 회전하면서 용이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높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물탱트 기초가 바닥면에 따라 경사진 상태에서 고정브라켓에 연결부재가 안착된 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 물탱크 기초부가 바닥면에 따라 연결부재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물탱크 기초에 의해 형성된 물탱크 기초부에 물탱크를 안착시킨 상태의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100)는, 물탱크(1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하부기초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기초부(110)에 충전된 모래(124)를 선택적으로 추출시키면서 상부기초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기초부(110)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높이조절부(12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면서 바닥면의 불균형한 평활도에 따라 하부기초부(110)와의 간격 사이에서 수직으로 기울어져 물탱크(10)가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상부기초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모래(124)와 상부기초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기초부(110)에 내장되어 모래(124)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물탱크(10)로부터 상부기초부(13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14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기초부(13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면에 물탱크(10)가 안착되도록 하는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기초부(130)의 상단부 측면에 'T'자형의 연결부재(150) 저면이 안착되도록 고정되어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기초부(110)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높이조절부(120)의 슬라이드판(122)을 이동시키는 이동안내공(111a)이 관통된 하부기초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기초몸체(111)에 고정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기초판(11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하부기초부(110)에 고정되어 슬라이드판(12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부재(121)를 따라 이동되면서 모래(124)를 추출하는 슬라이드판(122)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122)에 안착되면서 하부기초부(110)에 고정되어 하부기초부(110)에 충전된 모래(124)를 지지하는 고정판(1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23)에 안착되도록 하부기초부(110)에 충전되는 모래(124)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기초부(110)의 이동안내공을 통해 슬라이드판(122)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2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판(122)은, 상기 이동안내부재(121)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판체(122a)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체(122a) 단부에 하부기초부(110)의 이동안내공(111a)과 동일 선상으로 체결안내공(122c)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안내편(122b)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체(122a)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2d)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23)은, 상기 슬라이드판(122)에 안착되는 고정판체(123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체(123a) 단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하부기초부(110) 내면에 밀착되는 절곡편(123b)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체(123a)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3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23)의 통공(123c)은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보다 크거나 작게 및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모래(124)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는, 수평부재(151)와 수직부재(152)가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면서 수직부재(152) 단부에 고정브라켓(160)의 결합공(162)과 동일 선상으로 결합공(153)이 관통된다.
상기 결합공(153)은 상기 수직부재(15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60)은, 상기 상부기초부(130)에 측면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평부재(151) 저면이 안착되는 브라켓몸체(161)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몸체(161) 내부에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직부재(152)에 관통된 결합공(153)과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는 결합공(16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62)과 수직부재(152)의 결합공(153)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볼트/너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몸체(161)의 상면은 수평면 및 만곡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기초부(130)와 하부기초부(110) 사이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부기초부(110)에 내장되는 실링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안내공(111a)이 관통된 하부기초부(110)의 하부기초몸체(111) 내부 즉, 내측 하단부에 높이조절부(120)의 이동안내부재(121)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으로 고정시키는데, 상기 이동안내부재(121)는, 이동안내부재(121)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공(122c)이 이동안내공(111a)과 동일 선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21)가 하부기초몸체(111) 내부에 고정되면, 상기 이동안내부재(121) 상면에 슬라이드판(122)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편(122b)이 이동안내부재(121) 사이로 결합되면서 슬라이드판체(122a)가 이동안내부재(121)에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판(122)은 하부기초몸체(111) 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기초몸체(111) 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체결안내편(122b)에 관통된 체결안내공(122c)은 하부기초부(110)의 이동안내공(111a)과 동일 선상을 유지하고, 상기 체결안내편(122b)이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드판체(122a) 타측은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되면서 체결안내편(122b)과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데, 상기 체결안내편(122b)과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은 슬라이드판(122)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판(123)의 고정판체(123a)를 하부기초몸체(111) 내부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판체(123a)의 단부에 절곡된 절곡편(123b)이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판(123)이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판(123)의 고정판체(123a)가 슬라이드판(122)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절곡편(123b)과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을 용접하는데, 상기 절곡편(123b)은 고정판체(123a) 단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절곡편(123b)의 상면과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을 용이하게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판(122)에 고정판(123)이 안착되면, 상기 슬라이드판(122)의 타측이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판체(123a)에 관통된 다수의 통공(123d)과 슬라이드판체(122a)에 관통된 다수의 통공(122d)은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동안내부재(121)와 고정판(123)이 고정된 하부기초몸체(111)에 기초판(112)을 밀착시켜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하부기초몸체(111) 내부에 일정량의 모래(124)를 충전하면, 상기 모래(124)는 고정판(123)에 안착됨과 동시에 충전되어 일정두께를 유지하며, 상기 모래(124) 상면에 소정 두께의 충격흡수패드(140)를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패드(140)의 단부는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되어 충격흡수패드(140)와 하부기초몸체(111) 사이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모래(1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높이조절부(120)가 하부기초부(110)에 설치되면, 상부기초몸체(131)에 하,상부마감판(132)(132a)이 마감된 상부기초부(130)의 하단부를 하부기초부(110)에 결합하여 충격흡수부재(140)에 안착하는데, 상기 상부기초부(130)의 상부기초몸체(131) 상단부에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안착되는 고정브라켓(160)을 고정시키면서 물탱크 기초(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마감판(132a)은, 상기 상부기초몸체(131)와 동일하거나 큰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마감판(132a)의 형상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150) 단부의 형상을 상부마감판(132a)에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된 물탱크 기초(100)를 물탱크(1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시킨 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바닥면에 안착된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를 'T'자형의 연결부재(150)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는 상기 상부마감판(132a)의 형상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150)는 서로 직교되는 수평부재(151)와 수직부재(152)가 동일한 길이 및 수평부재(151)보다 수직부재(152)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부기초부(130)에 접촉되면서 고정브라켓(16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52)의 양단부에 결합공(153)이 관통되는데, 상기 결합공(153)은, 고정브라켓(160)의 결합공(162)과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야 하며, 상기 결합공(153)(162)은 볼트/너트의 고정부재(163)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의 과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물탱크 기초(100)를 'T'자형의 연결부재(150)로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물탱크(10)를 지지할 수 있는 물탱크 기초부(100')를 설치한 후, 상기 물탱크 기초부(100')의 수평도를 레이져 수평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어느 하나의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초부(130)의 높이를 높이조절부(12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볼트와 같은 이동부재(125)가 이동안내공(111a)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공(122c)에 체결한 후, 이동부재(125)의 당김작용으로 이동부재(125) 및 이동부재(125)가 체결안내공(122c)에 체결된 슬라이드판(122)이 이동안내부재(121)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편(122b)이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편(122b)이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과 고정판(123)의 통공(123c)이 연통됨과 동시에 연통된 고정판(123)의 통공(123c)과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을 통해 하부기초몸체(111)에 충전된 모래(124)가 추출되면서 상부기초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3)의 통공(123c)은,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보가 같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으나, 보통은 크게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슬라이드판(122)의 이동 유격에 따라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이 고정판(123)의 통공(123c)에 내부에 위치하여 모래(124)가 원활하면서도 균일하게 추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모래(124)가 추출되면서 상부기초부(130)의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이동부재(125)를 가압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데, 상기 이동부재(125)의 가압에 따라 이동부재(125) 및 이동부재(125)가 체결안내공(122c)에 체결된 슬라이드판(122)이 이동안내부재(121)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하부기초몸체(111) 내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고정판(123)의 통공(123c)과 슬라이드판(122)의 통공(122d)이 연통되지 않음으로 모래(124)의 추출이 중단되고, 추출이 중단된 모래(124)는 높이가 조절된 상부기초부(130)를 지지함은 물론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25)를 슬라이드판(122)의 체결안내공(122c)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 기초부(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물탱크 기초(100) 중, 어느 하나의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와 'T'자형의 연결부재(150)를 연결한 고정브라켓(160)의 고정부재(163)가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브라켓몸체(161) 상면에 안착된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평부재(151) 저면이 고정부재(16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직부재(152)에 관통된 결합공(153)은 장공으로 관통되어 고정브라켓(16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고정부재(163)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브라켓몸체(161)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만곡면으로 형성하여 만곡면의 높이만큼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회전되면서 점접촉되어 불균일한 바닥면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수평을 유지하면, 'T'자형의 연결부재(150)와 고정브라켓(160)을 고정부재(163)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물탱크 기초(100)의 모래(124)를 추출시키지 않으면서 물탱크 기초부(100') 전체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 기초부(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물탱크 기초(100) 중, 어느 하나의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물탱크 기초(100)의 모래(124)를 상기의 과정으로 추출시켜 상부기초부(1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상부기초부(130)는 모래(124)의 추출로 인해 하부기초부(110) 내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부기초부(130)와 'T'자형의 연결부재(150)를 연결한 고정브라켓(160)의 고정부재(163)가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브라켓몸체(161) 상면에 안착된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평부재(151) 저면이 고정부재(16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직부재(152)에 관통된 결합공(153)은 장공으로 관통되어 고정브라켓(16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고정부재(163)를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브라켓몸체(161)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만곡면으로 형성하여 만곡면의 높이만큼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회전되면서 점접촉되어 불균일한 바닥면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15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가 수평을 유지하면, 모래(124)의 추출을 중단시킨 후,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150)와 고정브라켓(160)을 고정부재(163)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물탱크 기초부(100') 전체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물탱크 기초부(100')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 기초부(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물탱크 기초(100)의 상부기초부(130)에 물탱크(10) 바닥부(11)의 단위판넬 후렌지가 밀착되도록 안착시켜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바닥부(11) 둘레를 'ㄷ'자형의 플레임(20)으로 감싼 후, 측면부(12)의 단위판넬 후렌지가 밀착되도록 안착시켜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서 함체상의 물탱크(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0)의 하중을 물탱크 기초부(100')의 물탱크 기초(100)에서 균등하게 분산시키므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바닥면의 균열 및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탱크(10)로부터 상부기초부(130)로 전달되는 충격은 충격흡수패드(140)에서 흡수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래(124)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 기초부(100')에 물탱크(10)가 설치되면, 상기 상부기초부(130)와 하부기초부(110) 사이의 하부기초부(110) 내부에 실링재(170)를 내장하여 마감함으로 상부기초부(130)와 하부기초부(11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실링재(170)는 오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에폭시수지를 충전시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물탱크 기초 110: 하부기초부
120: 높이조절부 130: 상부기초부
140: 충격흡수패드 150: 'T'자형의 연결부재
160: 고정브라켓 170: 실링재

Claims (12)

  1. 물탱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되는 하부기초부와;
    상기 하부기초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모래를 추출하는 슬라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에 안착되면서 하부기초부에 고정되어 하부기초부에 충전된 모래를 지지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안착되도록 하부기초부에 충전되는 모래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기초부의 이동안내공을 통해 슬라이드판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높이조절부와;
    상기 하부기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면서 바닥면의 불균형한 평활도에 따라 하부기초부와의 간격 사이에서 수직으로 기울어져 물탱크가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상부기초부와;
    상기 모래와 상부기초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기초부에 내장되어 모래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물탱크로부터 상부기초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상부기초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면에 물탱크가 안착되도록 하는 'T'자형의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기초부의 상단부 측면에 'T'자형의 연결부재 저면이 안착되도록 고정되어 바닥면의 평활도에 따라 'T'자형의 연결부재가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초부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높이조절부의 슬라이드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안내공이 관통된 하부기초몸체와;
    상기 하부기초몸체에 고정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기초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이동안내부재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판체와;
    상기 슬라이드판체 단부에 하부기초부의 이동안내공과 동일 선상으로 체결안내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안내편과;
    상기 슬라이드판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안착되는 고정판체와;
    상기 고정판체 단부에 상부로 절곡되어 하부기초부 내면에 밀착되는 절곡편과;
    상기 고정판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통공은 슬라이드판의 통공보다 크거나 작게 및 동일하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자형의 연결부재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면서 수직부재 단부에 고정브라켓의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결합공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상부기초부에 측면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T'자형의 연결부재의 수평부재 저면이 안착되는 브라켓몸체와;
    상기 브라켓몸체 내부에 'T'자형의 연결부재의 수직부재에 관통된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수직부재의 결합공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몸체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몸체의 상면은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초부와 하부기초부 사이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부기초부에 내장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1020120118931A 2012-10-25 2012-10-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10137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31A KR101378975B1 (ko) 2012-10-25 2012-10-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31A KR101378975B1 (ko) 2012-10-25 2012-10-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75B1 true KR101378975B1 (ko) 2014-03-27

Family

ID=5064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31A KR101378975B1 (ko) 2012-10-25 2012-10-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7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11B1 (ko) * 2014-12-12 2015-03-09 사운드인슈주식회사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KR101696424B1 (ko) * 2016-07-29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내진성능을 강화한 물탱크 기초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의 시공방법
KR101902978B1 (ko) 2018-05-28 2018-11-22 주식회사 성지기공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용 내진 기초
KR101955534B1 (ko) 2018-05-28 2019-03-08 주식회사 성지기공 내진성능이 강화된 무용접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6932B1 (ko) * 2019-04-09 2019-08-02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KR102048842B1 (ko) * 2019-06-25 2019-11-26 주식회사 성지기공 모래 충진방식의 물탱크 기초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2119224B1 (ko) * 2019-03-06 2020-06-04 정연희 물탱크용 건식패드
KR20200111880A (ko) * 2019-03-19 2020-10-05 (주) 와이 디 티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KR20200122125A (ko) 2019-04-17 2020-10-27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KR102343378B1 (ko) * 2021-09-10 2021-12-24 (주)엔아이씨이 물탱크 지지구조물 및 조립식 물탱크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443A (ja) * 2006-08-04 2008-02-21 Shoei Bijutsu:Kk 床支持体および床支持体の設置方法
KR20090007606U (ko) * 2008-01-23 2009-07-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를 위한 지지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443A (ja) * 2006-08-04 2008-02-21 Shoei Bijutsu:Kk 床支持体および床支持体の設置方法
KR20090007606U (ko) * 2008-01-23 2009-07-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를 위한 지지대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11B1 (ko) * 2014-12-12 2015-03-09 사운드인슈주식회사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KR101696424B1 (ko) * 2016-07-29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내진성능을 강화한 물탱크 기초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의 시공방법
KR101902978B1 (ko) 2018-05-28 2018-11-22 주식회사 성지기공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용 내진 기초
KR101955534B1 (ko) 2018-05-28 2019-03-08 주식회사 성지기공 내진성능이 강화된 무용접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9224B1 (ko) * 2019-03-06 2020-06-04 정연희 물탱크용 건식패드
KR20200111880A (ko) * 2019-03-19 2020-10-05 (주) 와이 디 티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KR102216138B1 (ko) * 2019-03-19 2021-02-17 (주) 와이 디 티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KR102006932B1 (ko) * 2019-04-09 2019-08-02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KR20200122125A (ko) 2019-04-17 2020-10-27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KR102048842B1 (ko) * 2019-06-25 2019-11-26 주식회사 성지기공 모래 충진방식의 물탱크 기초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2343378B1 (ko) * 2021-09-10 2021-12-24 (주)엔아이씨이 물탱크 지지구조물 및 조립식 물탱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9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10120350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CN103498555B (zh) 可调式大面积地坪槽钢模板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295667B (zh) 一种装配式建筑用房施工方法
CN205776306U (zh) 一种钢柱柱脚螺栓定位装置以及钢柱柱脚结构
JP2012072648A (ja) 据え付け基礎施工方法
KR101696424B1 (ko) 내진성능을 강화한 물탱크 기초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의 시공방법
CN102425186B (zh) 地脚螺栓套架及其制备方法
CN208152052U (zh) 一种可控变形的钢板桩基坑支护结构
KR100996724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용 철근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CN205894490U (zh) 钢管混凝土柱与桩基连接结构
CN112482658B (zh) 一种装配式节能建筑搭接结构
JP4454607B2 (ja) 立ち上がり基礎
CN202266034U (zh) 埋入式菱形钢骨混凝土柱脚锚栓固定装置
CN203531378U (zh) 一种控制混凝土平整度的模板装置
CN203924352U (zh) 一种型钢混凝土钢柱柱脚
CN110886332A (zh) 墙体基础托换装置及其施工方法
CN201381516Y (zh) 大直径地脚螺栓安装用预埋支架
CN201671382U (zh) 玻璃钢模板组合式水箱
JP2020094443A (ja) 建物の基礎の構築方法
KR20120025945A (ko) 콘크리트 파일과 건축물 기초의 보강조립체
CN208152076U (zh) 一种圆形钢柱地脚螺栓定位装置
JP5349285B2 (ja) 浮き床用支持脚および浮き床パネル敷設方法
KR101513257B1 (ko) 저장조 기초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시공 방법
KR20140009808A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