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040B1 -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040B1
KR101679040B1 KR1020160077501A KR20160077501A KR101679040B1 KR 101679040 B1 KR101679040 B1 KR 101679040B1 KR 1020160077501 A KR1020160077501 A KR 1020160077501A KR 20160077501 A KR20160077501 A KR 20160077501A KR 101679040 B1 KR101679040 B1 KR 10167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buffer chamber
panel
discharge hole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엽
Original Assignee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7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04B1/9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은 복수 개의 단위패널과 상기 단위패널을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서포터를 포함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무늬가 형성된 마감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안착부, 상기 패널안착부에서 밀폐된 공간에 의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완충챔버, 상기 완충챔버의 저면 바닥을 이루며, 상기 완충챔버로 유입된 소음을 진동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태로 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완충챔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이 소음에 따라 유연하게 진동하도록 물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의 둘레와 상기 완충챔버의 개방된 바닥을 탄성적으로 밀폐하는 판지지씰, 상기 배출공을 밀폐하고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완충챔버의 공명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배출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진동운동 및 밀폐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A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OF BETWEEN FLOORS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물은 한 층에 다수의 세대로 구획하고, 여러 층으로 쌓아 한 건축물에 여러 세대가 함께 생활하도록 시공된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평면상으로는 각 세대가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세대끼리 인접한 벽을 제외하고 옆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위치에 따라 인접한 세대의 내부까지 쉽게 전달되지 않지만, 상하층에 위치한 세대끼리는 하나의 슬라브를 사이에 두고 전체적인 면적을 공유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상관 없이 하부에 위치되는 세대로 쉽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9754호(2014.8.12.공고)의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은 공동주택의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저면에 복수 개의 안착홈부가 구비되
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슬래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패널의 하강운동을 설정치 이하로 구속하는 완충부; 상기 지지패널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지지패널에 대향되는 저면에 복수 개의 완충홈부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 개의 완충돌기가 연속되게 형성되는 완충매트; 상기 완충매트 상면에 적층되고 EVA수지패드, 스티로폼패드 및 스펀지패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차음시트; 상기 차음시트 상면에 타설되고 복수 개의 온수배관이 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함침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 및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면을 이루는 표면마감층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안착플레이트가 구비되며 가압곡면이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가압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곡면홈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곡면홈부가 연속되게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가압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곡면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블록을 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지지블록을 이루는 다수 개의 블록이 설정치 이상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블록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는 탄성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은 완충부의 작동에 의해 1차적인 충격을 상쇄시키고, 완충매트에 의해 2차 상쇄시키며, 차음시트에 의해 차음을 수행함으로써, 층간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은 일부의 구성을 교체할 경우에는 바닥 전체를 뜯어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에 따른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및 지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공성 재료 및 탄성 재료에 의해서만 소음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소음을 차단하기에는 다소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을 밀폐된 공간 및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형태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가 용이하고,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및 지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건물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은 복수 개의 단위패널과 상기 단위패널을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서포터를 포함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무늬가 형성된 마감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안착부, 상기 패널안착부에서 밀폐된 공간에 의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완충챔버, 상기 완충챔버의 저면 바닥을 이루며, 상기 완충챔버로 유입된 소음을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형태로 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완충챔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이 소음에 따라 유연하게 진동하도록 물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의 둘레와 상기 완충챔버의 개방된 바닥을 탄성적으로 밀폐하는 판지지씰, 상기 배출공을 밀폐하고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완충챔버의 공명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배출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감소부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감싸며 둘레에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소음하우징, 상기 소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이 지나면서 소멸시키는 흡음재, 상기 소음하우징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중앙으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이 지나도록 관통된 링 형태의 지지자석, 및 상기 흡음재를 진동시켜 소음이 소멸하도록 상기 흡음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양시키는 부양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서포터는 상기 단위패널이 안착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어 수용된 유체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부의 상부 및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완충챔버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는 진동판이 충격에 따른 소음을 진동에 의해 소멸시킴으로써, 층간 소음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더 큰 충격이 발생한 경우, 진동판에 설치된 배출공을 통해 소음이 유출되고, 유출되는 소음은 소음감소부에 의해 소멸됨으로써, 층간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위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서포터가 유체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된 탄성력조절밸브가 지지서포터에 유체의 지나는 량을 조절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지서포터에서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및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이 단위패널에 자석에 의해 결합되며, 단위패널을 지지서포터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설치하여 단위패널 및 마감패널의 파손 시 교환 및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패널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을 구성하는 지지서포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100)은 단위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위패널(120)은 바닥에서 이격되어 바닥을 마감하는 형태로 실질적인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단위패널(120)은 사각의 형태로 복수 개의 둘레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패널(120)은 패널안착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패널안착부(127)는 단위패널(120)을 마감하는 마감패널(110)이 안착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의 상면에는 무늬(예컨대, 나무, 석재, 금속 등)가 형성되어 바닥이 재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패널(110)은 단위패널(12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위패널(120)의 상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0)의 둘레에는 고정자석(11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안착부(127)에도 마감패널(110)의 고정자석(113)과 대응되는 고정자석(123)이 설치되어 패널안착부(127)에 마감패널(110)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패널안착부(127)에서 마감패널(110)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패널안착부(127)에는 마감패널(110)의 고정자석(113)이 삽입되어 패널안착부(127)에서 마감패널(1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삽입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석삽입부(121)에는 마감패널(110)의 고정자석(113)과 서로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자석(123)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110)의 고정자석(113)은 하부로 돌출되어 자석삽입부(12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돌출부(111)는 탄성부재에 의해 감싸져 마감패널(110)의 발생되는 충격이 단위패널(12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단위패널(12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기에 설명될 진동판(140)에 의해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여 내부가 빈 완충챔버(1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완충챔버(130)에서는 발생하는 충격을 소멸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패널(120)은 진동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동판(140)은 단위패널(12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며 단위패널(120)의 개방된 하부에서 진동함에 따라 소음을 소멸시킬 수 있다.
즉, 진동판(140)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충격에 의해 밀폐공기가 유동하고 유동하는 밀폐공기는 진동판(140)을 진동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소멸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판(140)은 진동판(140)의 둘레와 단위패널(120)의 개방된 하부 둘레를 밀폐하는 판지지씰(145)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판지지씰(145)은 측단면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충격의 발생 시 진동판(140)이 유연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판(140)을 단위패널(1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판지지씰(145)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진동판(140)이 유연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판(140)에는 복수 개의 관통된 배출공(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배출공(141)은 단위패널(120)에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챔버(130)에서 발생되는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챔버(1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단위패널(120)에 충격이 발생하면, 통상적으로는 진동판(140)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소멸되지만, 진동판(140)의 진동에 의해 흡수할 수 없는 큰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출공(141)을 통해 완충챔버(13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동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패널(120)은 배출밸브(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출밸브(147)는 진동판(140)에 형성된 배출공(141)의 하부에 위치되어 충격에 따라 배출공(141)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배출밸브(147)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판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진동판(140)에 결합되어 통상적인 압력에서는 배출공(141)을 밀폐하여 완충챔버(130)의 내부에서 소음을 소멸시키지만, 미리 설정된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배출공(141)을 개방하여 외부로 완충챔버(130)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공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배출밸브(147)가 작동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압력은 고무판의 두께와 고무판의 재질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패널(120)은 소음감소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소음감소부(150)는 배출공(14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소음감소부(150)는 소음하우징(151)과, 흡음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하우징(151)은 배출밸브(147)가 설치된 배출공(141)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출밸브(147)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소음하우징(151)의 내부에는 배출밸브(147)를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는 흡음재(15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음하우징(151)의 하부 둘레에는 흡음재(153)를 지난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된 연통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153)는 소음이 여러 구멍들을 지나면서 소멸될 수 있도록 다공성 재료 또는 흡음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음감소부(150)는 지지자석(154) 및 부양자석(15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자석(154)은 소음하우징(15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자석(154)은 소음하우징(151)의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지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양자석(155)은 한 쌍의 지지자석(154)의 사이에 위치되며, 부양자석(155)에는 흡음재(153)가 설치되어 지지자석(154)의 사이에서 자력의 반발력에 의해 부양될 수 있다.
그리고, 부양자석(155)도 중앙에 소음이 지나도록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된 중앙에 흡음재(153)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음감소부(150)는 배출밸브(147)를 통해 완충챔버(130)에서 배출되는 소음이 흡음재(153)를 지나면서 소음이 소멸되는 동시에 큰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흡음재(153)가 자기의 반발력에 의해 부양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진동하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패널(120)은 측면차단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면차단부재(125)는 단위패널(120)의 측면을 감싸 서로 인접한 단위패널(120)끼리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차단부재(125)는 상호 간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료(예컨대,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100)은 지지서포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서포터(170)는 단위패널(120)의 충격이 바닥으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도록 단위패널(120)을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서포터(170)는 하나의 단위패널(120)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서포터(170)는 하나의 지지서포터(170)의 인접한 네 개의 단위패널(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서포터(170)는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피스톤부(171)와 실린더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부(171)는 상부에 단위패널(120)이 안착되도록 안착판부(1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판부(172)의 상면에는 단위패널(120)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179)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171)의 하부 끝단은 실린더부(17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부(175)는 피스톤부(171)의 하부 끝단이 삽입되어 실린더부(175)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슬린더부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전되어 피스톤부(171)의 가압 시 유체가 가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171)의 안착판부(172)와 실린더부(175)의 상부에는 실린더부(175)에서 피스톤부(17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7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75)에는 실린더부(175)의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부(171)를 중심으로 피스톤부(171)의 가압과 탄성스프링(173)의 탄성력에 따라 실린더부(175)에 충전된 유체가 피스톤부(171)의 상부 또는 하부로 전달하는 바이패스라인(177)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라인(177)에는 바이패스라인(177)을 지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밸브(17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75)의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져 가압력을 바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17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산부(176)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재료(예컨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서포터(170)는 단위패널(120)의 충격에 의해 피스톤부(171)가 가압되면, 피스톤부(171)는 실린더부(175)에서 탄성스프링(17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1차적으로 탄성스프링(173)에서 충격을 흡수한다.
그리고, 충격에 의해 피스톤부(171)가 실린더부(175)에서 하향 이동하면, 피스톤부(171)의 하부에 유체가 가압되어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피스톤부(171)에 의해 가압되는 유체는 바이패스라인(177)을 통해 피스톤부(171)의 상부로 이동하는 데, 이때, 바이패스라인(177)에는 탄성력조절밸브(178)에 의해 지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여 단위패널(12-_에서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및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패스라인(177)을 지나는 유체의 량이 작아지도록 탄성력조절밸브(178)를 조절하면, 피스톤부(171)에 의해 이동되는 유량이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으로 단위패널(120)을 지지하는 반면, 바이패스라인(177)을 지나는 유체의 량이 커지도록 탄성력조절밸브(178)를 조절하면, 피스톤부(171)에 의해 이동되는 유량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른 지지력으로 단위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100)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챔버(130)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는 진동판(140)이 충격에 따른 소음을 진동에 의해 소멸시킴으로써, 층간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더 큰 충격이 발생한 경우, 진동판에 설치된 배출공(141)을 통해 소음이 유출되고, 유출되는 소음은 소음감소부(150)에 의해 소멸됨으로써, 층간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위패널(120)을 지지하는 지지서포터(170)가 유체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바이패스라인(177)에 설치된 탄성력조절밸브(178)가 지지서포터(170)에 유체의 지나는 량을 조절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지서포터(170)에 의해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량 및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위패널(120)이 지지서포터(170)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마감패널(110)이 단위패널(120)에 고정자석(113,123)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위패널(120) 또는 마감패널(110)의 파손 시 교체 및 시공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110: 마감패널
111: 삽입돌출부 113, 123: 고정자석
120: 단위패널 121: 자석삽입부
125: 측면차단부재 127: 패널안착부
130: 완충챔버 140: 진동판
141: 배출공 145: 판지지씰
147: 배출밸브 150: 소음감소부
151: 소음하우징 152: 연통공
153: 흡음재 154: 지지자석
155: 부양자석 170: 지지서포터
171: 피스톤부 172: 안착판부
173: 탄성스프링 175: 실린더부
176: 분산부 177: 바이패스라인
178: 탄성력조절밸브 179: 충격흡수패드

Claims (3)

  1. 복수 개의 단위패널과 상기 단위패널을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서포터를 포함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무늬가 형성된 마감패널이 안착되는 패널안착부,
    상기 패널안착부에서 밀폐된 공간에 의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완충챔버,
    상기 완충챔버의 저면 바닥을 이루며, 상기 완충챔버로 유입된 소음을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형태로 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완충챔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이 소음에 따라 유연하게 진동하도록 물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의 둘레와 상기 완충챔버의 개방된 바닥을 탄성적으로 밀폐하는 판지지씰,
    상기 배출공을 밀폐하고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완충챔버의 공명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배출밸브, 및
    상기 배출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소부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감싸며 둘레에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소음하우징,
    상기 소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이 지나면서 소멸시키는 흡음재,
    상기 소음하우징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중앙으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소음이 지나도록 관통된 링 형태의 지지자석, 및
    상기 흡음재를 진동시켜 소음이 소멸하도록 상기 흡음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양시키는 부양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서포터는
    상기 단위패널이 안착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어 수용된 유체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부의 상부 및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KR1020160077501A 2016-06-21 2016-06-21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KR10167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01A KR101679040B1 (ko) 2016-06-21 2016-06-21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01A KR101679040B1 (ko) 2016-06-21 2016-06-21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040B1 true KR101679040B1 (ko) 2016-11-23

Family

ID=5754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01A KR101679040B1 (ko) 2016-06-21 2016-06-21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04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74B1 (ko) * 2017-12-27 2018-10-26 이동건 자성체를 이용한 마루시공 시스템
KR101956825B1 (ko) * 2018-08-27 2019-03-12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998136B1 (ko) * 2019-03-07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난방 구조물
KR101998149B1 (ko) * 2019-03-04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면진 기능의 바닥체
KR101998143B1 (ko) * 2019-03-05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난방용 바닥
KR102009706B1 (ko) * 2019-03-29 2019-08-12 (주)일토종합건설 건축물의 바닥 난방구조
CN110409745A (zh) * 2019-07-05 2019-11-05 杭州宝力体育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减震抗砸的运动地板
KR102136980B1 (ko) * 2020-03-13 2020-07-23 나홍남 건축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88787B1 (ko) 2020-01-13 2020-12-08 김규진 척력을 이용한 건축 층간 구조
KR20210144160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조은데코 바닥패널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961A (ko) * 2008-09-17 2010-03-25 권유미 층간 소음방지재
KR101439421B1 (ko) * 2014-07-02 2014-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완충구조
KR101467553B1 (ko) * 2013-08-13 2014-12-01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613539B1 (ko) * 2016-02-29 2016-04-1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961A (ko) * 2008-09-17 2010-03-25 권유미 층간 소음방지재
KR101467553B1 (ko) * 2013-08-13 2014-12-01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439421B1 (ko) * 2014-07-02 2014-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완충구조
KR101613539B1 (ko) * 2016-02-29 2016-04-1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74B1 (ko) * 2017-12-27 2018-10-26 이동건 자성체를 이용한 마루시공 시스템
KR101956825B1 (ko) * 2018-08-27 2019-03-12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998149B1 (ko) * 2019-03-04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면진 기능의 바닥체
KR101998143B1 (ko) * 2019-03-05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난방용 바닥
KR101998136B1 (ko) * 2019-03-07 2019-07-0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난방 구조물
KR102009706B1 (ko) * 2019-03-29 2019-08-12 (주)일토종합건설 건축물의 바닥 난방구조
CN110409745A (zh) * 2019-07-05 2019-11-05 杭州宝力体育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减震抗砸的运动地板
KR102188787B1 (ko) 2020-01-13 2020-12-08 김규진 척력을 이용한 건축 층간 구조
KR102136980B1 (ko) * 2020-03-13 2020-07-23 나홍남 건축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44160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조은데코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2373425B1 (ko) 2020-05-21 2022-03-11 주식회사 조은데코 바닥패널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040B1 (ko) 건축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KR101735262B1 (ko) 건축용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613539B1 (ko)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200393477Y1 (ko) 복합성형 방진패드
KR102064550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1449672B1 (ko) 공동주택에서 바닥슬래브의 방음 및 방진구조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2028754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및 공법
KR100899113B1 (ko) 층간소음완충재에 사용되는 지지대
KR101381867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및 균열 방지를 위한 바닥 시공방법
KR101994131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 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953900B1 (ko) 공동주택 층간 방음구조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090065956A (ko) 주진동부층과 부진동부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층간소음 완충재
KR102642136B1 (ko) 천정 조명기구 완충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시공방법
KR101518026B1 (ko) 복층 건물의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는 바닥 시공구조
KR20180007778A (ko) 개량형 층간소음방진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KR20090080602A (ko) 층간 소음 완충재
JP7448402B2 (ja) 防音構造
KR200395305Y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KR200391127Y1 (ko) 아파트의 층간방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