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296A - Tig 용접용 용가재 - Google Patents
Tig 용접용 용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3296A KR20210143296A KR1020217034976A KR20217034976A KR20210143296A KR 20210143296 A KR20210143296 A KR 20210143296A KR 1020217034976 A KR1020217034976 A KR 1020217034976A KR 20217034976 A KR20217034976 A KR 20217034976A KR 20210143296 A KR20210143296 A KR 202101432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filler metal
- metal
- welding
- cryogenic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91 wire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82 B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PZNSFCLAULLKQX-UHFFFAOYSA-N Bor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B PZNSFCLAULLK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963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KUURHRXDUEBC-SXOMAYOGSA-N (3s,5r)-7-[2-(4-fluorophenyl)-3-phenyl-4-(phenylcarbamoyl)-5-propan-2-ylpyrrol-1-yl]-3,5-dihydroxyhep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2C=CC(F)=CC=2)N(CC[C@@H](O)C[C@H](O)CC(O)=O)C(C(C)C)=C1C(=O)NC1=CC=CC=C1 XUKUURHRXDUEBC-SXOMAYOG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0 B4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INAHAJYZKVIDIZ-UHFFFAOYSA-N boron carbide Chemical compound B12B3B4C32B41 INAHAJYZKVID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39 carboniz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22 cold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Mn 강재용의 용접 재료로서 적합한, TIG 용접용 용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용가재는, 질량%로, C: 0.2∼0.8%, Si: 0.15∼0.9%, Mn: 17.0∼28.0%, P: 0.03% 이하, S: 0.03% 이하, Ni: 0.01∼10.0%, Cr: 0.4∼4.0%, Mo: 0.01∼3.5%, B: 0.0010% 미만, N: 0.12%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다. 상기 용가재는, 제조성이 우수하고, 또한 용접 시에, 용접 균열의 발생이 억제되어 내고온 균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강도이고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용착 금속을 얻을 수 있고, 고강도이고 또한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TIG 용접 조인트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용 용가재(filler material)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저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고 Mn강재 용접용 용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액화 천연가스(이하, LNG라고도 함)는, 황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황화 산화물 등의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깨끗한 연료라고 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LNG의 수송 또는 보관을 위해, LNG를 수송 또는 저장하는 용기(탱크)는, LNG의 액화 온도인 -162℃ 이하의 온도에서,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을 유지하는 것의 필요성으로부터, 용기(탱크) 등의 재료용으로서, 종래부터, 알루미늄 합금, 9%Ni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은, 인장 강도가 낮기 때문에, 구조물의 판두께를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고, 또한, 용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9%Ni강은, 용접 재료로서 고가인 Ni기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불리해진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고가이고, 모재 강도도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LNG를 수송 또는 저장하는 용기(탱크)용의 재료로서, 최근에는, 질량%로, Mn을 10∼35% 정도 함유하는 고 Mn 함유강(여기에서, 고 Mn강이라고도 함)의 적용이 검토되어 있다. 고 Mn강은, 극저온에 있어서도, 오스테나이트상이고, 취성 파괴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비교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고 Mn 함유 강재를 안정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용접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요망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 조인트부 및 이를 위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는, 중량%로, C: 0.15∼0.8%, Si: 0.2∼1.2%, Mn: 15∼34%, Cr: 6% 이하, Mo: 1.5∼4%, S: 0.02% 이하, P: 0.02% 이하, B: 0.01% 이하, Ti: 0.09∼0.5%, N: 0.001∼0.3%, TiO2: 4∼15%, SiO2, ZrO2 및 Al2O3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계: 0.01∼9%, K, Na 및 Li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계: 0.5∼1.7%, F와 Ca 중 1종 이상: 0.2∼1.5%, 잔부 Fe 및 그 외의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 와이어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하면, 시험 온도: -196℃에 있어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 흡수 에너지가 28J 이상의 우수한 저온 인성 및 상온(常溫) 인장 강도가 400㎫ 이상의 고강도를 갖는 용접 조인트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고, 또한, 와이어 조성을 Mo: 1.5% 이상으로 조정하고 있어, 우수한 내고온 균열성을 갖는 용접 조인트부를 확보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극저온용 강용 용접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극저온용 강용 용접 재료」는, 「질량%로, C: 0.08% 이하, Si: 2.0% 이하, Mn: 8.0∼18.0%, Ni: 12.5∼20.0%, Cr: 10.0∼14.0%, Mo: 2.0∼7.0%, N: 0.20% 이하, S: 0.0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접 재료이고, REM을 0.001∼0.1%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불순물인 S의 양을 최대한 저감화할 뿐만 아니라, REM을 적극적으로 소정량 첨가하고 있어, 용접 효율이 높은 가혹한 용접 조건으로 용접해도, 응고 균열이 억제되어, 재열부(再熱部)에 있어서의 연성 저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극저온용 강용 용접 재료」는, 용접부에 있어서의 양호한 극저온 특성이 얻어짐과 함께, 재열부에 있어서의 내연성 저하 균열성이 우수한 용접 재료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이기 때문에, 용접 시에 흄(fume)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그 때문에, 용접자가 흄량이 많은 환경하에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블로우 홀이나 융합 불량 등의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게다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솔리드 와이어(혹은 봉)로 하면, 이들 흄의 문제는 회피할 수 있는 것을 인식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양호한 극저온 특성이 얻어진다는 기재는 있지만, 용접부 강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얻어지는 용접부(용착 금속)의 강도가 낮아, 최근, 극저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요구되는 소망하는 고강도를 만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극저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고 Mn강재용의 용접 재료로서 적합한, 고강도와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을 겸비한 용접 조인트부를 제작할 수 있는, TIG 용접용 용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용가재」는, 와이어 형상, 봉 형상의 용접 재료를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고강도」란, JIS Z 3111의 규정에 준거하여 제작한 용착 금속의 상온 항복 강도(0.2% 내력)가 400㎫ 이상, 상온 인장 강도가 660㎫ 이상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이란, JIS Z 3111의 규정에 준거하여 제작한 용착 금속의, 시험 온도: -196℃에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의 흡수 에너지 vE-196이 28J 이상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극저온용으로서, 용접 금속(용착 금속)이 유지해야 할 소망하는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조성에 대해서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용접 금속(용착 금속)의 고강도화를 위해서는, C, Mn, Cr, Mo를 일정량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했다. 그러나, 신선(伸線) 가공 시의 가공량이 큰 TIG 용접용 용가재에서는 특히, 용접 금속(용착 금속)의 고강도화를 위해, C, Mn, Cr, Mo를 다량으로 지나치게 함유시키면, 신선 가공 시에 균열이나 단선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강 중에서 형성되는 질화 붕소 및 탄화물을 억제함으로써 신선 가공이 가능해지는 것을 인식했다.
이러한 검토 결과로부터, TIG 용접용 용가재의 조성으로서, C를 0.2∼0.8%로, Si를 0.15∼0.9%로 조정하고, 추가로 Mn을 17.0∼28.0%, Ni를 0.01∼10.0%, Cr을 0.4∼4.0%, Mo를 0.01∼3.5%의 특정 범위로 조정하고, 추가로 불순물인 B를 0.0010% 미만, 탄화물 형성 원소인 Ti, Nb, V를 각각 0.04% 이하로 저감함으로써, 신선 가공 시의 균열 등의 결함 발생이 없이 용가재의 제조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상온 항복 강도(0.2% 내력)가 400㎫ 이상, 상온 인장 강도가 660㎫ 이상이고, 시험 온도: -196℃에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의 흡수 에너지 vE-196이 28J 이상이 되는, 고강도이고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용접 조인트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신규로 인식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추가로 검토를 더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로,
C: 0.2∼0.8%,
Si: 0.15∼0.9%,
Mn: 17.0∼28.0%,
P: 0.03% 이하,
S: 0.03% 이하,
Ni: 0.01∼10.0%,
Cr: 0.4∼4.0%,
Mo: 0.01∼3.5%,
B: 0.0010% 미만 및
N: 0.12% 이하
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V: 0.04% 이하, Ti: 0.04% 이하 및, Nb: 0.04%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Cu: 1.0% 이하, Al: 0.1% 이하, Ca: 0.01% 이하 및 REM: 0.02%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 Mn 함유 강재의 용접 재료로서, 고강도이고 또한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용접 조인트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TIG 용접용 용가재를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현격한 효과를 가져온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 TIG 용접용 용가재(이하, 본 발명 용가재라고도 함)는, 고 Mn 함유 강재의 TIG 용접용으로서 적합한, 용가재이다. 본 발명 용가재는, 고 Mn 함유 강재끼리를 TIG 용접할 수 있고, 또한, JIS Z 3111에 준거하여 제작한 용착 금속이, 상온에 있어서의 0.2% 내력에서 400㎫ 이상, 상온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60㎫ 이상의 고강도와, 시험 온도: -196℃에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의 흡수 에너지가 28J 이상의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을 가질 수 있어, 고강도이고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TIG 용접 조인트부를 제작할 수 있는 용접 재료이다.
본 발명 용가재는, 기본 조성으로서, 질량%로, C: 0.2∼0.8%, Si: 0.15∼0.9%, Mn: 17.0∼28.0%, P: 0.03% 이하, S: 0.03% 이하, Ni: 0.01∼10.0%, Cr: 0.4∼4.0%, Mo: 0.01∼3.5%, B: 0.0010% 미만, N: 0.12%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다.
우선, 조성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 조성에 있어서의 「질량%」는, 간단히 「%」로 기재한다.
C: 0.2∼0.8%
C는, 고용 강화에 의해, 용접 금속의 강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또한, C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켜, 용접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2%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0.8%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탄화물이 석출되고, 극저온 충격 인성이 저하하고, 또한, 용접 시의 고온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C는 0.2∼0.8%의 범위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3∼0.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6%이다.
Si: 0.15∼0.9%
Si는, 탈산제로서 작용하고, Mn의 수율을 높임과 함께, 용융 금속의 점성을 높여, 비드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5%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0.9%를 초과하여 Si를 함유하면, 용접 금속의 극저온 인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응고 시에 편석되어, 응고 셀(solidified shell) 계면에 액상을 생성하고, 내고온 균열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Si는 0.15∼0.9%의 범위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2∼0.7%이다.
Mn: 17.0∼28.0%
Mn은, 염가로,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17.0%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Mn이 17.0% 미만에서는,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상이 생성되고, 극저온에서의 인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한편, Mn이 28.0%를 초과하면, 응고 시에 과도의 Mn 편석이 발생되어, 고온 균열을 유발한다. 그 때문에, Mn은 17.0∼28.0%의 범위로 제한했다. 바람직하게는 18.0∼26.0%이다.
P: 0.03% 이하
P는, 결정 입계에 편석되어, 고온 균열을 유발하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3% 이하이면, 허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P는 0.03% 이하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한편, 과도의 P 저감은, 정련 비용의 급등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P는 0.003%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3% 이하
S는, 용접 금속 중에서는, 황화물계 개재물 MnS로서 존재한다. MnS는, 파괴의 발생 기점이 되기 때문에, 극저온 충격 인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S는 0.03% 이하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한편, 과도의 저감은, 정련 비용의 급등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S는 0.001%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0.01∼10.0%
Ni는, 오스테나이트 입계를 강화하는 원소로서, 입계에 편석되어,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또한, Ni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추가로 함유량을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켜, 용접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Ni는 고가인 원소로서, 10.0%를 초과하는 함유는, 경제적으로 불리해진다. 그 때문에, Ni는 0.01∼10.0%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05∼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이다.
Cr: 0.4∼4.0%
Cr은, 극저온에서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로서 작용하고, 용접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Cr은, 용접 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도 갖는다. 또한, Cr은, 용융 금속의 액상선을 높여, 고온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추가로, Cr은, 용접 금속의 내식성을 높이는 데에도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4%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Cr이 0.4% 미만에서는, 상기한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 한편, 4.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Cr 탄화물이 생성되어, 극저온 충격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Cr 탄화물의 생성에 의해, 용가재 신선 시의 가공성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Cr은 0.4∼4.0%의 범위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8∼3.0%이다.
Mo: 0.01∼3.5%
Mo는, 오스테나이트 입계를 강화하는 원소로서, 입계에 편석되어, 용접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1% 이상의 함유에서 현저해진다. 또한, 0.01%를 초과하는 함유에서는, 고용 강화에 의해 용접 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도 갖는다. 한편, 3.5%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탄화물로서 석출되어,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용가재 신선 시에 균열을 유발시키는 등, 제조성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Mo는 0.01∼3.5%의 범위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1∼3.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B: 0.0010% 미만
불순물로서 강 중에 혼입된 B는,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된다. B가 0.0010% 이상 혼입된 경우는,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 질화 붕소를 형성하여, 입계 강도를 저하시킨다. 이 입계 강도의 저하에 의해, 용가재 신선 가공 시에, 오스테나이트 입계가 파괴 발생 기점이 되어 단선을 일으키게 하고, 신선 가공성을 저하시켜, 용가재 제조성을 저하시킨다. 이 질화 붕소의 형성은, B를 0.0010% 미만으로 제한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B는 0.0010% 미만으로 제한했다. 바람직하게는 0.0009%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8% 이하이다.
N: 0.12% 이하
N은,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원소이지만, C와 마찬가지로, 용접 금속의 강도 향상에 유효하게 기여함과 함께,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고, 극저온 충격 인성을 안정적으로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03% 이상의 함유에서 현저해지기 때문에, 0.003%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2%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질화물을 형성하여, 극저온 충격 인성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N은 0.12% 이하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이다.
본 발명 용가재는, 상기한 성분이 기본의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기본 조성에,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임의 성분으로서, V: 0.04% 이하, Ti: 0.04% 이하 및, Nb: 0.04%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및/또는, Cu: 1.0% 이하, Al: 0.1% 이하, Ca: 0.01% 이하 및 REM: 0.02%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이들 임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V: 0.04% 이하, Ti: 0.04% 이하 및, Nb: 0.04%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V, Ti, Nb는 모두, 탄화물의 형성을 촉진하여, 용접 금속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로서,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V: 0.04% 이하
V는,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미세한 탄화물을 석출시켜, 용접 금속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0.04%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탄화물이 조대화하여, 용가재의 신선 가공 시에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고, 신선 가공성을 저하시켜, 용가재의 제조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V는 0.04% 이하로 한정했다.
Ti: 0.04% 이하
Ti는,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미세한 탄화물을 석출시켜, 용접 금속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Ti는, 용접 금속의 응고 셀 계면에 탄화물을 석출시켜, 고온 균열의 발생 억제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Ti: 0.04%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탄화물이 조대화하여, 용가재의 신선 가공 시에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고, 신선 가공성을 저하시켜, 용가재의 제조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Ti는 0.04% 이하로 한정했다.
Nb: 0.04% 이하
Nb는,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탄화물을 석출시켜, 용접 금속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Nb는, 용접 금속의 응고 셀 계면에 탄화물을 석출시켜, 고온 균열의 발생 억제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b가 0.04%를 초과하면, 탄화물이 조대화하여, 용가재의 신선 가공 시에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고, 신선 가공성을 저하시켜, 용가재의 제조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Nb는 0.04% 이하로 한정했다.
Cu: 1.0% 이하, Al: 0.1% 이하, Ca: 0.01% 이하 및 REM: 0.02%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Cu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Al은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고, Ca, REM은 가공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로서,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Cu: 1.0% 이하
Cu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는 원소로서, 극저온에서도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켜, 용접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0%를 초과하여 다량으로 함유하면, 열간 연성이 저하하여, 용가재의 제조성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Cu는 1.0% 이하로 한정했다.
Al: 0.1% 이하
Al은, 탈산제로서 작용하여, 용융 금속의 점성을 높이고, 비드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Al은, 용융 금속의 액상선 온도를 높여, 용접 금속의 고온 균열 발생의 억제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05% 이상의 함유에서 현저해지기 때문에, 0.005%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용융 금속의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반대로, 비드가 확대되지 않고 융합 불량 등의 결함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Al은 0.1% 이하의 범위로 한정했다. 바람직하게는 0.005∼0.06%이다.
Ca: 0.01% 이하
Ca는, 용융 금속 중에서 S와 결합하여, 고융점의 황화물 CaS를 형성한다. CaS는, MnS보다도 고융점이기 때문에, 용가재의 열간 가공 시에 압연 방향으로 진전하지 않고 구형(球形)을 유지하여, 용가재의 가공성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01% 이상의 함유에서 현저해진다. 한편, 0.01%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용접 시에 슬러그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슬러그 권입을 일으킨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Ca는 0.01% 이하로 한정했다.
REM: 0.02% 이하
REM은, 강력한 탈산제이며, 용접 금속 중에서 REM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REM 산화물은 응고 시의 핵 생성 사이트가 됨으로써,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용접 금속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01% 이상의 함유에서 현저해진다. 한편, 0.02%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슬러그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슬러그 권입을 일으킨다. 그 때문에, 함유하는 경우에는, REM은 0.02% 이하로 한정했다.
상기한 성분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 용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용가재의 제조는, 상기한 조성을 갖는 용강을 이용하는 것 및, 어닐링 온도를 900∼1200℃로 하는 이외에는, 특별히 그 제조 방법을 한정할 필요는 없고, 상용의 용가재의 제조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전기로, 진공 용해로 등의 상용의 용제로에서 용제하고, 소정 형상의 주형 등으로 주조하여 강괴를 얻는 주조 공정과, 얻어진 강괴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강괴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소정 형상의 강 소재(봉 형상)를 얻는 열연 공정을 순차 행하고, 이어서, 얻어진 강 소재(봉 형상)를 복수회의 냉간 압연(냉간 신선 가공)과 필요에 따라서 어닐링을 실시하고, 소망 치수의 용가재로 하는 냉연 공정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 용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용강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제하고, 주조하여 강괴 1000㎏을 얻었다. 얻어진 강괴를, 1200℃로 가열한 후, 열간 압연하고, 이어서 냉간 압연하고, 필요에 따라서 어닐링(900∼1200℃)하여, 2.0㎜φ, 길이 1000㎜의 TIG 용접용 용가재(용접봉)를 얻었다.
용가재의 제조에 있어서는, 압연 하중(신선 하중)의 측정, 균열의 관찰, 용가재 단면의 관찰 등을 행하여, 각 용가재의 제조성을 평가했다. 압연 하중(신선 하중)이 높아, 압연(신선) 가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나, 균열의 발생이 확인된 경우나, 발생한 균열에 기인하여, 그 이상 공정을 진행시킬 수 없게 된 경우 등을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그 이외에는, 「양호」라고 평가했다.
이어서, 시험판으로서, 극저온용 고 Mn 강판(판두께: 12㎜)을 준비하고, JIS Z 3111에 준거하여, 맞대고 45° V형 개선(開先)을 형성하여, TIG 용접을 행하고, 당해 개선 내에 용착 금속을 얻었다. 시험판으로서 사용한 강판은, 질량%로, 0.5%C-0.4%Si-25%Mn-3%Cr-잔부 Fe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극저온용 고 Mn 강판이었다.
상기 TIG 용접은,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용강으로부터 제조한 각 용가재(직경 2.0㎜)를 용접 재료로서 이용하여, 예열 없이, 하향 자세로, 전류: 200A(DCEN), 전압: 12V, 용접 속도: 8㎝/min으로, 용가재 송급 속도: 10g/min, 패스 간: 100∼150℃, 실드 가스: Ar로 이루어지는 조건으로, 실시했다. 전극은 순(純)텅스텐봉(3.2㎜φ)으로 했다.
얻어진 용착 금속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용접 균열의 유무를 판정했다. 용접 균열은, 고온 균열이고, 균열 발생이 확인된 경우는 내고온 균열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하여 「불량」이라고 평가했다. 균열 발생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내고온 균열성이 우수하다고 하여 「양호」라고 평가했다.
얻어진 용착 금속으로부터, JIS Z 3111의 규정에 준거하여, 용착 금속의 인장 시험편(평행부 지름 6㎜φ) 및, 용착 금속의 샤르피 충격 시험편(V 노치)을 채취하여, 인장 시험, 충격 시험을 실시했다.
인장 시험은, 실온에서, 각 3개의 시험편으로 실시하고, 얻어진 값(0.2% 내력 및 인장 강도)의 평균값을, 당해 용가재를 이용한 용착 금속의 인장 특성으로 했다. 또한, 샤르피 충격 시험은, 각 3개의 시험편으로 실시하고, 시험 온도: -196℃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vE-196을 구하여, 그의 평균값을, 당해 용가재를 이용한 용착 금속의 극저온 충격 인성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예는 모두, 신선 가공 시의 압연 하중도 높지 않고, 또한 균열의 발생도 없어 용가재 제조성이 우수했다. 또한, 용접 시에 용접 균열(고온 균열)의 발생도 없어 내고온 균열성도 우수했다. 게다가, 상온에 있어서의 항복 강도(0.2% 내력)가 400㎫ 이상, 상온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60㎫ 이상이고, 시험 온도: -196℃에 있어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의 흡수 에너지 vE-196이 28J 이상으로, 고강도와 우수한 극저온 인성을 겸비하는 용착 금속을 얻을 수 있는 TIG 용접용 용접 재료(용가재)였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에서는, 용가재의 제조성이 저하되어 있거나, 용접 균열(고온 균열)이 발생하여 내고온 균열성이 저하되고 있거나, 혹은 상온에 있어서의 0.2% 내력이 400㎫ 미만이거나, 상온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60㎫ 미만이거나, 시험 온도: -196℃에 있어서의 샤르피 충격 시험의 흡수 에너지 vE-196이 28J 미만이거나 하여, 고강도와 우수한 극저온 충격 인성을 겸비하는 용착 금속이 얻어지고 있지 않았다.
추가로 부언하면, 용가재 No.15, No.16(비교예)은, B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용가재 No.17(비교예)은 Cr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용가재 No.18(비교예)은 N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신선 가공성이 저하하여, 소망하는 지름까지 신선할 수 없었다.
또한, 용가재 No.19(비교예)는 P 함유량이, 용가재 No.20(비교예)은 C 함유량이, 용가재 No.21(비교예)은 Mn 함유량이, 용가재 No.22(비교예)는 Si 함유량이, 각각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 균열이 발생하여, 내고온 균열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용가재 No.23(비교예)은 S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극저온 충격 인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용가재 No.24(비교예)는 Ni 함유량이, 용가재 No.25(비교예)는 Mo 함유량이, 각각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입계가 약하고, 극저온 충격 인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용가재 No.26(비교예)은 C 함유량이, 용가재 No.27(비교예)은 Cr 함유량이, 각각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하여, 소망하는 고강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Claims (3)
- 질량%로,
C: 0.2∼0.8%,
Si: 0.15∼0.9%,
Mn: 17.0∼28.0%,
P: 0.03% 이하,
S: 0.03% 이하,
Ni: 0.01∼10.0%,
Cr: 0.4∼4.0%,
Mo: 0.01∼3.5%,
B: 0.0010% 미만 및
N: 0.12% 이하
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V: 0.04% 이하, Ti: 0.04% 이하 및, Nb: 0.04%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Cu: 1.0% 이하, Al: 0.1% 이하, Ca: 0.01% 이하 및 REM: 0.02%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G 용접용 용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66783 | 2019-03-29 | ||
JPJP-P-2019-066783 | 2019-03-29 | ||
PCT/JP2020/012214 WO2020203334A1 (ja) | 2019-03-29 | 2020-03-19 | Tig溶接用溶加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296A true KR20210143296A (ko) | 2021-11-26 |
Family
ID=7266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4976A KR20210143296A (ko) | 2019-03-29 | 2020-03-19 | Tig 용접용 용가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78615B2 (ko) |
KR (1) | KR20210143296A (ko) |
CN (1) | CN113646456B (ko) |
WO (1) | WO20202033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317B1 (ko) * | 2019-10-16 | 2021-11-02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30042371A (ko) * | 2020-09-10 | 2023-03-28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용접 조인트 및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
WO2022113473A1 (ja) * | 2020-11-26 | 2022-06-02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16529407A (zh) * | 2020-11-26 | 2023-08-01 | 杰富意钢铁株式会社 | 焊接接头及其制造方法 |
US20240075560A1 (en) * | 2020-12-17 | 2024-03-07 | Jfe Steel Corporation | Tig welding filler metal and method for producing weld joint using the same |
WO2022186097A1 (ja) * | 2021-03-01 | 2022-09-09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Tig溶接継手 |
CN117300435A (zh) * | 2023-10-19 | 2023-12-29 |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 一种焊接用高锰钢盘条、制备方法及焊条和焊丝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03233A (ja) | 2011-11-10 | 2013-05-30 | Kobe Steel Ltd | 極低温用鋼用溶接材料 |
JP2017502842A (ja) | 2013-12-06 | 2017-01-26 | ポスコPosco | 極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継手部及びこのための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4701A (en) * | 1978-08-08 | 1980-02-22 | Japan Steel Works Ltd:The | Welding material for high mn stable austenite non- magnetic steel |
JPS60139729A (ja) * | 1983-12-27 | 1985-07-24 | Ube Ind Ltd | 強化ゴム組成物の製造法 |
JP4424484B2 (ja) * | 2004-06-24 | 2010-03-03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耐低温割れ性にすぐれた溶接継手および溶接材料用鋼材 |
KR101118904B1 (ko) * | 2007-01-15 | 2012-03-22 |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 조인트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 재료 |
JP5622707B2 (ja) * | 2011-11-10 | 2014-11-1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極低温用鋼用溶接材料 |
CA3022962C (en) * | 2016-05-02 | 2024-06-04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Field girth welding technology for high manganese steel slurry pipelines |
JP6621572B1 (ja) * | 2018-08-23 | 2019-12-18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
KR102511652B1 (ko) * | 2018-08-23 | 2023-03-17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가스 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
-
2020
- 2020-03-19 CN CN202080025357.9A patent/CN113646456B/zh active Active
- 2020-03-19 WO PCT/JP2020/012214 patent/WO202020333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3-19 JP JP2020553567A patent/JP6978615B2/ja active Active
- 2020-03-19 KR KR1020217034976A patent/KR202101432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03233A (ja) | 2011-11-10 | 2013-05-30 | Kobe Steel Ltd | 極低温用鋼用溶接材料 |
JP2017502842A (ja) | 2013-12-06 | 2017-01-26 | ポスコPosco | 極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継手部及びこのための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646456A (zh) | 2021-11-12 |
WO2020203334A1 (ja) | 2020-10-08 |
CN113646456B (zh) | 2023-01-17 |
JP6978615B2 (ja) | 2021-12-08 |
JPWO2020203334A1 (ja) | 2021-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1652B1 (ko) | 가스 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 |
JP6978615B2 (ja) | Tig溶接用溶加材 | |
CN113631321B (zh) | 极低温用高强度焊接接头的制造方法 | |
KR102639546B1 (ko) | 가스 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및 가스 메탈 아크 용접 방법 | |
JP6621572B1 (ja) | 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 |
JP7024931B1 (ja) | 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 |
WO2014119189A1 (ja) | 被覆アーク溶接棒 | |
KR20230133347A (ko)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이음 | |
JP7276597B2 (ja) |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部の製造方法 | |
JP7188647B1 (ja) | Tig溶接継手 | |
JP7414126B2 (ja) | Tig溶接用溶加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部の製造方法 | |
JP7494966B1 (ja) | 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方法 | |
US20240351147A1 (en) | Metal-cored wire for submerged arc welding and submerged arc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09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426 Effective date: 20240523 |